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855A -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855A
KR20180015855A KR1020160099377A KR20160099377A KR20180015855A KR 20180015855 A KR20180015855 A KR 20180015855A KR 1020160099377 A KR1020160099377 A KR 1020160099377A KR 20160099377 A KR20160099377 A KR 20160099377A KR 20180015855 A KR20180015855 A KR 2018001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ream
extract
microorganisms
ferment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동
조임이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장만동
조임이
최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동, 조임이, 최재홍 filed Critical 장만동
Priority to KR102016009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855A/ko
Publication of KR2018001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송꽃돌(화문석) 발효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백 마스트크림 , 로션, 세럼, 에센스, 마스크팩, UV크림, 비비크림, 파우더, 핸드워시 또는 스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는 원료 및 비누, 세정제,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 원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는 청송꽃돌(화문석) 발효추출물 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송꽃돌(화문석)을 효율적으로 발효하기위하여 질소원으로 녹두, 율무분말을 포함하고 최적미생물을 이용하여 인큐베이트상에서 발효작업을 수행하고 발효가 완료된 발효산물에 용매를 추가하여 추출한 뒤 추출물을 저온숙성단계를 거쳐 스프레이어 드라이를 하여 추출물분말화하고 ,이를 이용한 미백 마스트크림 원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로션, 세럼, 에센스, 마스크팩, UV크림, 비비크림, 파우더, 핸드워시 또는 스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원료 및 비누, 세정제,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원료 제조방법과 이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lower-stone fermented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송꽃돌(또는 화문석) 석분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청송꽃돌석분 또는 화문석분은 화문석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하여 그 원광(原鑛)을 절단할 때 나오는 부산물인 돌조각, 분말 등을 말하며, 이러한 화문석분을 초극미세하게 분말화하여 질소원을 첨가해 배지를 만들고, 발효 미생물배양액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발효를 거쳐 그 발효산물 원상태의 물질로 원료 사용하는 방법과 발효산물에 용매를 추가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부가성을 가지는 화장품, 비누, 세정제,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 등의 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꽃돌(화문석)은 구조적으로 구과상 유문암(학술명:球課狀流紋岩)에 해당되는 것으로 광물질이 방사상으로 자라서 구형의 알갱이가 만들어진 화산암의 일종이다. 주로 퇴적암 내 틈을 타라 관입한 유문암 맥에서 산출되는데, 꽃무늬를 갖는 암석은 산성의 용암이 지표 얕은 곳까지 올라와 빠르게 냉각될 때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구상조직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출발물질인 청송꽃돌은 경북 청송 꽃돌단지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청송꽃돌의 형성과정을 보면 마그마에서 빠져나온 수증기와 기체상태의 가스들이 갇혀서 기포를 형성하여 식어가는 동안에 외부에서부터 내부로 결정의 핵이 형성된 것이며, 지표면 가까이에서 꽃무늬가 다양하고 더욱 정교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청송꽃돌은 관상가치가 있도록 가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산물들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산물이 현재 산업폐기물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청송꽃돌의 형성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유용성분들이 버려짐으로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한국특허등록 제10-0364438호는 화문석분을 이용한 유액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청송꽃돌 석분을 분석한 결과 기본유의 성분이 고루 갖추고 있는 점을 이용하여, 석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유약에 적용한 것으로서, 적용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청송꽃돌 석분이 인체 및 동물에 매우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청송꽃돌 석분에 배지를 첨가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을 통한 발효를 거쳐 그 발효물을 이용하여 화장품,비누, 세정제, 사료,비료 등 보다 고부가제품을 제조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보존에 기여하면서 청송지역 문화상품개발에 일조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화문석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하여 그 원광(原鑛)을 절단할 때 나오는 부산물인 돌조각이나 분말 등의 청송꽃돌석분 또는 화문석분을 초극미세하게 분말화하여 질소원을 첨가해 배지를 만들고, 발효 미생물배양액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발효를 거쳐 그 발효산물 원상태의 물질로 원료 사용하는 방법과 발효산물에 용매를 추가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고부가성을 가지는 화장품, 비누, 세정제,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 등의 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송꽃돌 발효물 제조방법은, 청송꽃돌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80~540메쉬 정도로 파쇄하여, 상기 파쇄된 청송꽃돌 분말의 잡균을 멸균하는 전처리 단계(S10); 생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을 급속배양기에서 배양하고, 상기 전처리된 청송꽃돌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의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중에서 택일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배지를 제조하여, 상기 배양된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S20); 상기 혼합물이 포함된 배지를 생물반응기에서 10~60℃, 습도 85~95%, 2~6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S30); 상기 청송꽃돌 발효산물을 급속살균장치에서 80℃~ 132℃, 10~30분간 가열하여 미생물을 멸균시키고, 용매를 추가하여 청송꽃돌 발효산물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0); 상기 추출액은 규조토 여과기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저온 숙성 후 함수분율이 5~10%되도록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송꽃돌 발효물은 항염작용, 항균, 알러지 진정효과, 수렴작용, 미백작용, 주름개선작용 및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이나 비누, 세정제 및 약품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청송꽃돌의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표
도 2는 본 발명의 발효물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간략 공정도
청송꽃돌 발효물은, 전처리한 청송꽃돌의 분말을 배지에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여과, 살균 등 후처리하여 함수율이 5~7%되도록 한 발효산물이다.
