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14B1 -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14B1
KR102125314B1 KR1020130066084A KR20130066084A KR102125314B1 KR 102125314 B1 KR102125314 B1 KR 102125314B1 KR 1020130066084 A KR1020130066084 A KR 1020130066084A KR 20130066084 A KR20130066084 A KR 20130066084A KR 102125314 B1 KR102125314 B1 KR 10212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product
offlin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377A (ko
Inventor
손은경
김종연
김수익
이관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1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3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bjects detected or recognised in the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실시예는, 단말기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매장 정보 수신부;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매장 정보 중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상품 정보 추출부;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품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y Using Store and Image Information}
본 실시예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방문 매장 정보 및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정 상품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를 영상 정보에 매칭시킨 결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를 쇼핑 맵에 연동시킬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는 실제로 오프라인 상점에 들리지 않고서도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신속하고 편하게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의 경우, 모니터상의 이미지와 배송된 실제 상품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구매를 취소하거나 상품을 다시 반송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상품을 살펴본 뒤 실제 구매는 온라인 쇼핑몰 등과 같은 다른 경로를 통해 수행하는 쇼루밍(Showrooming)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살펴본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 및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직접 재검색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오프라인 매장 역시 큰 타격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오프라인상에서의 쇼핑 정보를 온라인상에 연동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 온라인 쇼핑의 편리함과 재미를 더하는 온-오프 결합 쇼핑 맵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방문 매장 정보 및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정 상품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를 영상 정보에 매칭시킨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을 온라인 쇼핑과 같이 편리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방문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 정보 중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품 정보의 추출 과정에서 인식률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매장 정보 수신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상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 정보 중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상품 정보 추출부; 상기 영상 정보에 상기 방문 매장 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품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품 정보 제공장치가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상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 정보 중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영상 정보에 상기 방문 매장 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방문 매장 정보 및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정 상품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를 영상 정보에 매칭시킨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을 온라인 쇼핑과 같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문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 정보 중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품 정보의 추출 과정에서 인식률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가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데이터가 적용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100)은 촬영장치(110), 단말기(120),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 연관정보 제공장치(140), 데이터베이스(150), 제1 내지 제N 매장(160, 162, 1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이 촬영장치(100), 단말기(120),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 연관정보 제공장치(140), 데이터베이스(150), 제1 내지 제N 매장(160, 162, 164)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촬영장치(110)는 오프라인 매장에 별도로 구비되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한다. 이후, 촬영장치(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된 영상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 중 관심이 가는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촬영장치(110)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 정보는 해당 상품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거나 해당 상품만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현된 태블릿 PC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서는 촬영장치(11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20)에 포함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한편, 촬영장치(110)에는 촬영장치(11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장치(11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타이머 및 화소 조절 등의 보조 기능을 선택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110)는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과 매칭되는 가이드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라인으로 인해 단말기(120)에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는 상품의 특징이 명확하게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후, 연관정보 제공장치(140)에서 영상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110)의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영역이 선택된 영상 정보를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한편, 촬영장치(110)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촬영장치(11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 및 단말기 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영상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단말기(120)는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탑재하여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구동하며,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통해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12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에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이 탑재되는 형태에 설명하자면,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단말기(12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기(12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단말기(120)에 탑재된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발송 애플리케이션, 음성 호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으로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을 구비한 형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되거나 단말기(12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과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에 탑재되어, 단말기(12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 내의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이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 내에 설치되어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러한,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촬영장치(11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관정보 제공장치(140)에 전송한다. 한편, 촬영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는 상품 이미지 정보, QR 코드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 저장된 매장 정보 중 사용자가 방문한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문 매장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관정보 제공장치(140)에 전송한다. 즉,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120)가 오프라인 매장(방문 매장)에 설치된 비콘(Beacon) 장치의 무선 신호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비콘 장치의 무선신호 세기를 감지한다. 