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137A -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 Google Patents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137A
KR20180012137A KR1020160095013A KR20160095013A KR20180012137A KR 20180012137 A KR20180012137 A KR 20180012137A KR 1020160095013 A KR1020160095013 A KR 1020160095013A KR 20160095013 A KR20160095013 A KR 20160095013A KR 20180012137 A KR20180012137 A KR 2018001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adhesive layer
optical she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철
이태준
이우종
조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09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137A/ko
Priority to CN201780042176.5A priority patent/CN109477939A/zh
Priority to PCT/KR2017/007938 priority patent/WO2018021774A1/ko
Publication of KR2018001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4Optical coupling means utilising prism or 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에 따른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부로 전달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유닛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학시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단위집광체가 형성된 집광시트, 상기 집광시트의 하부에서 적층되며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집광시트로 전달하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를 접합시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광시트와 상기 확산시트 사이의 내부공간에서 광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폐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Bonded Type Optical Sheet Module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집광시트와 확산시트 사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접합과 동시에 외부로 손실되는 광을 차단하는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종래의 브라운관 방식(CRT)와는 달리 화면 전체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선광원인 램프와 상기 램프의 광을 반사시키는 램프 반사판이 램프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바꿔주기 위한 도광유닛의 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도광유닛의 하부에는 광의 누출을 막기 위한 반사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에는 흩어진 광을 집광시키기 위해 삼각형 모양의 선형 프리즘을 다수 개 가지는 프리즘 시트가 놓여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개발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인 램프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어 있어 출사되는 광이 도광유닛 전체에 고르게 퍼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정면 방향의 중심부는 밝고 주변부에 갈수록 어두워지는 특성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액정화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의 휘도의 저하가 크고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가 적층된 프리즘 시트의 경우 상호 적층된 사이 공간에 의해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기 때문에 이에 따른 휘도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복수 개의 프리즘 시트를 적층시키는 경우 온도나 습도 변화에 의해 박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접착시키는 접착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프리즘 시트를 안정적으로 접합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광이 새어나가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시트 모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집광시트와 확산시트의 둘레를 따라 최외각에 도포되어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접착층에 별도의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집광시트 및 확산시트의 둘레를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둘레에 따른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부로 전달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유닛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학시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단위집광체가 형성된 집광시트, 상기 집광시트의 하부에서 적층되며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집광시트로 전달하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를 접합시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내부에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광시트와 상기 확산시트 사이의 내부공간에서 광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집광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둘레 중에서 상기 광원이 위치한 측인 제1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시트와 상기 확산시트를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영역내에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광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착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외부로 광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내부에 별도의 실리카 비드를 포함하여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하부에 별도의 반사코팅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손실되는 광을 리사이클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술한 광학시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집광시트와 확산시트 사이에서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블랙잉크를 포함한 접착층이 구비됨으로써,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휘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접착층이 내부에 별도의 실리카 비드를 포함하여 접착층 자체의 접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의해 집광시트와 확산시트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모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시트 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의 상하 단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 내부에 별도의 비드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에 별도의 반사코팅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모듈은 LCD나 LED 패널 등의 평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허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시트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다른 기구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으며, 또는 조명기구 등 광의 특성 및 경로를 변화시키는 장치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모듈이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모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시트 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발광유닛(100), 접착층(200), 확산시트(300) 및 집광시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00)은 발광되는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형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광원(110), 반사판(120) 및 도광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110)은 일반적으로 상기 도광판(130)의 측부에서 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도광판(130)으로 광을 전달한다. 이러한 광원(11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및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130)의 측부를 향해 광을 발광한다.
상기 도광판(130)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130) 내부에서 전반사를 일으키며 진행하며,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의 입사각으로 도광판(130)의 표면에 입사되는 광은 전반사 되지 않고 투과되므로, 상측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도광판(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13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130)으로 재입사 시킴으로써 광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100)이 구성되며, 상기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130) 및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면광원 형태로 상부의 확산시트(300)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확산시트(300)는 상기 도광판(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광을 확산시키며 상기 집광시트(40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시트(300)는 하부에 구비된 상기 도광판(130) 및 상기 반사판(120)을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광을 고르게 확산하여 상부에 위치한 상기 집광시트(4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확산시트(300)은 불균일한 확산패턴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형성됨으로써,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확산 패턴은 불균일한 크기의 구형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을 확산시킨다.
