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582A -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582A
KR20180011582A KR1020160094128A KR20160094128A KR20180011582A KR 20180011582 A KR20180011582 A KR 20180011582A KR 1020160094128 A KR1020160094128 A KR 1020160094128A KR 20160094128 A KR20160094128 A KR 20160094128A KR 20180011582 A KR20180011582 A KR 2018001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tion
control switch
turne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644B1 (ko
Inventor
김종덕
양윤식
홍주열
박세준
성종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6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7/00Dark-room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Portable dark-rooms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완료된 후 정리 공정 시 사용되며 작업 공간 전체를 조사하는 천정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 조명의 점등 및 소등, 상기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스위치와,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스위치와, 상기 현상 공정의 백색광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스위치와, 상기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제3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 상기 백색광 조명 및 상기 천정 조명의 제어 회로는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공정에 필요한 조명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조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 시 필름 및 사진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United l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 시 조명 오작동에 의한 사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사진이란 이온화 방사선(하전 입자, X선, 선 등)에 의한 상을 사진적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하는 기술 또는 이들 기술에 의해서 작성한 사진 화상을 의미한다. 방사선의 사진 작용에 의해 직접 사진 감광 재료에 기록하는 방법과 방사선에 의한 상을 형광 스크린 등으로 가시상으로 변환시킨 후에 사진으로 기록하는 간접적 방법이 있다. 응용면으로서 의학, 공학용 방사선 사진, 오토 레이디오 그래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방사선 사진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 시스템의 일 예가 한국특허등록 10-13988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을 위해서는 각종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공정에 따라 암등 상태에서 특수 조명을 켜고 작업을 해야 하는 공정, 암등 및 백색광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공정, 백색광 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공정 등 공정마다 각기 다른 조명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렇게 다양한 공정에서 각종 조명을 켜고 끄려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자리를 이동해 조명 스위치를 직접 제어해야 했다. 그러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명 스위치를 잘못 조작해 해당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조명 상태가 되어 방사선 투과 사진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방사선 투과 사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10-1398863호 (등록일 2014.05.19)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 시 조명 오작동에 의한 사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완료된 후 정리 공정 시 사용되며 작업 공간 전체를 조사하는 천정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 조명의 점등 및 소등, 상기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스위치와,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스위치와, 상기 현상 공정의 백색광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스위치와, 상기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제3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 상기 백색광 조명 및 상기 천정 조명의 제어 회로는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는 온 상태일 때 상기 천정 조명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이 점등되고,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이 소등되고, 상기 천정 조명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제어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고, 상기 현상 공정의 백색광 조명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의 오프 시 상기 암등 조명, 상기 백색광 조명,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정 조명은 백색광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은 각 공정에 필요한 조명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조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 시 필름 및 사진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조명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현상 장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제어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사선 투과 사진은 방사선 투과 정도에 따라 필름 상에 농도변화가 생기는 사진을 말한다. X선 또는 선을 대상물에 조사할 경우 물질의 재질, 두께에 따라 투과후의 선량(線量)에 변화가 생긴다.
이것을 X선 필름에 의하여 사진처리 하면 각 선량에 대응되는 사진농도가 얻어지며, 농도변화에 의한 투과된 상이 나타난다. 방사선 사진은 늘 투명 네거티브이기 때문에 방사선이 통과하기 어려운 물질을 찍은 방사선 사진은 방사선이 통과하기 쉬운 물질을 찍은 방사선 사진보다 밝게 비친다.
따라서 방사선 투과 사진에 의하여 내부결함이나 구조를 비파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도 방사선 투과 사진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투과 사진은 주물이나 용접의 흠을 발견하거나, 전기 회로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방사선 투과 사진을 이용한 검사 방법을 방사선 투과 검사라고 한다.
방사선 투과검사는 X선 또는 선을 사용해 투과시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한 균열(micro crack)이나 라미네이션(lamination)과 비슷한 결함을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X선은 대상의 두께가 커지면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장이 짧고 투과력이 큰 선을 이용한다.
선은 코발트60(Co60), 세슘134(Cs134), 이리듐192(Ir192)등의 방사선 동위원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장치 및 취급은 간단하지만, X선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법규에 의해 단속을 받고 있다.