이후,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무선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비콘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 저장된 방문 매장 정보를 비콘 장치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한편, 단말기(120)에 수신되는 방문 매장 정보는 방문 매장 상호 정보, 방문 매장 위치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 매장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에는 매장별 고유 ID가 지정되어 있으며,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는 각각의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매장별 고유 ID 및 해당 매장별 고유 ID에 매칭되는 매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를 통해, 비콘 장치는 비콘 장치의 무선 신호 범위 내에 단말기(120)가 진입한 경우, 단말기(1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로부터 해당 비콘 장치와 매칭되는 매장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결합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영상 정보에 특정 상품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가 매칭된 결합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특정 상품 정보는 연관정보 제공장치(140)가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추출한 상품 정보이다. 특정 상품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은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결합 데이터를 적용시키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공받은 오프라인 쇼핑 맵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쇼핑에서 관심을 가진 상품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이에 오프라인 쇼핑을 온라인 쇼핑과 같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이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결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바로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다. 한편,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고유 ID가 추가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고유 ID에는 해당 비콘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를 통해,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는 특정 고유 ID를 가진 비콘 장치에 특정 고유 ID와 매칭되는 매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비콘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매장 정보를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영상 정보에는 상품 이미지 정보, QR 코드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가 상품 이미지 정보인 경우, 상품 이미지 정보는 해당 상품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거나 해당 상품만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 즉, 상품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때,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 내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영역 점유율을 파악하고, 영역 점유율이 높은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 영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의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가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인식된 객체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인식된 객체의 외부 라인, 내부 라인 및 엣지(Edge) 등의 라인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라인을 따라 소정 형태 및 소정 크기의 특징점을 배치시킴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객체의 라인에 배치되는 특징점의 형태 및 배치 방법은 특정 형태 및 배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라인에 대한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 및 배치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객체에 대한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외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패턴을 인식한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상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기 저장하고 있으며, 추출한 외곽선 정보와 기 저장된 다양한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외곽선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을 추출한다. 이를 통해 객체가 포함하고 있는 특징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특징점 정보, 패턴 및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인식된 패턴과 특징점 정보를 병합하고, 해당 패턴과 해당 패턴 주변에 배치된 특징점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정보를 추가로 병합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연관정보 제공장치(14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20)가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기 추출하고, 이를 영상 정보와 함께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제1 내지 제N 매장 데이터베이스(152, 154, 156)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되며,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방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50) 내 제1 내지 제N 매장 데이터베이스(152, 154, 156) 중 해당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상품 정보의 추출 과정에서 인식률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와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품 정보를 비교하고, 다수의 상품 정보 중 해당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연관정보 제공장치(14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특징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데이터베이스(15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영상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링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클릭한 경우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생성한 결합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제공하거나,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결합 데이터를 적용시켜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결합 데이터에 포함된 매장 정보와 동일한 매장에 해당 결합 데이터를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에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에는 특정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및 매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해당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20)와 연관정보 제공장치(140) 사이에는 게이트웨이 서버(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 서버는 단말기(120)로부터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연관정보 제공장치(140)에 전송하거나 인증 절차 및 트래픽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전에 제휴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제1 내지 제N 매장(160, 162, 164))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제1 내지 제N 매장 데이터베이스(152, 154, 156))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52, 154, 156)에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에 대한 상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에 대한 상품 정보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에 구비된 전체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수량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50)는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는 각각의 매장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매장 식별정보마다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에 구비된 매장 단말기(미도시)와 연동되며,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160, 162, 164)의 상품 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매장 단말기로부터 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 및 데이터베이스(15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 시스템(100) 내 다수의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매장 정보 수신부(210), 영상 정보 획득부(220), 특징 정보 추출부(230), 매장 데이터베이스(240), 상품 정보 추출부(250), 데이터 결합부(260) 및 데이터 적용부(27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매장 정보 수신부(210)는 단말기(120)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방문 매장 정보는 방문 매장 상호 정보, 방문 매장 위치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 매장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무선 신호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비콘 장치의 무선신호 세기를 감지한다. 이후, 단말기(120)는 무선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비콘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20)는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 저장된 방문 매장 정보를 비콘 장치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단말기(120)가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도 1에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120)는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단말기(12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정보를 매장 정보 수신부(210)로 전송한다.
