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950A -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950A
KR20180013950A KR1020177035190A KR20177035190A KR20180013950A KR 20180013950 A KR20180013950 A KR 20180013950A KR 1020177035190 A KR1020177035190 A KR 1020177035190A KR 20177035190 A KR20177035190 A KR 20177035190A KR 20180013950 A KR20180013950 A KR 2018001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bnormality
glass ribbon
driving 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842B1 (ko
Inventor
다카히데 나카무라
다다노리 데라오카
히로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성형부(12)로부터 유하되는 글래스 리본(G)과의 접촉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비구동 롤러(14a)와,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21)와, 회전 검출부(21)에 의해 검출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제어부(20)와, 제어부(20)에 의한 이상 검출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 드로우법에 따라 글래스 리본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는, 용융 글래스를 판상(板狀)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와, 그 성형부로부터 유하(流下)되는 글래스 리본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에서는, 복수 종류의 롤러가 설치되고, 성형부로부터 유하되는 글래스 리본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롤러나, 글래스 리본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을 억제하는 롤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753067호 공보
종래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에서는, 작업자는, 성형된 글래스 리본의 형상 등에 이상이 보일 때, 성형부나 롤러 등의 제조 설비에 어떤 이상이 생기고 있음을 파악하고, 그 이상에 대한 대책을 행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제조 설비에 이상이 생기고 나서 작업자에 의해 대책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타임 래그(lag)가 길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제조 설비의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책을 가능하게 한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글래스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는, 글래스 리본을 유하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로부터 유하되는 상기 글래스 리본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와,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대처 동작을 행하는 대처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상태 이상이 생겼을 때, 그 상태 이상이 이상 검지부에서 검지되고, 그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대처부에 의한 대처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롤러나 그 밖의 제조 설비의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책이 가능해진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처부는,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상태 이상이 생겼을 때 그 이상이 알림부에 의해 알려지기 때문에, 롤러나 그 밖의 제조 설비에 이상이 생겼음을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성형부 및 롤러를 포함하는 제조 설비에 있어서의 이상 개소의 확인, 및 그 이상에의 대응을 신속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조 설비의 다양한 이상 및 그것에 기인하는 글래스 리본의 형상 이상이 롤러의 회전 속도에 반영되기 쉽기 때문에, 롤러의 회전 속도의 이상이 이상 검지부에서 검지됨으로써, 다양한 이상의 대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글래스 리본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비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상 검지부에 의해 비구동 롤러의 이상이 검지된다. 비구동 롤러는, 글래스 리본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설비 이상에 기인하는 글래스 리본의 형상 이상이 비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에 반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글래스 리본의 형상 이상, 나아가서는 그것을 일으키는 설비 이상을 작업자가 보다 호적(好適)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글래스 리본의 유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이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비구동 롤러와, 구동원과 접속되고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비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가 글래스 리본의 유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글래스 리본의 형상 이상, 나아가서는 그것을 일으키는 설비 이상을 작업자가 보다 호적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처부는,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상기 글래스 리본으로부터 퇴피시키는 퇴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는 퇴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롤러가 글래스 리본으로부터 퇴피된다. 이에 의해, 상태 이상이 생기고 있는 롤러가 글래스 리본에 주는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위치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상 검지부가 롤러의 위치의 변화에 의거하여 롤러의 상태 이상을 검지하기 때문에, 롤러에 생긴 축 흔들림 등의 이상을 이상 검지부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측면에 따른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제조 설비의 이상을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이점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a)는, 실시형태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이고, (b)는, 도 1의 (a)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의 모식 단면도.
