KR20180016579A -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 Google Patents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579A
KR20180016579A KR1020187000933A KR20187000933A KR20180016579A KR 20180016579 A KR20180016579 A KR 20180016579A KR 1020187000933 A KR1020187000933 A KR 1020187000933A KR 20187000933 A KR20187000933 A KR 20187000933A KR 20180016579 A KR20180016579 A KR 2018001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cystine
salt
digestive 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토 노구사
아미 미즈가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2Imidazole-alkanecarboxylic acid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88Processes resulting in pure drug agglomerate optionally containing up to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ys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비롯한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에 대해, 종래 기술과 동등 이상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본 발명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은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 흡수뿐만 아니라, 이물이 체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배리어 기능도 동시에 갖고 있다. 배리어 기능의 저하는 장내 세균의 체내로의 침입으로 이어져, 염증을 야기하여 소화관의 상태 불량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컨디션 악화를 유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장기에 세균이 옮아가서 다장기 부전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소화관의 배리어 기능의 저하는, 격심한 운동에 의해 유발된다(비특허문헌 1). 운동에 있어서의 소화관 기능의 저하는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이나 스트레스성 질환과 비슷한 부분이 있지만, 상세한 메카니즘은 불명확한 점이 많다. 현재는, 운동 시에는 근육이나 심장에 혈액이 모여 소화관으로의 혈액의 공급이 줄어드는 것이나, 체온이 상승하는 것 등 운동 특유의 생리 현상에 의해, 배리어 기능이 저하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배리어 기능의 저하는, 운동 선수의 컨디션이나 퍼포먼스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운동 선수에게 있어서 소화관의 배리어 기능의 유지는 중요하다.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것으로서는, 소의 초유,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이 보고되어 있다. 소의 초유에 있어서는, 그 안에 포함되는 TGF-1 등의 증식 인자에 의해 장관의 스트레스 내성이 상승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소의 초유는 귀중해서, 범용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비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3에는,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을 1주간 섭취함으로써,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가 완화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에 대한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의 개선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글루타민에 관해서는, 수용액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고 용도가 한정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문헌 2에는, 위기적 상태 또는 만성 질환 환자 및 영양 실조인 사람들의 장의 장 배리어를 유지 또는 회복시키기 위해 장내 투여되는 서플리먼트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에 관한 기재는 없고, 실제로 시스틴을 사용한 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서플리먼트는 장내 투여되는 것이지, 경구적으로 섭취되는 것은 아니다.
비특허문헌 4에는, 마우스 외과 수술(소장 manipulation) 모델에 있어서, 수술 전의 시스틴 및 테아닌의 경구 투여가 소화관의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4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은, 운동에 의해 소화관의 염증을 발증시킨 모델이 아니라, 물리적인 상해(소장 manipulation)에 의해 소화관의 염증을 발증시킨 모델이다. 또한 소화관 투과성을 평가한 데이터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5에는, 장거리 주자에게 시스틴 및 테아닌을 섭취시킴으로써, 운동 시의 면역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운동 후의 근 장애를 완화시킨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운동 시의 면역 저하의 개선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또한 비특허문헌 5에는, 소화관 투과성에 대해 평가한 데이터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6에는, 장거리 주자에게 시스틴 및 테아닌을 섭취시킴으로써, 운동 시의 면역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전신성 염증을 억제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운동 시의 면역 저하의 개선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과 관련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전신성 염증을 억제해도, 반드시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가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비특허문헌 6에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에 대한 검토는 일체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02-51354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04-513912호
비특허문헌 1: Wijck et al. (2011) Plos One 6 (7) e22366 비특허문헌 2: Zuhl et al. (2014) J. Appl. Physiol. 116, 183-191 비특허문헌 3: Costa et al. (2014) J Nutr. 144, 218-223 비특허문헌 4: Shibakusa et al. (2012) Clin. Nutr. 31, 555-561 비특허문헌 5: Murakami et al. (2010) J. Int. Soc. Sports. Nutr. 7:23 비특허문헌 6: Murakami et al. (2009)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4), 817-8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비롯한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에 대해, 종래 기술과 동등 이상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시스틴이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예를 들어,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不調) 등)의 개선 작용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2] 소화관 장애가,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1]에 기재된 개선제.
