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112A -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112A
KR20180015112A KR1020177025665A KR20177025665A KR20180015112A KR 20180015112 A KR20180015112 A KR 20180015112A KR 1020177025665 A KR1020177025665 A KR 1020177025665A KR 20177025665 A KR20177025665 A KR 20177025665A KR 20180015112 A KR20180015112 A KR 2018001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dtex
package
monofilamen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미오 야마구치
쇼 무라타
츠요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4700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067A/ko
Publication of KR2018001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01F6/62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3Synthetic polyme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10B233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Abstract

50중량% 이상이 락트산 모노머로 구성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 최내층부의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이 0.04cN/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사직물의 품위와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정경(整經),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 화석 자원의 온존, 폐기물 삭감 등의 환경 문제가 크게 취급되고 있는 중, 바이오매스 이용의 생분해성 폴리머가 주목받고, 그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특히 폴리락트산 폴리머가 주목받고 있다. 폴리락트산 폴리머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전분을 발효함으로써 얻어진 락트산을 원료로 하는 폴리머이고, 비이오매스 이용의 생분해성 폴리머 중에서는 투명성, 역학 특성, 내열성, 비용의 밸런스가 가장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은 미연신사를 일단 권취하고, 그 후 연신하는 2공정법(특허문헌 1)이나 폴리머를 용융한 후, 직접 연신·권취하는 1공정법(특허문헌 2), 멀티필라멘트를 분섬(分纖)하는 스트레이트 분섬법(특허문헌 3)이 있다.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제조 비용의 점으로부터는 1공정법이 2공정법이나 스트레이트 분섬법보다 우수하다.
특허문헌 2에는 1공정법이고,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 패키지 끝면에 실 탈락이 없는 패키지가 제안되고 있고, 연신 장력을 0.04cN/dtex∼0.35cN/dtex, 권취 장력을 0.04cN/dtex∼0.20cN/dtex로 제어하는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1-13182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3-3222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8428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는 2공정법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면에서 더욱 코스트 다운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고, 1공정법에서의 공업 생산 적용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는 정경, 제직 시에 있어서, 패키지로부터 모노필라멘트가 해서(解舒)될 때의 해서 장력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고품위한 직물은 얻어지지만, 패키지 최내층부의 수축 응력이 높게 되어 최내층부에서의 실 해서 불량에 의한 실의 끊어짐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는 멀티필라멘트 연신사를 분섬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직물로 한 경우에는 섬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트레이트 분섬법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면에서 더욱 코스트 다운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극복하고,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1) 50중량% 이상이 락트산 모노머로 구성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 최내층부의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이 0.040cN/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2)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인장 강도가 2.5cN/dtex 이상, 비등수 수축률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3)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15dtex∼4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기재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본 발명에 의해,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 이 우수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사 장치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폴리머는 -(O-CHCH3-CO)-를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머이고, 락트산이나 락티드 등의 락트산의 올리고머를 중합한 것을 말한다. 락트산에는 D-락트산과 L-락트산의 2종류의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중합체도 D체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D-락트산)과 L체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L-락트산) 및 양자로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폴리머가 있다. 폴리락트산 폴리머 중의 D-락트산 또는 L-락트산의 광학 순도는 낮아짐과 아울러 결정성이 저하하고, 융점강하가 커진다. 그 때문에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광학 순도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2종류의 광학 이성체가 단순하게 혼합하고 있는 계와는 달리, 상기 2종류의 광학 이성체를 블렌드해서 섬유로 성형한 후, 140℃ 이상의 고온 열처리를 실시해서 라세미 결정을 형성시킨 스테레오 컴플렉스로 하면, 융점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는 화석 자원의 온존, 바이오 리사이클의 관점으로부터, 중합체를 구성하는 락트산 모노머의 비율을 5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합체를 구성하는 락트산 모노머는 7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5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또한, 이 범위내의 폴리락트산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락트산 이외의 성분을 공중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 최내층부에 권취되어 있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이 0.040cN/dtex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패키지 최내층부란 권취 두께 5mm 이내의 부분을 최내층이라 정의한다. 또한, 건열 수축 응력이란 섬유 축방향의 연속 건열 수축 응력이고, 실공급 롤러와 실인출 롤러의 롤러 사이에 사조를 주행시키고, 이 롤러 사이에서 건열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장력 측정기로 연속적으로 수축 응력(cN)을 측정한다. 측정 빈도는 1cm당 6회로 하고, 그 평균치를 1데이터로 하여 1000개의 데이터를 채취한다. 얻어진 1000개의 데이터로부터 평균치를 산출하고, 건열 수축 응력을 산출한다.