도 2는 다른 예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다른 예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이하, 글래스 물품의 일례로서 글래스 리본(띠 형상 글래스)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구성의 일부를 과장 또는 간략화하여 나타낼 경우가 있다. 또한, 각 부분의 치수 비율에 대해서도, 실제와 다를 경우가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다운 드로우법을 사용해서 글래스 리본(G)을 성형하는 성형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다운 드로우법의 일종인 오버플로우 다운 드로우법을 사용해서 글래스 리본(G)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또한, 글래스 리본(G)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글래스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용도, 터치 패널 용도, 광전 변환 패널 용도, 전자 디바이스 용도, 창 글래스 용도, 건재(建材) 용도, 및 차량 용도를 들 수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의 성형부(12)는, 용융 글래스(MG)를 오버플로우시키는 홈(12a)과, 오버플로우된 용융 글래스(MG)의 유하를 안내하는 제1 안내면(12b) 및 제2 안내면(12c)을 갖고 있다. 제2 안내면(12c)은, 제1 안내면(12b)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용융 글래스(MG)의 일부는 제1 안내면(12b)을 따라 유하된 용융 글래스(MG)의 일부와 제2 안내면(12c)을 따라 유하된 용융 글래스(MG)의 다른 일부가 성형부(12)의 하단에서 합류 또는 융합됨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이 성형된다.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성형부(12)의 하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구비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의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예를 들면, 글래스 리본(G)의 유하 방향(Z)의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구동 롤러(13), 하나 또는 복수의 비구동 롤러(14a), 하나 또는 복수의 비구동 롤러(14b)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구동 롤러(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롤러는 전형적으로는 원통 롤러이다. 유하 방향(Z)은 전형적으로는 연직 방향이다.
제1 구동 롤러(13)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두께 방향(Y)으로 사이에 끼워넣도록 폭 방향(X)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이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구동 롤러 서브 세트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제1 구동 롤러(13)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각 제1 구동 롤러(13)는,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제1 구동 롤러(13)는, 소정의 글래스 폭을 갖는 글래스 리본(G)을 제조하기 위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와 접촉함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구동 롤러(14a)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두께 방향(Y)으로 사이에 끼워넣도록 폭 방향(X)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이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구동 롤러 서브 세트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a)는, 제1 구동 롤러(13)와는 다른 위치에서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각 비구동 롤러(14a)는, 제1 구동 롤러(13)와는 달리,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글래스 리본(G)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소위 프리 롤러이다. 비구동 롤러(14a)는, 소정의 글래스 폭을 갖는 글래스 리본(G)을 제조하기 위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와 접촉함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구동 롤러(14b)도 마찬가지로,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두께 방향(Y)으로 사이에 끼워넣도록 폭 방향(X)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이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구동 롤러 서브 세트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b)는, 비구동 롤러(14a)와는 다른 위치에서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각 비구동 롤러(14b)는, 제1 구동 롤러(13)와는 달리,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글래스 리본(G)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소위 프리 롤러이다. 비구동 롤러(14b)는, 소정의 글래스 폭을 갖는 글래스 리본(G)을 제조하기 위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와 접촉함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롤러(13) 및 비구동 롤러(14a, 14b)에 대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단부를 냉각하는 역할을 갖게 할 경우에는, 롤러(13, 14a, 14b)의 내부에 중공부를 마련하고, 그 중공부에 냉매를 유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렇게 제1 구동 롤러(13) 및 비구동 롤러(14a, 14b)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단부를 냉각하도록 구성했을 경우,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을 보다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2 구동 롤러(15)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두께 방향(Y)으로 사이에 끼워넣도록 폭 방향(X)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이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구동 롤러 서브 세트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제2 구동 롤러(15)는, 제1 구동 롤러(13)와는 다른 위치에서,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구동 롤러(15)는, 표측(表側)의 2개의 롤러 및 이측(裏側)의 2개의 롤러는 모두 대응하는 1개의 회전축(17)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구동 롤러(15)는, 회전축(17)을 통해 모터(18)와 접속되어 있어, 모터(18)에 의해 회전된다. 