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116B1 -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 Google Patents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116B1
KR102227116B1 KR1020150080093A KR20150080093A KR102227116B1 KR 102227116 B1 KR102227116 B1 KR 102227116B1 KR 1020150080093 A KR1020150080093 A KR 1020150080093A KR 20150080093 A KR20150080093 A KR 20150080093A KR 102227116 B1 KR102227116 B1 KR 10222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ne
panel
optic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991A (ko
Inventor
진미형
양승수
김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1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투명 광학재료로 된 2개의 라인을 교차하여 직조되고, 적어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연결부분에 인접한 표시패널부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광학 직조 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표시패널부의 화소로부터의 광을 확산시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Multi-Panel Display Device and Optical Fabric Member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하나의 대형 영상 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업적인 목적 등에 의하여 대형 사이즈의 표시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기술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형 표시장치를 구형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들을 다수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현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비디오월(Video Wall)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앙의 표시영역과, 표시영역 주위에 배치되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베젤(Bezel)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또는 각종 신호선이 형성되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최근 표시장치에서 이러한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베젤 영역의 폭을 일정 크기 이하로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이 이중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 비표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그러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이상적으로 제로 베젤(Zero Bezel)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구현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패널 연결부위에서 이미지의 불연속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 연결부분에 일정한 광학 수단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서도 정면 또는 정면 부근의 시야각에서는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부 개선되지만, 시야각이 커지는 경우 이미지 불연속 현상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수평 시야각이 큰 경우에도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직조 부재(Optical Fabric Member)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와,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직조 부재로서, 투명 광학재료로 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상기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상기 광학 직조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직조 부재로서, 투명 광학재료로 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상기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광학 직조 부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중 패널표시장치에서 각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굴절 광학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시야각이 일정 이상인 사선 시선 방향에서의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의 확대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직조 라인의 직경 또는 단위 직조 구간과 화소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제1라인과 제2라인의 교차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1실시예로서, 라인이 코어부와 셀부(Shell)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2실시예로서, 라인 내부에 확산입자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수평 광손실 또는 광간섭 현상을 도시한다.
도 12는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3실시예로서, 도 11에 의한 수평 광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랙 패턴(잉크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20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개별 표시장치(200) 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이 형성된다.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단독으로 하나의 완전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별 표시장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개별표시장치는 경우에 따라서 개별 패널, 패널 등의 다른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b)과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는 패널 중앙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 A/A; 212)과, 표시영역 가장자리를 둘라싸는 영역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한다. 각 개별 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210)은 베젤 영역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다시 표시패널(222)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24)과, 표시장치 전체를 둘러싸는 지지구조(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22)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물론, OLED 표시장치에 의한 패널인 경우에는 상기 제2기판은 보호기판으로서의 기능만 할 수도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24)은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광원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광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LGP)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회로인 LED 연성회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Sheet) 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커버하는 외부 지지부재(226)는 표시장치 단위에서 백라이트 유닛(224) 및 표시패널(222)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및/또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 등은 물론,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전자제품인 세트 전자장치 단위에서의 백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은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에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하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200)가 다수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다중 표시패널에서 각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각 개별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N/A; 210)은 표시패널(222) 자체의 베젤과 같은 비표시 영역과, 기타 백라이트 유닛(224)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 또는 표시장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탑(Case Top), 프론트 커버, 커버 실드(Cover shield), 가이드 패널(Guide Panel) 등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 또는 비디오월(Video Wall)에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어 연결부분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굴절 또는 확대하는 굴절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그러한 굴절 광학수단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사용되는 굴절 광학부재인 렌즈 플레이트(240)는 일종의 광투과성 스크린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일반적인 광투과성 판상 재료인 베이스 플레이트(242)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부근에 형성된 렌즈부(244)를 포함한다.