건열 수축 응력을 0.040cN/dtex 이하로 함으로써, 제직시에 패키지 최내층부에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가 해서될 때의 실의 끊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패키지가 된다. 0.040cN/dtex를 초과하면, 패키지 최내층부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가 잔류 수축 응력의 영향으로 상층의 실이 하층의 실 아래로 잠입하기 쉬워져, 해서 시에 실의 끊어짐이 쉽고, 제직 시의 고차 통과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직물 품위에 관해서도, 최내층부에서의 고차 통과성에서 기인하는 위사 당김 결점이나 실의 끊어짐에 의한 방직기의 정지단결점 등이 발생하고, 사직물의 품위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030cN/dtex 이하이다. 건열 수축 응력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인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열 수축 응력 최소치는 0.020cN/dtex 정도이다.
건열 수축 응력을 이러한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후술하지만, 도 2에 있어서의 권취 장치(14)의 롤러 베일(12)을 패키지(3)의 표면 속도에 대하여 0.05% ∼2.00% 오버피드(가속)하도록 강제적으로 구동, 제어하여 릴렉스시켜서 권취하는 방법이나, 롤러 베일(12)이 패키지(3)에 접촉하고 있는 선장(線長)에 대한 가중 (이하, 면압이라고 한다)을 50N/m∼125N/m의 범위로 설정해서 권취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들의 방법을 조합시켜서 실시함으로써 더욱 건열 수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는 인장 강도 2.5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5cN/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직시에 패키지로부터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가 해서될 때의 실의 끊어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사직물로 했을 때에 양호한 직물 강도가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cN/dtex 이상이다. 강도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강도 최대값은 5.0cN/dtex이다. 또한, 강도는 가열한 제 1 고데트 롤러와 가열한 제 2 고데트 롤러의 속도차에 의해 연신되고, 소정 강도를 얻는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신도는 35%∼55%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나 티 백으로 했을 때의 고차 가공 안정성이 향상한다. 더욱 바람직한 신도는 40%∼50%이다. 신도는 가열한 제 1 고데트 롤러와 가열한 제 2 고데트 롤러의 속도차에 의해 연신되고, 소정 신도를 얻는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섬도는 15dtex∼4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티백용 사직물로 한 경우, 최적의 단위 면적당의 개공(開孔) 면적으로 할 수 있고, 차류에 최적인 추출 속도가 되어 풍미가 있는 차가 된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비등수 수축률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하로 함으로써 티백용 사직물로 가공한 경우, 열수를 부었을 때의 수축이 발생해도 최적의 단위 면적당의 개공 면적으로 할 수 있고, 차류에 최적인 추출 속도가 되어 풍미가 있는 차가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패키지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2의 공정 개략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패키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 개략도이다.