방사선 투과 사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촬영 후 여러 공정을 거쳐 필름을 현상해 사진을 출력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각 공정 및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현장 상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현상 장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제어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공정은 크게 암등 하에서 이루어지는 준비 공정, 암등 및 백색광에서의 현상 공정, 백색광에서의 정리 공정의 3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암등이란, 작업 공간(100)의 천장에 배치되어 작업 공간(100) 전체를 밝히는 천장 조명을 오프(off)하고 방사선 투과 사진의 필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특수 조명만을 온(on)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 공정에서의 백색광이란 현상 장치에 부착된 백색광 조명의 빛을 의미하며, 현상 공정에서의 암등이 완료된 후 마지막 작업 과정에서 켜지는 조명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정리 공정에서의 백색광이란 작업 공간(100)의 천장에 배치되어 작업 공간(100) 전체를 밝히는 천장 조명의 빛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주요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준비 공정은 암등 하에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방사성 투과 필름의 카세트에 필름을 로딩하는 과정, 현상 행거에 필름을 고정하는 과정, 필름에 light marking을 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카세트에 필름을 로딩하는 과정, 현상 행거에 필름을 고정하는 과정, 필름에 마킹하는 과정은 모두 방사성 투과 필름에 빛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암등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빛이 필름에 조사되면, 방사성 투과 사진이 훼손되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준비 공정은 필름 카세트 및 현상 행거가 적층되어 있는 작업 테이블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작업 테이블의 상측에 암등 시 필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특수 조명(이하 암등 조명, 230)이 구비되어 암등 시 작업 테이블을 비추게 된다.
현상 공정은 암등 및 백색광에서 이루어지는 공정들로, 암등 조명(350)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필름 현상 과정, 현상 정지 과정, 상의 필름 정착 과정과, 백색광 상태에서 현상이 완료되어 정착된 필름을 세척 및 점검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현상 공정은 현상, 정지 및 정착, 세척을 위한 특수 약액이 수용된 작업조가 구비된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며, 작업대에 암등 조명(350) 및 백색광 조명(370)이 구비된다. 또한, 작업대에는 암등 조명(350) 및 백색광 조명(370)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정리 공정은 천장 조명인 백색광 하에서 이루어져도 무방한 공정으로, 세척이 완료된 필름을 건조 및 정리하는 과정이 해당된다.
정리 공정은 별도의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며, 전용 조명 없이 천장의 백색광 조명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준비 공정을 위해 이루어져야 하는 조명 제어는 천장 조명(110)을 소등하고 암등 조명(230)을 점등하는 작업이다.
현상 공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조명 제어는 암등 조명(350)이 필요한 과정에서 암등 조명(350)을 점등하는 작업, 암등 조명(350)이 필요한 과정이 끝난 후 암등 조명(350)의 소등, 백색광 조명(370)의 점등 작업이다.
정리 공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조명 제어는 천장 조명(110)의 점등 및 각 공정에서 사용된 조명을 소등하는 작업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조명의 점등 및 소등 작업을 작업자가 일일이 이동해 각 조명의 스위치를 직접 온 또는 오프하여 제어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각 제어 스위치에 신호가 인가되면 연동되어 작동해야 하는 조명들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100)의 입구 측에는 메인 제어 스위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준비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에는 제1 제어 스위치(210)가 구비될 수 있다.
현상 공정을 위한 작업대에는 제2 제어 스위치(310) 및 제3 제어 스위치(33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 순서에 따라 메인 제어 스위치(130), 제1 제어 스위치(210) 내지 제3 제어 스위치(330)가 순차적으로 변환되며,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 다시 메인 제어 스위치(130)가 변환된다.
메인 제어 스위치(130)는 작업자가 작업 공간(100)으로 들어가며 온 시키거나 작업 공간(100)에서 나가면서 오프 시키는 스위치이므로 작업 공간(100)의 출입문 인근에 설치된다. 작업자가 작업 공간(100)으로 진입하면서 메인 제어 스위치(130)를 작동시켜 온 시킬 때 천정에 구비된 백색광을 조사하는 천정 조명(110)을 점등시킨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 완료 후 작업 공간(100)을 나가면서 메인 제어 스위치(130)를 오프 시키면, 천정 조명(110)뿐만 아니라 모든 조명을 소등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모든 조명의 제어 회로는 하나의 회로 내에 구성되며, 제어 회로는 메인 제어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제어 스위치(210)는 준비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200) 상에 또는 인접하여 구비되며, 메인 제어 스위치(130)의 온 이후 제1 제어 스위치(210)를 온 시키면 모든 암등 조명(230, 350)이 점등되고, 천정 조명(110)은 소등된다. 여기서 모든 암등 조명이란 준비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200)을 비추는 암등 조명(230)과, 현상 공정을 위한 작업대(300)에 구비된 암등 조명(350)을 포함한다. 암등 조명 하에 작업되어야 하는 공정을 위해 점등 상태였던 천정 조명(110)을 소등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현상 공정을 위한 작업대(300)에 구비된 암등 조명(350)은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준비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200)용 암등 조명(230)만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제어 스위치(210)를 온 시킬 때 모든 암등 조명이 점등되는 것을 제안한다.
제2 제어 스위치(310)는 현상 공정을 위한 작업대(300)에 구비되며, 제1 제어 스위치(210)의 온 이후 제2 제어 스위치(310)의 온 시 모든 암등 조명(230, 350)이 소등되고, 천정 조명(110)이 점등된다. 즉, 현상 공정 중 암등 하에 작업해야 할 과정이 완료된 후 백색광 하에서 작업해야 할 과정(필름 세척)이므로 모든 암등 조명(230, 350)이 소등되고 천정의 백색광 조명(110)이 점등되는 것이다.