[3]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0.1중량%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개선제.
[4]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사람의 1회 섭취량당 6㎎ 내지 12g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5] 1회 섭취량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위 중에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1회 섭취량으로서 6㎎ 내지 12g 함유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6] 추가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7]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10중량% 이상인, [6]에 기재된 개선제.
[8] (a)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 및 (b)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a):(b)=1:0.01 내지 10인, [6] 또는 [7]에 기재된 개선제.
[9] 경구적으로 섭취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10]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11]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섭취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12]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거나, 또는 두 번째로 많은,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13]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의약.
[15]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및 당해 개선제를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에 사용할 수 있는 것, 또는 사용해야 하는 것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16]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개선제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 방법.
[17] 소화관 장애가,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16]에 기재된 방법.
[18] 상기 개선제에 있어서의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상기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하여 0.1중량% 이상인, [16] 또는 [17]에 기재된 방법.
[19] 상기 개선제에서의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사람의 1회 섭취량당 6㎎ 내지 12g인,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0] 상기 개선제가, 1회 섭취량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위 중에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1회 섭취량으로서 6㎎ 내지 12g 함유하는,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1] 상기 개선제가, 추가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16]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2] 상기 개선제에서의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상기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인, [21]에 기재된 방법.
[23] (a) 상기 개선제에서의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 및 (b) 상기 개선제에서의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a):(b)=1:0.01 내지 10인, [21] 또는 [22]에 기재된 방법.
[24] 상기 개선제를 경구적으로 섭취시키는, [16]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5] 상기 개선제를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16]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6] 상기 개선제를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섭취시키는, [16]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7] 상기 개선제에서의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상기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거나, 또는 두 번째로 많은, [16]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8]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인, [16]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9]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개선제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 방법(단, 의료 행위를 제외함).
[30] 식품 조성물인,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선제.
[31]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32] 소화관 장애가,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31]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3]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함유된 전체 아미노산에 대하여 0.1중량% 이상인, [31] 또는 [32]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4]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사람의 1회 섭취량당 6㎎ 내지 12g인,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5] 1회 섭취량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위 중에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1회 섭취량으로서 6㎎ 내지 12g 함유하는,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6] 또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3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7] 시스틴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인, [36]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8] (a) 시스틴의 함유량, 및 (b)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a):(b)=1:0.01 내지 10인, [36] 또는 [37]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39]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3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40]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섭취되는, [3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41]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거나, 또는 두 번째로 많은, [3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바람직하게는, 소장 및/또는 대장의 배리어 기능 저하) 및/또는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 등의 식(食) 경험이 풍부한 아미노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LPS: 리포 다당.
도 2는 실시예 1의 평가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Sed: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은 그룹, Ex: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Cyt+Ex: 시스틴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Gln+Ex: 글루타민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a, b, c의 다른 부호 간에서, P<0.05.
도 4는 실시예 2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식욕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비운동 그룹 :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은 그룹, 운동 그룹: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3일간 연속하여 피로곤비(疲勞困憊) 운동시킨 그룹, 운동 +2% 시스틴 그룹: 시스틴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a, b의 다른 부호 간에서, P<0.05.
도 6은 시스틴 및 글루타민의 병용에 의한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Sed: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은 그룹, Ex: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GC+Ex: 글루타민과 시스틴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 a, b의 다른 부호 간에서 P<0.05.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란, 운동(특히, 격렬한 운동)에 따라 발현하는 소화관 장애를 말한다. 여기서 「격렬한 운동」이란, 장시간의 운동, 연일의 운동, 상대적으로 고강도의 운동, 또는 고온 하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의 운동 등을 말한다. 또한 「소화관 장애」란, 소화관(인두, 식도,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에서의 조직의 손상 및 기능 저하, 및 이들에 기인하여 발현하는 증후를 말하고, 예를 들어,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소화관 장애가 운동 유발성인지 여부의 판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TNF-α의 유의한 상승은 확인할 수 없지만 소화관 장애가 일어나고 있는 경우, 그 소화관 장애는 운동 유발성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소화관 장애가 운동 유발성인지 여부의 판별은, TNF-α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체온 상승, 혈액 부족, 염증의 발생(특히, TNF-α의 상승이 현저하지 않은 염증) 등으로부터 판별해도 좋다.