용해 방사기에 있어서의 방사 블록(4)은 도시하지 않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고 있다. 방사 구금(5)을 상기 방사 블록(4)에 장착하고, 폴리락트산계 폴리머를 용융하고, 폴리머를 방사 구금(5)으로부터 토출해서 사조(1)를 형성하고, 방사 구금(5)의 하류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냉각 장치에 의해 사조(1)를 균일하게 냉각한 후, 급유 장치(6)에 의해 사조(1)에 유제를 부여하고, 제 1 고데트 롤러(7, 8)와 제 2 고데트 롤러(9, 10) 사이에서 연신한 후, 권취 장치(14)에 의해 권취하고, 패키지(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권취 방법은 권취 장력을 0.04cN/dtex∼0.15cN/dtex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권취 장력은 예를 들면, 제 1 고데트 롤러(7, 8)와 제 2 고데트 롤러(9, 10)의 속도차 또는 제 2 고데트 롤러(9, 10)와 권취 장치(14)의 속도차 등으로 제어 가능하다. 권취 장력을 0.04cN/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안정한 조업으로 권취할 수 있다. 또한, 권취 장력을 0.15cN/dtex 이하로 함으로써 트래버스의 리턴 시에 실이 패키지 끝면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드럼 형상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cN/dtex∼0.10cN/dtex이다. 이러한 범위의 권취 장력으로 권취함으로써 패키지 끝면으로부터의 실의 탈락을 억제 및 양호한 드럼 형상 패키지 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규정 시간까지 권취된 패키지(3)는 타이트하게 권취되지 않아 스핀들(13)로부터 용이하게 패키지(3)를 발취할 수 있고, 또한 안정한 조업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권취 방법에 있어서, 권취 장치(14)의 롤러 베일(12)을, 패키지(3)의 표면 속도에 대하여, 오버피드율(이하, RB 구동 OF율이라고 한다)이 0.05%∼2.00%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B 구동 OF율은 롤러 베일(12)의 설정 속도(VR), 설정 권취 속도(V)로부터 VR=V×(1+OF율/100)로 산출한다. 롤러 베일(12)의 설정 속도(VR)는 롤러 베일 OF율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 권취 속도(V)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스핀들(13)은 롤러 베일(12)을 강제적으로 구동시켰을 때는 롤러 베일(12)을 설정 권취 속도(V)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롤러 베일(12)에 브레이크를 걸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스핀들(13)의 속도를 설정 권취 속도(V)보다 감소시키는 것이 된다. 즉, 롤러 베일(12)의 속도는 설정 권취 속도(V)로 회전하고, 스핀들(13)의 속도는 설정 권취 속도(V)보다 감소해서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 베일(12)과 스핀들(13) 사이에서 릴렉스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조(1)를 완장력 상태로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RB 구동 OF율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롤러 베일(12)과 스핀들(13) 간의 사조(1)를 적당한 완장력 상태로 권취할 수 있고, 잔류 수축 응력의 완화를 도모한다. 따라서, 특히 패키지 최내층부에 권취되어 있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을 0.040cN/dtex 이하로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고,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 드럼상 패키지가 얻어진다. 또한, 만(滿)패키지 형성에 있어서도, 패키지의 붕괴나 팽창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형상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드럼상 패키지가 얻어진다. RB 구동 OF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1.00%이다.
권취 장치(14)에 장착되어 있는 면압 설정용의 압축 공기 압력을 조정하고, 소정의 압력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면압을 70N/m로 설정하는 경우, 권폭 A가 70mm, 스핀들(13)에 장착한 지관으로의 권취수가 12드럼에서는 면압 설정용의 압축 공기 압력을 조정하고, 롤러 베일(12)이 스핀들(13)에 걸리는 압력을 58.8N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권취 방법에 있어서, 권취 장치(14)의 롤러 베일(12)이 패키지(3)에 접촉하고 있는 선장에 대한 가중(이하, 면압이라고 한다)을 50N/m∼125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패키지에 적당한 경도를 주어서 안정하게 권취할 수 있고, 잔류 수축 응력의 완화가 도모된다. 따라서, 특히 패키지 최내층부에 권취되어 있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을 0.040cN/dtex 이하로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고,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가 얻어진다. 면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N/m∼100N/m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베일(12)과 스핀들(13) 간의 사조(1)를 적당한 완장력 상태에서 패키지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한 상태로 권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OF율을 0.05%∼2.00%, 또한 면압 50N/m∼125N/m으로 권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유제 부여는 공지의 방사 유제, 급유 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방사 유제로서는 광물유로 희석한 스트레이트계 유제나 물로 희석한 에멀젼계 유제 등, 통상 사용되는 방사유제 중 어느 쪽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방사 유제 성분 중의 평활제 성분이나 유화제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광물 유계·에테르 에스테르계 등의 평활제나 분자 중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나 다가 알콜 부분 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열거된다. 급유 장치는 오일링 롤러 방식, 급유 가이드 방식 등이 열거된다. 섬유로의 바람직한 유제 부착량으로서는 0.3중량%∼1.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0.8중량%이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열 연신은 통상, 고데트 롤러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가열 연신 온도는 60℃∼12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열 연신은 가열 고데트 롤러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데트 롤러 온도는 접촉식 온도계로 실측한 값이다.
