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541A -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541A
KR20180016541A KR1020187000657A KR20187000657A KR20180016541A KR 20180016541 A KR20180016541 A KR 20180016541A KR 1020187000657 A KR1020187000657 A KR 1020187000657A KR 20187000657 A KR20187000657 A KR 20187000657A KR 20180016541 A KR20180016541 A KR 2018001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dots
light source
reg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061B1 (ko
Inventor
춘옌 지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1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in the bulk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투명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은 관찰 표면 위에 배치된다. 광원 각각은 투명 기판의 측부 표면 위에 배치되고, 턴온시 측부 표면으로부터 투명 기판 내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기판은 복수의 도트(dot)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트는 각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전환시킨다. 또한,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투명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관련 출원 참조
본 출원은 그 개시내용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2016년 6월 29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0500778.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술의 분야에 관련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한다.
공공 장소에서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프라이버시의 누설이 빈번히 발생한다.
현용의 엿봄방지 기술에서는 엿봄방지 기능을 갖는 폴리머 멤브레인의 사용을 수반하는 것들 또는 보상 필름과 조합된 흡수 축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편광자의 사용을 수반하는 것들에 의해 엿봄방지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엿봄방지 기술은 엿봄방지 모드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정상 모드와 엿봄방지 모드 사이의 전환이 어렵다.
현용의 엿봄방지 기술과 연계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은 관찰 표면 위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 각각이 투명 기판의 측부 표면 위에 배치되고, 턴온시 측부 표면으로부터 투명 기판 내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기판은 복수의 도트(dot)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트는 각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전환시킨다.
여기서, 관찰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 화상 프레임 또는 내측으로부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윈도우 등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측부 표면은 투명 기판의 측방향 측부 상의 표면을 지칭하고, 측방향 측부는 추가로 관찰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투명 기판의 측부에 수직인 측부를 지칭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서, 투명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영역은 하나의 광원에 대응하고, 하나의 광원의 측부 표면에 반대쪽 측부에 있다.
각각의 제1 영역은 실질적으로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인 도트의 서브세트를 구비한다.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대응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래서, 산란된 광은 주로 각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며, 그에 의해, 대응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 측부로부터의 측부 관찰을 방해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영역은 대응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의 투명 기판 상의 에지 영역일 수 있지만, 또한 에지 영역 이외의 영역일 수도 있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서, 각각의 제1 영역의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 각각은 투명 기판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관찰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제1 영역은 평행 스트립으로 배열된 복수의 하위-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하위-영역 각각은 대응 광원의 대응 측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하위-영역은 제1 하위-영역이 대응 광원에 더 근접한 제2 하위-영역보다 더 높은 밀도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영역의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대응 광원의 대응 측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컬럼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영역의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제1 컬럼이 하나의 광원에 더 근접한 제2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도트의 각각의 컬럼이 동일한 수의 도트를 포함할 수 있고; 도트의 모든 2개의 인접한 컬럼 사이의 거리가 대응 측부 표면으로부터의 그 사이의 중심선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도트의 각각의 컬럼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투명 기판은 제2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제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복수의 도트의 제2 서브세트가 제2 영역에 배열되고, 각각의 제1 영역의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광원에 대하여, 투명 기판의 대응 측부 표면은 투명 기판 상의 각각의 광원에 가장 근접한 관찰 표면의 측부선의 정사 투영보다 각각의 광원에 대해 더 짧은 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차광 부분은 관찰 표면 반대쪽의 투명 기판의 표면 위에 배치되고, 투명 기판의 대응 측부 표면과 투명 기판 상의 대응 광원에 가장 근접한 관찰 표면의 측부선의 정사 투영 사이의 영역에 있다. 각각의 차광 부분은 이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산란된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투명 기판은 유리 또는 폴리머 플라스틱의 조성을 갖는다. 투명 기판이 폴리머 플라스틱의 조성을 갖는 경우, 폴리머 플라스틱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도트는 미크론 내지 나노미터의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서, 관찰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서로 독립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2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투명 기판의 2개의 반대쪽 측부 표면들 위에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구성은 본 개시내용에 제한을 부여하지 않으며,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투명 기판의 하나의 측부 표면 위에 각각 배치된 2개보다 많은 광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따른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투명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 위에 배치되어 그를 커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2개의 광원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투명 기판의 2개의 반대쪽 측부 표면들 위에 배치된다.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의 견지에서 다른 실시예를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중 일부를 더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이어진다. 다음 설명의 도면은 단지 일부 실시예의 예시일 뿐이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실시예의 다른 도면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의 도트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의 도트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의 도트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턴오프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의 도트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의 도트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의 표면 상에 복수의 도트가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로도(light path diagram)이다.