소화관 상피 세포를 통한 물질의 수송 경로는, 세포 내(transcellular) 및 세포 간(paracellular) 경로로 크게 구별된다. 세포 내 경로는, 세포막 위의 수송체나 채널을 통해 영양소의 흡수에 기여한다. 한편, 세포 간 경로는, 인접하는 세포끼리의 접착 분자에 의해 선택적 투과성이 제어되고, 칼슘 등의 미네랄류 흡수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관강 내에 대량으로 존재하는 장내 세균이나 식사 유래의 항원에 대해서는, 체내에 침입시키지 않는 배리어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선택적 투과성을 담당하는 접착 분자 구조가 밀착 연접(tight junction)이다. 밀착 연접은, 상피 세포측 저막의 브러시 보더(brush border)막 근방에 편재하는 거대한 단백질 복합체이고, occludin이나 claudin 등의 막 관통형 단백질과 zonula occludens 등의 세포 내 앵커 단백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란, 운동(특히, 격렬한 운동)에 따라 소화관(인두, 식도,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의 상피 세포 간의 배리어가 파탄하는 것을 말하고, 소화관의 투과성이 항진하여 이물, 장내 세균 또는 장내 세균이 산생하는 독소 등이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침입하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는, 예를 들어, 운동 시에 소화관으로의 혈액의 공급이 감소하는 것 등에 따라 야기되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는, 예를 들어 체온의 상승 등에 의해서도 야기되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는, 운동에 의한 체온 상승이나 혈류 저하가 주 요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한편, 스트레스성 장 질환이나 염증성 장 질환은, 염증에 기인하는 것이고, 이것들과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와는, 메커니즘이나 상태에 있어서 다른 것이라고 여겨진다.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이의 개선의 유무는, 소화관의 배리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소화관 내에서 체내로의 이행이 억제되지만, 소화관의 배리어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 소화관을 투과하여 혈중으로 이행하는 정도의 분자량(예를 들어, 분자량 4000 정도)을 갖는 표지된 화합물을 동물에 경구 투여하여, 혈중의 표지 화합물의 양(농도)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만니톨, 람노오스, 락툴로오스 등의 비대사성 당 분자의 장 점막의 투과량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이란, 운동(특히, 격렬한 운동)에 따라 발현하는 위장의 상태 불량을 말한다. 여기서, 「위장의 상태 불량」이란, 위장에 있어서 발생하는 병적 증상, 및 위장의 기능 저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병적 증상의 총칭이며, 예를 들어, 식욕의 저하, 위의 통증, 메스꺼움, 설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이란, 예를 들어 운동 시에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 운동 유발성인 운동 시 또는 운동 후의 위의 통증이나 메스꺼움, 소화 능력의 저하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 운동 후의 식욕 저하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 장내 세균이나 세균 유래의 독소의 체내로의 침입을 막아서 컨디션 악화를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이란, 「예방 또는 치료」를 포함하는 뜻이다.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예방」이란,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가 발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치료」란,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증상을 경감하는 것, 또는 증상의 진행(악화)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제에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시스틴은, L-체, D-체, DL-체 중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L-체, DL-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체이다.
또한, 시스틴은, 유리체뿐만 아니라,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시스틴」이라는 용어는 염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염의 형태로서는, 산 부가염이나 염기와의 염 등을 들 수도 있고,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시스틴의 염으로서는, 무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및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산(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구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틴은, 천연에 존재하는 동식물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한 것, 또는 화학 합성법, 발효법, 효소법 또는 유전자 재조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에서의 시스틴의 함유량은, 소화관 장애의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사람의 1회 섭취량당,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또한, 섭취 용이성의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사람의 1회 섭취량당,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g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틴 등의 아미노산의 함유량의 계산은, 아미노산이 염을 형성하는 경우, 이의 염을 유리체로 환산한 후에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1회 섭취량」이란, 1회에 섭취 또는 투여되는 양이다.
시스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소화관 장애의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또한, 시스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소화관 장애의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이다.