렌즈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렌즈부(244)는 연결부분(300) 인근에서의 광경로를 굴절시킬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300) 정면에 사용자(250)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상에 형성되는 렌즈 플레이트(240)의 렌즈부(244)에 의하여 인접한 표시영역의 화소(P1~P4)로부터 광이 렌즈부(240)에 굴절되어 사용자 시야로 입사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2의 하부 도면과 같이, 연결부분(300)에서도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굴절 투사됨으로써 일정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되고, 따라서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어느 정도 보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광경로 굴절이 가능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등을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문제를 일부 극복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굴절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면 시야에서만 그러한 효과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야각이 정면(시야각=0)에서 벗어나서 약45도 이상(α)이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패널 연결부분(300)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이 α(α>약45도)인 경우 연결부분 근처의 화소로부터 광 중 일부는 비스듬히 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입사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일정 각도 이상의 시야각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단절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부의 화소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학 직조 부재를 포함하되, 광확 직조 부재는 투명 광학재료로 된 제1라인(즉, 씨줄; Line of latitude)과 제2라인(즉, 날줄; Line of longitude)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연결부분에 인접한 표시패널부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광학 직조 부재에 의하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화소로부터의 광이 광학 직조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라인에서 이중으로 확산 및 확대되므로,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일정 이상의 시야각에서 관찰하더라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대형 표시 장치로서,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 영역(414)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30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400)와, 표시패널부(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 또는 확대시켜 출사하는 광학 직조 부재(Optical Fabric Member; 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영역(414; NA)이 연결 형성되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는 경계영역을 연결부분(300)으로 정의한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걸쳐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으로서, 연결부분(300)의 폭은 각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의 2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현상이 생기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은 제1라인(510)과 제2라인(520)이 교차되어 직조되는 광학 직조 부재(500)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표시장치 등 모든 형태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다시 화소가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등과 같이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개별 표시장치(410)는 단순한 표시패널 및 그 구동회로만으로 이루어진 모듈이고, 케이스 등의 지지구조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 단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개별 표시장치"는 분리되어 단독으로 완전한 표시장치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재료층(액정재료 또는 유기발광재료 등)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그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바텀 커버 등의 지지구조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 패널이며,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액정표시패널에는 다시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의 상부 전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가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인 경우의 표시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제공된 유기전계 발광 재료층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5의 (a)는 확대도, 도 5의 (b)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는 투명 광학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라인, 즉, 제1라인(510)과 제2라인(520)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표시패널부(400)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인 연결부분(300)의 상부 전부와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는 광투과성 섬유인 제1라인(510) 및 제2라인(520)을 엇갈리게 교차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로서, 반드시 "직조"라는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직조 부재(500)에 포함된 제1라인(520) 및 제2라인(520)은 굴절율 1.4 내지 1.8인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광섬유 부재로서, 반경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전반사, 난반사 및 굴절시켜 여러 경로로 확산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는 하부에 배치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로부터의 광을 확산 및 확대시켜 출사하며, 특히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300) 부근에 배치되는 화소로부터 광을 연결부분(300)의 시야 방향으로 확산시켜 결과적으로 연결부분(300)에서도 일정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는 제1라인(510)과 제2라인(520)이 엇갈리게 교차되어
이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인 개별 표시장치(410)들의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일정 부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직조 부재(500)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투명 광학재질의 2개 라인을 교차하여 직조(weaved)된 모든 형태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광섬유 마스크, 광학 직조 마스크, 광마스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광학 직조 부재(500)를 구성하는 2개의 라인을 각각 제1라인(510) 및 제2라인(520)으로 정의하며, 제1라인 및 제2라인은 일반적으로 직조물을 형성하는 씨줄(Line of latitude) 및 날줄(Line of longitude)의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광학 직조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은 광섬유로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광학 직조 부재(500)를 구성하는 제1라인(510) 및 제2라인(520)을 구성하는 투명 광학재료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Glass)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재료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80~9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지면서, 직조가 가능한 얇은 굵기의 섬유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들은 굴절율 1.4 내지 1.55의 투명 광학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한 광섬유인 제1라인 및 제2라인을 교차시켜 직조함으로써 격벽 구조의 마스크 또는 플레이트 형태의 확산 광학 부재인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여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하면, 투과율이 높은 광섬유를 통하여 광이 투과되기 때문에 표시영역에서는 화상의 휘도나 선명도를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300)의 음영 부분을 가릴 뿐 아니라 연결부분(300) 부근의 화소로부터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광학 직조 부재(500)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도 13에서 다시 설명할 바와 같이, 광학 직조 부재(500)는 적어도 연결부분(300) 전부와 연결부분 부근의 표시영역내에 있는 화소 일부를 커버하도록 표시패널부(400)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에 배치된 표시영역의 각 개별 화소(416) 상에 배치되며, 광학 직조 부재를 이루는 2개의 라인이 격자구조를 형성하면서 요철면이 일종의 렌즈 역할을 하게 되어 화소로부터의 광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 또는 굴절시키는 기능을 한다.
