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23A -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23A
KR20180013423A KR1020160097135A KR20160097135A KR20180013423A KR 20180013423 A KR20180013423 A KR 20180013423A KR 1020160097135 A KR1020160097135 A KR 1020160097135A KR 20160097135 A KR20160097135 A KR 20160097135A KR 20180013423 A KR20180013423 A KR 20180013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hibiscus
composition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강은정
표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6009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423A/ko
Priority to PCT/KR2017/008105 priority patent/WO201802184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발명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모발 형성에 도움을 주는 효소 활성 및 모발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 발모를 촉진하므로, 탈모 개선 또는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개선 또는 발모촉진용 티백차 조성물 또는 기능성 헤어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Hibiscus sabdariffa L. extract for preventing lose of hair or promoting of hair}
본 발명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로 가면서 탈모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관심과 고민도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우리 몸의 두피에 있는 머리카락은 매일 0.3mm씩 자라 1년에 총 15cm가 자라며, 전체의 85% 정도가 성장하고 나머지 15%는 성장을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빠지는 머리카락은 주로 성장을 멈춘 머리카락인데, 탈모는 빠지는 대상이 되는 성장을 멈춘 머리카락의 비율이 늘어남을 의미한다. 정상의 경우, 머리카락은 하루에 80~100개가 빠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100개 이상이 빠지며, 모모세포의 힘이 약해지면서 성장기가 짧아지고 다음 성장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면서 자라난 모발조차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탈모증(脫毛症, Baldness)란, 신체의 털, 특히 머리카락이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탈모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소인과 남성호르몬, 그리고 노화현상으로 알려져 있고, 그 밖에 혈액순환장애, 과다한 스트레스, 영양불균형, 지루성 피부염, 모발 관리제품의 잘못된 사용이나 과다한 염색 탈색 등의 미용관리도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사람의 모낭에서 테스토스테론이 5-α reductase에 의해 5-α dihydrotestosterone(DHT)으로 되며, 이에 의해 모낭세포의 단백 합성이 지연되어 휴지기 모낭의 비율이 증가하며 나이가 들면서 탈모가 진행된다. 국소적으로 두피의 전두부 및 두정부의 모발이 연모로 변하여 점차 가늘어지고 길이가 짧아지며 모낭이 소형화되면서 미만성으로 소실되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모에 대한 치료는 경구복용법, 국소도포, 모발이식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FDA의 허가를 취득한 약물로 Minoxidil과 Finasteride가 있다. Minoxidil은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 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개발되었다. 내복약으로 사용되는 Finasteride는 5-α reductase type Ⅱ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안드로젠의 중간 대사체인 dihydrotestosterone(DHT)의 농도를 낮추는 기전을 통하여 남성형 탈모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Minoxidil과 Finasteride의 효능은 사람마다 일률적이지 않고,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탈모증에 대한 치료는 완벽하지 않으며,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에 대한 수요는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한약재를 이용한 효과적인 탈모 예방 및 치료 물질의 개발을 통한 차별화 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히비스커스(Hibiscus sabdariffa L.)은 아욱과에 속하는 식물로서열대와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자라며, 두껍고 붉은 컵 모양의 꽃받침은 냉 음료뿐만 아니라 차로 음용되는데 고혈압, 발열, 간질환, 염증, 담석 및 비만에 효과가 있다.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감소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고지혈증 예방과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본원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경우, 우수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한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현대사회로 가면서 탈모환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에 대한 치료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완벽한 탈모증 치료방법에 대한 개발은 여전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약재를 이용한 효과적인 탈모 예방 및 치료물질을 연구하던 중, 히비스커스 추출물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용매로도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추출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히비스커스를 용매에 2 내지 4시간 동안 침적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재의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와 손실 정도가 차이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등이 있다. 추출액을 농축할 경우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분무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분말화하여 기능성 티백차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기능성 샴푸 및 트리트먼트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양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양모능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의 조직학적 변화에서도 모낭수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발 형성에 도움을 주는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효소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모발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두피의 혈액순환을 돕고 단백질을 파괴하는 활성산소를 줄여줘 탈모의 주원인인 DHT를 감소하는데 큰 효과를 주는 항산화물질로서 히비스커스 추출물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이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내지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티백차 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안전하다.