시스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거나, 또는 두 번째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틴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거나 또는 두 번째로 많음으로써, 유효 성분으로서 효율적인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에 더해, 추가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에 첨가하여, 추가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함으로써,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 효과가 증강된다. 이 중에서도, 글루타민은 소화관의 세포의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되기 쉬우므로,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에 더해, 추가로, 글루타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은, 각각 L-체, D-체, DL-체 중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L-체, DL-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체이다. 또한, 이들은 유리체뿐만 아니라,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이라는 용어는, 각각 염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염의 형태로서는, 산 부가염이나 염기와의 염 등을 들 수도 있고,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루타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및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산(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구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세린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산(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구연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히스티딘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및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산(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구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르기닌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및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산(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구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에 각각 부가하여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 수소, 브롬화 수소,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락트산, 구연산, 주석산, 말레산, 푸마르산, 모노메틸 황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화물, 또는 암모니아 등의 무기염기;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모노알킬에탄올아민, 디알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은, 각각 천연에 존재하는 동식물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한 것, 또는 화학 합성법, 발효법, 효소법 또는 유전자 재조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첨가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복용성, 안정성, 기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경우,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복용성, 안정성, 기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9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이란,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당해 1개의 성분의 함유량이고,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당해 2개 이상의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은, 복용성, 안정성, 기능성의 관점에서, 사람의 1회 섭취량당,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은, 섭취 용이성의 관점에서, 사람의 1회 섭취량당, 바람직하게는 1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g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 시스틴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과의 합계는,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경우, 시스틴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합계는,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복용성, 안정성, 기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경우, (a) 시스틴의 함유량, 및 (b)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중량비는, 각 아미노산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a):(b)=1:0.01 내지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25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1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2 내지 1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함유하는 경우, 당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각 함유량의 중량비는, 통상, 이소류신:류신:발린=1:1.5 내지 2.5:0.8 내지 1.7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9 내지 2.2:1.1 내지 1.3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non-proteinogenic amino acid)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용량이 한정된 경우라도, 운동 시에 필요한 단백질 원료를 충분히 공급하고, 또한,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를 개선한다는 기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아닌, 오르니틴, 시트룰린, 타우린, GABA(γ-아미노 부티르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테아닌은 직접적으로는 단백질 원료가 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개선제는 테아닌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예를 들어, 테아닌 등)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란, (1)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 또는 (2) 시스틴 이외의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통상 28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소화관 궤양의 치료제와 병용할 수도 있다(이하, 병용약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병용약으로서는, 소화기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치료약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레바미피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유산균이나 비피더스균과 같은 선옥균과 병용할 수도 있다. 