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436A -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436A
KR20180011436A KR1020160093641A KR20160093641A KR20180011436A KR 20180011436 A KR20180011436 A KR 20180011436A KR 1020160093641 A KR1020160093641 A KR 1020160093641A KR 20160093641 A KR20160093641 A KR 20160093641A KR 20180011436 A KR20180011436 A KR 20180011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normal
extract
normal fibroblasts
cosmetic compositio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423B1 (ko
Inventor
주지혜
조일지
최은미
홍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6009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4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33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노화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억제해 노화를 방지하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with the extract of Thamnolia vermicularis}
본 발명은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가운데 노화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 안티에이징의 컨셉이 달라지고 있다. 노화를 예방하는 '안티에이징 (anti-aging)' 대신 '어린 나이로 돌아가자'는 개념의 '디에이징 (de-aging)'이라는 새로운 컨셉이 등장했다. '디에이징'은 당장 눈에 띄는 노화의 흔적을 없애는 것에 급급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으로 피부 속 세포를 건강하게 만들어 젊음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세포의 노화는 에너지의 부족으로부터 생기며, 세포를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소기관 중 하나로 세포 호흡에 관여하며, 노화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손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가진 돌연변이 쥐에서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을 확인한 바 있다.
한편, 미토콘드리아의 가장 주요한 기능은 ATP 합성이다. ATP 합성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한 호흡 사슬 (respiratory chain)에서 일어나며 호흡 사슬은 다섯 개의 다단위체 (호흡 복합체 I-IV)와 사이토크롬 C (Cyt C) 및 코엔자임Q10 (CoQ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 호흡 과정 중 전자가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에서 방출되어 산소 분자를 불완전 환원시키는 것을 통해 슈퍼옥사이드가 생성되고, 슈퍼옥사이드가 과산화수소로 전환된다. 일반적으로 호흡에 필요한 산소 중 약 1 내지 2%가 불완전 환원되어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 (SOD), 카탈라아제 및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 (GPx) 등의 항산화 효소가 세포 내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생리적 방어기전으로 작용하지만, 과도한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 (mitochondria dysfunction)을 초래하거나 반대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 (mitochondria dysfunction)에 의해 과도한 활성산소가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외막의 이온 구성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일정한 전압차이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는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높은 막 전위는 미토콘드리아에서 ATP를 합성하는 원동력이며, 반대로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 소실은 세포 손상과 직결된다.
한편, 세포노화현상에서 p53과 p16은 중요한 세포주기 억제인자이며, 노화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한다. p53은 텔로미어 소실 뿐만 아니라 UV 조사, 이온화 방사선 등의 스트레스 인자들에 의해 활성화된 후, DNA 손상을 복구하거나 손상된 세포의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유전체 안정성을 보존하기 때문에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p16은 세포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설차는 지의류 중 지차속의 식물로서 일종의 이끼와 버섯 공생체로 보통 고산지대나 기온이 극히 낮은 지역에서 관찰된다. 티벳, 내몽고, 간쑤 및 대만의 추운 산에서 자란다고 알려져 있으며, 간질, 불면증, 안과질환, 신경쇠약, 고혈압 및 뇌졸증 등에 효능이 있다. 설차는 백설차 (Thamnolia vermicularis)와 홍설차로 나뉘며 백설차 (Thamnolia vermicularis)는 지방분해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현재 다이어트차로 널리 음용되고 있다. 하지만, 백설차의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7692호 (공개일자: 2015.12.09)는 홍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홍설차 추출물, 발효된 홍설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은 항산화 효과, 수분 공급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에 알러지 반응이나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서 사람의 피부에 안전하므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로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64108호 (등록일자: 2006.03.20)는 당귀, 숙지황, 천궁, 질려자, 하수오, 황기, 형개, 감초, 백작약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리폭시게나아제 효소 활성 억제 효과 및 주름 완화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노화 방지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설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해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설차 추출물은 추출 용매라면 어느 것이나 다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노화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억제해 노화를 방지하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 25, 50, 100 및 2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DMSO를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2는 25,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JC-1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어세이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3은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4는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 또는 홍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 세포 노화에 관여하는 p53/p16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비교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5는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 또는 홍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세포 노화 정도를 β-갈락토시다아제 염색 어세이 후 현미경을 통해 비교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6은 도 5의 '백설차 추출물 및 홍설차 추출물로 인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노화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백설차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백설차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농도가 다른 백설차 추출물을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생존능력을 측정하였다.