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772A -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772A
KR20180013772A KR1020170095562A KR20170095562A KR20180013772A KR 20180013772 A KR20180013772 A KR 20180013772A KR 1020170095562 A KR1020170095562 A KR 1020170095562A KR 20170095562 A KR20170095562 A KR 20170095562A KR 20180013772 A KR20180013772 A KR 2018001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wire
hole
thin
wall portion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009B1 (ko
Inventor
히데유키 고묘
아키요시 사루다테
유지 다카하시
류헤이 이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과제]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가 안정된 렌즈 구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과, 가동 유닛을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와, 가동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7)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7)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적어도 관통 구멍의 주위 및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7m)를 가지고,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가 도금부(7m)에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관통 구멍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도금부(7m)에 납땜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LENS DRIV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카메라 부착 휴대 기기에 탑재되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휴대 기기에 소형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이 되었다. 그리고, 이 소형의 휴대 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기구의 주요 부품인 렌즈 구동 장치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에 이용되고 있어, 소형이고 양호한 정밀도로 렌즈체(렌즈가 장착되는 경통)를 구동시킨다는 기능이 필요하였다. 이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렌즈체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렌즈 유지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자기 회로를 렌즈 홀더의 주위에 설치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 소형 카메라로 촬영되는 화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 카메라에 이용되고 있는 손 떨림 보정 기구를 이 소형 카메라에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왕성해졌다. 이 손 떨림 보정 기구에는, 렌즈를 움직이는 방법이나 자동 초점 구동 장치를 움직이는 방법, 또는 촬상 소자(예를 들면 CCD ; Charge Coupled Device)를 움직이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손 떨림 보정 기구 중, 렌즈를 움직이는 방법을 도입한 렌즈 구동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술한 렌즈 구동 장치로서, 특허문헌 1(종래예)에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900)가 제안되어 있다. 도 20은 종래예의 렌즈 구동 장치(9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예의 렌즈 구동 장치(900)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1의 (a)는 렌즈 구동 장치(900)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21의 (b)는 렌즈 구동 장치(900)의 하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의 (a)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외측 케이스(904)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21의 (b)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외측 케이스(904) 및 서스펜션 기구부(903)를 생략하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 장치(900)는, 카메라의 핀트를 맞추는 오토 포커스 기능용의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제 1 유지체)와,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를 손 떨림에 따라 미소(微小)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광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손 떨림 보정용의 서스펜션 기구부(903)(제 2 유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900)에 있어서, 제 1 유지체로서의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 및 제 2 유지체로서의 서스펜션 기구부(903)는 외측 케이스(904)에 수용되어 있다.
먼저,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921)와, 이 렌즈 홀더(921)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제 1 코일(922), 4개의 자석(923), 내측 요크(924) 및 외측 요크(925)와, 상측 판스프링(927) 및 하측 판스프링(928) 각각의 일방이 장착되는 판스프링 유지 부재(9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900)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렌즈 홀더(921)의 상부에 상측 판스프링(927)의 타방이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도 21의 (a)를 참조), 렌즈 홀더(921)의 하부에 하측 판스프링(928)의 타방이 장착되어 있다(도 21의 (b)를 참조). 또한, 렌즈 홀더(921)의 상부측의 주위에 제 1 코일(922)이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렌즈 홀더(921)의 하부측의 사방에 자석(92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도 21의 (b)를 참조). 또한, 4개의 자석(923)은, 도 2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요크(924) 및 외측 요크(925)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서스펜션 기구부(903)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923)에 대향하는 4개소의 위치에 배치된 프린트 코일(912)(제 2 코일)을 가지는 제 2 코일 유지 부재(931)와, 제 2 코일 유지 부재(931)의 네 모퉁이 부분에 설치된 관통 구멍(931h)을 관통하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932)와, 프린트 코일(9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서스펜션 와이어(9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933)와, 서스펜션 와이어(93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942)이 설치되어 있는 하측 케이스(934)와, 자석(923)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검출 소자(9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자기 검출 소자(935)는, 도 2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자석(923)의 하방측에 대향하여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있고, 상세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FPC(933)의 하면측의 패턴과 납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와 서스펜션 기구부(903)는 서스펜션 와이어(9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932)의 상단부(上端部)는, 상측 판스프링(927)의 네 모퉁이에서 납땜되어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측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서스펜션 와이어(932)의 하단부(下端部)는, 제 2 코일 유지 부재(931)의 관통 구멍(931h)을 관통하여(도 21의 (a)를 참조) FPC(933)의 관통 구멍(933h)(도 20을 참조)에서 납땜되어, 서스펜션 기구부(903)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는, 서스펜션 기구부(90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902)를 광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85624호공보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 장치(900)에 있어서, 서스펜션 와이어(932)가 강성이 없는 필름 기재인 FPC(933)에 납땜되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932)의 지지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그와 같은 경우, 손 떨림 보정을 위한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가 안정된 렌즈 구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체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 및 당해 렌즈 유지 부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과, 당해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와, 상기 가동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적어도 당해 관통 구멍의 주위 및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를 가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가 상기 도금부에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외형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基部)와, 당해 베이스 부재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두께 치수가 상기 기부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薄肉部)를 가지고, 당해 박육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납땜 시에 땜납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박육부의 하면이 상기 기부의 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의 사이에는, 상기 단차를 구성하는 벽부가 상기 박육부측을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의 하면 및 상기 벽부에는, 상기 도금부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를 납땜할 때에,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행하는 경우, 가령 플럭스나 땜납이 비산하여 박육부의 하면 및 벽부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 및 벽부의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관통 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상부 땜납 필릿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관통 구멍의 하부에는,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하부 땜납 필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땜납 필릿이 상기 하부 땜납 필릿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배치된 가동 유닛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에 있어서의, 스프링 특성에 기여하는 유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특성이 향상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부식되기 어렵고, 내(耐)환경성이 우수함과 함께, 납땜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렌즈체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 및 당해 렌즈 유지 부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과, 당해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와, 상기 가동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적어도 당해 관통 구멍의 주위 및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당해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를 상기 도금부에 납땜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땜납 페이스트가 직접 가열되어 용융한 땜납이 되고, 그 후, 땜납이 냉각되어,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의 주위 및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가 납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도포 공정 전에,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키는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관통 구멍에 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를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 페이스트의 존재에 기인한 서스펜션 와이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 부재가, 외형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와, 당해 베이스 부재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두께 치수가 상기 기부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를 가지고, 당해 박육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포 공정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 페이스트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레이저 조사 공정에 있어서, 땜납 페이스트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박육부의 하면이 상기 기부의 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의 사이에는, 상기 단차를 구성하는 벽부가 상기 박육부측을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의 하면 및 상기 벽부에는, 상기 도금부와 동일한 상기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동 유닛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가령 플럭스나 땜납이 비산하여 박육부의 하면 및 벽부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 및 벽부의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레이저 조사 공정에 있어서 납땜성이 양호하다. 또한, 금에 의한 레이저광의 반사율이 높으므로(약 95%),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나 땜납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박육부의 하면이나 벽부에 닿았다고 해도 확실하게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박육부나 벽부에 부여되는 열량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에 대한 데미지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은, 땜납 페이스트가 직접 가열되어 용융한 땜납이 되고, 그 후, 땜납이 냉각되어,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의 주위 및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가 납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상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도 2를 Z1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2를 Y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도 2를 Z2측으로부터 보아 베이스 부재를 생략한 저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다층 기판을 생략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도 2에 나타내는 케이스 부재를 생략한 상방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를 Y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렌즈 유지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렌즈 유지 부재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렌즈 유지 부재에 가압 부재 및 제 1 코일이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렌즈 유지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렌즈 유지 부재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렌즈 유지 부재에 가압 부재 및 제 1 코일이 장착된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가압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가압 부재의 상측 판스프링의 상면도이고, 도 8의 (b)는 가압 부재의 하측 판스프링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가압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가압 부재에 서스펜션 와이어 및 고정 부재가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가압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P부분의 확대 상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Q부분의 확대 상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 1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렌즈 유지 부재 및 가압 부재를 생략한 저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영구 자석 및 고정 부재만을 표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 1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고정 부재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고정 부재에 영구 자석이 장착된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 1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R부분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4의 (a)는 베이스 부재에 서스펜션 와이어가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5의 (a)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S부분의 확대 상방 사시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T부분의 확대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6의 (a)는 도 14의 (a)에 자기 검출 부재 및 접착제를 나타낸 상방 사시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다층 