선옥균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VSL#3(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의 적용 대상으로서는, 포유 동물(예를 들어, 사람, 마우스(mouse), 래트(rat),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를 사람 이외의 포유 동물에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량은, 포유 동물의 체중 또는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통상, 경구적으로 섭취되지만, 적용 대상의 증상에 따라 경장 경관 투여, 수액에 의한 투여 등의 투여 경로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경구적으로 섭취되는 경우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과립제, 세립제, 분제, 피복정제, 정제, 산제, (마이크로)캡슐제, 츄어블제, 시럽, 주스, 액제, 현탁제, 유탁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으로의 조제는, 상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제상의 필요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각종 제제용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당해 제제용 물질은, 본 발명의 개선제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부형제, 희석제, 첨가제, 붕괴제, 결합제, 피복제, 윤활제, 활주제, 활택제, 교미제, 풍미제, 감미제, 가용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제용 물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탄산 마그네슘, 이산화 티탄, 당류(예를 들어, 락토오스 및 만니톨 등), 탈크, 우유 단백,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동물 및 식물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용제(예를 들어, 멸균수 등), 및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량은, 적용 대상의 증상, 연령, 체중 또는 제형, 섭취 방법 또는 투여 방법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적용 대상이 성인인 경우, 본 발명의 개선제는,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2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1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중 내지 0.2g/㎏ 체중의 시스틴이 섭취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가, 시스틴에 더하여,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고, 또한, 적용 대상이 성인인 경우, 본 발명의 개선제는,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이하의 양으로 섭취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글루타민: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5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4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중 내지 2g/㎏ 체중
세린: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중 내지 1g/㎏ 체중
히스티딘: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g/㎏ 체중
아르기닌: 1일당, 통상, 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g/㎏ 체중 내지 1g/㎏ 체중
발린: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중 내지 1g/㎏ 체중
류신: 1일당, 통상 0.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g/㎏ 체중
이소류신: 1일당, 통상 1㎎/㎏ 체중 내지 4g/㎏ 체중, 바람직하게는 1㎎/㎏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g/㎏ 체중
상기 1일당 섭취량은 1회이고, 또는 2회 이상(예를 들어, 2 내지 5회)으로 나누어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적용 대상이 성인인 경우, 1일당 전체 아미노산의 섭취량의 합계가, 통상 0.1㎎/㎏ 체중 내지 4g/㎏ 체중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적용 대상이 예를 들어 운동 선수 등인 경우, 본 발명의 개선제는, 본 발명의 개선제의 기능성과 운동 선수가 하루에 섭취해야 할 단백질량의 관점에서, 1일당 전체 아미노산의 섭취량의 합계가, 바람직하게는 0.01g/㎏ 체중 내지 2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 체중 내지 1g/㎏ 체중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 시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운동 개시 전, 운동 중, 운동 종료 후 등의 어느 시기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시기는, 운동을 개시하기 전에 미리 소화관에 본 발명의 개선제를 폭로(暴露)해 두는 것이 좋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운동 개시 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적어도 1회(1회 또는 2회 이상)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이용의 간편성과 기능성의 관점에서,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된 후, 추가로 운동 중 및/또는 운동 종료 후에 적어도 1회 섭취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개선제의 섭취 기간(최초의 섭취부터, 마지막 섭취까지의 기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6시간 내지 4주간이고,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일간 내지 2주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일간 내지 1주간이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개시의 1일 전 내지 2주간 전(바람직하게는 3일 전 내지 1주간 전)부터, 1일당 1 내지 5회(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섭취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운동 종료 후에 섭취하는 경우에는, 운동 종료의 직후 내지 24시간 후(바람직하게는 직후 내지 6시간 후)에, 1 내지 3회 섭취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틴은, 또는 시스틴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로 조합하여 두 개 이상의 제제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모두가 하나의 제제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의 유효 성분이 두 개 이상의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각 제제가 섭취되는 타이밍은, 동시라도 따로따로라도 좋고, 또한 각 제제가 섭취되는 경로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모든 유효 성분이 하나의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양태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병용하는 약제가 있을 경우, 이의 섭취의 타이밍은, 이의 종류나 효과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틴이, 또는 시스틴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가, 두 개 이상의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이들 유효 성분의 함유량(사람의 1회 섭취량당 함유량, 본 발명의 개선제에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한 함유량)이나 중량비의 계산은, 각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양을 합계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각종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제를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당해 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식사 형태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선제를 음료에 첨가하고, 원하는 대로 적당한 풍미를 더하여, 드링크제(예를 들어, 청량 음료 등)로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개선제는, 예를 들어, 주스, 우유, 과자, 젤리, 요구르트, 사탕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개선제를 첨가한 식품을, 보건 기능 식품 또는 식이 보조제(dietary supplement)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건 기능 식품」에는 특정 보건용 식품 및 영양 기능 식품 등도 포함된다. 