도 11은 상이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제1 광원(301) 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방출 광의 강도를 측정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다음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로,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이 명료하고 완전히 이해가능한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닌 단지 일부일 뿐임이 명백하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 숙련자는 본 개시내용에 의거한 보호 범주 이내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들)를 안출할 수 있다.
현용의 엿봄방지 기술과 연계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화상 프레임 또는 내측으로부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윈도우 등일 수 있는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은 관찰 표면 위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 각각이 투명 기판의 측부 표면 위에 배치되고, 턴온시 측부 표면으로부터 투명 기판 내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기판은 복수의 도트(dot)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트는 각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전환시킨다.
여기서, 측부 표면은 투명 기판의 측방향 측부 상의 표면을 지칭하고, 측방향 측부는 추가로 관찰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투명 기판의 측부에 수직인 측부를 지칭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서, 투명 기판은 각각 하나의 광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영역에 대하여, 이는 대응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의 측부에 있고, 도트를 구비한다. 도트는 실질적으로 복수의 도트의 서브세트이고, 대응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래서, 산란된 광은 주로 각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며, 그에 의해, 대응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 측부로부터의 측부 관찰을 방해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영역은 대응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의 투명 기판 상의 에지 영역일 수 있지만, 또한 에지 영역 이외의 영역일 수도 있다.
다음에서,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특정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관찰 표면인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예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일렉트로웨팅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기판(200) 및 제1 광원(301)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즉, 광-방출 표면) 위에 배치되고 그와 정렬된다. 제1 광원(301)이 투명 기판(200)의 제1 측부 표면(201a) 위에 배치된다.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은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200)의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202)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서, 투명 기판(200)의 제1 측부 표면(201a) 위의 제1 광원(301)의 배열 및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의 배열에 기인하여,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은 측부 관찰을 허용하는 각도 범위 이내의 방출 각도(즉, 측부-관찰 각도 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제1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투명 기판(200)의 복수의 도트(20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의 측부(201b)(즉, 투명 기판(200)의 전술한 에지 영역의 측부)로부터의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측부 관찰자가 보는 제1 광원(201a)으로부터의 많은 양의 광으로 인해,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에 있는 측부(201b)로부터 측부 관찰자가 엿보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실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엿봄방지 모드에 있게 된다.
