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939A -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939A
KR20180010939A KR1020160154389A KR20160154389A KR20180010939A KR 20180010939 A KR20180010939 A KR 20180010939A KR 1020160154389 A KR1020160154389 A KR 1020160154389A KR 20160154389 A KR20160154389 A KR 20160154389A KR 20180010939 A KR20180010939 A KR 2018001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semiconductor
type oxide
semiconductor
film
drain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143B1 (ko
Inventor
조성행
남수지
황치선
이수재
조경익
피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621,13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026104A1/en
Publication of KR2018001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01L29/247Amorphou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9P-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01L29/242AIBVI or AIBVII compounds, e.g. Cu2O, Cu 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는 알칼리 금속 및 주석 산화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P-TYPE OXIDE SEMICONDUCTOR, METHOD FOR PRODUCING P-TYPE OXIDE SEMICONDUCTOR, AND TRANSIS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주석 산화물을 갖는 P형 산화물 반도체에 관한 것이다.
산화물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계열의 반도체에 비해 큰 밴드갭을 갖는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자 소자를 구성하면, 가시광역 평균 투과율 50% 이상의 투명한 회로를 구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전자 소자 제작이 가능하며 유리 혹은 플라스틱과 같이 저렴하고 대면적 제작이 쉬운 기판을 활용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 중 N형 산화물 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우수한 특성을 갖는 N형 산화물 반도체들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에 준하는 P형 산화물 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산화물 반도체 물질들 중, Sn은 SnO2 (Sn4+) 혹은 SnO (Sn2 +)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산화 상태에 따른 결정 구조 및 밴드갭이 전혀 다르고, SnO 형태로 존재할 때는 p형의 특성을, SnO2의 형태로 존재할 때는 n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p형 산화물 반도체는 알칼리 금속 및 주석 산화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되,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 at% ≤ [K]/([Sn]+[K]) ≤ 3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 at% ≤ [K]/([Sn]+[K]) ≤ 20 at% 일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은, 알칼리 금속 화합물과 주석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 기판 상에 반응 생성물로 박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박막을 열처리하여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것은, Sputtering Depositio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ulsed Laser Deposition (PLD),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Inkjet Coating, Electro-Hydro-Dynamic (EHD) Coating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형 산화물 반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되,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을 만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 at% ≤ [K]/([Sn]+[K]) ≤ 3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 at% ≤ [K]/([Sn]+[K]) ≤ 2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은 약 5 nm 내지 약 1000 n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의 소스 드레인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막을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막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는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 at% ≤ [K]/([Sn]+[K]) ≤ 3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 at% ≤ [K]/([Sn]+[K]) ≤ 20 a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막은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 사이에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막 상에 형성되는 식각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은 상기 반도체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식각 보호막은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과 상기 반도체 막을 덮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새로운 조성의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p형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스핀 코팅과 같은 저가의 용액 공정 및 저온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1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p형 산화물 반도체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의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의 XRD(X-ray Diffraction)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의 [K]/([Sn]+[K])의 함량에 따른 투과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의 [K]/([Sn]+[K])의 함량에 따른 광학 밴드갭들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트랜지스터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각각 도 7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K]/([Sn]+[K]) 함량에 따른 전달 및 출력 특성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1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p형 산화물 반도체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알칼리 금속 화합물과 주석 화합물을 반응시킨다(S100). 알칼리 금속 화합물과 주석 화합물을 용매에 넣어 반응시킴으로써, 알칼리 금속과 주석을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KCl이고, 주석 화합물은 SnCl2이며, 용매는 2-methoxy ethanol일 수 있다. KCl 및 SnCl2을 2-methoxy ethanol에 넣고 상온에서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인 KsnO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 상에 반응 생성물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S200). 기판(1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박막을 형성하는 것은 Sputtering Depositio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ulsed Laser Deposition (PLD),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Inkjet Coating, Electro-Hydro-Dynamic (EHD) Coating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 위에 반응 생성물을 Spin co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박막은 약 5 nm 내지 약 1000 n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박막은 약 49 nm 내지 약 100 n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 박막을 열처리함으로써 p형 산화물 반도체(20)를 형성할 수 있다(S300). 일 예로, 박막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열처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약 200℃ 내지 약 500℃의 온도로 열처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박막 내의 용매가 분해 및/또는 증발되어 박막이 경화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p형 산화물 반도체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나, 이하에서는 알칼리 금속들 중 K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K]/([Sn]+[K])의 함량에 따른 K 2p, 도 3b는 [K]/([Sn]+[K])의 함량에 따른 O 2p, 도 3c는 [K]/([Sn]+[K])의 함량에 따른 Sn 3d5 /2의 결합 에너지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K]/([Sn]+[K])의 함량에 따른 데이터들을 보여주고, ① 내지 ⑦은 각각 [K]/([Sn]+[K])가 0(K 미첨가시), 5 at%, 10 at%, 15 at%, 20 at%, 25 at%, 30 at%인 경우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K]/([Sn]+[K])는 Sn과 K를 포함하는 물질계에서의 K의 몰분율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Sn]/([Sn]+[K])는 Sn과 K를 포함하는 물질계에서의 Sn의 몰분율을 의미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K 2p 피크값을 통해, [K]/([Sn]+[K])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형 산화물 반도체(20) 내의 K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K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형 