본 발명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능성 티백차 제품으로부터 기능성 샴푸 및 트리트먼트 제품으로 개발시 각각의 기호도 및 제품 제형의 안정화를 고려하여 중량범위를 설정하였다. 샴푸 및 트리트먼트의 경우 중량범위 외 초과시 제형이 안정화되지 못하고 제형형성이 불가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모발 형성에 도움을 주는 효소 활성 및 모발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 발모를 촉진하므로, 탈모 개선 또는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개선 또는 발모촉진용 티백차 조성물 또는 기능성 헤어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능(DPPH)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능(SOD)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포토샵을 이용하여 K값을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in vivo에서 양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0 day).
도 6은 in vivo에서 양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day).
도 7은 in vivo에서 양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day).
도 8은 in vivo에서 양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day).
도 9은 in vivo에서 양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1 day).
도 10은 양모능의 육안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양모능의 K값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피부의 조직에서 양모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피부조직의 모낭수를 개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ALP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γ?GT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모발성장인자인 VEGF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모발성장인자인 IGF-1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모발성장인자인 TGF-β1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히비스커스 정수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히비스커스는 아프리카 수단에서 수입한 꽃받침 제품으로 건조된 원재료를 이용하였다. 분쇄하지 않은 원료 10kg에 정수 80L를 첨가한 후, 95℃에서 1차 3시간, 2차 3시간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60℃에서 25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실시예 2: 히비스커스 주정 추출물의 제조
히비스커스 주정 추출물 또한 아프리카 수단에서 수입한 제품으로 분쇄하지 않은 원료 10kg에 주정 80L를 첨가한 후, 95℃에서 1차 3시간, 2차 3시간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60℃에서 25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능 측정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2,2-diphenyl-1- pycryl-hydrazyl) 및 Superoxide를 측정하였다.
DPPH(2,2-diphenyl-1- pycryl-hydrazyl)는 매우 안정한 수용성 free radical로 520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의 화합물이며 항산화물질과 만나게 되면 radical이 소거되면서 DPPH의 고유색인 보라색이 엷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 색차를 비색 정량하여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PPH를 MeOH에 녹여 DPPH 용액을 제조한 후, 준비된 DPPH 용액에 히비스커스 시료(히비스커스 시료는 추출 농축 후 동결건조기(일신바이오베이스, FDS850)를 활용하여 24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수행하고 분말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수율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을 1:1로 섞은 후 차광,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하였다가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는 50μM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결과 값은 하기 식 1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물질명 동결 건조 전 용액(mL) 동결 건조 후 분말(g) 수율(%)
히비스커스 정수 300 71.8 22.4
히비스커스 주정 300 47.1 15.7
[식 1]
Figure pat00001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모든 추출물 500㎍/mL(히비스커스 정수; 76.5± 3.6%, 히비스커스 주정; 79.8± 1.4%) 에서 양성대조군인 Vitamin C 50μM와 유사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uperoxide의 측정은 Superoxide가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 시 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pyrogallol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에는 SOD assay kit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Rockville,USA)를 사용하였으며, 흡광도 측정은 ELISA reader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시료를 10㎍/mL, 50㎍/mL, 100㎍/mL, 500㎍/mL의 농도별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20㎕씩 분주한 후, WST working solution을 200㎕와 enzyme working solution을 20㎕를 넣고 37℃에서 20분간 incubation 한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500㎍/mL trolox를 사용하였다. 결과 값은 하기 식 2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pat00002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 대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모유두 세포증식능 확인
인간 모유두 세포[Human follicle dermal cell, (HFDPC)]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는 96-well 플레이트(96-well plates)에 1× 104의 세포수로 24시간 배양 후 96-well 플레이트는 희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여 1일 동안 배양한 후, MTT 시약을 활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한 모유두세포 증식능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minoxidil을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 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히비스커스 정수, 주정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C57BL /6J 마우스의 성장기 모낭 유도 평가
모발성장주기가 휴지기인 6주령의 마우스의 등쪽 털을 animalclipper (Panasonic ER1431p, Japan)로 깎아내고, 제모크림 비트(veet, Reckitt Benckiser,France)로 나머지 털을 2차에 거쳐 제거하였다. 시험약물은 2차 제모 3일 후부터 3주간 도포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약물의 도포는 마우스를 ethyl ether 마취하고 시험대에 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수행하였다. 마우스가 시험물질을 핥아먹지 못하도록 도포 후 5분간 고정상태 유지하도록 하였다. 양모의 육안적 평가를 위해 0, 7, 10, 14, 21일에 ethyl ether 마취 후 각 개체 및 그룹 간 사진촬영을 진행하였으며, 판정기준은 양모정도에 따라 0-19% (-), 20-39%(± ), 40-59% (+), 60-79% (++), 0-100% (+++)로 평가하였다. 또한, 양모에 대한 수치화된 결과를 얻기 위해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검정색을 나타내는 K값을 도출하였다. 포토샵을 이용설정한 눈금선에 마우스의 등부분을 위치하게 하여 K값을 데이터화하였다(도 4). 그 결과를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내었다.
