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09A -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09A
KR20180011609A KR1020160094204A KR20160094204A KR20180011609A KR 20180011609 A KR20180011609 A KR 20180011609A KR 1020160094204 A KR1020160094204 A KR 1020160094204A KR 20160094204 A KR20160094204 A KR 20160094204A KR 20180011609 A KR20180011609 A KR 2018001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sure
information
server
control butt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윤선
박중혁
Original Assignee
옥윤선
박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윤선, 박중혁 filed Critical 옥윤선
Priority to KR102016009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09A/ko
Publication of KR2018001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04L29/0603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로부터 식별 코드 부여받아 AR 보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및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한 명의 사용자가 실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재화를 숨겨두고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찾아 가지도록 함에 있어서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현실의 물리적 공간에서 숨겨둔 보물을 찾고, 찾은 보물은 실제 재화로 교환해 줌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수행되던 보물 찾기 게임을 증강 현실을 통해 실행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업들의 이벤트, 프로모션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의 온라인 게임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System for providing treasure based of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reas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명의 사용자가 실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재화를 숨겨두고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찾아 가지도록 함에 있어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이하 AR)을 기반으로 현실의 물리적 공간에서 숨겨둔 보물을 찾고, 찾은 보물은 실제 재화로 교환해 주도록 하기 위한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프라인 보물 찾기는 한정된 공간에서 소수의 인원만 참가할 수 있다.
또한, 숨겨진 보물에 대한 회수와 수집시 어려운 곳에 숨겨 놓은 경우 까먹거나 회수 및 수집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80513호 "보물캡슐을 이용한 보물찾기 게임시스템(Treasure Finding Game System Using Treasure Capsu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17586호 "보물찾기 게임 서버(server for seeking treasures games)"
본 발명은 한 명의 사용자가 실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재화를 숨겨두고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찾아 가지도록 함에 있어서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현실의 물리적 공간에서 숨겨둔 보물을 찾고, 찾은 보물은 실제 재화로 교환해 주도록 하기 위한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들의 이벤트, 프로모션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의 온라인 게임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은,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로부터 식별 코드 부여받아 AR 보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및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은, 한 명의 사용자가 실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재화를 숨겨두고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찾아 가지도록 함에 있어서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현실의 물리적 공간에서 숨겨둔 보물을 찾고, 찾은 보물은 실제 재화로 교환해 줌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수행되던 보물 찾기 게임을 증강 현실을 통해 실행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은, 기업들의 이벤트, 프로모션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의 온라인 게임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2의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중 AR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중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에 의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중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의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 네트워크(30) 및 AR 서버(4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2의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중 AR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AR 서버(40)는 송수신부(41), 제어부(42),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하며,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42)는 실제 보물 등록 모듈(42a), AR 보물 숨김 모듈(42b), AR 보물 수집 모듈(42c), 실제 보물 제공 모듈(42d), 보물 인증 모듈(42e), 그리고 적립/교환 모듈(42f)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AR 서버(40)의 제어부(42) 구성을 중심으로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실제 보물 등록 모듈(42a)은 각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로부터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각 실제 보물 정보에 대한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AR 보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에 등록한다. 여기서 실제 보물은 쿠폰을 비롯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여러 도구 및 수단들일 수 있으며, 실제 보물 정보는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각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의 소유자가 갖고 있는 재화나 서비스일 수 있으며, 재화인 경우 실제 보물에 대한 촬영된 사진, 재화명, 크기, 중량, 지정된 위치로의 보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AR 보물 정보는 실제 보물 정보와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
AR 보물 숨김 모듈(42b)은 각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상에서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수신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추출한 뒤, AR 현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촬영 영상을 제공한 각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여기서 AR 현실 정보에는 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사용자에 의한 터치스크린 상의 화면 이동을 위한 '이동 버튼', 선택된 객체로 보물을 숨기기 위한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상에서 AR 현실 정보 중 이동 버튼 입력에 의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배경 화면이 구현되면서, 추출된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 및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을 차례로 입력되는 경우, AR 보물 숨김 모듈(42b)은 추출된 객체 내부에 실제 보물 등록 모듈(42a)에 의해 등록된 실제 보물을 증강 현실상에서 숨김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AR 보물 숨김 모듈(42b)은 AR 보물 숨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하는데, 여기서 AR 보물 숨김 정보는 추출된 객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지정된 객체 정보, 실제 보물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 '이면 숨김 정보'(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뒤에 숨김 정보')를 포함한다.