기판을 배치한 상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 2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의 (a)는 도 16의 (b)에 영구 자석을 배치한 상방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를 Y1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각 제조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의 변형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9의 (a)는 상측 판스프링의 변형례 3을 나타내는 확대 상면도이고, 도 19의 (b)는 상측 판스프링의 변형례 4를 나타내는 확대 상면도이며, 도 19의 (c)는 베이스 부재의 변형례 6 내지 변형례 8을 나타내는 확대 하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종래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1의 (a)는 렌즈 구동 장치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21의 (b)는 렌즈 구동 장치의 하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설명하는 상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구동 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도 2를 Z1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2를 Y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Z2측으로부터 보아 도 1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7)를 생략한 저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다층 기판(98)을 생략한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케이스 부재(H9)를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를 Y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방체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체(도시하고 있지 않음)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2)를 렌즈체의 광축 방향(KD)(도 1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D1)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KU)과, 가동 유닛(KU)을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와, 가동 유닛(KU)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7)와, 가동 유닛(KU)을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D2)와, 가동 유닛(KU)의 교차 방향(CD)(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M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구동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가동 유닛(KU) 및 서스펜션 와이어(5)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부재(H9)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상방(도 5에 나타내는 Z1방향)에 배치된 프레임체(W9)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교차 방향(CD)(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은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가동 유닛(KU)의 제 1 구동 기구(D1)는, 도 1, 도 4의 (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주위에 감겨 고정된 환상(環狀)의 제 1 코일(13)과, 제 1 코일(13)의 외측으로 이간하여 대향하여 설치된 4개의 영구 자석(EM)(구동용 자석)과, 4개의 영구 자석(EM)이 고정되는 고정 부재(R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구동 기구(D1)는, 전원으로부터 제 1 코일(13)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력과 영구 자석(EM)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 2 구동 기구(D2)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4개의 영구 자석(EM)(구동용 자석)과, 영구 자석(EM)의 하방(도 5에 나타내는 Z2방향)에 배치되는 제 2 코일(2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구동 기구(D2)는, 전원으로부터 제 2 코일(23)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력과 영구 자석(EM)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가동 유닛(KU)을 교차 방향(CD)(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동 기구(D1)의 구동용 자석과 제 2 구동 기구(D2)의 구동용 자석을 4개의 영구 자석(EM)으로 적합하게 공용하고 있다. 그 때에는, 제 1 구동 기구(D1)의 제 1 코일(13)을 영구 자석(EM)의 내측에 대향하여 배치함과 함께, 제 2 구동 기구(D2)의 제 2 코일(23)을 영구 자석(EM)의 하방에 대향하여 배치하여, 양 코일이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검출 수단(M8)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영구 자석(EM)과, 영구 자석(EM)(검출용 자석)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자기 검출 소자를 가지는 자기 검출 부재(88)와, 자기 검출 부재(88)가 탑재된 다층 기판(98)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 수단(M8)은, 가동 유닛(KU)측에 배치되어 가동 유닛(KU)의 요동과 함께 이동하는 영구 자석(EM)의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가동 유닛(KU)의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 검출용 자석으로서 영구 자석(EM)의 2개를 적합하게 공용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 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를 접착제 등에 의해 렌즈 유지 부재(2)에 유지하고, 촬상 소자를 실장한 실장 기판(도시하고 있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100)는, 촬상 소자에 대하여 초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렌즈체에 유지된 렌즈를 광축 방향(KD)(도 2에 나타내는 Z방향)을 따라 이동시킴과 함께, 가동 유닛(KU)의 요동에 대하여 보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오토 포커스 기능과 손 떨림 보정 기능의 2개를 가진 렌즈 구동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가동 유닛(KU)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가동 유닛(KU)의 렌즈 유지 부재(2)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렌즈 유지 부재(2)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렌즈 유지 부재(2)에 가압 부재(4) 및 제 1 구동 기구(D1)의 제 1 코일(13)이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렌즈 유지 부재(2)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렌즈 유지 부재(2)에 가압 부재(4) 및 제 1 구동 기구(D1)의 제 1 코일(13)이 장착된 하방 사시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가동 유닛(KU)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체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2)와, 렌즈 유지 부재(2)를 렌즈체의 광축 방향(KD)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 부재(4)와, 가압 부재(4)의 일부가 고정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 및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와,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D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 및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는 렌즈 유지 부재(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 및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가 형성된 고정 부재(R6)도 렌즈 유지 부재(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4)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상부에 일방측의 부분이 고정되는 상측 판스프링(4A)과,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하부에 일방측의 부분이 고정되는 하측 판스프링(4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렌즈 유지 부재(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의 부분이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에 고정됨과 함께, 하측 판스프링(4C)의 타방측의 부분이 후술하는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 및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는, 후술하는 고정 부재(R6)와 일체로 하여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판스프링(4A)은 2개로 분할되어 있다.
먼저, 가동 유닛(KU)의 렌즈 유지 부재(2)는, 합성 수지재의 하나인 액정 폴리머(LCP, Liquid Crystal Polymer) 등을 이용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 형상의 내주면과 직사각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통부(12)와, 통부(12)의 상단측(도 6에 나타내는 Z1측)에서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처마부(eaves portion)(22)와, 통부(12)의 하단측(도 6에 나타내는 Z2측)에서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3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유지 부재(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W9)의 하방(도 5에 나타내는 Z2방향)에서 베이스 부재(7)의 상방(도 5에 나타내는 Z1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유지 부재(2)의 통부(12)에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가 그 내주면에 장착 가능하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렌즈체가 렌즈 유지 부재(2)에 유지된다. 또한, 통부(12)의 상단측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볼록 설치부(12t)가 4개소, 광축에 대하여 균등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100)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4개소의 볼록 설치부(12t)(렌즈 유지 부재(2))와 가압 부재(4)의 상측 판스프링(4A)(후술하는 제 1 부분(14))이 계합(engaging)되어, 이 볼록 설치부(12t)를 퓨징(fusing)함으로써, 상측 판스프링(4A)의 각각의 일방측의 부분이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된다.
또한, 통부(12)의 상단측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하는 각기둥 형상의 와인딩부(12k)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코일(13)의 코일 단부(端部)의 각각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와인딩부(12k)에 감겨 상측 판스프링(4A)의 각각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에서는, 2개의 코일 단부와 상측 판스프링(4A)을 납땜한 땜납(HD)을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크로스 해칭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처마부(22)와 플랜지부(32)의 사이의 통부(12)의 외주면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의 팔각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제 1 코일(13)이 팔각 형상(도 1을 참조)으로 권회(卷回)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2)측의 바닥면에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으로 들어간 오목 설치부(32r)가 4개소, 광축에 대하여 균등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100)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4개소의 오목 설치부(32r)(렌즈 유지 부재(2))와 가압 부재(4)의 하측 판스프링(4C)(후술하는 제 3 부분(34))이 대향 배치되어, 이 부분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하측 판스프링(4C)의 일방측의 부분이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된다.
다음에, 가동 유닛(KU)의 가압 부재(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가동 유닛(KU)의 가압 부재(4)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도 1에 나타내는 가압 부재(4)의 상측 판스프링(4A)을 Z1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1에 나타내는 가압 부재(4)의 하측 판스프링(4C)을 Z2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9의 (a)는 가압 부재(4)에 서스펜션 와이어(5) 및 고정 부재(R6)가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P부분의 확대 상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Q부분의 확대 상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의 (b)에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상측 판스프링(4A)(와이어 고정부(64))을 납땜한 땜납(HD)을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크로스 해칭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동 유닛(KU)의 가압 부재(4)는, 구리 합금을 주된 재질로 한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고,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통부(12)의 내주면보다 대경의 개구를 가지고, 렌즈 유지 부재(2)와 프레임체(W9)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판스프링(4A)과,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와 베이스 부재(7)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측 판스프링(4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유지 부재(2)와 가압 부재(4)의 각각(상측 판스프링(4A), 하측 판스프링(4C))이 계합되어, 렌즈 유지 부재(2)가 광축 방향(KD)(도 2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렌즈 유지 부재(2)를 지지하고 있다.
먼저, 가압 부재(4)의 상측 판스프링(4A)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한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회전 대칭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배치되었을 때에는, 외형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측 판스프링(4A)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HD)에 의해 제 1 코일(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 1 코일(13)로의 급전 부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상측 판스프링(4A)은 두께 방향이 광축 방향(KD)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측 판스프링(4A)은, 도 6의 (b)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된 복수(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제 1 부분(14)과, 도 8의 (a) 및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14)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에 고정된 복수(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제 2 부분(24)과,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14)과 제 2 부분(24)의 사이에 설치된 4개소의 탄성 아암부(54A)와, 제 1 부분(14)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제 1 부분(14)끼리를 연결하는 이음부(J4)와, 2개소의 제 2 부분(24)끼리를 연결하는 브릿징부(S4)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24)의 외측에 위치하고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납땜되는 4개소의 와이어 고정부(64)와, 제 2 부분(24)과 와이어 고정부(6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74)와, 와이어 고정부(64)로부터 내측(광축측)을 향하여 돌출한 판상(板狀)의 돌출부(8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측 판스프링(4A)의 4개소의 제 1 부분(14)은, 상측 판스프링(4A)이 렌즈 구동 장치(100)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14)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렌즈 유지 부재(2)의 볼록 설치부(12t)가 삽입 통과되고, 이 4개소의 부분에 각각 코킹되어, 상측 판스프링(4A)의 일방측이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되게 된다.
동일하게 하여, 상측 판스프링(4A)의 제 2 부분(24)은,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24)의 4개소의 각각에 설치된 2개의 관통 구멍(전부 8개, 도 8의 (a)를 참조)에,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의 돌기부(B16t)(후술함)가 삽입 통과되고, 이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이 고정 부재(R6)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측 판스프링(4A)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점대칭의 형상으로 2개의 부재가 구성되어 있고, 렌즈 유지 부재(2)에 대하여 제 1 부분(14)의 4개소의 균등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고정 부재(R6)에 대하여 제 2 부분(24)의 4개소의 균등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렌즈 유지 부재(2)를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측 판스프링(4A)의 와이어 고정부(64)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에 고정되는 제 2 부분(24)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4개소 설치되어 있고, 이 4개소의 와이어 고정부(64)의 각각에는, 관통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관통부(64k)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64)는, 이 관통부(64k)에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납땜된다.