광학 직조 부재(500)의 라인들은 광섬유로서 격자구조로 서로 엇갈리면서 직조되기 때문에, 표면상에 볼 때 작은 광섬유의 요철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 요철구조가 일종의 볼록 렌즈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되어 광학 직조 부재를 통과하는 광이 확산 및 굴절되어 광학 직조 부재 상부에 확대 이미지로 맺히게 되는 것이다.
광경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의 화소인 P1으로부터의 광(L1)이 광학 직조 부재의 제2라인(520)에 접촉하면 패널과 광학 직조 부재 사이의 공기 굴절율과 제2라인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1 이상의 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굴절되어 제1확산광 L1'이 된다.
다음으로, 제1확산광 L1'은 제2라인(520) 내부에서 광이 더 확산되고 제2라인(520)을 벗어나면서 다시 제2라인(520)과 제1라인(510) 사이의 얇은 공기층을 일부 굴절되어 제1라인(510) 내부로 입사된다.
제1라인(510)으로 입사된 광은 다시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2차 확산 또는 굴절되어 제1라인(510)을 벗어나면서 제2확산광 L1"으로 출사되어 관찰자의 시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화소 P1으로부터의 광에서 확산된 제2확산광 L1" 중 일부는 정면에 위치한 관찰자(250) 방향으로도 향하게 되고, 제2확산광 L1" 중 일부는 시야각이 큰 측면 관찰자(250') 방향으로도 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화소 P2로부터의 광에서 확산된 제2확산광 L2" 역시 그 일부가 정면 및 측면에 위치한 관찰자의 시선 방향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연결부분(300)으로 향하는 정면 관찰자(250) 및 측면 관찰자(250')의 시야 방향으로, 화소 P1 및 P2 등으로부터의 제2확산광이 일부 입사되므로, 연결부분(300)이 검게 인식되는 대신 주위 화소로부터의 이미지가 일부 투사된다.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정 부분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광경로에 의하면, 제1라인 및 제2라인에서의 2차 확산으로 인하여 화소의 이미지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로써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부분(300)의 인접 화소 P1, P2 등의 이미지가 광학 직조 부재(500)에 의하여 확산 및 확대되기 때문에, 연결부분(300)의 시선 영역으로 확대된 광이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연결부분의 블랙 음영이 더 가려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의 (b)는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된 경우,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를 예시하여 도시한다.
만일 광학 직조부재가 없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이 블랙 음영으로 인식되고, 따라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반면,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면 연결부분(300)에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 일부가 연결부분으로 확산되어 시인됨으로써, 도 6의 (b)와 같이, 연결부분(300)이 완전한 블랙 음영으로 인식되지 않고 부근의 이미지로 인하여 일부 보상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직조 라인의 직경 또는 단위 직조 구간과 화소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는 일종의 확산 및 확대 렌즈로 기능하게 되며,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굵기 또는 직조 메쉬(Mesh)의 크기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화소의 크기와 관련이 된다.
즉,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굵기 또는 직조 메쉬의 크기가 곧 광학 직조 부재 상부에 맺히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직조 부재(500)의 제1라인과 제2라인 1개씩이 교차하는 영역인 직조 메쉬(Mesh) 또는 단위 직조 영역(530)의 크기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화소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직조 메쉬 또는 단위 직조 영역은 1개씩의 제1라인 및 제2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 53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를 광섬유의 굵기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를 구성하는 제1라인(510) 및 제2라인(520)은 굵기 또는 직경 T를 가지는 섬유성 부재로서, 라인의 직경 T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포함된 화소(Pixel)의 크기의 1/2일 수 있다.