제3 제어 스위치(330) 역시 현상 공정을 위한 작업대(300)에 구비되며, 제2 제어 스위치(310)의 온 이후 제3 제어 스위치(330)의 온 시 천정 조명(110)이 소등되고, 현상 공정용 작업대(300)의 백색광 조명(370)은 점등된다.
이러한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작업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스위치(130)를 오프시켜 작업 공간(100) 전체의 모든 전등을 소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은 각 공정에 필요한 조명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조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방사선 투과 사진의 현상 시 필름 및 사진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조명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작업 공간 110: 천정 조명
130: 메인 제어 스위치 200: 준비용 작업 테이블
210: 제1 제어 스위치 230: 암등 조명
300: 현상용 작업대 310: 제2 제어 스위치
330: 제3 제어 스위치 350: 암등 조명
370: 백색광 조명 400: 정리용 작업대

Claims (7)

  1.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과,
    상기 방사성 투과 필름의 현상이 완료된 후 정리 공정 시 사용되며 작업 공간 전체를 조사하는 천정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 조명의 점등 및 소등, 상기 암등 조명 및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스위치와,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스위치와,
    상기 현상 공정의 백색광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스위치와,
    상기 백색광 조명의 소등을 제어하는 제3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 상기 백색광 조명 및 상기 천정 조명의 제어 회로는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는 온 상태일 때 상기 천정 조명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이 점등되고,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준비 공정의 암등 조명과 상기 현상 공정의 암등 조명이 소등되고, 상기 천정 조명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제어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고, 상기 현상 공정의 백색광 조명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스위치의 오프 시 상기 암등 조명, 상기 백색광 조명, 상기 천정 조명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조명은 백색광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60094128A 2016-07-25 2016-07-25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88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28A KR101881644B1 (ko) 2016-07-25 2016-07-25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28A KR101881644B1 (ko) 2016-07-25 2016-07-25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82A true KR20180011582A (ko) 2018-02-02
KR101881644B1 KR101881644B1 (ko) 2018-07-24

Family

ID=6122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28A KR101881644B1 (ko) 2016-07-25 2016-07-25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890Y2 (ja) * 1991-09-18 1995-12-18 三郎 垣内 写真暗室用照明灯
KR20010094674A (ko) * 2000-04-01 2001-11-01 김남원 방사선 투과검사의 일괄처리 시스템
JP3413299B2 (ja) * 1994-12-05 2003-06-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製造ラインの遮光管理方法
KR101398863B1 (ko) 2012-12-17 2014-05-27 쓰리디이미징앤시뮬레이션즈(주) 컴퓨터 방사선 사진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890Y2 (ja) * 1991-09-18 1995-12-18 三郎 垣内 写真暗室用照明灯
JP3413299B2 (ja) * 1994-12-05 2003-06-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製造ラインの遮光管理方法
KR20010094674A (ko) * 2000-04-01 2001-11-01 김남원 방사선 투과검사의 일괄처리 시스템
KR101398863B1 (ko) 2012-12-17 2014-05-27 쓰리디이미징앤시뮬레이션즈(주) 컴퓨터 방사선 사진촬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644B1 (ko)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4054B2 (en) Inline x-ray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RU2479857C2 (ru) Определение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тдачи сцинтиллятора
TW201616112A (zh) 漏油檢出裝置及方法
JP6727409B2 (ja) はんだ付け品質検査プラットフォーム
KR20170099761A (ko) 검사 장치 및 레이저 가공 장치
KR20180067103A (ko) 다수 개의 전자 부품의 탐지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 및 그에 의한 전자 부품의 탐지 방법
KR101881644B1 (ko) 통합 조명 제어 시스템
JP2010115362A (ja) 放射線撮影装置
JPS5794672A (en) Method for inspecting whether parts are present or not
JP2005261666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0476670Y1 (ko) 조사야툴
US2526390A (en) Photofluorograph
JPS636432A (ja) 漏洩検出装置
JPS61182238A (ja) レジスト等有機化合物残渣検査装置
CN111166367A (zh) 基于束光器光野的屏蔽装置、屏蔽方法及x光检查装置
KR20160031812A (ko) 엘이디 패키지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190134102A (ko) 검사 대상물 에지 결함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43290A (ja) シール描画検査装置、および、シール描画検査方法
JP2019015720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14953134U (zh) 光学检测系统及检测设备
JPH03143429A (ja) X線診断装置
JP2018021878A (ja) 原子炉制御棒の検査装置および原子炉制御棒の検査方法
US2274901A (en) Device for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intensity in a neutron beam
JP2006194835A (ja) X線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30109566A (ko) 기판 검사 장치, 기판 검사 방법, 및, 기억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