다음에, 상측 판스프링(4A)의 연결부(7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8의 (a) 및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24)의 이간된 2개소로부터 와이어 고정부(64)측을 향하도록 연장 돌출하는 2개의 연장 돌출부(74e)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연장 돌출부(74e)는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고, 가동 유닛(KU)의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상측 판스프링(4A)의 돌출부(84)는, 도 8의 (a) 및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이며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연장 돌출부(74e)의 사이에서 와이어 고정부(64)로부터 내측(제 2 부분(24)의 중앙부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84)의 돌출 방향은 중심의 광축을 향한 방향이다. 환언하면, 와이어 고정부(64)의 관통부(64k)와 광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방향이다. 그리고, 이 돌출부(84)에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상측 판스프링(4A)의 돌출부(84)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돌출부(84)로부터 와이어 고정부(64)에 열을 전함으로써, 상측 판스프링(4A)의 와이어 고정부(64)와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를 납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손 납땜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성 등이 향상함과 함께, 납땜 공정에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돌출부(84)를 와이어 고정부(64)로부터 내측(광축측)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상측 판스프링(4A)의 외형 형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84)에는, 도 8의 (a) 및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64)측에 이웃하여 형성된 좁고 긴 형상의 개구부(84k)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84k)는 와이어 고정부(6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84k)는 관통 구멍(관통한 긴 구멍)으로부터 이루어지고, 돌출부(84)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치수(도 10의 (a)에 나타내는 Wa)가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84k)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술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 고정부(64)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돌출부(84)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납땜할 때에, 녹은 땜납(HD)이 이 개구부(84k)에 의해 가로막혀(도 10의 (b)를 참조), 땜납(HD)이 돌출부(84)측으로 넓게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고정부(64)의 땜납량이 불균일하기 어려워져, 와이어 고정부(64)와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의 납땜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부분(레이저 조사부)에까지 땜납(HD)이 흘러오지 않으므로, 레이저광에 의한 땜납(HD)의 비산이나 레이저광의 난반사에 의해 주변의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땜납(HD)의 일부는 개구부(84k)의 외측의 가장자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84k)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84k)의 폭 치수(도 10의 (a)에 나타내는 Wa)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84)의 가장자리부(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각)와 개구부(84k)의 가장자리부(직교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각)의 사이의 폭 치수(도 10의 (a)에 나타내는 Wb)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폭이 넓은 개구부(84k)에서 녹은 땜납(HD)을 확실하게 가로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HD)이 돌출부(84)측으로 넓게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84k)의 폭 치수(Wa)가 크면 클수록, 땜납(HD)의 가로막음 효과는 향상하나, 돌출부(84)로부터 와이어 고정부(64)로의 열전도 효과가 저하하므로, 그 폭 치수(Wa 및 Wb)의 밸런스는 그러한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밸런스를 고려하여, 개구부(84k)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Wa)를, 이 개구부(84k)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84)의 폭 치수(Wb+Wa+Wb)로부터 개구부(84k)의 폭 치수(Wa)를 뺀 부분의 치수(Wb+Wb)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부(64k)와 개구부(84k)의 사이의 접속 부분의 폭이, 개구부(84k)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84)의 폭(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땜납 필릿의 외형 형상(풋프린트)이, 이 폭이 좁게 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땜납 필릿이 크게 퍼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와이어 고정부(64)의 땜납량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부(64k)와 개구부(84k)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와이어 고정부(64)의 일부로 되어 있다.
게다가, 와이어 고정부(64)의 땜납량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관통부(64k)를 따라 하방측(이면측)에 형성되는 땜납 부착 영역(백 필릿)을 안정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5)에 대한 땜납(HD)의 영향의 불균일이 억제되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스프링 특성에 기여하는 유효 길이를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손 떨림 보정의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84k)의 내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부(84)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까지의 치수가, 관통부(64k)와 개구부(84k)의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84k)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부분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레이저 조사부에 확실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가압 부재(4)의 하측 판스프링(4C)은,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되는 복수(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제 3 부분(34)과, 도 8의 (b) 및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34)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에 고정된 복수(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제 4 부분(44)과,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34)과 제 4 부분(44)의 사이에 설치된 4개소의 탄성 아암부(54C)와, 각각 4개소의 제 3 부분(34)을 연결하는 연쇄부(R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하측 판스프링(4C)은 두께 방향이 광축 방향(KD)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판스프링(4C)은, 내측 형상이 원 형상이고, 외형 형상이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각의 서로가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대략 점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측 판스프링(4C)은, 제 3 부분(34)의 4개소의 균등한 위치에서 렌즈 유지 부재(2)를 지지함과 함께,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고정 부재(R6))에 대하여 제 4 부분(44)의 4개소의 균등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렌즈 유지 부재(2)를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34)과 렌즈 유지 부재(2)의 오목 설치부(32r)(도 7의 (a)를 참조)가 대향 배치되어, 이 부분이 접착제로 고정됨과 함께,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부분(44)의 4개소의 각각에 설치된 관통 구멍(도 8의 (b)를 참조)에,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의 돌기부(B26t)(후술함)가 삽입 통과되고, 이 부분이 접착제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압 부재(4)는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가동 유닛(KU)의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R6)의 상부측(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프레임 형상부(56)의 상측면)에 일체로 하여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제 2 부분(24))이 고정된다. 동일하게 하여, 가동 유닛(KU)의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는,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R6)의 하부측에 일체로 하여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측 판스프링(4C)의 타방측(제 4 부분(44))이 고정된다.
다음에, 가동 유닛(KU)의 제 1 구동 기구(D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 1 구동 기구(D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렌즈 유지 부재(2) 및 가압 부재(4)를 생략한 저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영구 자석(EM) 및 고정 부재(R6)만을 표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제 1 구동 기구(D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고정 부재(R6)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고정 부재(R6)에 영구 자석(EM)이 장착된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에 나타내는 R부분의 확대 저면도이다.
가동 유닛(KU)의 제 1 구동 기구(D1)는,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도 2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렌즈 유지 부재(2)의 주위에 권회되어 고정된 제 1 코일(13)과, 제 1 코일(13)의 외측에 대향하여 설치된 4개의 영구 자석(EM)과, 4개의 영구 자석(EM)이 고정되는 고정 부재(R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 1 구동 기구(D1)의 제 1 코일(13)은 외주에 절연 피복(코팅)이 실시된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고,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부재(2)의 외주에 권회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에는, 제 1 코일(13)은,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마부(22)와 플랜지부(32)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제 1 코일(13)측을 향하는 영구 자석(EM)의 면)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제 1 코일(13)은,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팔각형의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대향하여 연장되는 4개의 연장부(13q)와, 이웃하는 연장부(13q)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부(13r)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코일(13)은, 금속 선재가 권회되어 다발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도 1, 도 4의 (b), 도 7의 (b) 및 도 11의 (a)에서는, 간략화하여 표면을 평탄하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 코일(13)은, 권회된 금속 선재의 양단부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단부의 각각이 상측 판스프링(4A)의 각각과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구동 기구(D1)의 영구 자석(EM)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을 4개 이용하여, 도 11 및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제 1 코일(13)측을 향하고 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EMp)과, 내측면(EMp)과는 반대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EMq)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EM)은, 광축을 둘러싸도록 하여, 평행하여 대향하는 1세트가 각각이 직교 배치되어 고정 부재(R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EM)은 내측면(EMp)과 외측면(EMq)에서 상이한 자극이 되도록 착자(着磁)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구동 기구(D1)의 고정 부재(R6)는, 합성 수지재의 하나인 액정 폴리머(LCP) 등을 이용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EM)의 외측면(EMq)과 대향하여 외주를 형성하는 대향 벽부(46)와, 대향 벽부(46)와 직교하여 형성되고 상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 형상부(56)와, 네 모퉁이에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부(56)로부터 하방측으로 돌출한 연장 설치부(66)와,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맞닿음 가능한 위치 결정부(7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부재(R6)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영구 자석(EM)이 장착되고,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위치 결정부(76)가 맞닿아 배치되어, 위치 결정부(76)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R6)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고정 부재(R6)의 위치 결정부(76)가 맞닿아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영구 자석(EM)의 두께가 불균일해도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제 1 코일(13)과의 거리의 불균일이 억제되어, 영구 자석(EM)이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EM)으로부터의 제 1 코일(13)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안정되고,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력도 안정되게 된다.
먼저, 고정 부재(R6)의 대향 벽부(46)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연장 설치부(66)끼리의 사이에, 게다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고정 부재(R6)의 4변의 외주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R6)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부재(R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영구 자석(EM)을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대향 벽부(46)의 각각에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 부분에 노치(46k)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노치(46k)를 이용하여,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배치된 후에라도(도 12의 (b)를 참조), 영구 자석(EM)과 고정 부재(R6)에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거나, 그 접착제(자외선 경화형)에 자외선을 외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0)를 제작할 때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대향 벽부(46)는, 영구 자석(EM)의 외측면(EMq)과 대향하게 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외측면(EMq)과 대향 벽부(46)의 사이에 제 1 간극(6g)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간극(6g)에는 접착제가 설치되어, 영구 자석(EM)과 고정 부재(R6)가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측면(EMq)과 대향 벽부(46)와의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 영구 자석(EM)과 고정 부재(R6)를 접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강한 강도로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고정할 수 있어, 낙하 등의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 부재(R6)의 프레임 형상부(56)는, 도 1 및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벽부(46)와 직교하는 평면에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R6)의 상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프레임 형상부(56)의 4변(사방)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 설치하여 대향 벽부(46)가 형성됨과 함께, 프레임 형상부(56)의 네 모퉁이로부터 하방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설치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대향 벽부(46), 프레임 형상부(56) 및 연장 설치부(66)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부(56)의 네 모퉁이의 상면측에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가 설치되고,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제 2 부분(24))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의 돌기부(B16t)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상측 판스프링(4A)의 제 2 부분(24)은 고정 부재(R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영구 자석(EM)의 상면(EMa)(도 1을 참조)과 고정 부재(R6)의 프레임 형상부(56)의 사이에 제 2 간극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 부재(R6)의 연장 설치부(66)는, 프레임 형상부(56)의 네 모퉁이로부터 하방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KD)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연장 설치부(66)에는, 도 11 및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벽부(46)와 평행하게 형성된 위치 결정부(7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 연장 설치부(66)와 프레임 형상부(56)와 대향 벽부(46)와 위치 결정부(76)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2방은 개방)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에는,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배치되었을 때에, 영구 자석(EM)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영구 자석(EM)의 길이 방향(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 도 11에 나타내는 X방향 또는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이 수용된다. 그리고, 영구 자석(EM)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의 내측면(EMp)과 위치 결정부(76)가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내측면(EMp)의 2점에서 위치 결정되게 되어,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영구 자석(EM)과 제 1 코일(13)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연장 설치부(66)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KD)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EM)의 하면(EMz)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하단면(下端面)(66p)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의 광축 방향(KD)(높이 방향)의 치수가 불균일해도, 연장 설치부(66)의 하단면(66p)과 영구 자석(EM)의 하면(EMz)을 기준으로 하여 영구 자석(EM)을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영구 자석(EM)의 상면(EMa)과 고정 부재(R6)의 프레임 형상부(56)의 사이에 제 2 간극을 가지므로, 영구 자석(EM)의 치수 불균일을 이 제 2 간극에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설치부(66)의 하부측에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가 설치되고,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판스프링(4C)의 타방측(제 4 부분(44))이,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의 돌기부(B26t)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 부재(R6)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 부재(R6)의 위치 결정부(7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장 설치부(66)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연장 설치부(66)의 한 쪽의 위치 결정부(76)의 각각과 1개의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이 맞닿아 있다. 또한, 이 2개의 위치 결정부(76)는, 제 1 코일(13)의 연장부(13q)의 연장 설치 방향의 외측에 위치, 환언하면, 제 1 코일(13)의 굴곡부(13r)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EM)이 제 1 코일(13)의 연장부(13q)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접 대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기구(D1)에 의한 광축 방향(KD)으로의 추력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KD)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76)의 길이 치수는, 대향 벽부(46)의 광축 방향(KD)의 길이 치수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의 위치 결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대향 벽부(46)을 작게 게다가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 부재(R6)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결합할 때에는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하기 쉽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76)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향 벽부(46)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연장 돌출한 연장 벽부(66w)를 가지고 있고,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이 연장 벽부(66w)와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의 사이에 제 3 간극(6s)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3 간극(6s)에는 접착제가 설치되어 영구 자석(EM)과 고정 부재(R6)가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강한 강도로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고정할 수 있어, 낙하 등의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가동 유닛(KU)은, 렌즈 유지 부재(2)와 가압 부재(4)(상측 판스프링(4A) 및 하측 판스프링(4C))와 제 1 구동 기구(D1)(제 1 코일(13), 영구 자석(EM) 및 고정 부재(R6))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원으로부터 상측 판스프링(4A)을 개재하여 제 1 코일(13)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코일(13)에 추력이 작용하고, 렌즈 유지 부재(2)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영구 자석(EM)이 광축(제 1 코일(13))을 둘러싸서 4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코일(13) 및 영구 자석(EM)에서 만들어 내는 광축 방향(KD)으로의 구동력을 렌즈 유지 부재(2)에 대하여 밸런스 좋게 작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서스펜션 와이어(5)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스펜션 와이어(5)는, 도전성을 가지고 또한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고 있고, 상단부가 상측 판스프링(4A)(와이어 고정부(64))과 납땜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7)(후술하는 도금부(7m))에 납땜되어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 와이어(5)는, 상측 판스프링(4A)을 개재하여 가동 유닛(KU)의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금속 재료로서, 예를 들면 구리 합금 등을 이용하고 있고, 단면이 직경 50㎛ 정도의 원형이고, 탄성에 기여하는 유효 길이가 3㎜ 정도이다.