이 때, 화소 크기는 사각형상의 개별 화소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만일, 직조 과정에서 제1라인과 제2라인 사이의 공극이 전혀 없는 이상적인 경우라면 전술한 단위 메쉬의 크기와 화소 크기의 관계 및 라인의 직경과 화소 크기의 관계에 관한 2가지 표현은 동일한 내용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직조 과정에서 제1라인과 제2라인 사이의 공극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에는 직조 메쉬 또는 단위 직조 영역(530)의 크기가 화소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이 때 라인의 굵기 또는 두께 T는 화소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직조 메쉬의 크기 또는 라인의 굵기를 화소 크기와 관련되도록 한정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해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광학 직조 부재 상부에 맺히게 되어, 광학 직조 부재로 인한 해상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제1라인과 제2라인의 교차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제1라인(510)과 제2라인(520)은 직조될 때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교차되며, 그 각도를 교차 각도(θ)로 정의한다.
이때, 교차각도는 90도로서 2개의 라인이 수직으로 직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차각도는 40 내지 140도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교차 각도는 전술한 조직 메쉬(Mesh) 또는 단위 직조 영역(530)의 형상 및 크기와 관련되는데, 이러한 교차각도를 가변함으로써 조직 메쉬 또는 단위 직조 영역을 화소 영역과 매칭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직조 부재(500) 상부에 맺히는 이미지의 해상도 등을 감안할 때, 조직 메쉬 또는 단위 직조 영역(520)이 화소 영역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만일 화소가 정방형이라면 교차각도가 90도로서 단위 직조 영역(530)이 정방형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화소가 가로/세로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이라면 제1라인과 제2라인의 교차 각도를 90도가 아닌 각도로 선택함으로써 단위 직조 영역(530)의 형상을 화소 형상에 최대한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직조 부재(500)를 구성하는 제1라인과 제2라인의 교차 각도(θ)를 40~140도 범위에서 선택함으로써, 단위 직조 영역 또는 직조 메쉬(Mesh)의 형상을 화소 형상에 최대한 매칭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광학 직조 부재 상부에 맺히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1실시예로서, 라인이 코어부와 셀부(Shell)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500)를 구성하는 제1라인(610) 및 제2라인(6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한 라인은 중심영역의 코어부(612)와 코어부를 둘러싸는 셀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코어부(612)의 제1굴절율은 셀부(614)의 제2굴절율보다 클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부(612)와 셀부(614)의 굴절율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한, 라인의 전체 직경 중 코어부(612) 및 셀부(614)가 차지하는 크기 역시 코어부와 셀부의 굴절율 차이와 관련하여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부(612)의 제1굴절율과 셀부(614)의 제2굴절율은 1.4 내지 1.55에서 선택될 수 있다.
코어부(612) 및 셀부(614)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은 PMMA, PC, PES, MS, 글래스 등과 같은 광투과성 아크릴 재료로 구성되되, 단지 굴절율이 서로 상이한 2가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b)에서는 제1실시예에 의한 라인이 사용되는 경우의 광경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광학 직조 부재의 제2라인(620)에서 1차적으로 확산 또는 확대된 제1확산광 L3, L4가 제1라인(610)의 셀부(614)에서 2차로 확산되어 제2확산광 L3', L4'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1라인의 코어부(612) 표면에서 전반사된 후 제1라인의 셀부(614)에서 3차로 확산되거나(L3"), 제1라인의 코어부(612) 및 셀부(614)를 통과하면서 3차 및 4차로 확산될 수 있다.(L4", L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코어부 및 셀부로 구성된 라인을 이용하면, 단일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라인으로 입사된 광이 셀부(614) 및 코어부(612)에서 모두 굴절, 반사 또는 확산됨으로써, 확산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소로부터의 광의 확산이 더 발생되어 연결부분의 시선 방향으로 출사되는 확산광이 증가함으로써,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2실시예로서, 라인 내부에 확산입자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광학 직조 부재의 제1라인(710) 및 제2라인(720) 중 하나 이상은 내부에 확산입자(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직조 부재의 제1라인(710) 또는 제2라인(720)에 포함되는 확산입자(712)는 라인의 주재료의 굴절율과 상이한 광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광학 직조 부재의 제1라인(710) 또는 제2라인(720)에 포함되는 확산입자(712)는 PMMA, 실리카, P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확산입자의 형상은 원형 비드, 사각뿔(피라미드) 비드 등의 형상일 수 있으나, 특정 형상을 가지지 않는 비정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확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확산입자(712)는 각각 다른 굴절율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비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1㎛ 내지 10㎛의 직경과 제1굴절율을 가지는 제1비드와, 20㎛ 내지 80㎛의 직경을 가지되 제1굴절율보다 0.02~0.2만큼 작은 제2굴절율을 가지는 제2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비드와 제2비드의 단위 체적당 분포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확산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확산입자(712)가 반드시 레진 등과 같은 광투과성 재료일 필요는 없으며, 라인의 내부에 형성되고 라인의 주재료의 광 굴절률과 다른 광 굴절률을 갖는 1 이상의 공기 캐비티(Air Cavity)일 수도 있다.