제1 광원(301)이 턴오프되는 경우,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으로부터 어떠한 광 방출도 존재하지 않으며, 측부(201b)(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로부터의 측부 관찰자는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의 측부(201b)로부터의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비-엿봄방지 모드에 있게 된다. 달리 말하면, 측면의 관찰자는 측부(201b)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엿봄방지 모드와 비-엿봄방지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사실, 일부 광은 제1 측부 표면(201a)에 근접한 에지 영역 및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여전히 방출될 수 있다. 광의 대부분의 방출 각도는 여전히 측부-관찰 각도 범위 내에 있고, 투명 기판(200)에 수직인 각도로부터의 단지 작은 양의 광 방출만이 존재한다. 제1 측부 표면(201a)에 근접한 제1 에지 영역 및 중심 영역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대부분이 측부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기 때문에, 측부 관찰자는 측부 관찰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여전히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200)은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 유리의 조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폴리머 플라스틱, 예컨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조성도 가능하며, 실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백라이트(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원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400)를 배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이는 실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는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도트(202)는 컬럼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런 배열은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의 장점을 갖는다. 다른 배열도 또한 가능하며, 실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가 컬럼으로 정렬되는 경우,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의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것을 실현하기 위한 다수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런 배열은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으로부터 가능한 많은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방 관찰자에 대한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트(202)의 제1 배열을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도트의 임의의 2개의 이웃하는 컬럼에 대하여, 제1 광원(30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은 제1 광원(301)에 더 근접한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한다(즉,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의 측부(201b)에 더 근접한 컬럼은 측부(201b)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 측부(201b)에 더 근접한 컬럼일수록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하게 배열함으로써,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202)는 따라서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례로 가능한 많은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컬럼 내의 도트의 수를 제어하여 도트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는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 같은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트(202)의 제2 배열을 예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도트의 임의의 3개의 이웃하는 컬럼에 대하여, 중간 컬럼과 제1 광원(30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 사이의 거리는 중간 컬럼과 제1 광원(301)에 더 근접한 컬럼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의 컬럼일수록 컬럼 사이의 거리가 더 작게 배열함으로써,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202)는 따라서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례로 가능한 많은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컬럼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여 도트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는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 같은 장점을 갖는다.
실제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배열 및 제2 배열은 동시에 적용되어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의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의 제1 측부 표면(20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밝기를 보증하기 위해, 제1 에지 영역의 각각의 컬럼의 도트(202)가 모든 2개의 이웃하는 도트(202)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컬럼으로 정렬된 도트(202)를 갖는 배열 방식에 둘 모두가 기초하고 있는 앞서 설명한 제1 배열 및 제2 배열 이외에,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 측부(201b)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높은 밀도를 갖는 다른 방식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일반적 배열로서,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은 제1 측부 표면(201a)과 각각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복수의 스트립 하위-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스트립 하위-영역(즉, 제1 스트립 하위-영역 및 제2 스트립 하위-영역)에 대하여, 제1 광원(30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1 스트립 하위-영역은 제1 광원(301)에 더 근접한 제2 스트립 하위-영역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4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 스트립 하위-영역(A1)은 스트립 하위-영역(A2)보다 제1 광원(30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스트립 하위-영역(A1)의 도트(202)는 스트립 하위-영역(A2)의 도트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보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엿봄방지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기판(200)의 제2 측부 표면(201b) 위에 배치된 제2 광원(3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부 표면(201b)은 제1 측부 표면(201a) 반대쪽에 있고,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과 유사하게,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 또한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200)의 표면 상에 유사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트(202)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에서, 투명 기판(200)의 제2 측부 표면(201a) 위의 제2 광원(302)의 배열 및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의 배열에 기인하여, 제2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은 측부 관찰을 허용하는 각도 범위 이내의 방출 각도(즉, 측부-관찰 각도 범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제2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투명 기판(200)의 복수의 도트(20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의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측부 관찰자가 보는 제2 광원(201a)으로부터의 많은 양의 광 때문에,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측부 관찰자가 엿보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이에 의해 실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엿봄방지 모드에 있게 된다.
제2 광원(302)이 턴오프되는 경우,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으로부터 어떠한 광 방출도 존재하지 않으며,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의 측부 관찰자는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의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비-엿봄방지 모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엿봄방지 모드와 비-엿봄방지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실제로,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턴온될 수 있다.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은 제2 측부 표면(201b)에 근접한 영역에서 측부 관찰 각도(α) 이내에서 방출되고,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은 제1 측부 표면(201a)에 근접한 영역의 측부 관찰 각도(α) 이내에서 방출된다.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에서 또한 광 방출이 존재하며, 광의 대부분이 또한 측부 관찰 각도(α) 이내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투명 기판(200)에 수직인 중심 영역에서 단지 작은 양의 광 방출이 존재하고, 이와 같이, 중심 영역으로부터의 광 방출의 대부분이 실질적으로 측부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며, 전방 관찰자는 여전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광은 2개의 측부 각각에서 측부 관찰 각도(α) 이내 및 전방 관찰 각도(β1) 이내 양자 모두에 해당하게 방출될 수 있고, 제1 광원(301) 및/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많은 양의 광의 개입 또는 간섭에 기인하여, 측부 관찰자는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광을 정상적으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범위는 실질적으로 β1이다.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이 양자 모두 동시에 턴오프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광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방 관찰자 및 측부 관찰자 양자 모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광, 그리고, 따라서, 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범위는 실질적으로 β2이다.