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인 HDF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4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백설차 추출물이 25, 50, 100 및 200 ㎍/ml로 희석된 시료를 각 웰 당 100 ㎕씩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PBS를 이용하여 5 mg/ml 농도의 MTT 시약을 각 웰에 20 ㎕씩 넣어주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반응 후, MTT 시약과 시료가 포함된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각 웰에 100 ㎕의 에씨드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20분 동안 진탕기에서 교반하였다. 교반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의 파장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와 백설차 추출물 시료 제조시 첨가한 DMSO로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 중, 200 ㎍/ml 농도를 제외한 나머지 농도 (25, 50 및 100 ㎍/ml)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 따라서, 25,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선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1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 25, 50, 100 및 2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DMSO를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백설차 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membrane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백설차 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인 HDF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의 커버 글라스 위에 5×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24시간 동안 기아반응 (starvation)을 진행하였다. 그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백설차 추출물이 50 및 100 ㎍/ml의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웰 당 3 ml씩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100 μM의 과산화수소 (H2O2)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시간 후, 세포를 차가운 DPBS로 2회 세척하고 JC-1이 10 ㎕/ml 농도로 희석된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각 세포에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 후, 다시 DPBS로 세척하여 형광현미경으로 형광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대조군의 경우, 과산화수소 (H2O2)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가 감소하여 대조군에 비해 초록색의 형광이 증가하였으나, 50 및 100 ㎍/ml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경우, 과산화수소 (H2O2)에 의해 감소한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가 회복되어 정상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도 2는 25,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JC-1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어세이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백설차 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의 ATP 합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백설차 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 내의 ATP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인 HDF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7×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백설차 추출물이 50 및 100 ㎍/ml의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웰 당 3 ml씩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세포에 100 μM의 과산화수소 (H2O2)를 1시간 동안 처리한 뒤 차가운 PBS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세척한 세포에 미리 준비한 ATP 어세이 혼합물 990 ㎕와 각 세포 시료 10 ㎕를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암조건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 과산화수소 (H2O2)에 의해 감소되었던 미토콘드리아의 ATP 합성 정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경우 양성대조군 보다도 ATP 합성 정도가 더 높았으며, 과산화수소 (H2O2)를 처리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보다도 ATP 합성 정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도 3은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확인한 백설차 추출물의 효능이 세포노화 억제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 4 내지 6을 실시하였다.
[ 실시예 4: ' 백설차 추출물'과 ' 홍설차 추출물'의 세포노화 관여 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백설차와 홍설차 추출물이 세포노화 관여 인자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그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인 HDF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7×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백설차와 홍설차 추출물이 50 및 100 ㎍/ml의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각 웰 당 3 ml씩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100 μM의 과산화수소 (H2O2)를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차가운 PBS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그 후, 프로테아제 억제제 (protease inhibitor)가 포함된 리파 버퍼를 각 웰에 200 ㎕씩 넣고 스크랩퍼로 세포를 긁어내었다. 긁어낸 세포가 포함된 리파 버퍼를 얼음에 1시간 동안 두어 세포를 용해시킨 후, 4℃, 12,000rpm의 조건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층액만 취해 BCA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뒤 정량값을 이용하여 로딩 샘플을 제조하였다. 각 로딩샘플은 SDS-page gel에 로딩한 후 100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였으며, 전기영동 후, 100V에서 1시간 동안 트랜스퍼하였다. 트랜스퍼가 완료된 멤브레인을 5%의 BSA (in TBS-T)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 (blocking)하였다. 그 후, 멤브레인을 '5% BSA (in TBS-T)에 희석된 1차 항체'와 4℃의 온도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그 후, 멤브레인을 TBS-T를 이용하여 5분간 2번 세척한 뒤 5% BSA (in TBS-T)에 희석된 2차 항체와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TBS-T를 이용하여 10분간 4번 세척하였다. 