「특정 보건용 식품」은, 예를 들어, 소화관 장애의 개선 등, 특정의 보건의 목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식품이다. 또한, 「영양 기능 식품」은, 1일당 섭취 권장량에 포함되는 영양 성분량이 국가가 정한 상한 하한치의 규격 기준에 적합한 경우, 그 영양 성분의 기능의 표시를 할 수 있는 식품이다. 「식이 보조제」에는 이른바 영양 보조 식품 또는 건강 보조 식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 보건용 식품」에는, 소화관 장애 등의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붙인 식품, 또한, 이러한 용도에 사용하는 것인 취지를 기재한 서류(이른바, 효능 표기) 등을 패키지로서 포함하는 식품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를 농후 유동식이나, 식품 보조제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품 보조제에 첨가하는 경우, 원하는 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예를 들어 정제, 캡슐, 산제, 과립, 현탁제, 츄어블제, 시럽제 등의 형태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보조제」란, 식품으로서 섭취되는 것 이외에 영양을 보조할 목적으로 섭취되는 것을 말하고, 영양 보조제, 서플리먼트 등도 이것에 포함된다. 「농후 유동식」이란, 1kcal/ml 정도의 농도로 조정되고, 장기간의 단독 섭취에 의해서도 현저한 영양소의 과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각 영양소의 질적 구성이 충분히 고려되어, 1일 영양 소요량을 기초로 설계된 종합 영양 식품(액체 형상 식품)이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틴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 자체가, 적어도 1개 이상의 식품 소재를 함유하여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조성물」은, 경구 섭취할 수 있는 것을 널리 포함하는 개념이며, 음료, 조미료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단위 포장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위 포장 형태」란, 특정량(예를 들어, 1회 섭취량 등)을 1단위로 하고, 당해 1단위 또는 2단위 이상이 하나의 포장에 수용된 형태를 말하고, 예를 들어, 1회 섭취량을 1단위로 하는 단위 포장 형태는, 「1회 섭취량당의 단위 포장 형태」라고 칭한다. 단위 포장 형태로 사용되는 포장은, 본 발명의 개선제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종이 용기, 플라스틱 용기, 알루미늄 캔, 스틸 캔, 유리병, 페트병, PTP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선제, 및 본 발명의 개선제를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예를 들어,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등)의 개선에 사용할 수 있는 것, 또는 사용해야만 하는 것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이의 유효량을 적어도 1회 섭취시킴(투여함)으로써,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개선제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이의 유효량을 적어도 1회 섭취시킴으로써,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바람직하게는, 소장 및/또는 대장의 배리어 기능 저하) 및/또는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선제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것(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예를 들어,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 등)의 개선 방법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의료 행위를 제외한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의료 행위」란, 의사 또는 치과 의사에 의해, 또는 의사 또는 치과 의사의 지도 감독 하에 행해지는, 사람을 치료, 수술 또는 진단하는 행위를 말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범위는 이들의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
통상은 그다지 소화관에서 흡수되지 않는 고분자량의 물질은, 소화관의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고 있으면 장관을 투과하여 혈액 중에 들어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도 1). 그래서, 하기와 같은 시험에서,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검토했다.
7주령의 수컷 CD2F1 마우스(니혼 찰스 리버 가부시키가이샤)를 4그룹(Sed, Ex, Gln+Ex 및 Cyt+Ex)으로 그룹 분류하고, Sed 및 Ex에 대해서는 보통식(AIN-93G 조성)을, Gln+Ex에 대해서는 글루타민(2%)을 첨가한 보통식(AIN-93G 조성)을, Cyt+Ex에 대해서는 시스틴(2%)을 첨가한 보통식(AIN-93G 조성)을, 각각 7일간 섭취시켰다. 그 후, 각 그룹을 하룻밤 절식시키고, Ex, Gln+Ex 및 Cyt+Ex는, 회전차 내에서 4시간 주행시켰다(속도: 10.5m/분). Ex, Gln+Ex 및 Cyt+Ex의 주행 중, Sed는 절식을 계속했다. 주행 종료 후, 각 그룹에 대해, FITC-덱스트란(평균 분자량 4000; FD4, 시그마 알드리치 재팬)을 500㎎/㎏ 체중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채혈을 행하였다. Cani et al., Gut 2009, 58(8):1091-110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소화관에서 혈액 중에 누출된 FD4 농도를, 혈액 중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산출함으로써, FD4의 소화관 투과성 평가를 행하였다(도 2). 구체적으로는, 마우스로부터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채취한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고, 얻어진 혈장을 인산 완충액으로 2배 희석하여, 여기(勵起) 파장: 485㎚, 검출 파장: 535㎚의 조건으로 형광 강도를 측정했다(측정 기기 SPECTRA MAX GEMINI EM 몰레큘러 디바이스 재팬).
도 3에 결과를 나타낸다(a, b, c의 다른 부호 간에서, P<0.05).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았던 그룹(Sed)과 비교하여,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Ex)은, 혈액 중의 FD4 농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4시간의 주행에 의해 소화관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고, 고분자량의 물질이 소화관으로부터 혈액 중에 많이 유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시스틴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Cyt+Ex)은, Ex와 비교하여 혈액 중의 FD4 농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스틴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yt+Ex는, 글루타민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Gln+Ex)과 비교하여, 혈액 중의 FD4 농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동일한 용량에서 시스틴은 글루타민보다도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식욕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
운동 선수는 강화 합숙 등 격렬한 훈련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위장의 상태 불량이 생겨, 식욕이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하기와 같은 시험으로, 시스틴의 운동 유발성 식욕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검토했다.
