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046A - 청소 도구 - Google Patents

청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046A
KR20180013046A KR1020160096144A KR20160096144A KR20180013046A KR 20180013046 A KR20180013046 A KR 20180013046A KR 1020160096144 A KR1020160096144 A KR 1020160096144A KR 20160096144 A KR20160096144 A KR 20160096144A KR 20180013046 A KR20180013046 A KR 2018001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weeping
pair
handle
loa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우
Original Assignee
신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우 filed Critical 신정우
Priority to KR102016009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046A/ko
Publication of KR2018001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밑면 및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정면은 개방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는 최소한 두 개의 바퀴; 상기 적재부와 결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여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방된 정면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적재부에 안치되어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의 쓸기 동작에 의하여 쓸어진 쓰레기가 수집되는 쓰레받기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는 실내 또는 야외에서 쓰레기를 쓸어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비우는 동작도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 도구는 쓰레기 수용 용량이 크더라도 쓰레기 수집 및 비우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이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청소 도구{Cleaning Equipment}
본 발명은 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야외에서 쓰레기를 쓸어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비우는 동작도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한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청소 작업이 수행된다. 청소 작업은 실내에서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빗자루와 쓰레받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진공청소기는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야외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청소를 할 때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빗자루와 쓰레받기에 의한 청소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수행할 수 있으나 힘든 노동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2866호(2012. 09. 27. 등록)는 밀어 담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청소기는 쓰레받기 본체에 결합하는 바퀴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더 구동링크를 통하여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은 빗자루 구동링크를 통하여 빗자루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청소기를 밀기만 하면 자동으로 빗자루가 쓰레기를 쓸어담아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허등록 제10-0698600호(2007. 03. 15. 등록)는 기능성 쓰레받기를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1241498호(2013. 03. 04. 등록)는 도로 청소용 수거장치를 개시하며, 실용신안등록 제20-0445345호(2009. 07. 14. 등록)는 이동식 쓰레기 수집용 핸드카를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2866호에 개시된 청소기는 청소기를 밀기만 하면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개념적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미는 동작의 타이밍을 잘못 맞추면 쓰레기를 쓰레받기 본체 안으로 쓸어담지 못하고 반대로 쓰레받기 본체 바깥으로 쓰레기를 처내는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쓰레기를 일부는 쓰레받기 본체 안으로 쓸어담을 수 있으나 쓰레기의 일부는 오히려 흩트리는 결과를 야기하여 실질적인 청소효과가 없거나 반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청소기는 쓰레받기 본체 자체에 바퀴 등 여러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받기 본체에 수집한 쓰레기를 비울 때 청소기 전체를 들어서 비워야 하는데, 쓰레받기 본체에 설치된 바퀴, 빗자루, 슬라이더, 구동링크 등의 부재들로 인하여 청소기의 무게가 증가하여 쓰레기를 비우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청소기는 쓰레받기 본체의 용량을 크게 증가시키기 어렵게 되고, 쓰레기를 비우는 작업을 자주 수행하게 되어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또는 야외에서 쓰레기를 쓸어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비우는 동작도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수용 용량이 크더라도 쓰레기 수집 및 비우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밑면 및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정면은 개방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는 최소한 두 개의 바퀴; 상기 적재부와 결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여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방된 정면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적재부에 안치되어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의 쓸기 동작에 의하여 쓸어진 쓰레기가 수집되는 쓰레받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쓰레받기 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후면을 개방한 후 상기 개방된 후면을 통하여 상기 적재부 바깥으로 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재부에서 상면은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면에는 덮개가 설치된 상태이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쓰레받기 부재는 상기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또는 상기 덮개를 개방한 후 상기 적재부 바깥으로 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적재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는 탄성판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각 측면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들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 아래에는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는 실내 또는 야외에서 쓰레기를 쓸어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비우는 동작도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 도구는 쓰레기 수용 용량이 크더라도 쓰레기 수집 및 비우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이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서 적재부의 후면을 개방하고 쓰레받기 부재를 개방된 후면을 통하여 적재부 바깥으로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서 작동부를 잡아당겨 쓸기 회전날개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0), 바퀴(200), 손잡이부(300), 쓸기 회전날개부(400), 작동부(500), 와이어 부재(600) 및 쓰레받기 부재(7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밑면(110) 및 두 개의 측면(120 및 130)을 포함하고, 정면은 개방되어 있다. 적재부(100)는 후면(140)을 가질 수 있으며, 후면(140)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부(100)는 상면 또는 덮개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쓰레받기 부재(700)의 인출 및 인입을 후면(140)의 개방을 통하여 수행하지 않고, 상부 방향에서 수행한다면 적재부(100)는 상면을 가지지 않거나, 즉 개방된 상면을 가지거나 덮개를 가지는 경우에는 덮개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적재부(100)에는 최소한 두 개의 바퀴(200)가 설치된다. 두 개의 바퀴(200)는 적재부(100)의 양 측면(120 및 130)의 후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퀴(200)는 적재부(100)의 양 측면(120 및 130)의 중간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서 약간 후반부쪽으로 이동한 위치 정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적재부(100)의 양 측면(120 및 130)의 전반부에도 두 개의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앞 바퀴로 인하여 적재부(100)의 정면 개방부에서 적재부(100)의 밑면(110)이 지면으로부터 너무 많이 뜨게 되면 청소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앞 바퀴가 장착되더라도 적재부(100)의 밑면(110)은 지면과 거의 접촉하는 수준을 유지하여야 한다.