AR 보물 수집 모듈(42c)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부터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한 뒤,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포함)를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공함으로써,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의 터치스크린 상으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AR 보물 수집 모듈(42c)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 상에서 이동 버튼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AR 현실 정보와 매칭되는 구역에 해당하는 AR 보물 숨김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AR 보물 수집 모듈(42c)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부터 AR 보물 숨김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된 객체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 이후에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AR 보물 수집 모듈(42c)은 뒤집음 컨트롤 버튼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과 함께 지정된 객체 정보에 숨겨진 AR 보물 숨김 정보에 대한 실제 보물 정보를 추출하여 보물 인증 모듈(42e)에 의한 보물 인증 뒤에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AR 보물 수집 모듈(42c)은 실제 보물 정보를 제공한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및/또는 실제 보물 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보물을 수집한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대해서 적립/교환 모듈(42f)에 의한 미리 설정된 쿠폰 제공 또는 미리 지정된 포인트 적립을 수행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실제 보물 제공 모듈(42d)은 AR 보물 수집 모듈(42c)에 의해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된 실제 보물 정보가 쿠폰인 경우 즉시 쿠폰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한편, 실제 보물 제공 모듈(42d)은 실제 보물 정보가 재화인 경우,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 간의 재화의 발송을 위한 발송인 정보 및 수취인 정보를 수신한 뒤, 택배 회사로 전달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보물 인증 모듈(42e)은 AR 보물 수집 모듈(42c)에 의한 실제 보물 정보를 추출시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의해 찾아진 보물의 식별 코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43) 조회 요청에 따라, 실제 보물 정보와 AR 보물 정보를 매개로 매칭되는 식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43)에서 추출함으로써, 식별 코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즉,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는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의해 보물이 수집된 상태에서 식별 코드의 진위 여부를 AR 서버(40)의 보물 인증 모듈(42e)로의 조회를 통해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인증을 완료한다.
또한, 보물 인증 모듈(42e)은 보물 인증 방법으로 숨겨진 보물에 기재된 식별 코드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의 AR 기능을 구동시켰을 때 나타나는 식별 코드의 매칭 여부 체크를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적립/교환 모듈(42f)은 실제 보물 정보를 제공한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및/또는 실제 보물 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보물을 수집한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쿠폰을 제공하거나, 미리 지정된 포인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적립/교환 모듈(42f)은 보물이 숨겨진 객체의 면적 및 구조에 따른 난이도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금액으로 책정된 쿠폰 또는 포인트를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은 기업들의 이벤트, 프로모션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의 온라인 게임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중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에 의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로부터 식별 코드 부여받아 AR 보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에 등록한다(S11).
단계(S11) 이후,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는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한다(S12).
단계(S12) 이후,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는 단계(S12)에서의 AR 현실 정보 중 이동 버튼 입력에 의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배경 화면을 구현하면서, 추출된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 및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을 차례로 수신된 경우, 추출된 객체 내부에 단계(S11)에서 등록된 실제 보물을 증강 현실 상에서 숨긴다(S13).
단계(S13) 이후, AR 서버(40)는 AR 보물 숨김 정보를 저장하는데, 여기서 AR 보물 숨김 정보는 단계(S13)에서 추출된 객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지정된 객체 정보, 단계(S11)에서의 실제 보물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 단계(S13)에서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 '이면 숨김 정보'(또는 단계(S13)에서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뒤에 숨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1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중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의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과 같은 과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AR 보물 숨김 정보가 AR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뒤, 도 4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는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한다(S21).
단계(S21) 이후,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는 이동 버튼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AR 현실 정보와 매칭되는 구역에 해당하는 AR 보물 숨김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부터 수신한다(S22).
단계(S22) 이후, AR 서버(40)는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부터 AR 보물 숨김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된 객체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 이후에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을 수신한다(S23).
단계(S23) 이후, AR 서버(40)는 뒤집음 컨트롤 버튼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과 함께 지정된 객체 정보에 숨겨진 AR 보물 숨김 정보에 대한 실제 보물 정보를 추출하여 보물 인증 뒤에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한다(S24).