따라서,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범위가 전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는 컬럼으로 정렬되는 것 같은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실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가 컬럼으로 정렬되는 경우,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측부 표면(201b) 반대쪽의 측부(즉,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것을 실현하기 위한 다수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런 배열은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으로부터 가능한 많은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방 관찰자에 대한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배열에서,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도트(202)의 임의의 2개의 이웃하는 컬럼에 대하여, 제2 광원(30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은 제2 광원(302)에 더 근접한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한다.
각각의 컬럼 내의 도트의 수를 제어하여 도트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는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 같은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컬럼일수록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하게 배열함으로써,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202)는 따라서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례로 가능한 많은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이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한다.
제4 배열에서,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도트의 임의의 3개의 이웃하는 컬럼에 대하여, 중간 컬럼과 제2 광원(30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 사이의 거리는 중간 컬럼과 제2 광원(302)에 더 근접한 컬럼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
각각의 컬럼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여 도트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는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의 컬럼일수록 컬럼 사이의 거리가 더 작게 배열함으로써,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202)는 따라서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례로 가능한 많은 제1 광원(301)으로부터의 광이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3 배열 및 제4 배열은 동시에 적용되어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의 제2 측부 표면(201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밝기를 보증하기 위해, 제2 에지 영역의 각각의 컬럼의 도트(202)가 모든 2개의 이웃하는 도트(202)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컬럼으로 정렬된 도트(202)를 갖는 배열 방식에 둘 모두가 기초하고 있는 앞서 설명한 제3 배열 및 제4 배열 이외에, 제1 측부 표면(201a)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높은 밀도를 갖는 다른 방식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일반적 방식의 배열로서,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은 제2 측부 표면(201b)과 각각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복수의 스트립 하위-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스트립 하위-영역(즉, 제1 스트립 하위-영역 및 제2 스트립 하위-영역)에 대하여, 제2 광원(30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1 스트립 하위-영역은 제2 광원(302)에 더 근접한 제2 스트립 하위-영역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기판(200)의 하부 표면이 어떠한 광학 필름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광원(301) 및/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많은 양의 광은 투명 기판(200)의 상부 표면 상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방출되지 않으며, 대신, 에지 영역에서, 그리고, 복수의 도트(202)의 작용 하에 측부 표면으로부터 방출되어 측부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게 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광원(301) 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은 측부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며, 전방 관찰자의 눈에는 진입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에지 영역(제1 에지 영역 및 제2 에지 영역 포함)의 밝기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밝기보다 매우 더 높아서- 수만 니트(nit)에 달할 수 있음 - 사람이 눈부심을 느끼게 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명확하게 볼 수 없게 한다.
그러나, 전방 관찰자에 대하여, 에지 영역(제1 에지 영역 및 제2 에지 영역 포함)으로부터 방출되는 단지 작은 양의 광만이 전방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기 때문에, 에지 영역의 밝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밝기보다 더 높다.
그러나, 제1 광원(301) 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단지 작은 양의 광만이 전방 관찰자의 눈에 진입하기 때문에, 전방 관찰자가 보는 에지 영역의 밝기는 측부 관찰자가 보는 에지 영역의 밝기보다 매우 더 낮다.