제1 구동 롤러(13) 및 비구동 롤러(14a, 14b)보다 하류 측에 배치된 제2 구동 롤러(15)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X)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해서, 글래스 리본(G)을 유하 방향(Z)으로 견인한다. 또한, 제2 구동 롤러(15)에 의해 견인된 글래스 리본(G)은, 절단 공정 등의 후(後)공정으로 반송된다. 통상, 후공정을 거쳐 최종적인 글래스 물품이 제조되지만, 글래스 리본(G) 자체가 최종적인 글래스 물품이어도 된다.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상기 모터(16, 1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각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검출부(21)와, 알림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검출부(21)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에 따른 출력 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제어부(20)는, 회전 검출부(2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원주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산출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에 이상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알림부(22)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된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에 이상이 생기고 있음을 알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림부(22)는, 디스플레이(23)와 스피커(24)를 구비하고,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스피커(24)로부터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함께,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키게 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28)를 통해 회전 검출부(2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부(12)로부터 유하되는 글래스 리본(G)은 제1 구동 롤러(13) 및 비구동 롤러(14a, 14b)에서 확보되는 소정의 글래스 폭을 가지면서, 제2 구동 롤러(15)에 의해 유하 방향(Z)으로 견인된다. 이 때, 제1 구동 롤러(13) 및 제2 구동 롤러(15)는 각각 모터(16, 18)에 의해 회전되고, 비구동 롤러(14a, 14b)는 글래스 리본(G)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글래스 리본(G)을 견인하는 제2 구동 롤러(15)의 회전 속도(원주 속도)는, 제1 구동 롤러(13)의 회전 속도(원주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고, 그들 제1 및 제2 구동 롤러(13, 15) 간에 위치하는 비구동 롤러(14a, 14b)는, 제1 구동 롤러(13)의 회전 속도 이상, 또한 제2 구동 롤러(15)의 회전 속도 이하의 회전 속도(원주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과 같이, 제1 구동 롤러(13) 및 비구동 롤러(14a, 14b)가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단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롤러인 경우에는,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중간부에 비해 단부의 점도가 높아져,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이 보다 호적하게 억제된다.
여기에서, 비구동 롤러(14a)나 그 이외의 제조 설비(성형부(12) 및 제1 및 제2 구동 롤러(13, 15)를 포함하는 설비)의 이상이 원인으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이상이 생길 경우가 있고,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빠르거나 또는 느려질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성형부(12)나 제1 구동 롤러(13) 등의 비구동 롤러(14a)보다 상단의 제조 설비의 어떤 이상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에 도달하는 글래스 리본(G)의 형상에 이상이 생긴 경우,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이상이 생긴다. 또한, 예를 들면, 비구동 롤러(14a)를 축 지지하는 베어링의 불량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스무스한 회전이 저해되고 있을 경우나, 비구동 롤러(14a)에 축 흔들림(축 직교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이상이 생긴다.
비구동 롤러(14a)에 회전 이상이 생기면, 회전 검출부(2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부(20)에서 산출되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가 이상값을 나타내고, 제어부(20)로부터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그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알림부(22)의 디스플레이(23) 및 스피커(24)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의 알림이 실행된다. 즉, 이 알림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나 그 밖의 제조 설비(성형부(12) 및 제1 및 제2 구동 롤러(13, 15) 등)에 이상이 생기고 있음을 작업자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효과를 기재한다.