다음에,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 부재(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베이스 부재(7)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4의 (a)는 베이스 부재(7)에 서스펜션 와이어(5)가 장착된 상방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방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S부분의 확대 상방 사시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T부분의 확대 하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와 베이스 부재(7)(도금부(7m))를 납땜한 땜납(HD)을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크로스 해칭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는 도 14의 (a)의 베이스 부재(7)에 자기 검출 부재(88) 및 접착제(도면 중에 나타내는 AD)를 나타낸 상방 사시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추가로 다층 기판(98)을 배치한 상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의 (b)에는 다층 기판(98)의 이면측(하면)에 실장된 자기 검출 부재(88)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 부재(7)는, 렌즈 유지 부재(2)나 고정 부재(R6)와 동일한 합성 수지재의 하나인 액정 폴리머(LCP)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직사각 형상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 원 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환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7)는,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17)와, 베이스 부재(7)의 상면측에 설치된 접착제 배치부(37)와, 베이스 부재(7)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박육부(57)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먼저, 베이스 부재(7)의 기부(17)에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하면(17u) 및 측면에 입체적으로 배선된 도전부(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전부(7c)는, 후술하는 다층 기판(98)에 설치된 제 2 코일(23)과 도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7)의 상면측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들어간 오목부(7r)가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이 오목부(7r)에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층 기판(98)에 탑재된 자기 검출 부재(88)가 수용된다. 이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0)는, 자기 검출 부재(88)의 두께분(높이분)에 상당하는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7)의 하면(17u)측에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T9)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T9)의 각각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촬상 소자를 실장한 실장 기판의 전극 랜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실장 기판의 전극 랜드로부터 전력 등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자기 검출 부재(88)(검출 수단(M8))로부터의 신호를 취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전극 랜드에 접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T9)는 도전부(7c), 서스펜션 와이어(5), 상측 판스프링(4A)을 개재하여 제 1 구동 기구(D1)의 제 1 코일(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도전부(7c), 다층 기판(98)을 개재하여 제 2 구동 기구(D2)의 제 2 코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T9)는 도전부(7c), 다층 기판(98)을 개재하여 자기 검출 부재(8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7)의 접착제 배치부(37)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7)의 상면측에 4개소 설치되어 있고, 주위에 환상의 홈부(37m)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접착제 배치부(37)에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AD)가 도포된다. 그리고,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층 기판(98)이 베이스 부재(7)의 상면측에 탑재되어, 이 접착제(AD)에 의해, 다층 기판(98)이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된다. 그 때에는, 접착제 배치부(37)는 다층 기판(98)에 설치된 제 2 코일(23)의 각각에 대응한 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제 2 코일(23)의 부분의 들뜸을 방지하고, 제 2 코일(23)과 영구 자석(EM)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배치부(37)가 주위에 환상의 홈부(37m)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층 기판(98)과 베이스 부재(7)를 맞붙일 때에, 여분의 접착제(AD)가 환상의 홈부(37m)에 수용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적절한 접착제(AD)의 두께로 맞붙일 수 있음과 함께, 접착제(AD)가 다층 기판(98)의 외부로 밀려 나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7)의 박육부(57)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치수(Z방향의 치수)가 기부(17)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도 5의 (b) 및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57)의 하면(57v)이 기부(17)의 하면(17u)보다 상방(도 5의 (b)에 나타내는 Z1방향)에 위치하여,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57)(하면(57v))와 기부(17)(하면(17u))는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 즉, 박육부(57)의 하면(57v)과 기부(17)의 하면(17u)의 사이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를 구성하고 있는 벽부(57w)는 박육부(57)측을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57w)는 박육부(57)의 하면(57v)에 대하여, 수직(약 90°)으로 형성된 수직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박육부(57)의 하면(57v)과 기부(17)의 하면(17u)이 부분적으로 테이퍼면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박육부(57)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7h)과, 관통 구멍(7h)의 주위 및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7m)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관통 구멍(7h)의 주위란, 관통 구멍(7h)과 이웃하는 박육부(57)의 하면(57v) 또는 상면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 구멍(7h)의 주위의 도금부(7m)는 적어도 박육부(57)의 하면(57v)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육부(57)의 하면(57v)과 상면의 양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육부(57)의 하면(57v)의 전면(全面)에는,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벽부(57w)에도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면(57v)의 금속 피막은 벽부(57w)의 전역에 형성된 금속 피막과 연속하고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 와이어(5)가 관통 구멍(7h)에 삽입 통과되어,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가 도금부(7m)에 납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가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예의 필름 기재인 FPC(933)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가 FPC와 비교하여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손 떨림 보정을 위한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CD)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7)는,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박육부(57)는 두께 치수가 기부(17)보다 작기 때문에, 『박육부』라고 호칭하고 있으나, 상단부가 상측 판스프링(4A)에 납땜된 서스펜션 와이어(5)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진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금부(7m)에서 납땜되면, 관통 구멍(7h)의 상부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를 둘러싸도록 상부 땜납 필릿이 형성됨과 함께, 관통 구멍(7h)의 하부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를 둘러싸도록 하부 땜납 필릿이 형성된다. 또한, 상세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상부 땜납 필릿이 하부 땜납 필릿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7)의 상방에 배치된 가동 유닛(KU)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에 있어서의, 스프링 특성에 기여하는 유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특성이 향상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 치수가 기부(17)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57)에 관통 구멍(7h)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HD)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납땜 시에 땜납(HD)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땜납 필릿(상부 땜납 필릿 및 하부 땜납 필릿)이 이 박육부(57)에 형성되므로, 기부(17)의 두께 치수 내로 땜납 필릿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박육부(57)의 하면(57v)과 벽부(57w)의 적어도 수직벽의 부분에도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납땜할 때에,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행하는 경우, 가령 플럭스나 땜납(HD)이 비산하여 하면(57v) 및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57v) 및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땜납 페이스트 또는 땜납(HD)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면(57v) 및 벽부(57w)에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의 금속 피막에 의해 방열할 수 있다. 게다가, 벽부(57w)로부터 기부(17)에 형성된 단자부에 걸쳐(경우에 따라서는 단자(T9)까지) 금속 피막을 연결함으로써, 이 부분의 금속 피막과 단자부에 의해 여분인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박육부(57)에 부여되는 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부식되기 어렵고, 내환경성이 우수함과 함께 납땜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금속 피막은, 금의 하층에 니켈 및 구리로 이루어지는 2층의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하여 납땜을 행하는 경우에는, 금에 의한 레이저광의 반사율이 높으므로(약 95%), 땜납(HD)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박육부(57)의 하면(57v)이나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확실하게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박육부(57)나 벽부(57w)에 부여되는 열량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 2 구동 기구(D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제 2 구동 기구(D2)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의 (a)는 도 16의 (b)에 영구 자석(EM)을 배치한 상방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를 Y1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또한, 도 17의 (b)에는, 다층 기판(98)의 이면측(하면)에 실장된 자기 검출 부재(88)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 2 구동 기구(D2)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 기구(D1)에서도 이용한 4개의 영구 자석(EM)과, 4개의 영구 자석(EM)의 하방에 이간하여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제 2 코일(23)을 가지고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의 전원으로부터 단자(T9)를 개재하여 제 2 코일(23)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력과 영구 자석(EM)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가동 유닛(KU)을 교차 방향(CD)(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EM)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구동 기구(D2)의 제 2 코일(23)은,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층 기판(98)에 설치되고, 도전층이 다층으로 형성된 이 다층 기판(98)을 이용하여,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패턴이 복수층 적층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다층 기판(98)이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복수의 제 2 코일(23)은 베이스 부재(7)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으나, 각 층에 형성된 패턴간의 접속은 스루홀로 행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제 2 코일(23)은, 다층 기판(98)의 하면에 형성된 전극 단자(도시하고 있지 않음)와 도통하고 있고, 이 전극 단자와 베이스 부재(7)의 도전부(7c)가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코일(23)은,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한 다층 기판(98)의 각각의 변부를 따른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100)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제 2 코일(23)의 각각은, 4개의 영구 자석(EM)의 각각과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영구 자석(EM)의 길이 방향과 제 2 코일(23)의 길이 방향이 일치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4개의 제 2 코일(23)의 길이 방향은,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끼리가 서로 직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렌즈 유지 부재(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의 한 쌍의 제 2 코일(23)이 X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함께, 타방의 한 쌍의 제 2 코일(23)이 Y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한 쌍의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흘려, 가동 유닛(KU)을 X방향과 Y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코일(23)은,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KD)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봤을 때, 렌즈 유지 부재(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각각이 동일한 사이즈이고 게다가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에, 가동 유닛(KU)을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 밸런스 좋게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EM)은, 고정 부재(R6)(연장 설치부(66))의 하단면(66p)을 기준으로 하여 영구 자석(EM)의 하면(EMz)이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된 다층 기판(98)에 형성된 제 2 코일(23)과, 영구 자석(EM)의 하면(EMz)과의 거리의 