전방 관찰자가 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이한 영역에서의 상이한 밝기를 균형화하기 위해,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제1 에지 영역과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제2 에지 영역 사이에 있는 투명 기판의 중심 영역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200)의 표면 상에 또는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 유사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도트(202)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심 영역에서의 복수의 도트(202)의 배열은 중심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가능한 많은 광이 에지 영역(제1 에지 영역 및 제2 에지 영역 포함)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에지 영역의 도트(202)는 중심 영역의 도트(202)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좌측 측부의 점선으로 둘러싸여진 박스는 제2 측부 표면(201b)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2 에지 영역을 나타내고; 우측 측부의 점선으로 둘러싸여진 박스는 제1 측부 표면(201a)으로부터 떨어진 투명 기판(200)의 제1 에지 영역을 나타내며; 중간의 점선으로 둘러싸여진 박스는 중심 영역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복수의 도트(202)는 컬럼으로 정렬되는 것 같은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실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가능한 많은 광이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으면서 중심 영역의 밝기가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도트가 컬럼으로 정렬되는 상황하에서, 임의의 에지 영역에 더 근접한(즉, 투명 기판(20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심 영역의 하위-영역이 임의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즉, 투명 기판(200)의 중심에 더 근접한) 중심 영역의 다른 영역보다 더 높은 밀도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다양한 배열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능한 많은 광이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제5 배열에서,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도트(202)의 임의의 2개의 이웃하는 컬럼에 대하여, 중심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컬럼은 중심 영역의 중심에 더 근접한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한다.
각각의 컬럼 내의 도트의 수를 제어하여 도트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 실시예는 장점, 예컨대, 간단한 제조 및 도트의 밀도에 대한 용이한 제어 같은 장점을 갖는다.
제6 배열에서,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도트(202)의 컬럼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어 도트(202)의 밀도를 변경할 수 있다. 중심 영역의 중심에 더 근접한 컬럼일수록 컬럼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각 부분의 일정한 밝기를 보증하기 위해, 중심 영역의 각각의 컬럼의 도트(202)가 모든 2개의 이웃하는 도트(202)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컬럼으로 정렬된 도트(202)를 갖는 배열 방식에 둘 모두가 기초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5 배열 및 제6 배열 이외에,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의 중심에 더 근접한 도트(202)가 더 낮은 밀도를 갖는 다른 방식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 목적을 위한 일반적 방식의 배열로서, 투명 기판(200)의 중심 영역은 제1 측부 표면(201a)(또는 제2 측부 표면(201b)과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스트립 하위-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스트립 하위-영역(즉, 제1 스트립 하위-영역 및 제2 스트립 하위-영역)에 대하여, 중심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1 스트립 하위-영역은 중심 영역의 중심에 더 근접한 제2 스트립 하위-영역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2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에지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밝기가 전방 관찰자에게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200)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즉, 제1 측부 표면(201a)에 수직인 방향의 투명 기판(200)의 제1 길이는 제1 측부 표면(201a)에 수직인 방향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길이보다 더 길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광원(301, 302) 각각에 대하여, 투명 기판의 대응 측부 표면은 투명 기판 상의 각 광원에 가장 근접한 관찰 표면의 측부선의 정사 투영보다 각각의 광원에 대해 더 짧은 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술한 구성에 동반하여, 제1 차광 부분(501) 및/또는 제2 차광 부분(502)이 추가로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분(501)은 제1 측부(201a)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제2 차광 부분(502)은 제2 측부(201b)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그래서, 에지 영역(제1 에지 영역 및 제2 에지 영역 포함)이 과도하게 밝은 하위-영역이 제1 차광 부분(501)과 제2 차광 부분(502)에 의해 차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광원(301) 및/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이 측부 표면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에지 영역으로부터 주로 방출되기 때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엿봄방지 특징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 각각은 측부-방출 광원일 수 있고, LED 램프, 형광 램프 또는 다른 유형의 광원일 수 있다.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에 대한 광원의 선택은 상이한 실시 요건에 의존할 수 있고,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투명 기판(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측부 위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효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도트(202)는 도트의 고해상도 패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도트(202)의 크기는 미크론 내지 나노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도트(202)는 실질적으로 어두운 상태에서 나안으로 볼 수 없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의 광은 투명 기판(200)을 통과할 때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트의 패턴은 잉크젯, 레이저, 에칭 또는 나노-임프린팅 같은 처리 기술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도트(202)가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레이저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복수의 도트(202)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하는 투명 기판(2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에칭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도트(202)의 형성을 위한 처리 기술의 선택은 실시 요건에 기초하며, 여기에는 어떠한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도트(202)가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 배열되지만, 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복수의 도트는 마찬가지로 투명 기판(200)의 하부 표면 상에, 즉, 도 10에 예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면한 투명 기판(200)의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트(202)는 투명 기판(200)의 하부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와 같이, 투명 기판(200)의 2개의 측부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광원(301) 및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광은 에지 영역(제1 에지 영역 및 제2 에지 영역 포함) 또는 측부 표면으로부터 방출되기 이전에 투명 기판(200)의 내부에서 산란될 수 있다.