고데트 롤러는 예를 들면, 제 1 고데트 롤러와 제 2 고데트 롤러가 있고, 고데트 롤러는 실의 추수성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2개의 고데트 롤러를 한쌍으로 한 넬슨 고데트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취는 제 1 고데트 롤러로 행해지고, 연신은 속도가 다른 고데트 롤러 간에서 행해진다. 예를 들면, 1단 연신의 경우, 제 1, 제 2 고데트 롤러 간에서 행해진다. 2단 연신의 경우, 제 1, 제 2 고데트 롤러 간과 제 2, 제 3 고데트 롤러 간 등에서 행해진다. 연신 배율, 연신 단수는 얼마든지 상관없지만, 연신 배율 3.5∼4.5배, 1단 연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취 고데트 롤러(제 1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80℃∼120℃의 범위이다. 제 1 고데트 롤러 온도를 80℃ 이상으로 함으로써, 결정 구조 불균일이 없이 균일한 연신이 가능하게 되고, 실투 현상이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없이 안정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제 1 고데트 롤러 온도를 120℃ 이하로 함으로써 방사 장력의 저하에 의한 실의 끊어짐이 억제되어 안정한 조업성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10℃ 이하이다.
연신 고데트 롤러(제 2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100℃∼130℃의 범위이다. 제 2 고데트 롤러의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배향 결정성을 높게 하여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비등수 수축률을 낮게 할 수 있다. 제 2 고데트 롤러의 온도를 130℃ 이하로 함으로써 권취 장력의 저하에 의한 실의 끊어짐 억제되어 안정한 조업성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이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는 권폭 A가 60mm∼1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실해서 시의 장력 변동을 억제하고, 직물 품위가 향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m∼90mm이다.
본 발명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의 실단면 형상으로서는 원단면, Y형 단면, T형 단면, 편평 단면 또는 그들을 더욱 변형시킨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의 물성값은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방사 장치를 사용해서 용해 방사를 실시했다.
(1) 건열 수축 응력(cN/dtex)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두께 2mm의 드럼을 이용하여, 실 공급 롤러와 실 인출 롤러의 롤러 간에 사조를 10cm/min의 속도로 주행시키고, 이 롤러 간에서 100℃로 건열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방에 있는 장력 측정기로 연속적으로 수축 응력(cN)을 측정했다. 측정 빈도는 1cm당 6회로 하고, 그 평균치를 1데이터로 하여 1000개의 데이터를 채취한다. 얻어진 1000개의 데이터로부터 평균치를 산출한다. 측정 장치는 TORAY ENGINEERING CO., LTD.제작의 연속 열수축 측정기 FTA-500을 사용했다.
(2) 섬도(dtex)
JIS L1013(2010) 8.3.1 정량 섬도(A법)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또한, 공정 수분율 0%로 했다.
(3) 비등수 수축률(%)
JIS L1013(2010) 8.18.1에 준해서 측정했다. 시료를 프레임 둘레 1.125m의 검척기로, 권취 횟수 20회 권취의 타래를 제작하고, 24시간 방치 후의 타래 길이를 측정 후, 비등수(99±1.0℃)에서 30분간 침지, 자연 건조 후의 타래 길이를 측정하고, 비등수 침지 전후의 타래 길이로부터 비등수 수축률(%)을 산출했다.
(4) 인장 강도(cN/dtex), 인장 신도(%)
JIS L1013(2010) 8.5 인장 강도 및 신장률에 기초해서 측정했다. 또한, 쥐는 간격 500mm, 인장 속도 500mm/min로 했다. 반복 3회 측정의 평균치를 사용했다.
(5) 가공 실 끊어짐(회)
권취 두께 40mm, 실중량 1kg의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를 100드럼 준비하고, 에어제트룸의 방직기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행하고, 실의 끊어짐 횟수를 카운트했다. 또한, 실의 끊어짐의 카운트는 권취 두께 5mm를 초과하는 드럼의 실의 끊어짐 횟수 및 최내층 부분인 권취 두께 5mm 이하의 드럼의 실의 끊어짐 횟수를 세고, 합계의 실의 끊어짐 횟수가 5회 이하를 합격, 6회 이상을 불합격으로 판정했다.