산화물 반도체(20) 내에서 K가 반응에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C 1s 피크값은 XPS 스펙트럼에서 결합 에너지 조정을 위한 레퍼런스 값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K]/([Sn]+[K])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O 2p 피크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K을 첨가하지 않은 ①의 경우 약 531.5 eV의 결합 에너지를 갖는 Sn4 +를 의미하나, K를 첨가하여 약 531.1 eV의 결합 에너지를 갖는 Sn2+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c를 참조하면, [K]/([Sn]+[K])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Sn 3d5 /2 피크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K을 첨가하지 않은 ①의 경우 약 487.5 eV의 결합 에너지를 가지나 갖는 K를 첨가하는 경우 약 487.1 eV의 결합 에너지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Sn4 +에서 Sn2+로 산화수가 변화한 것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XRD(X-ray Diffraction)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K]/([Sn]+[K])의 함량에 따른 데이터들을 보여주고, ① 내지 ⑦은 각각 [K]/([Sn]+[K])가 0(K 미첨가시), 5 at%, 10 at%, 15 at%, 20 at%, 25 at%, 30 at%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K를 첨가하지 않는 ①의 경우 SnO2 결정의 (110) 및 (101) 피크가 주로 관측되는 반면, 첨가되는 K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Sn+2에 해당하는 K2XSn3-XO3의 결정상 피크들, 28.27도, 40.42도에서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반도체 산화물(20)은 하기의 <화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화학식 1>
M2xSn3-xO3
이 때,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을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5 at% ≤ [K]/([Sn]+[K]) ≤ 30 at%를 만족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at% ≤ [K]/([Sn]+[K]) ≤ 20 at%를 만족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K]/([Sn]+[K])의 함량에 따른 Hall effect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표 1>은 [K]/([Sn]+[K])이 0(K 미첨가시), 5 at%, 10 at%, 15 at%, 20 at%, 25 at%, 30 at%인 경우를 나타낸다. K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캐리어 타입이 전자인 n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K를 첨가하면 캐리어 타입이 정공인 p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도 5는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K]/([Sn]+[K])의 함량에 따른 투과율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약 380 nm 내지 약 770 nm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평균 투과율은 약 75 % 내지 약 84 % 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p형 산화물 반도체(20)는 약 49 nm 내지 약 10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p형 산화물 반도체(20)의 [K]/([Sn]+[K])의 함량에 따른 광학 밴드갭들을 보여준다. A 및 B는 각각 indirect-allowed optical bandgap과 direct-allowed optical bandgap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K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학 밴드갭들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도 3a 내지 도 4와 같이 K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SnO2에서 SnO 조성으로 변화되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트랜지스터(100)를 도시한다. 테스트용 트랜지스터(100)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기판(110), 절연막(120), 반도체막(130), 및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투명할(transparent)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절연막(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120)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120)은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막(130)은 절연막(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막(13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p형 산화물 반도체(20)일 수 있다. 반도체막(130)은 박막 트랜지스터(100)의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00)가 턴-온(turn-on)된 경우,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은 반도체막(1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은 반도체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은 반도체막(130) 상에 직접(directly on)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과 반도체막(130)이 접하는 면은 오믹 컨택(ohmic contact)을 이룰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각각 도 7의 박막 트랜지스터(100)의 [K]/([Sn]+[K]) 함량에 따른 전달 및 출력 특성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각각 [K]/([Sn]+[K])가 0(K 미첨가시), 5 at%, 10 at%, 20 at%, 25 at%, 30 at%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100)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이 높아질수록 전달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되어, 반도체막(130)이 n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8c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100)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이 낮아질수록 전달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되어, 반도체막(130)이 p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00a)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100a)는 기판(110), 게이트 전극(115), 절연막(120), 반도체막(130),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 및 보호 절연막(150)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되고,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5)은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5)은 기판(110)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5)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5)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115)은 텅스텐(W), 알루미늄(Al), 구리(Cu), 백금(Pt), 금(Au), 은(Ag), 티타늄(Ti), 및 몰리브덴(M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120)은 기판(110) 및 게이트 전극(115)을 덮을 수 있다. 반도체막(130)의 일부는 게이트 전극(115)과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반도체막(130)의 나머지 부분은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도체막(130)은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 사이에 노출된 절연막(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막(130)과 게이트 전극(115)은 절연막(1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보호 절연막(150)은 반도체막(130),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을 덮을 수 있다. 보호 절연막(150)은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00b)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1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되고,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의 박막 트랜지스터(100b)는 식각 보호막(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120) 상에 반도체막(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막(130) 상에 식각 보호막(135)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반도체막(130)의 일부는 식각 보호막(135)에 의해 덮이고, 반도체막(130)의 나머지 부분은 소스 드레인 전극들(1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식각 보호막(135)과 게이트 전극(115)은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새로운 조성의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p형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스핀 코팅과 같은 저가의 용액 공정 및 저온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 Thin-Film Transistor), 디스플레이나 이미지 센서와 같은 대면적 전자 소자, PN 접합 다이오드, PN 접합 발광 다이오드, 투명 태양 전지, 투명 센서 및 정밀 영상 진단 소자 등 다양한 투명 전자 회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들(100,100a,100b)은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알칼리 금속; 및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p형 산화물 반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되,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인 p형 산화물 반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5 at% ≤ [K]/([Sn]+[K]) ≤ 30 at% 인 p형 산화물 반도체.