도 11은 상이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제1 광원(301) 또는 제2 광원(302)으로부터의 방출 광의 강도를 테스트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200)의 임의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60-80° 범위 이내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도를 갖는다.
측면의 관찰자가 통상적으로 동일한 각도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따라서 엿봄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서, 투명 기판(200)에 수직인 방향의 각도는 0°로 설정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광원(301)을 턴온하여 제1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및
제1 광원(301)을 턴오프하여 제2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여기서, 제1 관찰 각도 모드와 연계된 제1 관찰 각도 범위는 제2 관찰 각도 모드와 연계된 제2 관찰 각도 범위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가 제1 관찰 각도 범위 이내인 경우, 단지 전방 관찰자 및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면의 관찰자만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반면, 제2 측부 표면(201b)의 측부 상의 제2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가 제2 관찰 각도 범위인 경우, 전방 관찰자,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면의 관찰자 및 제2 측부 표면(201b)의 측부 상의 제2 측부 관찰자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은 실질적으로 제1 관찰 각도 모드로부터 제2 관찰 각도 모드로의 전환을 실현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관찰 각도 모드로부터 제1 관찰 각도 모드로의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광원(301)을 턴오프하여 제2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및
제1 광원(301)을 턴온하여 제1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이와 같이, 제2 측부 표면(201b)의 측부 상의 제2 측부 관찰자에 대하여, 제1 광원(301)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엿봄방지 모드와 비-엿봄방지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광원(301)에 추가로 제2 광원(302)을 포함하고,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302)을 턴온하여 제3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및
제2 광원(302)을 턴오프하여 제4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여기서, 제3 관찰 각도 모드와 연계된 제3 관찰 각도 범위는 제4 관찰 각도 모드와 연계된 제4 관찰 각도 범위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가 제3 관찰 각도 범위 이내인 경우, 전방 관찰자만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반면,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면의 관찰자 및 제2 측부 표면(201b)의 측부 상의 제2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가 제4 관찰 각도 범위인 경우, 전방 관찰자,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면의 관찰자 및 제2 측부 표면(201b)의 측부 상의 제2 측부 관찰자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제4 관찰 각도 범위는 제2 관찰 각도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은 실질적으로 제3 관찰 각도 모드로부터 제4 관찰 각도 모드로의 전환을 실현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4 관찰 각도 모드로부터 제3 관찰 각도 모드로의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광원(301)을 턴오프하여 제4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및
제1 광원(301)을 턴온하여 제3 관찰 각도 모드로 전환.
이와 같이, 제2 광원(30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광원(302)이 턴온되는 경우,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없는 반면; 제2 광원(302)이 턴오프되는 경우, 제1 측부 표면(201a)의 측부 상의 제1 측부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 각도는 전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전방 관찰 각도는 전방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는 각도를 지칭하고,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은 측부 관찰 각도는 측면의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는 각도를 지칭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광원 및 제2 광원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비록, 특정 실시예가 상세히 앞서 설명되었지만,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다수의 양태는 달리 명시적으로 선언되지 않는 한 필수적이거나 불가결한 요소로서 의도된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한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개시내용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앞서 설명된 것들에 추가로 예시적 실시예의 개시된 양태의 다양한 수정 및 그에 대응하는 균등물이 본 개시내용을 참조하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안출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수정 및 균등물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준한다.