(6) 직물 품위
권취 두께 40mm, 실 중량 1kg의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 드럼 형상 패키지를 100개 준비하고, 에어제트룸의 직기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하고, 조명의 밝기 250 럭스 이상 1250 럭스 이하의 지점에서 외관을 검사하고, 생기(生機)에 있어서의 밴드 형상의 광택차에 대해서 관찰을 행했다. 위사 당김이 없는 상태를 A, 위사 당김이 약간 보이는 상태(약 레벨)를 B,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보이는 상태(중 레벨)를 C,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강하게 보이는 상태(대 레벨)를 D로 4단계로 판정하고, A, B 레벨을 합격으로 했다.
(7) 폴리락트산 폴리머
광학 순도 99.5%의 L 락트산으로부터 제조한 락티드를,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주석 촉매(락티드 대 촉매 몰비=10000:1)의 존재 하, 질소 분위기 하 180℃에서 180분간 중합을 행하여 폴리락트산 폴리머를 얻었다.
(8) 권취 장력(cN/dtex)
TORAY ENGINEERING CO., LTD. 제작의 TENSION METER와 FT-R 픽업 센서를 사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제 2 고데트 롤러(9, 10)로부터 권취 장치(14)까지의 간에서 측정한 장력값을 섬도로 나누어서 리턴값(cN/dtex)으로 했다.
[실시예 1]
70중량% 이상이 락트산 모노머로 구성되는 폴리락트산 칩을 230℃에서 용융하고, 용해 방사용 팩에 제공해서 방사 구금(5)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킨 사조를 냉각하고, 오일링 롤러 방식의 급유 장치(6)로 광물유로 희석한 스트레이트 방사 유제를 부여(부착량은 0.7중량%)한 후, 100℃에서 가열한 제 1 고데트 롤러(7, 8)와 115℃에서 가열한 제 2 고데트 롤러(9, 10)로 인회(引回)하고, 4.0배로 연신, 열처리한 후, 마이크로캠 트래버스 방식의 트래버스 장치(11)로 능각(綾角) 5.6°로 트래버스시키면서, 면압 70N/m, RB 구동 OF율 1.00%, 설정 권취 속도(V) 3000m/min의 권취 조건로 권취폭 A가 70mm, 권취 두께 40mm, 권취량 1.0kg의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1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28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얻어진 패키지(100) 드럼을 에어제트룸의 직기를 이용하여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경사는 30dtex의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실 끊어짐이 0회, 최내층부 이외의 가공실 끊어짐이 1회, 합계 1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즉, 뛰어난 사직물의 품위가 얻어지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2]
면압을 100N/m, RB 구동 OF율을 0.5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34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최내층부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0회, 합계 1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3]
면압을 125N/m, RB 구동 OF율을 0.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3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39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면압이 약간 높은 상태에서 권취한 실시예 3은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2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3회로 약간 가공 실 끊어짐은 증가했지만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은 부분적으로 약간 보이는 정도의 B 레벨로 합격 레벨이었다.
[실시예 4]
면압을 55N/m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면압이 실시예 1보다 낮은 상태에서 드럼 형상 패키지를 권취했기 때문에, 패키지 경도가 약간 낮은 점으로부터, 제품으로서는 문제없는 레벨로는 있지만, 패키지 끝면 부분이 약간 단차가 있는 권취 형상이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25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0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3회, 합계 3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5]
RB 구동 OF율을 1.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RB 구동 OF율이 실시예 1보다도 높은 상태에서 드럼 형상 패키지를 권취했기 때문에, 롤러 베일(12)과 스핀들(13) 간에서 릴랙스 상태가 약간 커지게 되어 롤러 베일(12)로의 실 권취에 의한 방사실의 끊어짐이 수회 발생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3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26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실 끊어짐이 0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실 끊어짐이 1회, 합계 1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6]
면압을 65N/m, RB 구동 OF율을 2.0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RB 구동 OF율이 실시예 1보다 높은 상태에서 드럼 형상 패키지를 권취했기 때문에, 롤러 베일(12)과 스핀들(13) 사이에서 릴랙스 상태가 약간 커지게 되어 롤러 베일(12)로의 실권취에 의해 방사실의 끊어짐이 수회 발생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3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20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 및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도 없고,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7]
RB 구동 OF율을 0.0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RB 구동 OF율이 실시예 1보다 낮은 상태에서 드럼 형상 패키지를 권취했기 때문에, 제품으로서는 문제없는 레벨이지만, 약간 팽창할 기미가 보이는 권취 형상이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3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36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2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8]
토출량을 변경하고, 3.9배로 연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17dtex, 인장 강도 4.1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29cN/dtex, 비등수 수축률 16%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2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9]
제 2 고데트 롤러 온도 9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0cN/dtex, 최내층 부분의 건열 수축 응력 0.030cN/dtex, 비등수 수축률 26%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0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1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비등수 수축 특성차에서 기인하는 위사 당김이 증가했지만, 위사 당김은 부분적으로 약간 보이는 정도의 B 레벨로 합격 레벨이었다.
