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638A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4638A KR20180014638A KR1020160158171A KR20160158171A KR20180014638A KR 20180014638 A KR20180014638 A KR 20180014638A KR 1020160158171 A KR1020160158171 A KR 1020160158171A KR 20160158171 A KR20160158171 A KR 20160158171A KR 20180014638 A KR20180014638 A KR 20180014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arrel
- lens
- optical axis
- protrusion
- lens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광축 사이의 직선거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데, 이때 굴절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서 반사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경우에는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이 부옇게 되거나 둥근 흰 반점이 나타나는 등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의 사이즈가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광축 사이의 직선거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서 광이 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부 및 복수의 엣지부의 형상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서 광이 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부 및 복수의 엣지부의 형상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은 렌즈 배럴(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원주 방향은 렌즈 배럴(10)의 둘레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 포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100), 하우징(2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300)을 포함한다.
렌즈 모듈(100)은 하우징(20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2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모듈(100)이 수용된다.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300)이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 모듈(300)은 렌즈 모듈(1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300)은 인쇄회로기판(310), 인쇄회로기판(310)에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350)는 렌즈 모듈(10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330)는 렌즈 모듈(1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3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330)는 인쇄회로기판(31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0) 및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L)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L)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L)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L)는 광학부 및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광학부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굴절시키는 구성일 수 있고, 플랜지부는 렌즈를 렌즈 배럴(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렌즈(L)가 복수 개 배치될 경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그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렌즈 배럴(10)은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렌즈(L)를 수용하도록 그 내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0)은 다양한 크기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3개의 렌즈(L1, L2, L3)가 도시되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현하고자하는 해상도에 따라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L)는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L) 사이에는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도록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스페이서에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렌즈 배럴(10)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데, 이때 굴절된 광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330)에 입사될 경우에는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이 부옇게 되거나 둥근 흰 반점이 나타나는 등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렌즈 모듈(100)의 각 부품의 사이즈가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광이 반사되더라도 반사 광에 의해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0)의 내부면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은 광이 반사될 경우에 광의 반사 위치에 따라서 광이 반사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볼록, 오목 형상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는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는 각각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각각의 돌기부(11)의 표면은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볼록한 곡면을 갖는 돌기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므로, 각각의 돌기부(11) 사이에는 엣지부(13)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는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1) 및 광축(O)에서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5)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c) 참조). 돌기부(11) 및 홈부(15)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볼록, 오목 형상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일 수 있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광이 반사될 경우 광의 반사 위치에 따라 광의 반사 각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된 광은 산란되며, 이에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으로 인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서 광이 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된 광이 산란되도록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렌즈 배럴(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내경이 변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된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볼록, 오목 형상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R1)와, 오목한 부분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R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R1)는 오목한 부분과 광축(O) 사이의 직선거리(R2)보다 짧을 수 있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돌기부(11)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기부(11) 사이에는 엣지부(13)가 형성된다.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은 복수의 돌기부(11)가 형성된 부분일 수 있고,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오목한 부분은 복수의 엣지부(13)가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는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은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는 각각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복수의 엣지부(13)가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의 선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복수의 엣지부(13)가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너비를 갖는 형상일 수도 있다.
복수의 엣지부(13)가 너비를 갖는 형상일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부(11) 각각의 너비는 복수의 엣지부(13) 각각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는 복수의 렌즈(L) 중에서 이미지 센서(330, 또는 상 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렌즈(L3)에 인접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는 렌즈 배럴(10)의 내경이 가장 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특정 위치에서 렌즈 배럴(10)의 내경이 일정할 경우에는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된 광은 어느 한 점에 모이게 된다. 즉,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330)에 입사되면서 이미지 센서(330)의 어느 한 점에 모이게 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 광에 의하여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의 내경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할 경우에는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된 광이 어느 한 점에 모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광이 반사되더라도, 반사 광으로 인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에서는,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된 반사 광이 어느 한 점에 모이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에서는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한 광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되더라도 반사 광에 의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렌즈(L)는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데, 복수의 렌즈(L)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렌즈(L)가 접착제에 의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에 의해 접착제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복수의 렌즈(L)를 더욱 견고하게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부 및 복수의 엣지부의 형상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의 형상은 반사 광이 한 점에 모이지 않도록 광을 산란시키는 현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는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1) 및 광축(O)에서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5)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 및 홈부(15)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볼록, 오목 형상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홈부(13)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홈부(13)의 표면이 모두 곡률을 갖는 곡면일 경우,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홈부(13)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 I)이 형성된다.