Claims (20)

  1. 관찰 표면에 걸쳐 관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관찰 표면 위의 투명 기판; 및
    각각이 상기 투명 기판의 측부 표면 위에 배치되고, 턴온시 상기 측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 내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판은 복수의 도트(dot)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각각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관찰 표면에 걸쳐 상기 관찰 각도가 전환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영역은 하나의 광원에 대응하며, 하나의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 측부에 있고,
    상기 복수의 도트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래서, 산란된 광은 주로 각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며, 그에 의해, 상기 하나의 광원의 측부 표면 반대쪽 측부로부터의 측부 관찰과 간섭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 각각은 상기 투명 기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 각각은 상기 관찰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제1 표면에 배치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은 평행 스트립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대응 측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각각 갖는 복수의 하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영역은 제1 하위-영역이 상기 하나의 광원에 더 근접한 제2 하위-영역보다 더 높은 밀도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는 상기 대응 측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각각 갖는 컬럼으로 정렬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는 제1 컬럼이 상기 하나의 광원에 더 근접한 제2 컬럼보다 더 많은 수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는
    도트의 각각의 컬럼이 동일한 수의 도트를 포함하고;
    도트의 모든 2개의 인접한 컬럼 사이의 거리는 상기 대응 측부 표면으로부터의 2개의 인접한 컬럼 사이의 중심선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의 도트의 컬럼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진, 제2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의 제2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각각의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도트의 상기 제1 서브세트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원에 대하여, 상기 투명 기판의 대응 측부 표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의 상기 각각의 광원에 가장 근접한 상기 관찰 표면의 측부선의 정사 투영보다 상기 각각의 광원에 대해 더 짧은 거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분 각각은 상기 관찰 표면 반대쪽의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 위에, 그리고, 상기 투명 기판의 대응 측부 표면과 상기 투명 기판 상의 대응 광원에 가장 근접한 상기 관찰 표면의 측부선의 정사 투영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영역으로부터 방출된 산란된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또는 폴리머 플라스틱의 조성을 갖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폴리머 플라스틱의 조성을 갖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 각각은 미크론 내지 나노미터의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인,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서로 독립적이도록 구성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투명 기판의 2개의 반대쪽 측부 표면들 위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19.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 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투명 기판의 2개의 반대쪽 측부 표면들 위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7000657A 2016-06-29 2017-06-16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6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00778.8 2016-06-29
CN201610500778.8A CN105911746B (zh) 2016-06-29 2016-06-29 显示装置及其视角切换方法
PCT/CN2017/088552 WO2018001116A1 (en) 2016-06-29 2017-06-16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541A true KR20180016541A (ko) 2018-02-14
KR102066061B1 KR102066061B1 (ko) 2020-01-15

Family

ID=5675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657A KR102066061B1 (ko) 2016-06-29 2017-06-16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5906B2 (ko)
EP (1) EP3479168B1 (ko)
JP (1) JP7320921B2 (ko)
KR (1) KR102066061B1 (ko)
CN (1) CN105911746B (ko)
WO (1) WO2018001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1746B (zh) * 2016-06-29 2017-10-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视角切换方法
CN109445225B (zh) * 2017-08-24 2020-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及显示装置
CN110361889B (zh) * 2019-08-30 2022-07-29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显示系统及显示方法
CN113625373A (zh) * 2020-05-06 2021-11-09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视角限制器及其制造方法
DE102021200857A1 (de) * 2020-05-15 2021-11-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element mit im Randbereich reduzierter Hintergrundbeleuchtung
CN112015006B (zh) * 2020-09-14 2022-07-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弯折背光模组及显示面板
TWM623305U (zh) 2021-10-06 2022-02-1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TWI830253B (zh) 2022-06-15 2024-01-2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防窺顯示裝置及防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3062A (ja) * 2005-09-30 2007-04-19 Nec Corp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2012008700A (ja) * 2010-06-23 2012-01-12 Oki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150065137A (ko) * 2013-11-29 2015-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형 시야 범위 조절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평판형 시야 범위 조절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1329B1 (en) * 1992-03-16 1996-06-12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H0575737U (ja) * 1992-03-16 1993-10-1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