[실시예 10]
면압을 100N/m, RB 구동 OF율을 0.50%, 1GR 속도 759m/min, 2GR 속도 3035m/min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지만, 방사시의 실의 끊어짐이 많은 경향이 있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34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최내층부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0회, 합계 1회로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없이 A 레벨로 양호했다.
[실시예 11]
면압을 100N/m, RB 구동 OF율을 0.0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드럼 형상 패키지의 권취 형상은 양호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1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39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2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3회로 약간 가공 실 끊어짐은 증가했지만 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은 부분적으로 약간 보이는 정도의 B 레벨로 합격 레벨이었다.
[비교예 1]
면압을 178N/m, RB 구동 OF율을 0.1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3cN/dtex, 최내층 부분의 건열 수축 응력 0.043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18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19회로, 특히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많아 불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즉, 면압이 높은 상태에서 권취한 비교예 1은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이 높고,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열악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면압을 178N/m, RB 구동 OF율을 0.01%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 부분의 건열 수축 응력 0.050cN/dtex, 비등수 수축률 18%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48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1회, 합계 49회로, 특히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많아 불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보이는 정도의 C 레벨로 불합격 레벨이었다. 즉, 면압이 높고, OF율이 낮은 상태에서 권취된 비교예 2는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이 높고, 사직물의 품위와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열악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3]
면압을 178N/m, RB 구동 OF율을 0.0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 0.054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75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2회, 합계 77회로, 특히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많아 불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보이는 정도의 C 레벨로 불합격 레벨이었다. 즉, 면압이 높고, OF율이 낮은 상태에서 권취한 비교예 3은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이 높고, 사직물의 품위와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열악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4]
면압을 178N/m, RB 구동 없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1cN/dtex, 최내층 부분의 건열 수축 응력 0.058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89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2회, 합계 91회로, 특히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많아 불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강하게 보이는 상태의 D 레벨로 불합격 레벨이었다. 즉, 면압이 높고, RB 구동 없음의 상태에서 권취한 비교예 4는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이 높아 사직물의 품위와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열악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5]
면압을 100N/m, RB 구동 없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드럼 형상 패키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락트산 모노필라멘트의 원사 물성은 섬도 30dtex, 인장 강도 4.2cN/dtex, 최내층 부분의 건열 수축 응력 0.053cN/dtex, 비등수 수축률 17%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위사 짜 넣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내층부의 가공 실 끊어짐이 70회, 최내층 이외의 가공 실 끊어짐이 2회, 합계 72회로, 특히 최내층 부분의 가공 실 끊어짐이 많아 불합격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물 품위에 있어서도, 위사 당김이 단속적으로 강하게 보이는 정도의 C 레벨로 불합격 레벨이었다. 즉, RB 구동 없음의 상태에서 권취한 비교예 5는 최내층부의 건열 수축 응력이 높아 사직물의 품위와 제직시의 고차 통과성이 열악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비교예의 방사 조건, 원사 특성, 직물 평가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 사조 2 : 지관
3 :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 패키지 4 : 방사 블록
5 : 방사 구금 6 : 급유 장치
7 : 제 1 고데트 롤러(U) 8 : 제 1 고데트 롤러(L)
9 : 제 2 고데트 롤러(U) 10 : 제 2 고데트 롤러(L)
11 : 트래버스 장치 12 : 롤러 베일
13 : 스핀들 14 : 권취 장치

Claims (3)

  1. 50중량% 이상이 락트산 모노머로 구성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 최내층부의 모노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응력이 0.040cN/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인장 강도가 2.5cN/dtex 이상, 비등수 수축률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15dtex∼4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KR1020177025665A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KR20180015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5514A KR20240025067A (ko)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9780 2015-05-29