(1) 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11)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21)와, 회전 검출부(21)에 의해 검출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비구동 롤러(14a)의 상태 이상을 검출하는 제어부(20)와, 제어부(20)에 의한 이상 검출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상태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22)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비구동 롤러(14a)에 상태 이상이 생겼을 때, 알림부(22)가 대처 동작으로서 그 상태 이상을 알리기 때문에, 비구동 롤러(14a)나 그 밖의 제조 설비에 이상이 생겼음을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성형부(12) 및 각종 롤러(13, 14a, 14b, 15)를 포함하는 제조 설비에 있어서의 이상 개소의 확인, 및 그 이상에의 대응을 신속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회전 검출부(21) 및 제어부(20)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의 이상이 검지되고, 그 회전 속도의 이상이 알림부(22)에 의해 알려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조 설비의 다양한 이상 및 그것에 기인하는 글래스 리본(G)의 형상 이상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반영되기 쉽기 때문에,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의 이상이 알림부(22)에 의해 알려짐으로써, 다양한 이상의 대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3) 회전 검출부(21) 및 제어부(20)에 의한 이상 검지의 대상을 비구동 롤러(14a)로 하고 있다. 비구동 롤러(14a)는, 글래스 리본(G)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설비 이상에 기인하는 글래스 리본(G)의 형상 이상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반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글래스 리본(G)의 형상 이상, 나아가서는 그것을 일으키는 설비 이상을 작업자가 보다 호적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구동 롤러(14a, 14b) 중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 속도에 의거하여 이상을 검출하고 있지만, 비구동 롤러(14b)의 회전 속도, 또는 비구동 롤러(14a, 14b) 양쪽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 속도에 의거하여 이상을 검출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를 글래스 리본(G)으로부터 두께 방향(Y) 또는 폭 방향(X)으로 이간하도록 퇴피시키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의 퇴피 구동부(25)(도 1 참조)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을 검출하면, 알림부(22) 및 퇴피 구동부(25)에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알림부(22)에 의해 회전 이상의 알림이 실행됨과 함께, 퇴피 구동부(25)의 구동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가 글래스 리본(G)에 대해 두께 방향(Y) 또는 폭 방향(X)으로 퇴피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이 검출되면, 비구동 롤러(14a)가 퇴피 구동부(25)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 리본(G)으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회전 이상이 생기고 있는 비구동 롤러(14a)가 글래스 리본(G)에 주는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 등의 불량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이 극히 둔해진 경우에는, 글래스 리본(G)이 비구동 롤러(14a)와의 접촉에 의해 비산되고, 그 비산된 글래스가 후단의 설비(제2 구동 롤러(15)나 그 이후의 설비)에 내려 덮일 우려가 있다.
그 점에서, 이 구성에서는, 회전 이상이 검출되면 비구동 롤러(14a)가 퇴피 구동부(25)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 리본(G)으로부터 퇴피되기 때문에, 회전 이상이 생긴 비구동 롤러(14a)에 의해 글래스 리본(G)이 비산하는 것과 같은 사태를 면할 수 있어, 비구동 롤러(14a)에 회전 이상이 생김에 의한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구동 롤러(14a)가 이상 검출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퇴피되기 때문에, 대처 동작으로서의 비구동 롤러(14a)의 퇴피를 보다 신속히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어부(20)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대처 동작을 행하는 대처부로서 알림부(22)와 퇴피 구동부(25)의 양쪽을 구비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알림부(22)를 구비하지 않고 퇴피 구동부(25)만을 대처부로서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회전 검출부(21)의 출력 신호로부터 산출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을 검출하지만, 이 이외에 예를 들면, 회전 검출부(21)의 출력 신호로부터 산출한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가속도에 의거하여 당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을 검출하게 해도 된다. 또한, 제1 구동 롤러(13)와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차(또는 속도 비율), 또는 제2 구동 롤러(15)와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차(또는 속도 비율)에 의거하여 당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을 검출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구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비구동 롤러(14a)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와,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를 비교 해서 회전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정상 시의 회전 속도가 가까워져, 이상 상태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히 검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검출부(21) 및 제어부(20)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이상을 검출하고, 그 회전 이상의 검출에 의거하여 제어부(20)가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지만,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이상을 