영상 정보 획득부(220)는 단말기(120)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영상 정보 획득부(220)에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는 상품 이미지 정보, QR 코드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가 상품 이미지 정보인 경우, 상품 이미지 정보는 해당 상품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거나 해당 상품만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별도로 구비된 촬영장치(11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거나 단말기(120)에 포함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특징점 추출부(232), 패턴 인식부(234), 색상 추출부(236) 및 특징 정보 생성부(238)를 포함한다.
한편,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 즉, 상품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때,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영상 정보 내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영역 점유율을 파악하고, 영역 점유율이 높은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 영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의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특징 정보 추출부(230)가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징점 추출부(232)는 영상 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즉, 특징점 추출부(232)는 인식된 객체의 외부 라인, 내부 라인 및 엣지(Edge) 등의 라인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라인을 따라 소정 형태 및 소정 크기의 특징점을 배치시킴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객체의 라인에 배치되는 특징점의 형태 및 배치 방법은 특정 형태 및 배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라인에 대한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 및 배치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패턴 인식부(234)는 객체에 대한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외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한다. 한편, 패턴 인식부(234)는 상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기 저장하고 있으며, 추출한 외곽선 정보와 기 저장된 다양한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외곽선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을 추출한다. 이를 통해 객체가 포함하고 있는 특징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색상 추출부(236)는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즉, 색상 추출부(236)는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특징 정보 생성부(238)는 특징점 정보, 패턴 및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 즉, 특징 정보 생성부(238)는 인식된 패턴과 특징점 정보를 병합하고, 해당 패턴과 해당 패턴 주변에 배치된 특징점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정보를 추가로 병합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특징 정보 생성부(238)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20)가 오프라인 쇼핑 맵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기 추출하고, 이를 영상 정보와 함께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매장 데이터베이스(240)는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는 각각의 매장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매장 식별정보마다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품 정보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전체 보유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수량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장 데이터베이스(240)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매장 단말기와 연동되며,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매장 단말기로부터 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매장 데이터베이스(240)에는 항상 최신의 상품 정보가 저장된다.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매장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매장 정보 중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즉,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매장 정보 중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상품 정보의 추출 과정에서 인식률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영상 정보에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이미지 정보에는 특정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및 매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해당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매장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추출부(250)는 매장 정보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방문 매장 정보 및 방문 매장 정보의 수신 시간에 근거하여 쇼핑 동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결합부(26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데이터 결합부(260)는 생성한 결합 데이터를 단말기(120) 또는 데이터 적용부(270)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 결합부(26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영상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링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클릭한 경우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데이터 적용부(2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적용부(270)는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결합 데이터를 적용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오프라인 쇼핑 맵은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즉, 데이터 적용부(270)는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결합 데이터에 포함된 방문 매장 정보와 동일한 매장에 해당 결합 데이터를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먼저,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단말기(120)로부터 오프라인 매장 정보 즉,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300). 한편, 방문 매장 정보는 방문 매장 상호 정보, 방문 매장 위치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 매장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기(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무선 신호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비콘 장치의 무선신호 세기를 감지한다. 이후, 단말기(120)는 무선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비콘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20)는 매장 정보 관리장치(130)에 저장된 방문 매장 정보를 비콘 장치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단말기(120)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S310). 한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획득하는 영상 정보에는 상품 이미지 정보, QR 코드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가 상품 이미지 정보인 경우, 상품 이미지 정보는 해당 상품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거나 해당 상품만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매장 정보 중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320). 한편,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는 각각의 매장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매장 식별정보마다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품 정보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전체 보유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수량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수신된 방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중 해당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한다. 이후,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와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품 정보를 비교하고, 다수의 상품 정보 중 해당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 즉, 상품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때,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 내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영역 점유율을 파악하고, 영역 점유율이 높은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 영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의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인식된 객체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즉,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인식된 객체의 외부 라인, 내부 라인 및 엣지(Edge) 등의 라인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라인을 따라 소정 형태 및 소정 크기의 특징점을 배치시킴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객체에 대한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외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패턴을 인식한다. 