단계(S24) 이후, AR 서버(40)는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 및/또는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에 대한 쿠폰 제공 또는 포인트 적립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S25).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
20 :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
30 : 네트워크
40 : AR 서버
41 : 송수신부
42 : 제어부
42a : 실제 보물 등록 모듈
42b : AR 보물 숨김 모듈
42c : AR 보물 수집 모듈
42d : 실제 보물 제공 모듈
42e : 보물 인증 모듈
42f : 적립/교환 모듈
43 :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현실에서 제공가능한 '실제 보물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로부터 식별 코드 부여받아 AR 보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및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AR 보물 제공 디바이스(10)가 AR 현실 정보 중 이동 버튼 입력에 의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배경 화면을 구현하면서, 추출된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 및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또는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을 차례로 수신된 경우, 추출된 객체 내부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등록된 실제 보물을 증강 현실상에서 숨기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AR 서버(40)가 AR 보물 숨김 정보를 저장시 AR 보물 숨김 정보로 상기 제 3 단계에서 추출된 객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지정된 객체 정보,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실제 보물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 상기 제 3 단계의 뒤집음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 '이면 숨김 정보'(또는 상기 제 3 단계의 뒤에 숨김 컨트롤 버튼 입력에 따른'뒤에 숨김 정보')를 포함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가 실시간으로 미리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 전송하여 AR 서버(40)에 의한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객체 추출에 따른 AR 현실 정보(촬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 이동 버튼, 뒤집음 컨트롤 버튼(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포함)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가 이동 버튼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AR 현실 정보와 매칭되는 구역에 해당하는 AR 보물 숨김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AR 서버(40)로부터 수신하는 제 6 단계;
    AR 서버(40)가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부터 AR 보물 숨김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된 객체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 이후에 뒤집음 컨트롤 버튼 또는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제 7 단계; 및
    AR 서버(40)가 뒤집음 컨트롤 버튼 뒤에 열림 컨트롤 버튼 입력과 함께 지정된 객체 정보에 숨겨진 AR 보물 숨김 정보에 대한 실제 보물 정보를 추출하여 보물 인증 뒤에 AR 보물 찾기 디바이스(20)로 제공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KR1020160094204A 2016-07-25 2016-07-25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KR20180011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04A KR20180011609A (ko) 2016-07-25 2016-07-25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04A KR20180011609A (ko) 2016-07-25 2016-07-25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09A true KR20180011609A (ko) 2018-02-02

Family

ID=6122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04A KR20180011609A (ko) 2016-07-25 2016-07-25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1047A (zh) * 2020-06-05 2020-09-11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虚拟物体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65947A (zh) * 2020-06-10 2020-09-15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宝箱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07091A (ko) *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그룹간 경쟁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보물 찾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91A (ko) *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그룹간 경쟁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보물 찾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111651047A (zh) * 2020-06-05 2020-09-11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虚拟物体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51047B (zh) * 2020-06-05 2023-09-19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虚拟物体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65947A (zh) * 2020-06-10 2020-09-15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宝箱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4725B2 (en) Localization determination for mixed reality systems
CN107870972B (zh) 信息处理装置、系统及控制方法
CN108573201A (zh)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用户身份识别匹配方法
EP2988473B1 (en) Argument reality content scree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7092646A (zh) 用于使用移动装置进行图像辨识的系统和方法
CN108897996B (zh) 标识信息关联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96500A (ko) 위치 기반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8960892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11609A (ko) Ar 기반의 보물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현실 보물 제공 방법
US20160035143A1 (en) System and method of video verification of rfid tag reads within an event timing system
KR20180100074A (ko) 공간객체 검색결과 정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독취가능 저장장치
WO202107961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97126B1 (ko) 인쇄물과 동영상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314B1 (ko)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WO2021079549A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不審者検知装置、および不審者検知方法
US106068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virtual message for a moving object
CN111198962A (zh) 信息处理装置、系统、方法、类似与否判断方法以及介质
CN107481341A (zh) 一种签到方法及装置
CN109752001A (zh) 导航系统、方法和装置
JP704491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132868A (zh) 一种支付信息的确定方法、装置及设备
JP6210554B2 (ja) 認識装置、認識プログラム及び認識方法
CN208077240U (zh) 实体场所中关联数据对象的确定系统
US202203905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6972261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