검출하고, 그 변위 이상의 검출에 의거하여 제어부(20)가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촬상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31)는 비구동 롤러(14a)(및 회전축)의 일부 또는 전체를 촬상하고, 그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촬상부(31)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특성값(예를 들면, 비구동 롤러(14a)의 위치 정보)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산출한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특성값에 의거하여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위치)가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상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비구동 롤러(14a)에 축 흔들림이 생기고 있을 경우 등에, 제어부(20)에 의해 산출되는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특성값이 이상값을 나타내고, 제어부(20)로부터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그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알림부(22)의 디스플레이(23) 및 스피커(24)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이상의 알림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에 축 흔들림 등의 변위 이상이 생기고 원하는 글래스 리본(G)이 형성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을, 알림부(22)에 의한 알림에 의해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촬상부(31)를 구비했지만,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접촉식 변위 센서나 광학식 등의 비접촉 변위 센서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또는 회전축)의 변위 이상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a, 14b) 중 비구동 롤러(14a)의 변위 이상을 촬상부(31)에 의해 검출하고 있지만, 비구동 롤러(14b)의 변위 이상, 또는 비구동 롤러(14a, 14b) 양쪽의 변위 이상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 롤러(14a)에 내장된 온도 센서(32)에 의해 당해 비구동 롤러(14a)의 온도 이상을 검출하고, 그 온도 이상의 검출에 의거하여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게 해도 된다. 또한, 비구동 롤러(14a)에 온도 이상이 생기는 상태에서는, 글래스 리본(G)이 원하는 형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으로 된다. 이것은, 비구동 롤러(14a)가 글래스 리본(G)의 폭 방향 단부를 냉각하는 냉각 롤러인 경우는 특히 현저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온도 센서(32)에 의해 측정되는 비구동 롤러(14a)의 온도가 이상값을 나타내고, 제어부(20)로부터 알림부(22)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면, 그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알림부(22)의 디스플레이(23) 및 스피커(24)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온도 이상의 알림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비구동 롤러(14a)의 온도 이상에 의해 원하는 글래스 리본(G)이 형성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을, 알림부(22)에 의한 알림에 의해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구동 롤러(14a)에 축 흔들림이나 온도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 속도가 변동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비구동 롤러(14a)의 축 흔들림이나 온도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비구동 롤러(14a, 14b) 중 비구동 롤러(14a)의 온도 이상을 온도 센서(32)에 의해 검출하고 있지만, 비구동 롤러(14b)의 온도 이상, 또는 비구동 롤러(14a, 14b) 양쪽의 온도 이상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0)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스피커(24)로부터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함께, 비구동 롤러(14a)의 회전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키게 했지만, 알림부(22)에 의한 알림의 태양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경고등의 점등에 의해 알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구동 롤러(14a)의 상태 이상(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이상)을 알림부(22)에 의해 알림 가능하게 구성되었지만, 이 이외에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구동 롤러(13, 15) 중 적어도 한쪽의 상태 이상(예를 들면 회전 이상)을 알림부(22)에 의해 알림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비구동 롤러(14a) 및 제1 및 제2 구동 롤러(13, 15)의 모든 상태 이상을 알림부(22)에 의해 알림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성형부(12)의 하방에 있어서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구동 롤러(13), 비구동 롤러(14a), 비구동 롤러(14b) 및 제2 구동 롤러(15)가 배치된 롤러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성형부(12)의 하방에 있어서의 롤러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 구동 롤러(15)가 글래스 리본(G)의 표면 측 및 이면 측에서 각각 1개의 회전축(17)에 의해 일체 회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이외에 예를 들면, 각 제2 구동 롤러(15)를 개별 회전축에 의해 소위 캔틸레버 상태로 회전시켜서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11)는, 다운 드로우법을 사용해서 글래스 리본(G)을 성형하는 성형부(12)를 구비하고 있지만, 다운 드로우법에 한정되지 않고, 글래스를 유하 성형하는 성형부로 변경할 수도 있다.
·용융 글래스(MG)는, 액상 글래스 또는 유동성 글래스라 부를 경우가 있다. 성형부(12)는, 용융 글래스(MG)로부터 유동성 글래스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서스펜딩 성형 블록이라 부를 경우가 있다. 롤러(13, 14a, 14b, 15)는, 소정의 글래스 폭을 갖는 글래스 리본(G)을 제조하기 위해, 유동성 글래스막의 글래스 폭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예이다.