한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상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기 저장하고 있으며, 추출한 외곽선 정보와 기 저장된 다양한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외곽선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을 추출한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즉,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특징점 정보, 패턴 및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 즉,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인식된 패턴과 특징점 정보를 병합하고, 해당 패턴과 해당 패턴 주변에 배치된 특징점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정보를 추가로 병합하여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특징 정보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추출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20)로부터 기 추출되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한다(S330). 즉,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영상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를 링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클릭한 경우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결합 데이터를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S340). 이후,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생성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즉,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결합 데이터에 포함된 매장 정보와 동일한 매장에 해당 결합 데이터를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결합 데이터를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적용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쇼핑 정보가 연동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생성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결합 데이터만을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3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00 내지 단계 S34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2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기 추출하고, 이를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하듯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 즉, 상품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때,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영상 정보 내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영역 점유율을 파악하고, 영역 점유율이 높은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기 설정된 가이드 라인 영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의 이미지를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객체로써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영상 정보로부터 인식된 객체가 가방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상품이 객체로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객체로서 인식된 가방의 이미지에서 외부 라인 내부 라인 및 엣지 등의 라인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라인을 따라 특징점을 배치시킴으로써 가방의 전체적인 형태가 특징점을 통해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해당 특징점 정보를 특징 정보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 및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가방 정보 중 해당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가방 정보를 추출한다.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영상 정보로부터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b에 도시하듯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객체로서 인식된 가방의 이미지에서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외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한다. 한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상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기 저장하고 있으며, 추출한 외곽선 정보 중 상대적으로 긴 외곽선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패턴 중 해당 외곽선 정보와 매칭되는 패턴을 추출한다.
한편, 연관정보 제공장치(140)는 인식된 패턴을 특징 정보로서 추출할 수도 있지만, 인식된 패턴과 도 4a에서 추출된 특징점 정보를 병합하고, 해당 패턴과 해당 패턴 주변에 배치된 특징점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영상 정보로부터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c에서 도시하듯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의 가방 이미지로부터 가방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가방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해당 색상 정보를 특징 정보로서 추출하고, 특정 매장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가방 정보 중 해당 색상 정보와 매칭되는 가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가 특징점 정보, 패턴 및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d에 도시하듯이, 상품 정보 제공장치(200)는 특징점 정보, 패턴 및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방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한다. 즉, 특징 정보 생성부(238)는 인식된 패턴과 특징점 정보를 병합하고, 해당 패턴과 해당 패턴 주변에 배치된 특징점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색상 정보를 병합하여 가방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데이터가 적용된 오프라인 쇼핑 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5에서는 결합 데이터가 영상 정보에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링크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
도 5에 도시하듯이, 결합 데이터가 적용된 오프라인 쇼핑 맵은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결합 데이터에 포함된 방문 매장 정보와 동일한 매장에 결합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즉,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는 결합 데이터에 포함된 방문 매장 정보와 동일한 매장에 사용자가 촬영하였던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해당 영상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추가로 방문 매장 정보 및 특정 상품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는 사용자가 방문하였던 오프라인 매장의 동선이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방문하였던 매장의 정보,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 해당 관심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쇼핑을 온라인 쇼핑과 같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오프라인 쇼핑 맵 제공장치 200: 상품 정보 제공장치
210: 매장 정보 수신부 220: 영상 정보 획득부
230: 특징 정보 추출부 232: 특징점 추출부
234: 패턴 인식부 236: 색상 추출부
238: 특징 정보 생성부 240: 매장 데이터베이스
250: 상품 정보 추출부 260: 데이터 결합부
270: 데이터 적용부

Claims (11)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단말기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매장 정보 수신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하여 매장 식별정보 및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상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 정보 중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상품 정보 추출부;
    상기 영상 정보에 상기 방문 매장 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품 정보 제공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상기 방문 매장 정보와 대응되는 매장에 상기 결합 데이터를 적용하는 데이터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객체에 대한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외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하며,
    기 저장되어 있는 색상 히스토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특징점 정보, 상기 패턴 및 상기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특징 정보를 생성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 추출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영역에 대한 상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매장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정보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전체 보유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수량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매장 정보는 방문 매장 상호 정보, 방문 매장 위치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비콘(Beacon) 장치의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정보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방문 매장 정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품 이미지 정보, QR 코드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추출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상기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바코드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QR 코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바코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추출부는 상기 방문 매장 정보의 수신 시간에 근거하여 쇼핑 동선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장치.