도 10의 (b)에서는 제2실시예에 의한 확산입자(712)를 포함하는 라인이 사용되는 경우의 광경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광학 직조 부재의 제2라인(720)에서 1차적으로 확산 또는 확대된 제1확산광 L5, L6이 제1라인(710) 내부로 입사되어 제1라인 자체의 확산특성에 의하여 확산(L5', L6')됨은 물론, 제1라인 내부의 확산입자(712)에서 추가적으로 전반사 또는 굴절/확산되어 출사될 수 있다.(L5", L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확산입자(712)를 포함하는 라인을 이용하면, 단일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라인으로 입사된 광이 라인 자체의 확산뿐 아니라 확산입자(712)에서 추가적으로 굴절, 반사 또는 확산됨으로써, 확산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소로부터의 광의 확산이 더 발생되어 연결부분의 시선 방향으로 출사되는 확산광이 증가함으로써,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수평 광손실 또는 수평 광간섭 현상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제1라인(510) 및 제2라인(520)에서 확산 또는 굴절되어 광학 직조 부재 외부로 출사되는 광 중에서는 패널 또는 광학 직조 부재와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수평 확산광 L7', L8'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확산광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 또는 일정 시야각 이상에 위치하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향하지 않으므로 관찰자 입장에서는 광손실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표시장치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평확산광은 인접하는 화소로부터의 출사광과 간섭을 일으켜서 표시장치의 이미지 선명도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수평 확산광에 의한 수평 광손실 또는 광간섭 현상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 12는 광학 직조 부재를 구성하는 라인의 제3실시예로서, 도 11에 의한 수평 광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랙 패턴(잉크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800)에서는 제1라인(810) 또는 제2라인(820) 중 하나 이상에 수평 광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블랙 패턴(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패턴은 제1라인(810) 또는 제2라인(820)의 외부 표면 상에 일정한 형태로 도포되는 블랙 잉크 패턴일 수 있으며, 블랙 패턴이 형성되는 위치는 2개의 라인이 접촉하는 부분 중 광학 직조 부재의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블랙 패턴의 형상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선형 블랙 패턴(812)일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트 블랙 패턴(812')일 수도 있다.
이 때, 선형 블랙 패턴(812)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잉크 패턴으로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수평방향에서 접촉하는 지점을 연결한 선일 수 있으며, 그 선폭의 크기는 수평 광손실 등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와 같은 복수의 도트 블랙 패턴(812') 역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수평방향에서 접촉하는 지점일 수 있으며, 따라서 도트 블랙 패턴(812')의 형성 간격은 라인의 굵기 또는 두께인 T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블랙 패턴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의 (c)와 같이, 광학 직조 부재의 일면에 존재하는 공극 공간을 채우는 선형 블랙 패턴일 수도 있다.