한편, 상기 집광시트(400)는 상기 확산시트(300)의 상부에 적층되거나 접합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전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집광시트(400)는 단일한 형태의 역프리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적층되어 접합 된 정프리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집광시트(400)는 상기 확산시트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광을 상부로 굴절시켜 집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광시트(400)는 복수 개의 정프리즘 형태의 단위집광체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상부광학시트(410) 및 상기 하부광학시트(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광학시트(410)는 크게 제1베이스필름(414) 및 제1구조화패턴(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베이스필름(414)으로는 하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1베이스필름(414)의 상면에는 입사된 광을 굴절 및 집광시키는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이 제1베이스필름(414)과 일체화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은 상기 제1베이스필름(414)의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집광체가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위집광체는 상기 제1베이스필름(414)을 투과한 광을 굴절 및 집광시켜 상부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은 삼각형상의 상하단면이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상기 하부광학시트(420)는 상술한 상기 상부광학시트(41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크게 제2베이스필름(424)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광학시트(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필름(424)의 상면에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베이스필름(424)은 상기 제1베이스필름(414)과 마찬가지로 하부에 배치된 상기 확산시트(30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투과시켜 상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면에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은,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과 유사하게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확산시트(30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굴절 및 집광시켜 상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은 상기 제2베이스필름(424)의 상면에 경사면을 가지며 상부방향으로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집광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 및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은 각각 상기 단위집광체가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구비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구조화패턴(412)과 상기 제2구조화패턴(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상기 단위집광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형태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집광시트(400)는 상기 상부광학시트(410)와 상기 하부광학시트(4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광학시트(410)와 상기 하부광학시트(420)가 교차 배치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광학시트(410)과 상기 하부광학시트(420)는 서로 적층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시트(400)가 역프리즘 형태로 형성되어 하면에 상기 단위집광체가 구비됨으로써 광의 내부 전반사를 통해 집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확산시트(300)와 상기 집광시트(4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시트(300)와 상기 집광시트(400)를 접합시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시트(300)와 상기 집광시트(400) 사이에서 이를 접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둘레에 따라 최외각에 도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포된 상기 접착층(200)에 의해 상기 확산시트(300)와 상기 집광시트(400)가 접착된 후 타발 작업을 통해 상기 확산시트(300), 상기 집광시트(400) 및 상기 접착층(200)의 일부를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확산시트(300)와 상기 집광시트(400)의 접합을 위한 최소한의 영역만 남긴 후 제거된다.
한편, 이와 함께 상기 접착층(200)은 별도의 블랙잉크(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시트(400)와 상기 확산시트(300) 사이의 내부공간(S)에서 외부로 새어나가 손실되는 것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접착층(200)은 적어도 일부에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빛 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폐하는 차광 테이프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집광시트(400) 및 상기 확산시트(300)의 둘레 중에서 상기 광원(110)이 위치한 측인 제1영역(A)에 구비되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는 차폐부(210) 및 상기 차폐부(2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B)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시트(400)와 상기 확산시트(300)를 접합시키는 접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10)과 인접한 제1영역(A)에 구비되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함으로써, 접착기능에 추가로 차광 테이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 개로 구성된 상기 광원(110)의 광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나 유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광의 세기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부(220)는 상기 제2영역(B)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집광시트(400)와 상기 확산시트(300)의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합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20)는 상술한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접착제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차폐부(210) 및 상기 접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시트(400)와 상기 확산시트(300)를 안정적으로 접합시킴과 동시에 최외각 부분의 외관을 개선하여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00)이 블랙잉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광유닛(100)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내부공간(S)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세기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접합부(2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200)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200)의 상하 단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접합부(220)가 상기 제2영역(B) 전체에 도포되지 않고 복수 개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부(220)는 상기 제2영역(B)내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확산시트(300)의 둘레부분 상면에 모두 도포되지 않고 일부만 도포되어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상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성에 따라 상기 접합부(220)의 크기 및 이격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합부(220)는 상기 광원(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착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광원(110)에서 멀어질수록 광의 세기가 약해지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광의 세기 편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접합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접합부(220)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220)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부의 집광시트(400)의 하부에 접합되는 면적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휘도가 변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접합부(220)의 상하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부의 하부광학시트(420)와 접합되는 면적이 커서 접착력이 증가하게 되지만 접착면적에 따라 광손실이 발생될 수 있어 휘도는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접합부(220)의 단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경우 도 5의 (a)패턴대비 접착력이 감소하지만, 상대적으로 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접합부(220)의 상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 상기 하부광학시트(420)와 접합되는 면적이 감소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지만, 전체적인 휘도 상승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20)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에 따라 전체적인 휘도와 하부광학시트(420)와의 접착력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200)에 별도의 비드(230) 또는 반사코팅(240)이 더 포함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200) 내부에 별도의 비드(230)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광학시트 