도2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공정을 통한 청송꽃돌(화문석)발효산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청송꽃돌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80~540메쉬 정도로 파쇄하여, 상기 파쇄된 청송꽃돌 분말의 잡균을 멸균하는 전처리 단계;
S20:생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을 급속배양기(쉐이킹 인큐베이트)에서 배양하고, 상기 전처리된 청송꽃돌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의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중에서 택일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배양된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
S30: 상기 혼합물이 포함된 배지를 생물반응기인 인큐베이트에서 발효온도 10~60℃, 습도 85~95%, 2~60일간 발효시켜 생물공정 과정을 거치는 단계;
S40: 상기 발효가 완료된 청송꽃돌 발효산물을 급속살균장치인 오토크래버로 온도 80℃~ 132℃, 10~30분간 가열하여 미생물을 멸균시키고, 용매를 추가하여 청송꽃돌 발효산물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S50: 상기 추출액은 규조토 여과기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저온 숙성 후
농축 발효산물을 스프레이 건조하는 함수분율이 5~10%이내가 되도록 스프레이 건조 등으로 건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조과정을 거친 청송꽃돌 발효물은 성상 및 확인실험을 거친 뒤 용기에 충진, 포장작업을 하여 최종제조물로 이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송꽃들 석분에는 인체 및 동물에 매우 유용한 성분을 포함되어 있다. '청송주왕상 북부일대의 구과암 유문암에 대한 연구'(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오창환, 전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김성원,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황상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김형식 등의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청송꽃들은 도1와 같은 화학적 구성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청송꽃들 석분에 배지를 첨가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을 통한 발효를 거쳐 그 발효물을 이용하여 화장품,비누, 세정제, 사료,비료 등 보다 고부가제품을 제조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보존에 기여하면서 청송지역 문화상품개발에 일조할 목적으로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처리과정: S10 >
청송꽃돌의 부산물을 도1과 같은 성분을 보유하고 있는 귀중한 물질로서, 수집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80~540메쉬 정도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청송꽃돌 분말을 급속멸균장치(오토크레브 등)를 이용하여 잡균을 멸균하는 전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미생물 배양 및 배지 제조단계: S20 >
생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을 급속배양기(쉐이킹 인큐베이트)에서 배양하고, 상기 전처리된 청송꽃돌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의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중에서 택일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배지를 제조하여, 상기 배양된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제조된 배지와 잘 혼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고자 하는 토양미생물, 유산균, 진균은 2차 대사산물에 있어서 화학구조의 다양성과 종의 풍부함으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생물로 인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쉐이킹 인큐베이트 등을 이용하여 배양한다.
Stereum hirustum(꽃구름버섯)은 죽은 활엽수 또는 표고 원목 등에 겹쳐 무리를 지어 자라는 목재부후균으로 나무에 흰색 부패를 일으키며, 한국(두륜산, 발왕산, 지리산, 만덕산, 한라산), 일본 등에 분포한다.
Phellinus linteus(목질진흙버섯)은 상황버섯(桑木耳)으로도 불리며,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고, 일본ㆍ오스트레일리아ㆍ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누룩곰팡이로 대표되는 누룩곰팡이속(Aspergillus)에는 50여 종이 알려져 있다. 흰색, 검은색, 갈색 등 다양한 색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 무성생식을 한다.발육 적온은 37℃, 생성되는 유기산(有機酸)은 코지산ㆍ글루콘산 등이고, 효소는 아밀라아제ㆍ말타아제ㆍ인베르타아제ㆍ셀룰라아제ㆍ이눌리나아제, 그 밖의 단백질분해효소 등이다.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는 쌀의 녹말을 당화시키며, 아스페르길루스 웬티이(A. wentii)는 대두를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Fomes fomentarius( 말발굽버섯)의 자실체는 굳고 나무질이며 좌생하는 여러해살이이다. 갓은 종모양 또는 말발굽모양이며 갓면은 잿빛 또는 밤색, 검은색이고 두터운 각질로 덮여 있으며 매끈하다. 변두리는 두텁고 누른 밤색이다. 살은 섬유모양의 코르크 질 또는 연한 코르크질이고 어두운 누른색 또는 녹쓴밤색이다. 관공은 층을 이루는데 매층의 길이는 0.5~2.5cm이고 공구는 재색 또는 붉은 밤색이며 둥근모양이고 1mm사이에 3개 정도이며 구멍벽은 두텁다. 포자는 긴타원형 또는 실북모양이며 매끈하고 색이 없으며 크기는 14~20ㅧ5~7㎛이다. 기주는 죽은 자작나무, 참나무이다. 흰색부패를 일으킨다.
