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938A -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938A
KR20180012938A KR1020160095819A KR20160095819A KR20180012938A KR 20180012938 A KR20180012938 A KR 20180012938A KR 1020160095819 A KR1020160095819 A KR 1020160095819A KR 20160095819 A KR20160095819 A KR 20160095819A KR 20180012938 A KR20180012938 A KR 2018001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eed additive
weight
fe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207B1 (ko
Inventor
이중신
Original Assignee
이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신 filed Critical 이중신
Priority to KR102016009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2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력의 증진으로 질병예방과 성장에 유용한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조성물인 약모밀 80~94중량%, 치자 3~10중량%, 두충 1~5중량%, 영지 1~5중량%, 오가피 1~5중량%를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0.05 내지 0.2㎜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말화하고, 분말을 배합사료에 0.1~1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분말은 송아지의 경우 회당 상기 분말 10~20g을 물 40~80㎖에 타서 1일 2회 급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분말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로 가공하고, 여과처리한 함수를 100℃까지 끓여 살균처리하고 냉각시켜 이를 펠렛에 분사하여 코팅한 다음 건조 상태에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약모밀, 치자, 두충, 영지, 오가피 등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급여로,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성장 촉진으로 사육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농가의 소득증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사료 첨가제를 송아지에 급여할 경우에는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설사를 일으키는 질병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을 펠렛 형태로 만들어 함수를 코팅함으로써 풍부한 미네랄의 제공과 더불어 사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Functional feed additive mainly composed of Houttuynia cordata Thumb}
본 발명은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역력의 증진으로 질병예방과 성장에 유용한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 첨가제는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또는 사료의 효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보조사료를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가축의 건강증진, 면역력 향상, 축산물 생산성과 품질 향상 등을 위해 주공급원인 배합사료에 추가적으로 혼합하거나 가축에 직접 급여하는 기능성 보조사료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2008. 12. 8.자로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제10-0872134호는 상기와 같은 기능성 보조사료로서, 살균 및 향균 효능이 증진된 가축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데, 여기에는 i) 황백 10∼66중량%, 황금 6∼15중량%, 황련 1∼10중량%, 황정 1∼10중량%, 황기 1∼10중량%, 치자 1∼10중량%, 진피 6∼15중량%, 오가피 6∼15중량%, 감초 6∼15중량%를 준비하여 자연 건조시시키는 단계; ⅱ) 상기 단계 i)에서 건조된 조성물을 분쇄기를 사용하여 0.1 내지 5메쉬(mesh)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쇄함과 동시에 자연 냉각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단계 ⅱ)에서 분쇄된 혼합물 85∼94중량%에 분상의 소화효소제 6∼15중량%을 교반 혼합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동 공보를 참조하면, 상기의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축 사료첨가제는 시판되는 배합사료와 적정비로 혼합하여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인공적으로 조합된 항생제를 추가로 먹이지 않고도 살균 및 항균 효능의 증진으로 항병력을 강화시켜 질병 발생이 줄어 육성율이 양호해졌고(폐사율이 감소), 사료효율의 향상으로 성장촉진(증체효과)과 사육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가축 사료 첨가제와 구성을 달리하면서도 대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미네랄 성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각 원료의 고른 섭취와 함께 사료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조성물인 약모밀 80~94중량%, 치자 3~10중량%, 두충 1~5중량%, 영지 1~5중량%, 오가피 1~5중량%를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0.05 내지 0.2㎜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말화하고, 분말을 배합사료에 0.1~1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분말은 송아지의 경우 회당 상기 분말 10~20g을 물 40~80㎖에 타서 1일 2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분말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로 가공하고, 여과처리한 함수를 100℃까지 끓여 살균처리하고 냉각시켜 이를 상기 펠렛에 분사하여 펠렛 대비 0.1~1중량%로 코팅한 다음 건조 상태에서 상기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모밀, 치자, 두충, 영지, 오가피 등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급여로,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성장 촉진으로 사육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농가의 소득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능성 사료 첨가제를 송아지에 급여할 경우에는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설사를 일으키는 질병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을 펠렛 형태로 만들어 함수를 코팅함으로써 풍부한 미네랄의 제공과 더불어 사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조성물로 약모밀, 치자, 두충, 영지, 오가피 등이 사용되는데, 이들 조성물에 대한 효능, 성분, 약리 등은 아래와 같다.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mb.)은 흔히 어성초, 삼백초라 불리 우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따뜻하고 습지인 곳에서 잘 자라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 4월경에 싹이 트고 6~8월경에 꽃이 피며, 특유의 독특한 비린내를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래전부터 생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임질, 폐렴, 무좀, 악창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모밀 성분 중 decanoyl acetaldehyde와 강력한 이뇨효과를 가진 quercitrin과 iso-quercitrin은 대장균, 곰팡이, 무좀균 및 임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엑기스 및 발효 착즙액 등의 여러 가지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의 열매로서 담즙분비 촉진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등을 나타내어 한방에서 황달, 간질환 및 소염제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의 성분은 genipin, geniposide, gardenoside 등의 iridoid 배당체, crocin, crocetin 등의 carotenoid계 성분, gardanin의 flavonoid계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최근 치자에 관한 생리활성연구로는 항균효과,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간장보호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은 두충과(Eucommiaceae)에 속하는 낙엽활목으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약초 중의 하나이며 중국에서는 두충의 의학적 가치가 수천년 동안 인정되어 왔다. 두충은 고래로부터 한방에서 간과 신을 보하고 근골을 강하게 한다고 하여 강장, 강정, 진통양 등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두충의 현재까지 알려진 생체 조절 작용으로는 성장 촉진, 특히 뼈 성장 촉진, 근육 강화, 원기 회복, 항암, 항돌연변이,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등이 있으며, 일부의 작용에 대하여는 과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활성 성분과 작용 기작이 구명되었다.