손잡이부(300)는 적재부(100)와 결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를 이용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손잡이부(30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부(310)와 손잡이 프레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310)는 적재부(100)의 각 측면(120 또는 130)에 결합한다. 지지 프레임부(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0)의 측면(120 또는 130)에 결합한 후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적당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부(310)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부(320)를 잡고 두 바퀴(200)를 중심축으로 하여 적재부(100)의 정면이 들리도록 함으로써 쓰레받기 부재(700)에 수집된 쓰레기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손잡이부(300)를 비스듬하게 설치하는 것과 바퀴(200)를 적재부(100)의 측면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적재부의 구조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100)가 뒤쪽에 무게중심이 있도록 설계하면 적재부의 앞부분을 들어 기울이는 작용은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손잡이 프레임부(32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부(310)를 서로 연결하는 단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 프레임부(320)는 지지 프레임부들(310)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지 않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부(32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부(310) 각각으로부터 왼쪽, 오른쪽,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하게 또는 경사지게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적재부(100)에 결합하여 적재부(100)의 개방된 정면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쓰레기를 쓸어서 적재부(100) 내에 안치된 쓰레받기 부재(700)에 쓰레기가 담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적재부(100)의 양 측면(120 및 13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한 쌍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적재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고, 탄성판으로 형성되어 그 끝 부분을 잡아당기거나 놓음으로써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그것의 제1 말단부(402)에서 적재부(100)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힌지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제1 말단부(402)에 힌지구조를 적용하여 적재부(100)의 측면(120 또는 130)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그러한 힌지구조에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500)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고, 작동부(500)를 잡아당기면 오무려지며, 작동부(500)를 다시 놓으면 다시 펼쳐진 상태로 복원하는 형태로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또한 그것의 제2 말단부(404)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부재(600)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로 연장된 결합봉(420)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제1 말단부(402)는 적재부(100)와 결합하는 쪽의 말단부를 의미하고, 제2 말단부(404)는 적재부(100)의 개방된 정면쪽에 배치되는 말단부를 의미한다. 쓸기 회전날개부(400) 아래에는 브러쉬(41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500)는 손잡이부(3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작동부(500)를 손잡이부(30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0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 설치 가이드부(510)가 설치될 수 있다. 작동부(500)에 의하여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와 작동부(50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600)가 설치된다. 와이어 부재(600)는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적절한 곳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적재부(100)의 측면(120 및 130) 또는 측면 말단부에 설치된 힌지축에 힌지 결합된 경우 또는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탄성판으로 형성되어 적재부(100)의 측면(120 및 130) 말단부에 결합된 경우, 와이어 부재(600)의 한 말단은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제2 말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결합봉(420)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600)의 다른 말단은 작동부(5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부(500)를 잡아당기면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동시에 적재부(100)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쓸기 회전날개부(400) 아래에 설치된 브러쉬(410)에 의하여 쓰레기가 쓸려 적재부(100)에 안치된 쓰레받기 부재(700)에 쓰레기가 수집된다. 그런 후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단순히 힌지결합된 경우 사용자가 작동부(500)를 밀면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동시에 적재부(100)의 반대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탄성판으로 형성되거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힌지결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작동부(500)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지시키기만 해도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그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동시에 적재부(100)의 반대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와이어 부재(600)의 한 말단이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제2 말단부(404)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 제20-0462866호에 제안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제1 말단부(402)가 와이어 부재(600)의 한 말단과 결합하고, 제1 말단부(402)에 가까운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몸체부에서 적재부(100)와 힌지결합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말단부(402)는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작동부(500)에 의하여 와이어 부재(600)를 밀면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적재부(100)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 부재(600)를 당기면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적재부(100)의 반대쪽으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작동부를 별개로 형성하고 그것을 한 쌍의 와이어 부재(600)와 각각 결합하면,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는 동시에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쓸기 회전날개부(40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는 상기와 같이, 작동부(5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쓸기 회전날개부(400)를 회전시켜 쓰레기를 쓸 수 있기 때문에 청소 도구를 이동시키는 타이밍과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회전 타이밍을 사용자가 맞출 필요가 없어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는 또한 쓰레받기 부재(700)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적재부 자체가 쓰레받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쓰레받기 부재를 적재부 내부에 설치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적재부(100) 자체에는 바퀴(200), 손잡이부(300), 쓸기 회전날개부(400), 작동부(500) 및 와이어 부재(600)가 설치되어 있고, 그것들은 함께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중량 및 부피가 커지게 되어 적재부(100) 자체에 쓰레기를 수집한다면 쓰레기를 비우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또한 쓰레기 비우는 작업에 대한 그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적재함의 용량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어려움 및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재부(100)에 별도로 쓰레받기 부재(700)를 안치하였다.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에서 쓰레받기 부재(700)는 적재부(100)에 안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의 쓸기 동작에 의하여 쓸어진 쓰레기를 수집하는 것이다. 청소 작업을 수행한 결과 쓰레받기 부재(700)가 가득 차게 되면 쓰레받기 부재(700)에 수집된 쓰레기를 비워야 하는데, 본 발명의 청소 도구(10)에서는 쓰레받기 부재(700)를 적재부(100)로부터 빼냄으로써 쓰레기 비우기 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쓰레받기 부재(700)를 적재부(100)로부터 빼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재부(100)에는 후면(140)을 설치하지 않거나, 후면(14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적재부(100)에 후면(140)이 설치된 경우에는 후면(140)을 먼저 개방한 후 쓰레받기 부재(700)를 개방된 후면(140)을 통하여 인출할 수 있다.
쓰레받기 부재(700)를 후면(140)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대신에,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적재부(100)에는 상면을 설치하지 않거나 상면에 개폐가 가능한 구조의 덮개를 설치할 수 있다. 적재부(100)의 상면에 덮개를 설치한 경우에는 덮개를 먼저 개방한 후 쓰레받기 부재(700)를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인출할 수 있다. 쓰레받기 부재(700)를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작동부(500)와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40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600)가 그러한 작업을 방해할 여지가 있다. 이 경우, 적재부(100)의 측면(120 및 130)에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와이어 부재(600)가 적재부(100)의 상부로 지나가지 않고, 가이드 부재들에 의하여 적재부(100)의 외곽으로 돌아가는 경로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쓰레받기 부재(700)를 비우는 작업이 방해받지 않게 할 수 있다.
10: 청소 도구 100: 적재부
110: 밑면 120,130: 측면
140: 후면 200: 바퀴
300: 손잡이부 310: 지지 프레임부
320: 손잡이 프레임부 400: 쓸기 회전날개부
410: 브러쉬 420: 결합봉
500: 작동부 510: 작동부 설치 가이드부
600: 와이어 부재 700: 쓰레받기 부재