·제어부(20)는, 제어부(20)의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제어부(20)의 외부로 신호를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a)와, 당해 메모리(20a)에 액세스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20b)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a)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20b)가 실행했을 때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능, 방법, 또는 구성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0b)가, 회전 검출부(21), 촬상부(31) 및 온도 센서(32) 등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령과, 프로세서(20b)가 당해 센서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이상 이벤트일 수 있는 이상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지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지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이상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해서, 프로세서(20b)가 이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각각이 메모리(20a)와 프로세서(20b)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단일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능, 방법, 또는 구성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비일시적 매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당해 컴퓨터 가독 매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여도 되고, 예를 들면,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기억 장치,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본 개시에는 이하의 기술적 사상이 포함된다. 또한, 한정을 위해서가 아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재 번호를 부여할 경우가 있다.
(a) 청구항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롤러의 변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에 변위 이상이 생겼을 때 그 변위 이상을 알림부에 의해 알리기 때문에, 롤러에 축 흔들림 등의 변위 이상이 생겼음을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b) 청구항1~4 및 상기 부기 (a)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롤러의 온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에 온도 이상이 생겼을 때 그 온도 이상을 알림부에의해 알리기 때문에, 롤러에 온도 이상이 생겼음을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c) 몇몇 실장 예에서는, 다운 드로우법에 따라 글래스 리본을 제조하는 장치(11)는, 최하단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러프 성형 블록(12)과, 상기 러프 성형 블록(12)의 상기 최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유하되는 유동성 글래스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러프 성형 블록의 상기 최하단 가장자리의 하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4a)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4a)를 감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이상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해서 이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d) 몇몇 실장 예에서는, 상기 장치(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4a)의 상태를 감시하는 롤러 센서(21;3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28)를 통해 상기 롤러 센서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롤러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이상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 몇몇 실장 예에서는, 상기 장치(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이상 검출 신호에 따라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얼럿(alert)을 출력하는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출력 장치(23, 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f)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b)와, 당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b)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지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a)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지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롤러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령과, 당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당해 센서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이상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지령과, 회전 이상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이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지령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당해 이상 검출 신호를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출력 장치(23, 24)에 공급해서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얼럿을 출력시키도록 구성된 지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예시한 특징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의 주제는, 개시한 특정의 실시형태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특징에 존재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1…글래스 리본 제조 장치(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12…성형부, 13…제1 구동 롤러, 14a, 14b…비구동 롤러, 15…제2 구동 롤러, 16, 18…모터(구동원), 20…제어부(이상 검지부), 21…회전 검출부(이상 검지부), 22…알림부(대처부), 25…퇴피 구동부(대처부), 31…촬상부(이상 검지부), 32…온도 센서(이상 검지부), G…글래스 리본

Claims (7)