두충에 의한 성장 촉진, 근육 강화 및 원기 회복 등의 작용은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는 기작으로 밝혀진바 있다.
영지는 담자균류의 다공균과 Polypor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학명은 Ganoderma lucidum(Fr) Karsten이고 색상에 따라 적지, 흑지, 청지, 백지, 황지, 자지 등 6종으로 분류되며, 이중 가장 많이 자생하는 적지가 산에서 채취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인공재배에 의한 대량생산에 따라 건조버섯 혹은 각종 형태의 가공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영지에 관한 연구로는 항암효과, 항종양효과,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영지의 항균성 물질에 관한 연구 논문(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4. No.6, pp.552~557. 1992년도)에서는 영지추출액이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는 오갈피 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Araliaceae)]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상약으로 생약제로 사용되어 왔고, 주로 동양권에서는 강장, 강정, 신경통, 이뇨, 식욕부진, 고혈압의 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오가피의 뿌리와 껍질을 이용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된 오가피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효과, 지질 개선 효과 및 항염증 작용 등이 있고, 발효에 의한 오가피의 경우 항당뇨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는, 조성물인 약모밀 80~94중량%, 치자 3~10중량%, 두충 1~5중량%, 영지 1~5중량%, 오가피 1~5중량%를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0.05 내지 0.2㎜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말화하고, 분말을 배합사료에 0.1~1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약모밀, 치자, 두충, 영지는 공히 항균력이 있고, 두충은 항균력 외에도 성장 촉진, 근육 강화 및 원기 회복 등의 작용효과가 있으며, 오가피는 강장, 식욕부진의 예방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급여시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성장 촉진으로 사육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아지의 설사는 폐사의 주된 원인 중에 하나로, 지속적인 설사는 탈수, 흡수불량, 성장장애를 일으키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송아지(10개월령 이하), 돼지의 경우 회당 분말 10~20g을 물 40~80㎖에 타서 1일 2회 급여함으로써 항균 및 면역력의 증진으로 설사를 일으키는 질병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사료 첨가제의 효과 시험
○ 나주시 왕곡면 석곡리 43 소재 농장(농장주: 문기열)
설사증상이 있는 송아지에 1일 20g씩 2회, 3일간 급여한 결과 설사증상이 완치됨.
○ 나주시 왕곡면 덕산길 34-14소재 농장(농장주: 최재삼)
설사증상이 있는 송아지에 1일 20g씩 2회, 3일간 급여한 결과 설사 및 혈변 증상이 완치됨.
○ 나주시 다시면 영롱길 4-7 소재 농장(농장주: 나기용)
설사증상이 있는 돼지에 3~5일간 1일 10g씩 2회 급여한 결과 빠른 회복을 보임.
다음, 상기의 분말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로 가공하고, 부유물질을 여과처리한 함수를 100℃까지 끓여 살균처리하고 냉각시켜 이를 펠렛에 분사하여 코팅한 다음 건조 상태에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 구성에서, 분말은 성형기에 의해 수 ㎜ 크기의 펠렛 형태로 가공되는데, 고압으로 가압시 분말에 함유된 수분 및 섬유소(리그닌)에 의해 분말 알갱이가 서로 결착하여 펠렛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분말 펠렛은 함수가 코팅되어 급여시 미네랄 성분을 제공하고, 첨가제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함수는 염전의 증발지를 거쳐 농축된 바닷물을 말하는데, 결정지로 보내지는 함수의 염도는 23~25도이다.