Claims (7)

  1. 밑면 및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정면은 개방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는 최소한 두 개의 바퀴; 상기 적재부와 결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 상기 적재부에 결합하여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방된 정면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적재부에 안치되어 상기 한 쌍의 쓸기 회전날개부의 쓸기 동작에 의하여 쓸어진 쓰레기가 수집되는 쓰레받기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쓰레받기 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후면을 개방한 후 상기 개방된 후면을 통하여 상기 적재부 바깥으로 인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서 상면은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면에는 덮개가 설치된 상태이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쓰레받기 부재는 상기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또는 상기 덮개를 개방한 후 상기 적재부 바깥으로 인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적재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는 탄성판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각 측면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들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쓸기 회전날개부 아래에는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KR1020160096144A 2016-07-28 2016-07-28 청소 도구 KR20180013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44A KR20180013046A (ko) 2016-07-28 2016-07-28 청소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44A KR20180013046A (ko) 2016-07-28 2016-07-28 청소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46A true KR20180013046A (ko) 2018-02-07

Family

ID=6120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44A KR20180013046A (ko) 2016-07-28 2016-07-28 청소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85B1 (ko) * 2019-10-29 2020-10-30 이지산 쓰레받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85B1 (ko) * 2019-10-29 2020-10-30 이지산 쓰레받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51B2 (en) Electric cleaning sweeper
US7412749B2 (en) Vacuum cleaner and floor dustpan system
JPH07215407A (ja) すくい具付き貯蔵容器蓋
US5367737A (en) Locking hinged dust pan
US8499398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30972B2 (en) Cleaning apparatus with larger debris pick up
US2614279A (en) Street sweeping machine
AU2014372265B2 (en) Broom sweep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412835A (en) Locking hinged dust pan
US11452429B2 (en) Innovative upright dustpan
KR20180013046A (ko) 청소 도구
US6286177B1 (en) Under cabinet vacuum device
CN209252733U (zh) 一种多功能清洁器
GB2463294A (en) A waste bin with a storage area for a dustpan
US11602250B2 (en) Vac-canister
JP2002233485A (ja) 手押掃除機
KR20130025975A (ko) 쓰레받기
KR102028350B1 (ko) 쓰레받기
JP2004174185A (ja) チリ取り具
CN215016801U (zh) 一种垃圾清扫机器人
KR20140132489A (ko) 사용이 용이한 쓰레받기
EP3043679B1 (en) Broom sweep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1161619A (ja) 掃き込みブラ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吸塵装置
CN215441689U (zh) 一种宠物拾便器
JP4121786B2 (ja) ごみと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