  1. 글래스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글래스 리본을 유하(流下)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로부터 유하되는 상기 글래스 리본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異常)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와,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대처 동작을 행하는 대처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처부는,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글래스 리본의 흐름에 추종해서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비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글래스 리본의 유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이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비구동 롤러와, 구동원과 접속되고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비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처부는,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한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상기 글래스 리본으로부터 퇴피(退避)시키는 퇴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위치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태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77035190A 2015-06-01 2016-06-01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KR102402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1483 2015-06-01
JP2015111483A JP6617439B2 (ja) 2015-06-01 2015-06-01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PCT/JP2016/066100 WO2016194922A1 (ja) 2015-06-01 2016-06-01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950A true KR20180013950A (ko) 2018-02-07
KR102402842B1 KR102402842B1 (ko) 2022-05-27

Family

ID=5744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190A KR102402842B1 (ko) 2015-06-01 2016-06-01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17439B2 (ko)
KR (1) KR102402842B1 (ko)
CN (1) CN107848857B (ko)
TW (1) TWI668191B (ko)
WO (1) WO2016194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807A1 (de) 2018-02-05 2019-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wendungsprozessor, elektronischer Fahrzeugprozessor und Berechnungsvorrichtung mit Anwendungsproz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0405A (zh) * 2021-09-24 2022-01-04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液晶基板玻璃成型用自校正牵引辊轮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09B1 (ko) * 2011-03-30 2013-08-27 아반스트레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JP2015111483A (ja) 2013-11-11 2015-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ンズ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09179A (en) * 1928-04-07 1930-01-09 Mij Exploitatie Octrooien Nv Improvements in the rolling and annealing of glass plates
FR2013534A1 (ko) * 1968-07-23 1970-04-03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S4821322B1 (ko) * 1970-12-17 1973-06-28
JPH04130028A (ja) * 1990-06-13 1992-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ファイバとその製造法とガラスファイバを用いた磁気ヘッド
JP5217620B2 (ja) * 2008-05-19 2013-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ロール診断方法
US8176753B2 (en) * 2010-02-26 2012-05-15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heat loss from an edge director
JP5782507B2 (ja) * 2010-05-20 2015-09-2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ュージョンドロー法のリボンポジション制御方式
TWI561481B (en) * 2012-02-29 2016-12-11 Corning Inc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09B1 (ko) * 2011-03-30 2013-08-27 아반스트레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JP2015111483A (ja) 2013-11-11 2015-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ンズ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807A1 (de) 2018-02-05 2019-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wendungsprozessor, elektronischer Fahrzeugprozessor und Berechnungsvorrichtung mit Anwendungsproz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842B1 (ko) 2022-05-27
JP2016222503A (ja) 2016-12-28
WO2016194922A1 (ja) 2016-12-08
CN107848857A (zh) 2018-03-27
JP6617439B2 (ja) 2019-12-11
TW201700418A (zh) 2017-01-01
TWI668191B (zh) 2019-08-11
CN107848857B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8405B2 (ja) 製造ライン監視装置、製造ライン監視プログラム、製造ライン監視方法、製造ライン監視システム
KR101742109B1 (ko) 실 제조 장치
JP5834796B2 (ja) 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KR20180013950A (ko) 글래스 물품의 제조 장치
JP6599416B2 (ja) 製造ライン監視装置、製造ライン監視プログラム、製造ライン監視方法、製造ライン監視システム
CN111283944B (zh) 辊状态的监视装置、压延装置以及辊状态的监视方法
JP6382625B2 (ja) 外観不良候補抽出装置、外観不良判定装置、フィルム状物の製造装置、外観不良判定方法、及びフィルム状物の製造方法
US11141904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film quality and film machine
US9421763B2 (en) Recording apparatus
JP4941230B2 (ja) テンターおよびその異常検出方法
KR102139174B1 (ko) 선재 진행 감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설비
JP5217620B2 (ja) ロール診断方法
JP7154173B2 (ja) ストランド製造機器を監視する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4977175B2 (ja) ベントを備えた押出機のベントアップ検知方法および押出機
JP4299699B2 (ja) ガラスストランド製造装置
JP6863449B2 (ja) 鋳造設備の作動方法及び作動装置
KR101968027B1 (ko) 아이들 롤 회전 검출 장치
JP4774342B2 (ja) 射出成形機
US20240019388A1 (en) Defect detection of extruded strip
WO2024015442A1 (en) Defect detection of extruded strip
KR102157871B1 (ko) 베어링 이탈 검출장치
CN115790702A (zh) 成像膜抖动失真检测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202315737A (zh) 成形機系統、扭矩導出系統、及扭矩導出方法、與程式
JP2006289459A (ja) プレス機械駆動部の発熱監視装置
CN102645151A (zh) 一种检测牵引辊跳动量的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