그 후, ECL용액에 멤브레인을 적신 후, 암조건에서 필름을 현상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는 과산화수소 (H2O2)에 의해 증가한 p53/p16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50 및 100 ㎍/ml 농도의 홍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도 과산화수소 (H2O2)에 의해 증가한 p53/p16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같은 처리 농도에서의 p53/p16 발현 감소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홍설차 추출물보다 백설차 추출물의 p53/p16 발현 감소 효능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설차 추출물이 홍설차 추출물보다 세포노화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도 4는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 또는 홍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 세포 노화에 관여하는 p53/p16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비교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5: ' 백설차 추출물' 및 ' 홍설차 추출물'이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백설차 추출물과 홍설차 추출물이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백설차와 홍설차 추출물이 50 및 100 ㎍/ml의 농도로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배양 후, 100 μM의 과산화수소 (H2O2)를 1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1×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하였다. 그 후, 1×의 고정 버퍼를 첨가한 뒤 상온에서 10분간 세포를 고정시켰다. 고정 후, 1×PBS로 2번 세척하였으며, X-gal 용액이 포함된 염색 용액을 처리한 뒤 37℃ 온도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하룻밤 염색하였다. 그 후, 형광현미경으로 결과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음성대조군의 경우 노화된 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β-갈락토시다아제에 의해 X-gal이 분해되어 푸른색을 띤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세포가 노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성대조군 및 백설차 또는 홍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경우에도 세포의 염색 정도 및 세포 수가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에서는 백설차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노화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50 및 100 ㎍/ml 농도의 홍설차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 또한 홍설차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노화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같은 처리 농도에서의 세포 노화 억제 효능을 비교하였을 때, 홍설차 추출물의 세포노화 억제 효능이 백설차 추출물의 세포노화 억제 효능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설차 추출물이 홍설차 추출물보다 세포노화 억제에 더욱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내지 6). 도 5는 50 및 100 ㎍/ml 농도의 백설차 추출물 또는 홍설차 추출물이 처리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의 세포 노화 정도를 β-갈락토시다아제 염색 어세이 후 현미경을 통해 비교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만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는 과산화수소 (H2O2)와 25 ㎍/ml의 코엔자임Q10 (CoQ10)을 처리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6은 도 5의 '백설차 추출물 및 홍설차 추출물로 인한 인간정상섬유아세포서의 세포 노화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Claims (4)

  1. 백설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설차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3641A 2016-07-22 2016-07-22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41A KR101912423B1 (ko) 2016-07-22 2016-07-22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41A KR101912423B1 (ko) 2016-07-22 2016-07-22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436A true KR20180011436A (ko) 2018-02-01
KR101912423B1 KR101912423B1 (ko) 2018-10-29

Family

ID=6123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41A KR101912423B1 (ko) 2016-07-22 2016-07-22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3434A (zh) * 2020-06-03 2020-09-01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皱纹的组合物及其化妆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531A (ja) 2003-09-09 2005-03-31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物
CN103260618B (zh) * 2010-12-13 2015-10-07 花王株式会社 内皮素作用抑制剂和美白剂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3434A (zh) * 2020-06-03 2020-09-01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皱纹的组合物及其化妆品
CN111603434B (zh) * 2020-06-03 2023-06-06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皱纹的组合物及其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423B1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9709A (ko) 패오닥틸륨 조류 추출물의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촉진시키기 위한 용도
KR20120028238A (ko) 덴드로븀 크리소톡숨 추출물 및 항노화제로서 이의 화장품학적 용도
JP7344591B2 (ja) ガラクトミセス由来のエキソソーム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JP2018162325A (ja) 海草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20070016261A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7240A (ko) 서바이빈 발현의 자극에 의한 항-노화 미용 관리 방법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912423B1 (ko) 백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750B1 (ko) 비올라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2699A (ko) 사이클릭 리포펩티드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US8372408B2 (en) Use of Phaeodactylum algae extract for depigmenting the skin
KR102172344B1 (ko)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6480B1 (ko)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용 및 두피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7091A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63548B1 (ko)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2635A (ko) 적송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200127075A (ko) 기능성 리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389A (ko)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2118B1 (ko)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7617B1 (ko) 털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509040A (ja) ケウインの化粧料使用
KR20180045298A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7277B1 (ko) 모링가 페레그리나 종자 케이크의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화장품 또는 뉴트리코스메틱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KR102158464B1 (ko) 벤즈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