양모에 대한 데이터를 수치화 하기위해 총 7인이 참여 하여 양모 정도를 0 ~ 4점으로 평가하였다. 21일째 모든 시험약물그룹은 음성대조군 보다 높은 양모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히비스커스 정수 도포 그룹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미녹시딜과 유사한 양모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10 참조).
또한, 양모의 정도를 명암(어두운 정도/ 검정색), K값으로 확인한 결과 7일째 히비스커스 주정(19.2± 3.4)이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10일째는 모든 시험약물에서 음성 대조군(8.9± 1.3) 대비 모두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14일째부터는 히비스커스 주정(71.1± 2.2)이 시그마 미녹시딜(73.8± 2.4)과 유사한 정도의 양모능을 나타내었으며, 시험 종료인 21일째는 히비스커스 주정(74.4± 1.2)에서 시그마 미녹시딜(74.1±1.3)과 유사한 양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실험예 4: 조직학적 관찰
동물 시험 개시 10, 21일 후, 고정한 피부조직을 hematoxylinandeosin(H&E) 염색한 후 100배율에서 광학현미경으로 5mm2 면적에 대한 모낭수를 계수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피부조직의 모낭수를 개수한 결과, 모든 시험약물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조직 모낭수가 증가되었다. 21일째 모든 시험약물의 조직 모낭수는 음성대조군(42± 11)과 비교 했을때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시그마 미녹시딜 조직 모낭수(120.4± 15.5)는 3배, 현대약품 미녹시딜(76.2± 8.4) 및 히비스커스 주정(88.8± 14.2)에서는 2배의 모낭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5: 피부조직의 효소 활성도 측정
피부조직을 절취하여 빙냉하에서 미세절편으로 만들고, 그 중 일정량을 칭량한 후, 피부조직의 4배량의 인산완충용액(phosphatebuffersolution, PBS)을 가하여 파쇄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액을 만들었다. 이 후, 균질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에서 12,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자동생화학 분석기를 이용하여 alkaline phosphatase(ALP)및γ-glutamyl transpeptidase(γ-GT)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 및 15에 나타내었다.