불균일이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코일(23)로부터 영구 자석(EM)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안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교차 방향(CD)의 추력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어, 가동 유닛(KU)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음에, 렌즈 구동 장치(100)의 검출 수단(M8)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출 수단(M8)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4개의 영구 자석(EM) 중의 2개와, 영구 자석(EM)(검출용 자석)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자기 검출 소자를 가지는 자기 검출 부재(88)와, 자기 검출 부재(88)가 탑재된 다층 기판(98)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 수단(M8)은, 가동 유닛(KU)의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EM)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도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검출 수단(M8)의 자기 검출 부재(88)는, 자계의 변화에 의해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예를 들면 거대 자기 저항 효과를 이용한 자기 검출 소자(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라고 함)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자기 검출 부재(88)는 4개의 단자부를 외측에 노출하여,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이 자기 검출 소자(자기 저항 효과 소자)를 내장한 패키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기 검출 부재(88)는, 2개의 자기 검출 소자를 이용하고 있고,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층 기판(98)의 하면에 탑재(실장)되고, 다층 기판(98)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영구 자석(EM)과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 검출 부재(88)는, 가동 유닛(KU)측에 배치되고 고정 부재(R6)에 고정된 영구 자석(EM)이 발생한 자계를 검지하고, 가동 유닛(KU)의 교차 방향(CD)(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자계의 방향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검출 소자가 하면에 탑재된 다층 기판(98)에 있어서의 제 2 코일(23)이 베이스 부재(7)의 도전부(7c)와 도통 접속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933))이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자기 검출 소자와 영구 자석(EM)의 거리를 가까이 할 수 있음과 함께, 자기 검출 소자가 판상이며 강성이 있는 다층 기판(98)에 안정적으로 탑재된다. 이것에 의해, 자기 검출 소자에 의한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의 제어가 안정된 것이 된다.
또한, 자기 검출 부재(88)(자기 검출 소자)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한 2개의 제 2 코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선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 코일(23)이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자기 검출 소자가 받기 어려운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제 2 코일(23)의 하측에 자기 검출 소자가 있으면, 제 2 코일(2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받아 검출의 정밀도가 나빠진다.
다음에, 검출 수단(M8)의 다층 기판(98)은, 다층의 프린트 배선판(PWB, printed wiring board)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렌즈 유지 부재(2)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기판(母基板)으로부터 다층 기판(98)을 제작할 때에, 1개의 연결된 기판(링 형상의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분할된 기판을 양호한 수율로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1개의 모기판으로부터의 취득 개수가 증가하여, 다층 기판(98)의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1개의 다층 기판(98) 쪽에는 2개의 자기 검출 소자가 합쳐서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기 검출 부재(88)(자기 검출 소자)를 실장할 때에, 모든 기판에 각각 실장하지 않고, 최소한의 기판에만 실장하면 된다. 이 때문에, 생산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검출 수단(M8)은, 가동 유닛(KU), 나아가서는 렌즈 유지 부재(2)의 교차 방향(CD)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100)는, 검출 수단(M8)으로부터의 신호 정보에 의거하여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렌즈 유지 부재(2)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렌즈 구동 장치(100)의 프레임체(W9)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체(W9)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terephtalate) 등의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개구를 가지고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룬 환상의 부재이다.
또한, 프레임체(W9)의 네 모퉁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관통한 구멍(W9k)으로 이루어지는 1세트(합계 8개)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체(W9)가 렌즈 구동 장치(100)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의 돌기부(B16t)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이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프레임체(W9)와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에 의해 협지(挾持)된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제 2 부분(24))이 고정 부재(R6)측에 고정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케이스 부재(H9)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 부재(H9)는, 비자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절단 가공, 드로잉 가공 등을 행하여 제작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직사각 형상(평면에서 봤을 때)을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부재(H9)는 가동 유닛(KU), 서스펜션 와이어(5), 제 2 구동 기구(D2), 검출 수단(M8) 및 프레임체(W9)를 덮도록 하여, 그들 부재를 수용하여,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부재(H9)와 베이스 부재(7)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에 구성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가동 유닛(KU)에 있어서는, 제 1 코일(13)의 양단부가 상측 판스프링(4A), 서스펜션 와이어(5) 및 베이스 부재(7)의 도전부(7c)를 개재하여 급전용의 단자(T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T9)로부터 제 1 코일(13)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영구 자석(EM)으로부터의 자속은, 영구 자석(EM)을 출발하여 제 1 코일(13)을 통과하고 영구 자석(EM)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부터, 일방의 단자(T9)측으로부터 제 1 코일(1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제 1 코일(13)에는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광축 방향(KD)인 Z1방향으로부터 Z2방향으로 향하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렌즈 유지 부재(2)가 Z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타방의 단자(T9)측으로부터 제 1 코일(1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광축 방향(KD)인 Z2방향으로부터 Z1방향으로 향하는 전자력이 발생하여, 렌즈 유지 부재(2)가 Z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코일(13)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제 1 코일(13)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0)는, 가동 유닛(KU)의 가압 부재(4)에 지지되면서,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를 렌즈 유지 부재(2)와 일체로 하여 광축 방향(KD)(도 2에 나타내는 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 2 구동 기구(D2)에 있어서는, 4개의 제 2 코일(23)의 각각이 다층 기판(98) 및 베이스 부재(7)의 도전부(7c)를 개재하여 급전용의 단자(T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T9)로부터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영구 자석(EM)으로부터의 자속은, 영구 자석(EM)을 출발하여 제 2 코일(23)을 통과하고 영구 자석(EM)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부터, X방향으로 긴 일방의 한 쌍의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X방향으로 긴 제 2 코일(23)에는 Y방향을 향한 전자력이 발생한다. 또한, Y방향으로 긴 타방의 한 쌍의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Y방향으로 긴 제 2 코일(23)에는 X방향을 향한 전자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제 2 코일(23)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에 지지된 가동 유닛(KU)에 대하여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추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유닛(KU)을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는,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7)의 관통 구멍(7h)에 삽입 통과되고, 적어도 관통 구멍(7h)의 주위 및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7m)에 납땜되어 있으므로, 서스펜션 와이어(5)가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외형이 직사각 형상을 이룬 베이스 부재(7)의 모서리부에는, 두께 치수가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17)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57)를 가지고, 이 박육부(57)에 관통 구멍(7h)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HD)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납땜 시에 땜납(HD)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57)의 하면(57v)과 벽부(57w)에는,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납땜할 때에,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행하는 경우, 가령 플럭스나 땜납(HD)이 비산하여 하면(57v) 및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57v) 및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7h)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땜납 필릿이 관통 구멍(7h)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땜납 필릿보다 작으므로, 베이스 부재(7)의 상방에 배치된 가동 유닛(KU)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에 있어서의, 스프링 특성에 기여하는 유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특성이 향상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이므로, 예를 들면 부식되기 어렵고, 내환경성이 우수함과 함께, 납땜성도 양호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각 제조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재(도 1에 나타내는 렌즈 유지 부재(2), 제 1 코일(13), 가압 부재(4)(상측 판스프링(4A), 하측 판스프링(4C)), 영구 자석(EM), 서스펜션 와이어(5), 고정 부재(R6), 베이스 부재(7), 제 2 코일(23)이 형성된 다층 기판(98), 자기 검출 부재(88), 프레임체(W9), 케이스 부재(H9))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PJ)과, 각 부재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PK)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준비 공정(PJ)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납땜되는 가압 부재(4)를 제작하는 가압 부재 제작 공정(JB)과, 영구 자석(EM)이 고정되는 고정 부재(R6)를 제작하는 고정 부재 제작 공정(JC)과,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와 납땜되는 베이스 부재(7)를 제작하는 베이스 부재 제작 공정(JD)과, 베이스 부재(7)에 고정되는 다층 기판(98)을 제작하는 다층 기판 제작 공정(JE)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부재에 관해서도 각각 제작 공정(JA)을 가지고 있으나, 두드러진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조립 공정(PK)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상측 판스프링(4A)의 관통부(64k)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키는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1 삽입 통과 공정(K1))과, 상측 판스프링(4A)의 와이어 고정부(64)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제 1 도포 공정(K2))과, 와이어 고정부(64)와 서스펜션 와이어(5)를 납땜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과, 베이스 부재(7)의 관통 구멍(7h)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키는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과, 베이스 부재(7)의 도금부(7m)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과, 도금부(7m)와 서스펜션 와이어(5)를 납땜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조립에 관한 공정을 갖고 있으나, 두드러진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준비 공정(PJ)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액정 폴리머(LCP) 등을 사출 성형하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유지 부재(2)를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외주에 절연 피복(코팅)이 실시된 금속 선재를 렌즈 유지 부재(2)의 일방의 와인딩부(12k)에 감아, 처마부(22)와 플랜지부(32)의 사이에 형성된 외주면에 권회하고 있다. 권회가 종료하면, 타방의 와인딩부(12k)에 감아 금속 선재를 절단하고, 팔각 형상의 제 1 코일(13)을 제작하고 있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가압 부재 제작 공정(JB)에서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판을 준비하고, 복수의 금형으로 복수회의 펀칭 가공을 행함으로써, 가압 부재(4), 즉 상측 판스프링(4A)과 하측 판스프링(4C)을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판스프링(4A)을 제작할 때에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되는 제 1 부분(14)과,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에 고정되는 제 2 부분(24)과, 제 1 부분(14)과 제 2 부분(24)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아암부(54A)와, 제 2 부분(24)의 외측에 위치하고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납땜되는 와이어 고정부(64)와, 제 2 부분(24)과 와이어 고정부(6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74)를 가지도록, 금형의 형상을 정해 둔다. 또한, 연결부(74)가 제 2 부분(24)의 이간된 2개소로부터 와이어 고정부(64)측을 향하도록 연장 돌출하는 2개의 연장 돌출부(74e)를 가지고, 2개의 연장 돌출부(74e)의 사이에는, 와이어 고정부(64)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한 판상의 돌출부(84)도 설치되도록 금형의 형상을 정해 둔다.