6주령의 수컷 CD2F1 마우스(니혼 찰스 리버 가부시키가이샤)를 3그룹(비운동 그룹, 운동 그룹, 및 운동+2% 시스틴 그룹)으로 그룹 분류하여, 비운동 그룹 및 운동 그룹에 대해서는 보통식(AIN-93G 조성)을, 운동+2% 시스틴 그룹에 대해서는 시스틴(2%)을 카제인과 치환하여 첨가한 보통식(AIN-93G 조성)을, 각각 8일간 섭취시키고, 그 후, 운동 그룹 및 운동+2% 시스틴 그룹은, 3일간 연속으로 트레드밀에서 피로해서 지칠 때(피로곤비: 疲勞困憊)까지 주행시키고, 비운동 그룹은 운동시키지 않았다(도 4). 운동 그룹 및 운동+2% 시스틴 그룹의 주행 중, 비운동 그룹은 절식·절수를 했다. 각 날의 피로곤비 운동 종료 후에 새로운 먹이를 투입하고, 다음날에 회수하여 먹이 잔존량을 측정하여 섭이량을 산출했다.
도 5에 피로곤비 운동을 연속 부하하기 전(Pre run)의 각 그룹의 섭이량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섭이량의 결과를 나타낸다(a, b의 다른 부호간에서, P<0.05).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은 그룹(비운동 그룹)과 비교하여,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3일간 연속해서 피로곤비 운동시킨 그룹(운동 그룹)은, 운동 부하 3일째에 유의하게 섭이량이 저하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일간 연속적인 피로곤비 운동에 의해 위장의 상태 불량(식욕의 저하)이 증가하고, 섭이량이 저하된 것이 시사되었다. 시스틴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운동+2% 시스틴 그룹)은 운동 그룹과 비교하여, 운동 후의 섭이량 저하가 억제되어 있고, 3일간 연속한 피로곤비 운동 후의 섭이량은 운동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스틴은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식욕의 저하)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시스틴 및 글루타민의 병용에 의한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
7주령의 수컷 CD2F1 마우스(니혼 찰스 리버 가부시키가이샤)를 3그룹(Sed, Ex, GC+Ex)으로 그룹 분류하고, Sed 및 Ex에 대해서는 보통식(AIN-93G 조성)을, GC+Ex에 대해서는 글루타민과 시스틴(중량비 30:7)으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3.2% 첨가한 보통식(AIN-93G 조성)을, 각각 7일간 섭취시켰다. 그 후, 각 그룹을 하룻밤 절식시키고, Ex, GC+Ex는, 회전차 내에서 4시간 주행시켰다(속도: 10.5m/분). Ex, GC+Ex의 주행 중, Sed는 절식을 계속했다. 주행 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FD4의 소화관 투과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도 6에 결과를 나타낸다(a, b의 다른 부호 간에서, P<0.05).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키지 않은 그룹(Sed)과 비교하여,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Ex)은, 혈액 중의 FD4 농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4시간의 주행에 의해 소화관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어, 고분자량의 물질이 소화관으로부터 혈액 중에 많이 유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글루타민과 시스틴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첨가한 보통식을 섭취시키고, 또한 운동시킨 그룹(GC+Ex)은, Ex와 비교하여, 혈액 중의 FD4 농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글루타민과 시스틴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은,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개선제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바람직하게는, 소장 및/또는 대장의 배리어 기능 저하) 및/또는 운동 유발성 위장 상태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제는, 시스틴 등의 식 경험이 풍부한 아미노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매우 유리하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2015-117758(출원일: 2015년 6월 10일)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2)

  1.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소화관 장애가, 소화관 배리어 기능 저하 및 위장의 상태 불량(不調)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개선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하여 0.1중량% 이상인, 개선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사람의 1회 섭취량당 6㎎ 내지 12g인, 개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회 섭취량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위 중에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1회 섭취량으로서 6㎎ 내지 12g 함유하는, 개선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개선제.
  7. 제6항에 있어서,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과,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함유되는 전체 아미노산에 대해 10중량% 이상인, 개선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a)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 및 (b) 글루타민, 세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a):(b)=1:0.01 내지 10인, 개선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적으로 섭취되는, 개선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 개시 전에 적어도 1회 섭취되는, 개선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섭취되는, 개선제.