진균(곰팡이,Fungi)은 보통 실모양으로 가지를 뻗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핵상태의 생명체이다. 열복소가 없고 키틴(chitin)이나 셀룰로오스 또는 모두를 함유하는 세포벽을 가진다. 대부분은 전적으로 부생체로서 죽은 유기물에서 살아가며, 그 부패를 도와준다. 또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대사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로서 항생제, 콜레스테롤 억제제, 항정신성 의약품, 면역 및 살균에 유용하다. 초기에는 음식물의 부패를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폭넓은 범위에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Lactobacillus (젖산균)은 Lactobacillaceae과에 속하며 그람양성, 카탈라아제 음성, 통성혐기성에서 혐기성, 보통은 비운동성, 무포자의 간균으로 연쇄도 만든다. 부생세균으로 엔실리지, 우유, 치즈, 발효야채, 곡류 등에 많이 분포하고, 사람의 구강, 장관에도 있다.
본 발명의 생물공정에서 이용되는 상기 토양미생물, 유산균, 진균의 대사작용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생물공정이란,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보다 단순한 물질로 변화하는 반응 중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산소의 존재 하에서 진행되는 반응을 총칭하는 것이며 발효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미생물을 배양할 배지는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또는 녹두와 율무를 혼합한 분말을 청송꽃돌분말 100중량기준 10~20중량부 투입하고, 골고루 잘 혼합하여 상기 미생물이 생물학적 공정 즉, 발효할 수 있는 배지로 제조한다.
녹두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며, 다른 콩과작물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콩의 단백질 함량 41.3%보다는 낮으나 21.2%로 높은 함량을 갖고 있다. Gama-amino 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으로 뇌나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이며 의약품으로 혈류를 개선하여 뇌 대사 향상 및 의욕저하 등을 치료하는 물질로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확대가 예상되는 물질이다. 녹두에서 분리된 vitexin과 isovitexin은 황산화, 항염증 및 미백활성이 보고되었다. (Kim et al. 2008) 또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는 약물에 중독 되었을 때 녹두즙을 복용시켜 구토하게 하는 등 해열, 해독, 신경안정 등에 이용해왔으며 몸을 차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물을 마시고 더위로 설사하는데 삶은 녹두즙을 마시면 효과가 뛰어나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 녹두 추출물의 항산화능 측정은 7가지의 실험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항산화능 측정방법의 하나인 전자공여능 실험결과 500mg/L에서 열수추출물인 경우 60.2 %, 에탄올 추출물은 52.4 %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과 xanthine oxidase가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의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름개선효과-진피에 존재하는 collagen과 elastin을 분해하는 collagenase와 elastase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녹두 에탄올 추출물이 이 두 가지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는 collagenase의 활성이 더 크게 저해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주름개선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녹두에는 피부 진정효과가 있는 비타민 B군이 많이 들어있어 피부 피지 성분들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피부자극 완화와 여드름 예방에 효과적인 비타민 B1, B2 성분이 있는 녹두의 효능이 주목된다.
녹두 추출물에 대한 자극완화 효과시험 결과, 활성성분으로 vitexin 및 isovitexin을 포함하는 녹두추출물은 피부자극을 유발시키는 자극원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체 첩포시험 및 자극감시험 결과, 녹두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이 자극원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약 30~60% 정도의 우수한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에서도 녹두추출물의 탁월한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극완화 효과는 녹두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그리고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 등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자극완화 물질로 녹두추출물을 발견하였으며, 이와 같은 녹두추출물은 저자극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율무는 벼과에 속하는 일년초로서 식량으로 이용되나, 자양강장제, 이뇨제, 진통제 및 한방약과 떡, 엿, 과자 등의 원료 및 차로도 널리 이용된다. 율무의 성분은 탄수화물 50~79%, 조단백질 8~20%, 조지방 2~8%, 수분 8~16%, 조회분 0.5~2.3% 정도이다. 알려진 율무의 생리활성물질인 coixol은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고, 종자에 함유되어 있는 항암성분인 coixenolide, 혈당강하 성분인 coixans A, B, C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율무는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의 발생을 저해하며, 염증 관련 cytokine의 증가를 일으켜 면역기능의 증강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미백효과로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모공케어, 색소침착 개선 효과-율무는 각질제거 뿐만 아니라 피부에 긴장을 줘 모공케어에 효과가 있어 산화된 피부를 환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지는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또는 녹두와 율무를 혼합한 분말을 청송꽃돌분말 100중량기준 10~20중량부 투입하고, 골고루 잘 혼합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배지에 금전초, 인삼, 천마 그리고 프로폴리스를 청송꽃돌 분말100중량에 10~1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배지를 조성할 수 있다.