또한, 와이어 고정부(64)에는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부(64k)를 가짐과 함께, 돌출부(84)에는 와이어 고정부(64)에 이웃한 개구부(84k)도 형성되도록 금형의 형상을 정해 둔다. 또한, 개구부(84k)가, 돌출부(84)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치수가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된 관통 구멍(관통한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84k)의 치수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84)의 가장자리부와 개구부(84k)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폭 치수보다 커지고, 또한 관통부(64k)와 개구부(84k)의 사이의 부분의 폭이, 개구부(84k)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돌출부(84)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금형의 형상을 정해 둔다.
또한, 하측 판스프링(4C)을 제작할 때에도, 동일하게 하여,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되는 제 3 부분(34)과,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에 고정되는 제 4 부분(44)과 제 3 부분(34)과 제 4 부분(44)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아암부(54C)와, 각각의 제 3 부분(34)을 연결하는 연쇄부(R4)를 가지도록, 금형의 형상을 정해 둔다. 또한, 상측 판스프링(4A)과 하측 판스프링(4C)을 펀칭 가공으로 제작하지 않고 에칭 가공으로 제작해도 된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네오디뮴 등의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가늘고 긴 판상을 이룬 형상으로 소결하여, 영구 자석(EM)을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형상의 영구 자석(EM)을 4개 준비하고,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외측면(EMq)에서 상이한 자극이 되도록 착자하고 있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선을 준비하고, 이 금속선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고 또한 탄성이 우수한 서스펜션 와이어(5)를 제작하고 있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고정 부재 제작 공정(JC)에서는, 액정 폴리머(LCP) 등을 사출 성형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R6)를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R6)를 제작할 때에는, 금형의 형상을 미리 정해 둠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를 형성하는 대향 벽부(46)와, 상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 형상부(56)와, 네 모퉁이에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부(56)로부터 하방측으로 돌출한 연장 설치부(66)와, 영구 자석(EM)의 제 1 코일(13)측을 향하는 내측면(EMp)과 맞닿음 가능한 위치 결정부(76)를 가지도록 금형의 형상을 제작한다. 동일하게 하여, 대향 벽부(46)에는 중앙 부분에 노치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광축 방향(KD)에 있어서의 대향 벽부(46)의 길이 치수가 위치 결정부(76)의 길이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수용되었을 때에, 대향 벽부(46)와 영구 자석(EM)의 외측면(EMq)의 사이에 제 1 간극(6g)을 가짐과 함께(도 13을 참조), 영구 자석(EM)의 하면(EMz)과 연장 설치부(66)의 하단면(66p)을 일치시킨 경우에, 프레임 형상부(56)와 영구 자석(EM)의 상면(EMa)의 사이에 제 2 간극을 가지도록도 금형을 제작해 둔다.
또한, 고정 부재(R6)의 프레임 형상부(56)의 상측면에는,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제 2 부분(24))이 고정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가 형성됨과 함께, 고정 부재(R6)의 연장 설치부(66)의 하부측에는, 하측 판스프링(4C)의 타방측(제 4 부분(44))이 고정되는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가 형성되도록, 금형을 제조해 둔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베이스 부재 제작 공정(JD)에서는, 먼저 액정 폴리머(LCP) 등을 사출 성형하여, 도전부(7c) 및 단자(T9)를 지지하는 제 1 성형 부재를 제작한다. 다음에, 이 제 1 성형 부재에 도금을 실시하기 위한 촉매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이 제 1 성형 부재를 금형에 세팅하여, 도전부(7c) 및 단자(T9)에 상당하는 부분 이외를 덮도록 제 2 성형 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에 의해, 외형이 직사각 형상의 판상 형상이며 원 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환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17)와, 베이스 부재(7)의 상면측에 설치된 접착제 배치부(37)와, 베이스 부재(7)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박육부(57)를 가진 성형 부재가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제 1 성형 부재가 표면에 노출된 부분에 구리 도금, 니켈 도금, 금 도금의 순으로 도금 피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면, 하면(17u) 및 측면에 도전부(7c) 및 단자(T9)가 입체적으로 배선된 베이스 부재(7)를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7)를 제작할 때에는, 고정 부재(R6)와 동일하게, 금형의 형상을 미리 정해 둠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57)에는,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7h)과, 관통 구멍(7h)의 주위 및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7m)를 가짐과 함께, 박육부(57)의 하면(57v)이 기부(17)의 하면(17u)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금형을 제조해 둔다.
또한, 베이스 부재(7)를 제작할 때에는, 박육부(57)와 기부(17)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벽부(57w)에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박육부(57)의 하면(57v) 및 벽부(57w)에는,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으로 도금이 실시되도록, 제 1 성형 부재 및 제 2 성형 부재를 구성해 둔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다층 기판 제작 공정(JE)에서는, 도전층이 다층으로 형성된 모기판을 이용하고, 모기판에 복수개의 다층 기판(98)을 형성하여, 분할 가공을 행함으로써, 다층 기판(98)을 제작하고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다층 기판(98)이 렌즈 유지 부재(2)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형상의 2개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1개의 연결된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기판에 양호한 수율로 2개의 다층 기판(98)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층 기판(98)의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층 기판(98)에는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패턴이 복수층 적층된 제 2 코일(23)을 제작해 둔다. 그 때에는, 2개의 다층 기판(98)이 조립되었을 때에, 광축 방향(KD)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봤을 때, 렌즈 유지 부재(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 2 코일(23)의 각각이 동일한 사이즈이고 게다가 점대칭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 2 코일(23)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에, 가동 유닛(KU)을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CD))으로 밸런스 좋게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자기 검출 소자(GMR 소자)가 열경화형의 합성 수지로 패키징된 자기 검출 부재(88)를 제작하고 있다. 그 때에는, 4개의 단자부를 외측에 노출한 패턴을 가진 수지 패키지 기재를 이용하여, 이 수지 패키지 기재에 자기 검출 소자(GMR 소자)를 탑재하고, 와이어 본딩으로 서로의 배선을 접속한 후에 패키징하고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자기 검출 부재(88)를 마운터기 등을 이용하여, 다층 기판(98)의 하면에 탑재한다. 그 때에는, 이웃한 2개의 제 2 코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선 상에 자기 검출 부재(88)를 탑재하도록 하여, 제 2 코일(23)이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자기 검출 소자가 받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분할된 1개의 다층 기판(98) 쪽에, 2개의 자기 검출 소자를 합쳐서 탑재(실장)하도록 하고, 최소한의 기판에만 자기 검출 부재(88)(자기 검출 소자)를 실장하여, 생산성을 좋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사출 성형하여,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개구를 가지고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룬 프레임체(W9)를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체(W9)의 네 모퉁이에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의 돌기부(B16t)가 삽입 통과되는 2세트의 관통한 구멍(W9k)이 형성된다.
또한, 준비 공정(PJ)의 제작 공정(JA)에서는, 비자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절단 가공, 드로잉 가공 등을 행하고, 외형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 형상(평면에서 봤을 때)을 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H9)를 제작하고 있다.
다음에, 조립 공정(PK)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고정 부재(R6)에 영구 자석(EM)을 장착하는 영구 자석 장착 공정(LA)을 행해 둔다. 이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결합할 때에는, 평판 형상의 지그의 위에, 영구 자석(EM)을 탑재하고, 추가로 영구 자석(EM)을 덮도록 하여 고정 부재(R6)를 탑재한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EM)의 하면(EMz)과 고정 부재(R6)의 연장 설치부(66)의 하단면(66p)을 동일 평면에서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영구 자석(EM)을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EM)의 상면(EMa)과 고정 부재(R6)의 프레임 형상부(56)의 사이에 생기는 제 2 간극의 부분에는 열경화형의 접착제를 미리 도포해 둔다.
또한,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에 결합된 후에, 대향 벽부(46)의 노치(46k)(오목 형상부)의 부분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노치(46k)를 가짐으로써,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대향 벽부(46)와 영구 자석(EM)의 외측면과의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 고정 부재(R6)와 영구 자석(EM)을 접착할 수 있으므로, 강한 강도로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영구 자석(EM)과 대향 벽부(46)의 사이에 얇은 지그를 삽입하여,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을 위치 결정부(76)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경화시키고, 영구 자석(EM)을 고정 부재(R6)에 고정한다. 그 후, 지그를 제거한다.