JP2015109780 2015-05-29
PCT/JP2016/064215 WO2016194578A1 (ja) 2015-05-29 2016-05-13 ポリ乳酸系モノ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ドラム状パッケー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514A Division KR20240025067A (ko)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112A true KR20180015112A (ko) 2018-02-12

Family

ID=57442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65A KR20180015112A (ko)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KR1020247005514A KR20240025067A (ko)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514A KR20240025067A (ko) 2015-05-29 2016-05-13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55151A1 (ko)
EP (1) EP3305699B1 (ko)
JP (1) JP6816509B2 (ko)
KR (2) KR20180015112A (ko)
CN (1) CN107531442B (ko)
TW (1) TWI680935B (ko)
WO (1) WO2016194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3346B2 (ja) * 2018-03-30 2022-04-12 Kbセーレン株式会社 嗜好性飲料抽出フィルター用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79231B2 (ja) * 2018-03-30 2023-05-22 Kbセーレン株式会社 嗜好性飲料抽出フィルター用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208352A1 (ja) * 2018-04-23 2019-10-31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系モノ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ドラム状パッケージ
CN111996636A (zh) * 2020-08-31 2020-11-27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能实现完全降解的纱线及拉链布带、拉链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826A (ja) 1999-10-27 2001-05-15 Nippon Ester Co Ltd ティーバッグ用生分解性モノフィラメント
DE60230311D1 (de) * 2001-11-06 2009-01-22 Asahi Kasei Fibers Corp Polyesterverbundfaserpaket
JP4100092B2 (ja) * 2002-08-23 2008-06-11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5091B2 (ja) * 2006-03-17 2011-08-10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分繊用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4812550B2 (ja) * 2006-07-27 2011-11-09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芯鞘型複合仮撚糸、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織編物
EP2138543A1 (en) * 2007-03-30 2009-12-30 Teijin Limite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and fiber composed of the same
JP5254730B2 (ja) 2008-09-30 2013-08-07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オーガンジー用薄地織物
JP2010100950A (ja) * 2008-10-22 2010-05-06 Toray Ind Inc 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物
JP5998673B2 (ja) * 2011-06-30 2016-09-28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のドラム状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509526U (zh) * 2015-01-28 2015-07-29 河南省龙都生物科技有限公司 聚乳酸双组份复合纤维双喷孔并列型纺丝组件的喷丝结构
CN104878458A (zh) * 2015-05-27 2015-09-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渔用聚乳酸单丝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067A (ko) 2024-02-26
WO2016194578A1 (ja) 2016-12-08
JPWO2016194578A1 (ja) 2018-03-15
TWI680935B (zh) 2020-01-01
EP3305699B1 (en) 2020-04-22
EP3305699A1 (en) 2018-04-11
EP3305699A4 (en) 2019-03-20
US20180155151A1 (en) 2018-06-07
CN107531442A (zh) 2018-01-02
JP6816509B2 (ja) 2021-01-20
CN107531442B (zh) 2020-06-23
TW201702170A (zh)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439B1 (ko)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린사의 제조방법
KR20180015112A (ko) 폴리락트산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드럼 형상 패키지
US20120280073A1 (en) Polyester monofilament package
TW201630649A (zh) 聚伸苯硫醚單絲及其製造方法暨絲餅
JP5998673B2 (ja) 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のドラム状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34534A (zh) 一种锦纶6分纤母丝生产设备及生产方法
US11807959B2 (en) Polyamide-610 multifilament
WO2000055403A1 (fr) Fibre de poly(trimethylene terephtalate)
WO2002004332A1 (fr) Enroulement de fil etir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3719983B2 (ja) 前配向糸パッケージ
CN115413302A (zh) 聚苯硫醚单丝及其制造方法、以及纤维卷装体
JP7453832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モノ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繊維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146690A1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スクリーン紗の製造方法
CN112041253B (zh) 由聚乳酸系单丝形成的鼓状卷装体
KR101969558B1 (ko) 용융 이방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33249A (ja) 分繊用ポリ乳酸マルチフィラメントとその製造方法
JP2023111771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20738A (ja) 高速仮撚用延伸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93221A (ja) 31らせん構造を有するポリ乳酸繊維
JPH08267948A (ja) スクリー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73084A (ja) ポリ乳酸モノフィラメント
JP2005206991A (ja) 分繊用ポリ乳酸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2005163224A (ja) 分繊用ポリ乳酸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