<발효단계 : S30 >
상기 혼합물이 포함된 배지를 생물반응기인 인큐베이트에서 발효온도 10~60℃, 습도 85~95%, 2~60일간 발효시켜 생물공정 과정을 거친다.
< 발효추출액 제조단계 : S40>
상기 발효가 완료된 청송꽃돌 발효산물을 급속살균장치인 오토크래버로 온도 80℃~ 132℃, 10~30분간 가열하여 상기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을 멸균시켜 후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용매를 추가하여 청송꽃돌 발효산물의 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시 사용하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글리세린,1.3BG, 프로필렌글라콜 또는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 청송꽃돌 발효물 제조 : S50>
상기 추출액은 규조토 여과기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저온 숙성 후 발효산물은 함수분율이 5~10%이내가 되도록 스프레이 건조 등으로 건조하여 청송꽃돌 발효물이 제조된다.
상기 제조과정을 거친 청송꽃돌 발효물은 성상 및 확인실험을 거친 뒤 용기에 충진, 포장작업을 하여 최종발효산물로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발효산물을 미백 마스트크림 원료 조성물로 이용하거나, 로션, 세럼, 에센스, 마스크팩, UV크림, 비비크림, 파우더, 핸드워시 또는 스킨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비누, 세정제, 농업용 물 비료, 축산사료첨가물로도 이용가능하다.

Claims (1)

  1. 청송꽃돌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80~540메쉬 정도로 파쇄하여, 상기 파쇄된 청송꽃돌 분말의 잡균을 멸균하는 전처리 단계(S10);
    생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 Lactobacillus속 미생물을 급속배양기에서 배양하고, 상기 전처리된 청송꽃돌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의 녹두분말 또는 율무분말 중에서 택일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배지를 제조하여, 상기 배양된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S20);
    상기 혼합물이 포함된 배지를 생물반응기에서 10~60℃, 습도 85~95%, 2~6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S30);
    상기 청송꽃돌 발효산물을 급속살균장치에서 80℃~ 132℃, 10~30분간 가열하여 미생물을 멸균시키고, 용매를 추가하여 청송꽃돌 발효산물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0);
    상기 추출액은 규조토 여과기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저온 숙성 후 함수분율이 5~10%되도록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송꽃돌 발효물 제조방법
KR1020160099377A 2016-08-04 2016-08-04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77A KR20180015855A (ko) 2016-08-04 2016-08-04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77A KR20180015855A (ko) 2016-08-04 2016-08-04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55A true KR20180015855A (ko) 2018-02-14

Family

ID=6122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77A KR20180015855A (ko) 2016-08-04 2016-08-04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12B1 (ko) * 2023-11-13 2024-03-14 이형도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잇몸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구강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12B1 (ko) * 2023-11-13 2024-03-14 이형도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잇몸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구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2195B (zh) 一种富含sod果蔬汁及其加工方法
KR20080096307A (ko) 천연 산야초 발효 흑마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482873B1 (ko) 액체 발효에 의한 황칠 발효 대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09380B1 (ko) 천년초 선인장 발효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한방 화장품 제조방법
JP2011217678A (ja) 発酵食材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食品
KR101238968B1 (ko) 에르고티오닌이 함유된 산삼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US20110293760A1 (en) Method for extracting substances from soapberry fruit and seed and products made therefrom
JP2011050338A (ja) 未利用有機物を用いた有用カビ類菌発酵物による高機能性素材の生産方法及び未利用有機物のリサイクル方法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24916A (zh) 一种蘑菇种植用培养基及制备方法
KR20100083210A (ko) 발아 쥐눈이콩 한방 화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6853B1 (ko) 항산화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1387190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78853B1 (ko) 버섯을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30037956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알칼리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15855A (ko) 청송꽃돌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5011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35732B1 (ko) 울금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101750619B1 (ko) 여주와 어성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089291B1 (ko) 버섯 발효 식이 섬유의 제조 방법
KR101750620B1 (ko) 구절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070613B1 (ko) 황칠나무와 고구마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