  12. 시스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개선제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적어도 1회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 방법.
KR1020187000933A 2015-06-10 2016-06-08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KR20180016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7758 2015-06-10
JP2015117758 2015-06-10
PCT/JP2016/067005 WO2016199798A1 (ja) 2015-06-10 2016-06-08 運動誘発性の消化管障害の改善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579A true KR20180016579A (ko) 2018-02-14

Family

ID=5750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33A KR20180016579A (ko) 2015-06-10 2016-06-08 운동 유발성 소화관 장애의 개선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98456B2 (ko)
JP (1) JP6841223B2 (ko)
KR (1) KR20180016579A (ko)
BR (1) BR112017026185A2 (ko)
CA (1) CA2988563A1 (ko)
TW (1) TW201717931A (ko)
WO (1) WO20161997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6457A (en) * 1978-09-08 1980-03-14 Ajinomoto Co Inc Amino acid infusion
US5719133A (en) * 1994-09-21 1998-02-17 Novartis Nutrition Ag Adolescent dietary composition
AUPP327198A0 (en) * 1998-04-30 1998-05-21 Northfield Laboratories Pty Ltd A food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GB0009056D0 (en) 2000-04-12 2000-05-31 Nestle Sa Composition comprising free amino acids
DE10057290B4 (de) 2000-11-17 2004-01-0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Enteral zu verabreichendes Supplement zur parenteralen Ernährung oder partiellen enteralen/oralen Ernährung bei kritisch Kranken, chronisch Kranken und Mangelernährten
DK175877B1 (da) * 2002-11-11 2005-05-09 Pharmalett As Præparater til anvendelse som terapeutisk middel
WO2007133642A1 (en) * 2006-05-11 2007-11-22 Garcia Ramon D Sport drink containing amino acids and carbohydrates
EP1897451A1 (en) * 2006-09-08 2008-03-12 SHS International Ltd. Tasteless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free amino acids
BRPI0814745A2 (pt) * 2007-08-03 2014-10-07 Aminotech As Composição de produto.
WO2010126353A1 (en) * 2009-04-27 2010-11-04 N.V. Nutricia Pea-based protein mixture and use thereof in a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 suitable for enteral feeding
US20150282506A1 (en) * 2012-10-31 2015-10-08 Mars, Incorporated Flavour additives
WO2015167002A1 (ja) * 2014-04-30 2015-11-05 味の素株式会社 消化管障害を改善する組成物
WO2017159741A1 (ja) * 2016-03-16 2017-09-21 味の素株式会社 行動体力向上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99798A1 (ja) 2018-03-29
CA2988563A1 (en) 2016-12-15
WO2016199798A1 (ja) 2016-12-15
US10898456B2 (en) 2021-01-26
TW201717931A (zh) 2017-06-01
JP6841223B2 (ja) 2021-03-10
BR112017026185A2 (pt) 2018-08-14
US20180098954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91B1 (ko) 영양 조성물
JP4739161B2 (ja) 持久力向上剤
US20090162457A1 (en) Resveratrol and/or grape leaf extract as i. a. endurance improver, anti-aging agent, muscle strength improver
US9585852B2 (en) Agmatine containing dietary supplements, nutraceuticals and foods
CA314022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calcium and at least one of oleuropein or metabolite thereof
US2022013378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ing cinnamaldehyde and zinc for weight management
JP6528800B2 (ja) アミノ酸組成物
KR101356330B1 (ko) 간기능 개선제
US20150050260A1 (en) Pyrroloquinoline quinone based compositions and uses
JP6806208B2 (ja) 消化管障害を改善する組成物
US2024000074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oleuropein and quercetin for cellular energy
US10898456B2 (en) Ameliorating agent for exercise-induced gastrointestinal disorders
JP2007008866A (ja) 血圧降下剤組成物
US20190247350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decreased absorption in digestive tract, and composition for promoting absorption in digestive tract
WO2020091014A1 (ja) 心拍数低下剤
JP2010095474A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及びカルシウム吸収促進飲食物
WO2024135654A1 (ja) 間欠的持久力向上剤
JP2009023948A (ja) ドーパミン抑制剤
WO2007088960A1 (ja) 抗疲労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