또한, 고정 부재(R6)의 연장 벽부(66w)와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의 사이에 설치된 제 3 간극(6s)의 부분에 열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함으로써 열경화형의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 2 간극의 부분과 제 3 간극(6s)의 부분에서, 영구 자석(EM)과 고정 부재(R6)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낙하 등의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영구 자석(EM)이 고정 부재(R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영구 자석(EM)의 두께가 불균일해도,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고정 부재(R6)의 위치 결정부(76)가 맞닿아 위치 결정되므로, 영구 자석(EM)(고정 부재(R6))이 조립되었을 때에는, 영구 자석(EM)의 내측면(EMp)과 제 1 코일(13)과의 거리의 불균일이 억제되어, 영구 자석(EM)이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EM)으로부터의 제 1 코일(13)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안정되고, 렌즈 유지 부재(2)를 광축 방향(KD)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력도 안정되게 된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베이스 부재(7)에 다층 기판(98)을 장착하는 다층 기판 장착 공정(LB)을 행해 둔다. 이 다층 기판(98)을 베이스 부재(7)에 고정할 때에는, 먼저 베이스 부재(7)의 홈부(37m)의 내측에 있는 볼록 형상의 부분에 열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에, 다층 기판(98)을 베이스 부재(7) 상에 탑재한다. 그 때에는, 밀려나온 접착제가 홈부(37m)의 공간에 수용된다. 막지막으로, 이 접착제를 가열/경화하여 베이스 부재(7)에 다층 기판(98)을 고정한다.
다음에, 가압 부재 장착 공정(LC)을 행한다. 먼저, 렌즈 유지 부재(2)에 상측 판스프링(4A)의 제 1 부분(14)을 고정한다. 그 때에는, 제 1 부분(14)의 관통 구멍에 렌즈 유지 부재(2)의 볼록 설치부(12t)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록 설치부(12t)를 퓨징함으로써, 상측 판스프링(4A)의 일방측을 렌즈 유지 부재(2)에 고정한다.
다음에, 영구 자석 장착 공정(LA)에서 제작된 고정 부재(R6)(영구 자석(EM)이 장착되어 있음)와 프레임체(W9)로 상측 판스프링(4A)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결합하고, 상측 판스프링(4A)의 제 2 부분(24)을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고정 부재(R6))에 고정한다. 그 때에는, 제 2 부분(24)의 관통 구멍 및 프레임체(W9)의 관통한 구멍(W9k)에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의 돌기부(B16t)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상측 판스프링(4A)의 타방측을 고정 부재(R6)측에 고정한다.
다음에, 하측 판스프링(4C)을 결합한다. 그 때에는, 하측 판스프링(4C)의 제 3 부분(34)과 렌즈 유지 부재(2)의 오목 설치부(32r)를 접착제로 고정함과 함께, 하측 판스프링(4C)의 제 4 부분(44)과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고정 부재(R6))를 접착제로 고정한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1 삽입 통과 공정(K1))을 행한다.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1 삽입 통과 공정(K1))에서는, 상측 판스프링(4A)의 관통부(64k)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 고정부(64)와 서스펜션 와이어(5)를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킨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5)의 중간부를 지그로 클램프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가 위치 어긋남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1 삽입 통과 공정(K1)) 후, 도포 공정(제 1 도포 공정(K2))을 행한다. 도포 공정(제 1 도포 공정(K2))에서는, 디스펜서 장치를 이용하여, 상측 판스프링(4A)의 관통부(64k)를 포함하는 와이어 고정부(64)의 상면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고, 다음의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에 있어서, 서스펜션 와이어(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할 수 있다.
또한, 이 도포 공정(제 1 도포 공정(K2))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1 삽입 통과 공정(K1)) 후에 행해지므로, 관통부(64k)에 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5)를 관통부(64k)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 페이스트의 존재에 기인한 서스펜션 와이어(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된 상태에서 관통부(64k)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통과시키면, 서스펜션 와이어(5)가 변형될 우려가 있음).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공정(제 1 도포 공정(K2)) 후,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을 행한다.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에서는, 와이어 고정부(64)에 연결되어 있는 돌출부(84)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상측 판스프링(4A)의 돌출부(84)가 레이저광에 의해 가열되어, 돌출부(84)로부터 돌출부(84)에 연결된 와이어 고정부(64)에 열이 전도되고, 와이어 고정부(64)가 가열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고정부(64)에 도포된 땜납 페이스트가 가열되어 용융한 땜납(HD)이 되고, 그 후, 땜납(HD)이 냉각되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 상측 판스프링(4A)의 와이어 고정부(64)가 납땜되게 된다(납땜 공정). 이것에 의해, 손 납땜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성 등이 향상함과 함께, 납땜 공정에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고정부(64)에 이웃한 돌출부(84)에 개구부(84k)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에 있어서, 이 개구부(84k)에 의해 녹은 땜납(HD)이 가로막혀, 땜납(HD)이 돌출부(84)측으로 넓게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고정부(64)의 땜납량이 불균일하기 어려워져, 와이어 고정부(64)와 서스펜션 와이어(5)의 상단부와의 납땜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부분(개구부(84k)보다 내측의 부분)에까지 땜납(HD)이 흘러오지 않으므로, 레이저광에 의한 땜납(HD)의 비산이나 레이저광의 난반사에 의해 주변의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84k)가 돌출부(84)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관통한 긴 구멍(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이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84k)의 폭 치수가 돌출부(84)의 가장자리부와 개구부(84k)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84k)에서 땜납(HD)을 확실하게 가로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HD)이 돌출부(84)측으로 넓게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관통부(64k)와 개구부(84k)의 사이의 부분의 폭이 개구부(84k)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돌출부(84)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으므로, 서스펜션 와이어(5)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땜납 필릿의 외형 형상(풋프린트)이, 이 폭이 좁게 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땜납 필릿이 크게 퍼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와이어 고정부(64)의 땜납량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납땜 공정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5)로부터 지그를 떼어낸다.
다음에, 상측 판스프링(4A)을 하측으로 하여 본체를 반전하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을 행한다.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에서는, 다층 기판 장착 공정(LB)에서 제작된 베이스 부재(7)(다층 기판(98)이 장착되어 있음)를 상측으로부터 결합하고, 베이스 부재(7)의 관통 구멍(7h)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7)와 서스펜션 와이어(5)를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 및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측 판스프링(4A)을 하측으로 하여 본체를 반전하였으나, 반드시 반전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 후,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을 행한다.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에서는, 디스펜서 장치를 이용하여, 박육부(57)의 하면(57v)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7)의 관통 구멍(7h) 및 관통 구멍(7h)의 주위에 위치하는 도금부(7m)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고, 다음의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서스펜션 와이어(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할 수 있다.
또한, 이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이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 후에 행해지므로, 관통 구멍(7h)에 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5)를 관통 구멍(7h)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 페이스트의 존재에 기인한 서스펜션 와이어(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7h)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통과시키면, 서스펜션 와이어(5)가 변형될 우려가 있음).
또한, 베이스 부재 제작 공정(JD)에 있어서, 두께 치수가 기부(17)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57)에 관통 구멍(7h)을 설치하였으므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에 있어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 페이스트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 후,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을 행한다.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서는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직접 조사한다. 이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가 직접 가열되어 용융한 땜납(HD)이 되고, 그 후, 땜납(HD)이 냉각되어,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7h)의 주위 및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가 납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5)가 판상이며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7)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예의 필름 기재인 FPC(933)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손 떨림 보정을 위한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CD)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에 의한 스폿 가열 방식이므로 생산성이 좋다. 또한,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서는,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직접 조사하므로, 레이저 조사 공정(제 1 레이저 공정(K3))의 레이저 출력보다 작은 레이저 출력으로 행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7)의 하면(하방)측(가동 유닛(KU)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가령 플럭스나 땜납(HD)이 비산하여 하면(57v) 및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57v)과 벽부(57w)에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면(57v) 및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면(57v) 및 벽부(57w)에 형성된 금속 피막에 의해 방열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벽부(57w)로부터 기부(17)에 형성된 단자부(도전부(7c))에 걸쳐 금속 피막을 연결함으로써, 이 부분의 금속 피막과 단자부에 의해 여분의 열을 추가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박육부(57)에 부여되는 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에 있어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 페이스트의 양을 적게 하고 있으므로, 이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땜납 페이스트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이므로,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납땜성이 양호하다. 또한, 금에 의한 레이저광의 반사율이 높으므로(약 95%), 땜납 페이스트나 땜납(HD)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박육부(57)의 하면(57v)이나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확실하게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박육부(57)나 벽부(57w)에 부여되는 열량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 장착 공정(LD)을 행한다. 케이스 부재 장착 공정(LD)에서는, 케이스 부재(H9)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해 두고, 가동 유닛(KU)이나 서스펜션 와이어(5) 등을 수용하도록 하여, 케이스 부재(H9)를 베이스 부재(7)에 장착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함으로써, 케이스 부재(H9)와 베이스 부재(7)를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는 베이스 부재(7)의 관통 구멍(7h)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과,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을 가지고 있으므로, 땜납 페이스트가 직접 가열되어 용융한 땜납(HD)이 되고, 그 후, 땜납(HD)이 냉각되어,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7h)의 주위 및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가 납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5)가 강성이 있는 베이스 부재(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 기재인 FPC와 비교하여 서스펜션 와이어(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KD)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에 의한 스폿 가열 방식이므로 생산성이 좋다.
또한,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 전에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제 2 삽입 통과 공정(K4))을 가지므로, 관통 구멍(7h)에 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5)를 관통 구멍(7h)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땜납 페이스트의 존재에 기인한 서스펜션 와이어(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땜납 페이스트가 도포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7h)에 서스펜션 와이어(5)를 통과시키면, 서스펜션 와이어(5)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음.)