  10. 상품 정보 제공장치가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방문 매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하여 매장 식별정보 및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기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별 정보로부터 상기 방문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 정보 중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영상 정보에 상기 방문 매장 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 정보를 매칭한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기 구현되어 있는 오프라인 쇼핑 맵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매장 중 상기 방문 매장 정보와 대응되는 매장에 상기 결합 데이터를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20130066084A 2013-06-10 2013-06-10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212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084A KR102125314B1 (ko) 2013-06-10 2013-06-10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084A KR102125314B1 (ko) 2013-06-10 2013-06-10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77A KR20140144377A (ko) 2014-12-19
KR102125314B1 true KR102125314B1 (ko) 2020-06-23

Family

ID=5267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084A KR102125314B1 (ko) 2013-06-10 2013-06-10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435B1 (ko) * 2015-10-08 2023-07-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접센서 전파 우선순위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KR101885741B1 (ko) * 2016-02-02 2018-08-06 주식회사 얍컴퍼니 시각적 콘텐츠의 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148379B1 (ko) * 2019-07-24 2020-08-26 신용강 원격 의류매장 서비스 방법
KR102380255B1 (ko) * 2019-10-10 2022-03-28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영상 기반 선반 상품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647B1 (ko) * 2020-08-20 2020-11-23 신용강 오프라인 의류매장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원격 의류매장 서비스 방법
KR102181648B1 (ko) * 2020-08-20 2020-11-24 신용강 원격 의류매장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423A (ko) * 2006-10-23 2008-04-28 (주)싸이버텍홀딩스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관광 안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00079456A (ko) * 2008-12-31 2010-07-08 (주)와이드위트 무선의 매장 주문 시스템
KR20110137004A (ko) * 2010-06-16 2011-1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검색 기반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15036B1 (ko) * 2010-06-29 2017-03-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을 통한 상품 분류 검색 및 쇼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307325B1 (ko) * 2011-10-10 2013-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77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314B1 (ko)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2247675B1 (ko) 혼합 현실 시스템들을 위한 로컬화 결정
CN106462322B (zh) 用于增强现实的设备提供的跟踪数据
JP6051323B1 (ja) 拡張現実基盤のショッピング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801078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TWI615776B (zh) 移動物件的虛擬訊息建立方法、搜尋方法與應用系統
US20160300393A1 (en) Virtual trial-fitting system, virtual trial-fitting program, virtual trial-fi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virtual fitting program is stored
KR101295544B1 (ko)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4761B1 (ko) 공간객체 검색결과 정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독취가능 저장장치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JP6120467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0972B1 (ko) 증강현실 기반 주얼리 가상착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33005A (ja)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KR101556158B1 (ko)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를 이용한 소셜 서비스시스템
JP6600674B2 (ja) 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方法及び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70040492A (ko) 스마트 서비스 환경에서 디바이스 등록 방법 및 장치
CN110049094A (zh) 信息推送的方法和线下展示终端
KR101718991B1 (ko)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125866A (ko) 증강현실을 통한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83060A (ko) 실시간 이미지 인식 및 태그 정보를 통한 증강현실구매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8290A (ko)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59066B1 (ko) 가상 공간 및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70452A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6081984A1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