우리나라의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의 하나인 전남 서남해안에서 생산된 무기질이 풍부하고 맛이 우수한 고품질로, 특히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에 있어 다른 수입산 천일염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함수 역시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위 : ㎎/㎏)
미네랄 전남산 게랑드산 중국산 베트남/일본 호주/멕시코
칼슘(Ca) 1,429 1,493 920 761 349
칼륨(K) 3,067 1,073 1,042 837 182
마그네슘(Mg) 9,797 3,975 4,490 3,106 100
자료 : 전남보건환경연구원보, 2007년
따라서 자유낙하방식으로 펠렛을 투입하고, 분사노즐을 통해 함수를 분무함으로써 펠렛을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함수의 코팅량은 펠렛 대비 0.1~1중량%이 바람직하며, 급여되는 타 사료의 염분량을 고려하여 해당 가축의 1일 섭취량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1.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조성물인 약모밀 80~94중량%, 치자 3~10중량%, 두충 1~5중량%, 영지 1~5중량%, 오가피 1~5중량%를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된 상기 조성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0.05 내지 0.2㎜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을 배합사료에 0.1~1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송아지의 경우 회당 상기 분말 10~20g을 물 40~80㎖에 타서 1일 2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로 가공하고,
    여과처리한 함수를 100℃까지 끓여 살균처리하고 냉각시켜 이를 상기 펠렛에 분사하여 상기 펠렛 대비 0.1~1중량%로 코팅한 다음 건조 상태에서 상기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KR1020160095819A 2016-07-28 2016-07-28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KR10186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19A KR101860207B1 (ko) 2016-07-28 2016-07-28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19A KR101860207B1 (ko) 2016-07-28 2016-07-28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938A true KR20180012938A (ko) 2018-02-07
KR101860207B1 KR101860207B1 (ko) 2018-06-27

Family

ID=6120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19A KR101860207B1 (ko) 2016-07-28 2016-07-28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2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407A (zh) * 2018-05-07 2018-07-24 胡江宇 杜仲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308409A (zh) * 2018-05-07 2018-07-24 吉首大学 杜仲翅果壳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497171A (zh) * 2018-05-07 2018-09-07 胡江宇 一种杜仲饲料的制备方法
CN108541810A (zh) * 2018-05-07 2018-09-18 吉首大学 杜仲老叶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634114A (zh) * 2018-05-07 2018-10-12 常德职业技术学院 一种杜仲老叶饲料的制备方法
CN108651697A (zh) * 2018-05-07 2018-10-16 常德职业技术学院 一种杜仲翅果壳饲料的制备方法
KR20200019355A (ko) * 2018-08-14 2020-02-24 이중신 가금류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275A (ko) * 2010-09-06 2010-10-01 김쌍순 기능성 식물을 첨가한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275A (ko) * 2010-09-06 2010-10-01 김쌍순 기능성 식물을 첨가한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407A (zh) * 2018-05-07 2018-07-24 胡江宇 杜仲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308409A (zh) * 2018-05-07 2018-07-24 吉首大学 杜仲翅果壳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497171A (zh) * 2018-05-07 2018-09-07 胡江宇 一种杜仲饲料的制备方法
CN108541810A (zh) * 2018-05-07 2018-09-18 吉首大学 杜仲老叶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634114A (zh) * 2018-05-07 2018-10-12 常德职业技术学院 一种杜仲老叶饲料的制备方法
CN108651697A (zh) * 2018-05-07 2018-10-16 常德职业技术学院 一种杜仲翅果壳饲料的制备方法
KR20200019355A (ko) * 2018-08-14 2020-02-24 이중신 가금류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207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207B1 (ko)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CN101406246B (zh) 一种肉鸡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法和应用
CN103704623B (zh) 一种玛卡发酵营养食品
CN102599367B (zh) 一种后备蛋鸡用中草药复合预混料
CN103404737B (zh) 一种复合型鸡饲料添加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3564216A (zh) 一种蛋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12251237A (zh) 一种改良蔬菜土壤种植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1689812A (zh) 一种改良土豆种植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6721635A (zh) 以茉莉花渣为原料制成的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662140A (zh) 一种改良大豆种植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1532208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닭 혼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222555B (zh) 一种熏制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222543B (zh) 一种含花生壳的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91919A (ko)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CN106578600A (zh) 一种鸡饲料配方及其制造方法
CN103229906B (zh) 一种调味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10833120A (zh) 一种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982720A (zh) 一种抗病性草鱼专用饲料
CN103750069B (zh) 一种预防和治疗鱼类细菌和病毒性疾病的饲料添加剂
CN104336383A (zh) 一种细鳞斜颌鲴专用饲料的配制方法
KR101206875B1 (ko) 어성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3748A (ko) 황칠나무와 해조류의 복합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사료용 기능성 복합 추출물
KR20170079911A (ko) 발효 다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 사료첨가제
CN105285450A (zh) 任豆树叶发酵生产鸡鸭饲料的方法
KR100856567B1 (ko)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