GB2267378B (en) * 1992-05-22 1996-07-10 Nokia Mobile Phones Uk Illuminated LCD apparatus
JP4024769B2 (ja) * 2004-03-11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51125B2 (ja) * 2004-08-30 2009-10-28 株式会社オリンピア 遊技機の発光装置
GB2428303A (en) * 2005-07-08 2007-01-24 Sharp Kk An illumination system for switching a display between a public and private viewing mode
US7502091B2 (en) 2005-08-05 2009-03-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Optical sheet, electric-field-controlled panel, lighting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sheet
US7956940B2 (en) * 2006-05-31 2011-06-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system
CN101261389B (zh) * 2007-03-06 2011-06-15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应用
JP2008300206A (ja) * 2007-05-31 2008-12-11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EP2387690A1 (en) * 2009-01-13 2011-11-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arge area light panel and screen
KR20100116079A (ko) 2009-04-21 201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확산 필름을 갖는 표시장치
JP2011007892A (ja) * 2009-06-24 2011-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および前記表示装置に設けられた表示用筐体の製造方法
JP5045826B2 (ja) * 2010-03-31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光源デバイスおよび立体表示装置
TWI531811B (zh) * 2010-10-28 2016-05-01 康寧公司 影像螢幕保護玻璃照明
WO2012144449A1 (ja) * 2011-04-22 2012-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2234692A (ja) * 2011-04-28 2012-11-2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シート
EP2707765A1 (en) * 2011-05-13 2014-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lit transmissive display having variable index light extraction layer
JP2012252249A (ja) * 2011-06-06 2012-12-20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JP5663434B2 (ja) * 2011-08-15 2015-0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476482B (zh) * 2012-02-06 2015-03-1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液晶顯示器
JP2014103049A (ja) * 2012-11-21 2014-06-05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5069792A (ja) * 2013-09-27 2015-04-13 凸版印刷株式会社 導光体、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6336625B2 (ja) * 2014-02-17 2018-06-06 ジオプティ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Sioptica Gmbh 切り換え可能な照明デバイス及びその使用
CN105093580B (zh) 2015-08-06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窥结构、显示面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WO2017089482A1 (de) * 2015-11-27 2017-06-01 Sioptica Gmbh Bildschirm für eine freie und eine eingeschränkte betriebsart
CN105700065B (zh) * 2016-04-22 2019-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05911746B (zh) * 2016-06-29 2017-10-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视角切换方法
CN205720991U (zh) * 2016-06-29 2016-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3062A (ja) * 2005-09-30 2007-04-19 Nec Corp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2012008700A (ja) * 2010-06-23 2012-01-12 Oki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150065137A (ko) * 2013-11-29 2015-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형 시야 범위 조절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평판형 시야 범위 조절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5906B2 (en) 2019-12-03
US20190113783A1 (en) 2019-04-18
JP7320921B2 (ja) 2023-08-04
JP2019522806A (ja) 2019-08-15
WO2018001116A1 (en) 2018-01-04
CN105911746A (zh) 2016-08-31
EP3479168B1 (en) 2023-01-11
EP3479168A4 (en) 2020-02-19
KR102066061B1 (ko) 2020-01-15
EP3479168A1 (en) 2019-05-08
CN105911746B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061B1 (ko)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93577B (zh) 视频墙显示装置
JP5469126B2 (ja)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
US10582192B2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38858A (ko) 지향성 백라이팅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6985962B2 (ja) 表示装置
KR20080074757A (ko) 지향성 표시 디스플레이
JP2013140276A (ja) 表示装置
US9310546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54450B2 (en) Display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module thereof
JP2013105005A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US11067739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47903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US9383486B2 (en) Films for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comprising the same
KR20190050136A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CN113671766B (zh) 光学膜和显示装置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JP5360592B2 (ja) プリズムシート、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22711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KR10243554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350132A1 (en)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7001468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0726408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