또한, 베이스 부재(7)를 제작하는 베이스 부재 제작 공정(JD)에 있어서, 외형이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상을 이룬 베이스 부재(7)의 기부(17)의 모서리부에, 두께 치수가 기부(17)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57)를 형성하고, 이 박육부(57)에 관통 구멍(7h)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7m)의 표면적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포 공정(제 2 도포 공정(K5))에 있어서, 관통 구멍(7h)의 내면에 충전되는 땜납 페이스트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땜납 페이스트에 가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57)의 하면(57v)과 벽부(57w)(박육부(57)와 기부(17)의 사이에 설치된 부분)에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을 형성하고 있고,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7)의 가동 유닛(KU)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베이스 부재(7)의 하방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가령 플럭스나 땜납(HD)이 비산하여 하면(57v) 및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하면(57v) 및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나 땜납(HD)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벽부(57w)의 베이스 부재(7)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가 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면(57v) 및 벽부(57w)에 형성된 금속 피막에 의해 방열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벽부(57w)로부터 기부(17)에 형성된 단자부(도전부(7c))에 걸쳐 금속 피막을 연결함으로써, 이 부분의 금속 피막과 단자부에 의해 여분의 열을 추가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박육부(57)에 부여되는 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이므로, 레이저 조사 공정(제 2 레이저 공정(K6))에 있어서 납땜성이 양호하다. 또한, 금에 의한 레이저광의 반사율이 높으므로(약 95%),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나 땜납(HD)에 닿은 레이저광이 난반사하여, 가령 그 일부가 박육부(57)의 하면(57v)이나 벽부(57w)에 닿았다고 해도 확실하게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박육부(57)나 벽부(57w)에 부여되는 열량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어, 베이스 부재(7)에 대한 데미지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도 19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변형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9의 (a)는 상측 판스프링(4A)의 변형례 3을 나타내는 확대 상면도이고, 도 19의 (b)는 상측 판스프링(4A)의 변형례 4를 나타내는 확대 상면도이며, 도 19의 (c)는 베이스 부재(7)의 변형례 6 내지 변형례 8을 나타내는 확대 하방 사시도이다.
<변형례 1>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4)(상측 판스프링(4A), 하측 판스프링(4C))의 타방측이 고정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B16) 및 하측 스프링 고정부(B26)를, 고정 부재(R6)에 일체로 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 별체의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변형례 2>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84k)를 적합하게 관통 구멍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차를 가진 오목 형상부(오목부)로 개구를 형성해도 된다.
<변형례 3><변형례 4>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5)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부(64k)로서 관통한 구멍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노치된 노치 형상의 관통부(C64k)여도 되고{변형례 3},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노치 형상의 관통부(D64k)여도 된다{변형례 4}.
<변형례 5>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적합하게 베이스 부재(7)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층 기판(98)에 서스펜션 와이어(5)의 하단부를 고정하여, 다층 기판(98)을 지지 부재로 해도 된다.
<변형례 6><변형례 7>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57)의 하면(57v)과 기부(17)의 하면(17u)은 수직벽을 가진 벽부(57w)에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박육부(57)와 기부(17)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E57w)가, 박육부(57)의 하면(57v)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을 가진 구성이어도 되고{변형례 6}, 박육부(57)와 기부(17)가, 박육부(57)의 하면(57v)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도 19의 (c)에 나타내는 WP).
<변형례 8>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57)의 하면(57v) 및 벽부(57w)의 수직벽의 부분에, 도금부(7m)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E57w)로부터 기부(17)의 하면(17u)에 걸쳐 금속 피막(도 19의 (c)에 나타내는 MP)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이 부분의 금속 피막에 의해 여분의 열을 추가로 방열할 수 있어, 박육부(57)에 부여되는 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변형례 9>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자기 검출 부재(88)로서 GMR 소자를 적합하게 이용하였으나, 그 밖에 자계의 변화에 의해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타입의, MR(Magneto Resistive) 소자, AMR(Anisotropic Magneto Resistive) 소자, TMR(Tunnel Magneto Resistive) 소자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자계의 변화에 의해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홀 소자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KU : 가동 유닛
2 : 렌즈 유지 부재
D1 : 제 1 구동 기구
13 : 제 1 코일
EM : 영구 자석
EMa : 상면
EMz : 하면
EMp : 내측면
EMq : 외측면
D2 : 제 2 구동 기구
23 : 제 2 코일
4 : 가압 부재
4A : 상측 판스프링
4C : 하측 판스프링
14 : 제 1 부분
24 : 제 2 부분
54A, 54C : 탄성 아암부
64 : 와이어 고정부
64k, C64k, D64k : 관통부
74 : 연결부
74e : 연장 돌출부
84 : 돌출부
84k : 개구부
5 : 서스펜션 와이어
B16 : 상측 스프링 고정부
R6 : 고정 부재
46 : 대향 벽부
56 : 프레임 형상부
66 : 연장 설치부
66p : 하단면
76 : 위치 결정부
6g : 제 1 간극
7 : 베이스 부재(지지 부재)
17 : 기부
17u : 하면
37 : 접착제 배치부
37m : 홈부
57 : 박육부
57w, E57w : 벽부
57v : 하면
7c : 도전부
7h : 관통 구멍
7m : 도금부
M8 : 검출 수단
98 : 다층 기판
K1 : 제 1 삽입 통과 공정(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
K2 : 제 1 도포 공정(도포 공정)
K3 : 제 1 레이저 공정(레이저 조사 공정)
K4 : 제 2 삽입 통과 공정(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
K5 : 제 2 도포 공정(도포 공정)
K6 : 제 2 레이저 공정(레이저 조사 공정)
KD : 광축 방향
100 : 렌즈 구동 장치

Claims (12)

  1. 렌즈체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 및 당해 렌즈 유지 부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과,
    당해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와,
    상기 가동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적어도 당해 관통 구멍의 주위 및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를 가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는, 상기 도금부에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형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와, 당해 베이스 부재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두께 치수가 상기 기부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를 가지고,
    당해 박육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의 하면이 상기 기부의 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의 사이에는, 상기 단차를 구성하는 벽부가 상기 박육부측을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의 하면 및 상기 벽부에는, 상기 도금부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상부 땜납 필릿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관통 구멍의 하부에는,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하부 땜납 필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땜납 필릿은, 상기 하부 땜납 필릿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렌즈체를 유지 가능한 렌즈 유지 부재 및 당해 렌즈 유지 부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과,
    당해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와,
    상기 가동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적어도 당해 관통 구멍의 주위 및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금속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에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당해 땜납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의 하단부를 상기 도금부에 납땜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공정 전에,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키는 와이어 삽입 통과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형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형상을 이룬 기부와, 당해 베이스 부재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두께 치수가 상기 기부보다 작게 형성된 박육부를 가지고,
    당해 박육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의 하면이 상기 기부의 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는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기부의 사이에는, 상기 단차를 구성하는 벽부가 상기 박육부측을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육부의 하면 및 상기 벽부에는, 상기 도금부와 동일한 금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동 유닛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의 최표면측의 층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0095562A 2016-07-29 2017-07-27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46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9089A JP6722061B2 (ja) 2016-07-29 2016-07-29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6-149089 201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772A true KR20180013772A (ko) 2018-02-07
KR102046009B1 KR102046009B1 (ko) 2019-11-18

Family

ID=6100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62A KR102046009B1 (ko) 2016-07-29 2017-07-27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66502B2 (ko)
JP (1) JP6722061B2 (ko)
KR (1) KR102046009B1 (ko)
CN (1) CN1076648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54A1 (ko) * 2018-09-05 2020-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0587B (zh) 2016-08-04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
TWI673531B (zh) 2018-05-03 2019-10-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致動模組與電子裝置
CN114153102B (zh) * 2018-12-14 2024-04-30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WO2021000159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WO2021000161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CN111061029A (zh) * 2019-12-30 2020-04-24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镜头驱动装置
CN111560593A (zh) * 2020-06-23 2020-08-21 惠州市祺光科技有限公司 一种小尺寸光学镜片的镀膜用固定治具及其镀膜方法
US20220021668A1 (en) * 2020-07-20 2022-01-20 Facebook,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confidence levels for identity predictions
WO2022080895A1 (ko) * 2020-10-15 2022-04-21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2022096508A (ja) * 2020-12-17 2022-06-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178A1 (en) * 2008-05-14 2011-04-28 Hysonic. Co., Ltd. Photography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KR20130020415A (ko)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의 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2014085624A (ja) 2012-10-26 2014-05-12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20150054719A (ko) * 2015-01-30 2015-05-20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001A (en) * 1986-01-24 1987-07-21 Laser Corporation Of America Multi-lead laser soldering apparatus
JP2012129976A (ja) * 2010-11-25 2012-07-05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JP6094423B2 (ja) * 2013-08-09 2017-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6242673B2 (ja) * 2013-12-09 2017-12-0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3792640B (zh) * 2014-01-10 2016-08-31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JP2015219315A (ja) * 2014-05-15 2015-12-07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手振れ補正装置
JP2016191849A (ja) * 2015-03-31 2016-11-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178A1 (en) * 2008-05-14 2011-04-28 Hysonic. Co., Ltd. Photography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KR20130020415A (ko)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의 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2014085624A (ja) 2012-10-26 2014-05-12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20150054719A (ko) * 2015-01-30 2015-05-20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54A1 (ko) * 2018-09-05 2020-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4897A (zh) 2018-02-06
US10466502B2 (en) 2019-11-05
JP2018017946A (ja) 2018-02-01
US20180031859A1 (en) 2018-02-01
JP6722061B2 (ja) 2020-07-15
KR102046009B1 (ko) 2019-11-18
CN107664897B (zh)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377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4599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8020723A1 (ja) レンズ駆動装置
US8107176B2 (en) Lens drive device
US11320625B2 (en) Driving mechanism
US7990631B2 (en) Lens drive device, spr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CN110471158B (zh) 光学元件驱动机构
JP6993567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JP6679143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742814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885976B2 (en) Optical module
JP5153916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08268476A (ja) ボイスコイル型のレンズ駆動装置
JP6782114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70138672A (ko) 조립성이 향상된 ois 카메라 모듈
JP6729968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20166020A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配線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033558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system and mechanism thereof
WO2019049555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6549020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214247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装置
JP7479274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20166019A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20013162A (ja) レンズ駆動装置
JPH10320788A (ja) レンズ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