즉, 도 12의 (b)와 같이 선형 블랙 패턴(812)가 각 라인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선형 블랙 패턴의 형성이 공정상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 12의 (c)에서는 선형 블랙 패턴(814)이 광학 직조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2개 라인의 공극 영역을 채우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 12에 도시된 여러 형태의 블랙 패턴을 광학 직조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확산광에 의한 광손실 또는 광간섭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휘도 또는 선명도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연결부분 부근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은 그러한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 13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의 상부 전부와 연결부분에 인접한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격자 형태의 광학 직조 영역과, 표시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3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만 광학 직조 구조가 형성되고, 나머지 표시영역에는 화소 이미지를 굴절 또는 확산없이 바로 투과시키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3의 (a)에서는 광학 직조 부재(900)가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과 그에 인접한 표시영역(412)의 일부 화소를 커버하는 영역에만 형성된 광학 직조 영역(910)과,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광투과 개구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1000)에서는,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과 그에 인접한 표시영역(412)의 일부 화소를 커버하는 영역에만 광학 직조 영역(1100)이 형성되고, 나머지 표시영역에는 글래스 등 기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광투과 윈도우(1200)가 형성된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의 부근에만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를 형성하고, 나머지 표시영역 상부에는 화소로부터의 광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 개구부(930) 또는 광투과 윈도우(1200)와 같은 광투과 영역을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도 13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의 광학 직조 영역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따라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한편,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직조 영역(910)은 연결부분(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 상부의 전부는 물론이고, 적어도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 일부까지 연장 형성되어야 한다. 즉, 광학 직조 영역 일단부가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투사지점 Q2는 연결부분의 경계지점인 Q1보다 패널 내측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광학 직조 영역(910, 1100)은 적어도 일부 화소 P1, P2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해당 화소로부터의 광을 인접한 연결부분의 주위까지 확산시켜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일정 부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부재가 가지는 확산 특성으로 인하여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연결부분 근처 영역에서의 광확산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직조 영역은 하부에 있는 화소의 이미지를 확산 또는 확대시키기 때문에, 화소의 광을 그대로 투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질의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광학 직조 구조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 근처에만 광학 직조 구조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광투과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의 이미지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투과성 재료로 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직조된 형태의 광학 직조 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학 직조 부재를 형성하는 라인의 굵기, 교차각도, 내부 구성 등을 최적화함으로써, 광학 직조 부재 하부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광을 확산시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일정 부분 개선함과 동시에,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의 이미지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 표시패널부 410 : 개별 표시장치
300 : 연결부분
500, 600,700, 800, 900, 1000 : 광학 직조 부재
510, 610, 710 : 제1라인 520, 630, 720 : 제2라인
612 : 코어부 614 : 셀부
712 : 확산입자 910, 1100 : 광학 직조 영역
930 : 광투과 개구부 1200 : 광투과 윈도우

Claims (13)

  1.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및,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직조 부재로서, 투명 광학재료로 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상기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상기 광학 직조부재;
    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의 직경(T)은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된 화소의 크기의 1/2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 1개씩이 교차하는 영역인 단위 직조 영역의 크기는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된 화소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은 중심영역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셀부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제1굴절율을 가지고, 상기 셀부는 상기 제1굴절율과 상이한 제2굴절율을 가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은 내부에 확산입자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에는 수평 광손실 또는 수평 광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블랙 패턴이 구비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선형 블랙 패턴이거나,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 중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트 블랙 패턴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블랙 패턴은 상기 광학 직조 부재의 일면에 존재하는 공극 공간에 배치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을 구성하는 투명 광학재료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Glass)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재료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직조 부재는 상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패널부 전면에 걸쳐 배치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직조 부재는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상기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표시패널부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격자 형태의 광학 직조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3.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직조 부재로서,
    투명 광학재료로 된 제1라인과 제2라인이 교차되어 직조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 전부와 상기 연결부분에 인접한 상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광학 직조 부재.
KR1020150080093A 2015-06-05 2015-06-05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KR10222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93A KR102227116B1 (ko) 2015-06-05 2015-06-05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93A KR102227116B1 (ko) 2015-06-05 2015-06-05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91A KR20160143991A (ko) 2016-12-15
KR102227116B1 true KR102227116B1 (ko) 2021-03-15

Family

ID=5757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93A KR102227116B1 (ko) 2015-06-05 2015-06-05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9316A1 (en) 2017-12-07 2019-06-1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314B1 (ko) * 2011-10-31 2018-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996970B1 (ko) * 2012-12-04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장치
KR20150019841A (ko) *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KR20150031623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91A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44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US10660220B2 (en) Fram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same
CN107993577B (zh) 视频墙显示装置
KR100860982B1 (ko) 광경로 이동수단을 가지는 다중표시장치
KR102634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120233B2 (en) Optical member including optical fibers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1068072A1 (ja) 光拡散シート、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13069406A1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70160458A1 (en) Display device
JP2014235896A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2194491A (ja) 額縁被覆部材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22711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TW201719201A (zh) 光學膜及窄邊框顯示裝置
JP2012063466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51409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액자형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12402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55832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16887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1408688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