여기서, 변곡점(I)은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변하는 점(또는, 오목한 부분에서 볼록한 부분으로 변하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일 예로, 복수의 돌기부(11)가 형성된 부분)의 곡률(C1)과 오목한 부분(일 예로, 복수의 홈부(13)가 형성된 부분)의 곡률(C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볼록한 부분(일 예로, 복수의 돌기부(11)가 형성된 부분)의 곡률(C1)이 오목한 부분(일 예로, 복수의 홈부(13)가 형성된 부분)의 곡률(C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돌기부(11)의 너비는 각각의 홈부(13)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너비는 변곡점(I)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돌기부(11)의 양쪽에 형성된 변곡점(I) 사이의 직선거리를 돌기부(11)의 너비라 하고, 홈부(13)의 양쪽에 형성된 변곡점(I) 사이의 직선거리를 홈부(13)의 너비라 할 때, 돌기부(11)의 너비는 홈부(13)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11)의 너비를 각각의 홈부(13)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반사 광을 산란시키는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 또는 복수의 홈부(15))가 복수의 렌즈(L) 중에서 이미지 센서(330, 또는 상 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렌즈(L3)에 인접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 또는 복수의 홈부(15))는 복수의 렌즈(L) 사이에 위치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복수의 돌기부(11) 및 복수의 엣지부(13, 또는 복수의 홈부(15))가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에서 렌즈(L)가 부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10': 렌즈 배럴
11: 돌기부
13: 엣지부
15: 홈부
L: 복수의 렌즈
100, 100': 렌즈 모듈
200: 하우징
300: 이미지 센서 모듈
11: 돌기부
13: 엣지부
15: 홈부
L: 복수의 렌즈
100, 100': 렌즈 모듈
200: 하우징
300: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16)
-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광축 사이의 직선거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는,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광축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은 곡률을 갖는 곡면인 렌즈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부 사이에는 엣지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서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에 인접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위치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광축에서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는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돌기부의 너비는 상기 홈부의 너비보다 큰 렌즈 모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홈부의 표면은 곡률을 갖는 곡면인 렌즈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의 곡률은 상기 홈부의 표면의 곡률보다 작은 렌즈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변곡점이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양쪽에 형성된 변곡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상기 돌기부의 너비라 하고, 상기 홈부의 양쪽에 형성된 변곡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상기 홈부의 너비라 할 때,
상기 돌기부의 너비는 상기 홈부의 너비보다 큰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상기 광축과의 직선거리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렌즈 모듈.
-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는 광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복수의 돌기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581,288 US10473879B2 (en) | 2016-08-01 | 2017-04-28 |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CN201710522217.2A CN107678118B (zh) | 2016-08-01 | 2017-06-30 | 透镜镜筒、镜头模块及相机模块 |
CN201720787672.0U CN207164335U (zh) | 2016-08-01 | 2017-06-30 | 透镜镜筒、镜头模块及相机模块 |
CN202110030270.7A CN112817109B (zh) | 2016-08-01 | 2017-06-30 | 镜头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98202 | 2016-08-01 | ||
KR1020160098202 | 2016-08-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4638A true KR20180014638A (ko) | 2018-02-09 |
KR101963279B1 KR101963279B1 (ko) | 2019-03-29 |
Family
ID=6119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8171A KR101963279B1 (ko) | 2016-08-01 | 2016-11-25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3279B1 (ko) |
CN (1) | CN207164335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73879B2 (en) * | 2016-08-01 | 2019-11-1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US11899225B2 (en) * | 2019-08-30 | 2024-02-1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TWI728585B (zh) * | 2019-12-06 | 2021-05-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鏡頭與電子裝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1708A (ja) * | 1990-03-20 | 1991-12-03 | Canon Inc | レンズ鏡筒 |
JP2011107245A (ja) * | 2009-11-13 | 2011-06-02 | Panasonic Corp | レンズ鏡筒 |
-
2016
- 2016-11-25 KR KR1020160158171A patent/KR101963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30 CN CN201720787672.0U patent/CN207164335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1708A (ja) * | 1990-03-20 | 1991-12-03 | Canon Inc | レンズ鏡筒 |
JP2011107245A (ja) * | 2009-11-13 | 2011-06-02 | Panasonic Corp | レンズ鏡筒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3279B1 (ko) | 2019-03-29 |
CN207164335U (zh) | 201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817109B (zh) | 镜头模块 | |
CN109870867B (zh) | 移动装置和镜头模块 | |
KR20160139410A (ko) | 렌즈 모듈 | |
KR101963279B1 (ko)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691320B1 (ko) | 렌즈 조립체 | |
WO2019130969A1 (ja) | 撮像装置 | |
KR102381619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20042517A (ko)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60064640A (ko) | 카메라 모듈 | |
CN111948775B (zh) | 塑胶镜筒、相机模块及电子装置 | |
KR20220136331A (ko) | 렌즈 조립체 | |
KR20230084109A (ko) |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 |
KR10262051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450594B1 (ko)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40023551A (ko) | 카메라 모듈 | |
KR20110049242A (ko) | 렌즈 모듈 | |
JPWO2019013068A1 (ja) | 撮像装置 | |
KR102392164B1 (ko) |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20058508A (ko) |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303144B1 (ko) | 렌즈조립체 및 이것이 포함된 촬상 광학계 | |
US8582027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KR102303145B1 (ko) | 렌즈조립체 및 이것이 포함된 촬상 광학계 | |
KR20240073475A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
KR20230171612A (ko) | 카메라 모듈 | |
KR101730270B1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