ALP 효소는 모발성장의 혈관형성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모세혈관으로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양모작용을 유도한다. ALP 효소는 모발 성장기 동안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휴지기에서는 크게 감소한다. 이러한 피부조직내 ALP 효소를 측정한 결과, 시험물질 도포 10일 후 음성 대조군(33± 13 U/L) 대비, 양성대조군인 현대약품 미녹시딜(155.25± 32.84 U/L), 시그마 미녹시딜(156.8± 7.6 U/L)은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히비스커스 정수(120.3± 24.4 U/L), 히비스커스 주정(106.25± 15.65 U/L) 추출물에서는 음성 대조군 대비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γGT는 생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glutathione 대사 및 세포막을 통한 아미노산과 펩타이드 흡수 및 분비에 관여하며, 증식과 분열이 활발한 세포내에서 많이 발현되고, 모발 성장기 동안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휴지기에서는 크게 감소한다. 실험 결과, 시험물질 도포 10일 후 음성 대조군(2.75± 1.25 U/L) 대비, 양성대조군인 현대약품 미녹시딜(37.25± 13.86 U/L), 시그마 미녹시딜(39.67± 9.87 U/L)은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시험약물은 히비스커스 정수(20± 4.59 U/L), 히비스커스 주정(13.5± 2.51 U/L)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피부조직 내 모발성장인자 측정
피부조직 내 모발성장인자인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sulin like growth factor(IGF)-1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TGF-β1)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피부 조직을 eszy-Blue™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로 mRNA를 추출 후, TaqMan RNA-to-Ct™ 1-Step Kit를 사용하여 추출물과 primer (insulin like growth factor1(IGF-1),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TGF-β)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를 혼합하고 StepOne 기계에서 48 ℃에서 15 분, 95 ℃에서 10 분 1 회, 95 ℃에서 15 초, 60 ℃에서 1 분으로 40회 반복하여 threshold cycle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에 존재하는 모발성장 인자인 insulin like growth factor(IGF)-1은 모발의 기능적인 활동을 촉진시켜 모낭의 세포사를 저해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21일째 피부조직 내 IGF-1 mRNA을 측정한 결과, 그룹간의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17 참조).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TGF-β1)은 모발의 성장기 시기에서 모발성장을 방해는 인자이다. 21일째 피부조직 내 TGF-β1 mRNA을 측정한 결과, 그룹간의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18 참조).
결론적으로, 시험 약물로 사용한 히비스커스 정수, 히비스커스 주정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유두 세포의 증식률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양모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히비스커스 주정그룹의 육안적, 조직학적(모낭수) 평가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3% 시그마 미녹시딜과 유사한 정도의 양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양모능은 C57BL/6J에서 모발이 성장에 영향을 주는 물질인 ALP, γ-GT 및 피부조직 내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VEGF에 의해 모발성장 주기에서 모발 재성장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5)

  1.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분말화하여 기능성 티백차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기능성 삼푸 및 트리트먼트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60097135A 2016-07-29 2016-07-29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13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35A KR20180013423A (ko) 2016-07-29 2016-07-29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PCT/KR2017/008105 WO2018021848A1 (ko) 2016-07-29 2017-07-27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35A KR20180013423A (ko) 2016-07-29 2016-07-29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23A true KR20180013423A (ko) 2018-02-07

Family

ID=6101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35A KR20180013423A (ko) 2016-07-29 2016-07-29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3423A (ko)
WO (1) WO20180218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33B1 (ko) * 2021-05-24 2021-09-15 (주)올바름디앤비 두피 상태 개선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1799A1 (en) * 2022-01-26 2023-08-03 Elc Management Llc A composition against osmotic stre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3661A (zh) * 2000-01-07 2001-07-18 曾智勇 木槿叶洗发液
KR101254740B1 (ko) * 2011-11-28 2013-04-16 경기도 발효생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강차
KR101780692B1 (ko) * 2015-06-24 2017-09-25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33B1 (ko) * 2021-05-24 2021-09-15 (주)올바름디앤비 두피 상태 개선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848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929B2 (ja) Magp−1に刺激を与えて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組成物
JP5970148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SCFmRNA発現抑制剤
EP2953611B1 (fr)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perséose d'avocat dans la protection des cellules souches épidermiques
JP5235439B2 (ja) HMG−CoA還元酵素産生促進剤
KR101638551B1 (ko)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CN110151678A (zh) 一种用于改善皱纹的包含干细胞来源外泌体的组合物及化妆品
KR20160021676A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I784229B (zh) 金銀花發酵物的製備方法及其改善皮膚外觀與抗老化的用途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WO2007107856A1 (en) Magnolia champaca oil, its process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it
KR20180013423A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615314B1 (ko)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94175B1 (ko) 프로폴리스, 모링가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3422A (ko) 암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Pekmezci et al. Proprietary herbal extract downregulates the gene expression of IL-1α in HaCaT Cells: Possible implications against nonscarring alopecia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9610236B2 (en) Cosmetic use of Queuine
KR20210091430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357A (ko)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6284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202102250A (zh) 黑米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20170027421A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