모듈에서 접착층(200)에 별도의 반사코팅(240)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착층(200)은 상술한 접착제와 상기 블랙잉크뿐만 아니라 별도의 실리카 비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200) 내부에 상기 비드(230)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접착층(200) 자체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상기 집광시트(400) 및 상기 확산시트(3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집광시트(400) 및 상기 확산시트(300)의 접합 시 온도 및 습도 변화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며, 이때, 상기 접착층(200)이 이를 지지함으로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블랙잉크와 함께 상기 비드(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220)의 경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비드(230)만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접착층(200)에 상기 실리카 비드(230)가 아닌 별도의 반사코팅(2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200)은 하부에 별도의 반사코팅(240)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에서 외부로 새어나가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코팅(240)은 상기 확산시트(300) 및 상기 집광시트(400)의 최 외각에서 손실되는 광을 리사이클링시켜 다시 상기 내부공간(S)으로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휘도가 증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코팅(240)은 은(Ag)으로 구성되며, 이와 달리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층(200)은 적어도 일부에 블랙잉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부(210)와 달리 상기 접합부(220)의 경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발광유닛 110: 광원
120: 반사판 130: 도광판
200: 접착층 210: 차폐부
220: 접합부 230: 비드
240: 반사코팅 300: 확산시트
400: 집광시트 410: 상부광학시트
420: 하부광학시트 A: 제1영역
B: 제2영역 S: 내부공간

Claims (9)

  1. 둘레에 따른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부로 전달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유닛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학시트 모듈에 있어서,
    일면에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단위집광체가 형성된 집광시트;
    상기 집광시트의 하부에서 적층되며 하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집광시트로 전달하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집광시트를 접합시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층;
    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내부에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광시트와 상기 확산시트 사이의 내부공간에서 광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폐하는 광학시트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집광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둘레 중에서 상기 광원이 위치한 측인 제1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시트와 상기 확산시트를 접합시키는 접합부;
    를 포함하는 광학시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영역내에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광학시트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광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착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광학시트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블랙잉크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외부로 광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폐하는 광학시트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내부에 별도의 실리카 비드를 포함하여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광학시트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하부에 별도의 반사코팅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손실되는 광을 리사이클링 시키는 광학시트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시트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60095013A 2016-07-26 2016-07-26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KR20180012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13A KR20180012137A (ko) 2016-07-26 2016-07-26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CN201780042176.5A CN109477939A (zh) 2016-07-26 2017-07-24 接合型光学片模块
PCT/KR2017/007938 WO2018021774A1 (ko) 2016-07-26 2017-07-24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13A KR20180012137A (ko) 2016-07-26 2016-07-26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37A true KR20180012137A (ko) 2018-02-05

Family

ID=6101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013A KR20180012137A (ko) 2016-07-26 2016-07-26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012137A (ko)
CN (1) CN109477939A (ko)
WO (1) WO20180217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26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엘엠에스 차폐 성능이 향상된 확산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442B1 (ko) * 2020-11-06 2023-03-24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6822B2 (ja) * 1996-02-20 2006-01-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面発光装置
JP2004231736A (ja) * 2003-01-29 2004-08-19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7173031A (ja) * 2005-12-22 2007-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
KR20090014497A (ko) * 2007-08-06 2009-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JP5217363B2 (ja) * 2007-11-06 2013-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05330A (ko) * 2011-07-06 2013-01-16 글로텍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광학시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89955B1 (ko) * 2011-12-29 2015-02-04 제일모직주식회사 프리즘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N205374937U (zh) * 2015-12-30 2016-07-06 中新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液晶显示背光模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26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엘엠에스 차폐 성능이 향상된 확산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1314128B2 (en) 2018-11-16 2022-04-26 Lms Co., Ltd. Diffusion sheet and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diffusion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774A1 (ko) 2018-02-01
CN109477939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078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81375B2 (ja) 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プリズムシートの製造方法
JP6846357B2 (ja) 拡散パターンを有する反射偏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600409B2 (ja) 導光板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並びに表示装置
US20070189032A1 (en) Backlight system
CN107636523B (zh) 具有颗粒的反射型偏振模块及具备其的背光单元
JP2011014831A (ja) 発光装置、面光源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8201538A1 (zh) Led灯条及背光组件
KR20080061287A (ko) 면 형상 광원 장치, 표시 장치 및 면 형상 조명 방법
US20100008063A1 (en)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651888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2513442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80012137A (ko) 접합형 광학시트 모듈
JP4147776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US20120242935A1 (en) Direct illumination type backlight module, bottom refl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WO2011099330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2798049A (zh) 一种背光模组
KR20050040571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212798B1 (ko)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0499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100657650B1 (ko) 직하형 백라이트유니트
US20160025904A1 (en) Optical sheet structure
CN212675324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000024140A (ko) 백라이트 장치
CN216486213U (zh) 背光模组装置及交互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