  4. 제 3 항에 있어서,
    10 at% ≤ [K]/([Sn]+[K]) ≤ 20 at% 인 p형 산화물 반도체.
  5. 알칼리 금속 화합물과 주석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
    기판 상에 반응 생성물로 박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박막을 열처리하여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것은, Sputtering Depositio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ulsed Laser Deposition (PLD),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Inkjet Coating, Electro-Hydro-Dynamic (EHD) Coating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산화물 반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되,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을 만족하는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5 at% ≤ [K]/([Sn]+[K]) ≤ 30 at% 인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10 at% ≤ [K]/([Sn]+[K]) ≤ 20 at% 인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약 5 nm 내지 약 1000 n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p형 반도체 산화물 제조 방법.
  1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의 소스 드레인 전극들; 및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막을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막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는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화학식 1>
    M2xSn3-xO3
    M은 알칼리 금속, 0.015075 ≤ x ≤ 1.285714, 1 at% ≤ [K]/([Sn]+[K]) ≤ 60 at% 인 트랜지스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5 at% ≤ [K]/([Sn]+[K]) ≤ 30 at% 인 트랜지스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10 at% ≤ [K]/([Sn]+[K]) ≤ 20 at% 인 트랜지스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은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 상에 형성되는 식각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은 상기 반도체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식각 보호막은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레인 전극들과 상기 반도체 막을 덮는 보호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1020160154389A 2016-07-20 2016-11-18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10227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21,135 US20180026104A1 (en) 2016-07-20 2017-06-13 P-type oxide semiconductor, method for forming p-type oxide semiconductor, and transistor with the p-type oxide semi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259 2016-07-20
KR20160092259 2016-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39A true KR20180010939A (ko) 2018-01-31
KR102277143B1 KR102277143B1 (ko) 2021-07-15

Family

ID=6108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389A KR102277143B1 (ko) 2016-07-20 2016-11-18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18A (ko) * 2018-10-30 2020-05-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3244A (ko) 2020-06-10 2021-12-17 박문석 P,n 반도체 방식 압전소자의 p형 반도체 제조를 위한 혼합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130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07107A (ko) * 2009-12-04 2012-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20150155067A1 (en) * 2013-03-29 2015-06-04 Rftron Co., Ltd. Transparent compound semiconductor and p-type doping method therefor
US9761732B2 (en) * 2015-02-25 2017-09-12 Snaptrack Inc. Tunnel thin film transistor with hetero-jun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107A (ko) * 2009-12-04 2012-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10107130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50155067A1 (en) * 2013-03-29 2015-06-04 Rftron Co., Ltd. Transparent compound semiconductor and p-type doping method therefor
US9761732B2 (en) * 2015-02-25 2017-09-12 Snaptrack Inc. Tunnel thin film transistor with hetero-junction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18A (ko) * 2018-10-30 2020-05-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3244A (ko) 2020-06-10 2021-12-17 박문석 P,n 반도체 방식 압전소자의 p형 반도체 제조를 위한 혼합조성물
KR20220159298A (ko) 2020-06-10 2022-12-02 박문석 P,n 반도체 방식 압전소자의 p형 반도체 제조를 위한 혼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143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287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07143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thin film transistor using boron-doped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US5606179A (en) 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crystalline channel region
KR10123882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8987856B2 (en) Photodiode having N-type and intrinsic amorphous IGZO layers
US10373982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04465783A (zh) 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CN104241392B (zh)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显示基板和显示设备
US20100019239A1 (en) Method of fabricating zto thin film, thin film transistor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JP2010093070A (ja)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55154A (zh) 半导体薄膜、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WO2013150981A1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im et al. Boosting carrier mobility in zinc oxynitride thin-film transistors via tantalum oxide encapsulation
US2021036694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6768048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該薄膜トランジスタを含む表示装置
US1039618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80010939A (ko) P형 산화물 반도체, p형 산화물 반도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20100010888A (ko) Zto 박막의 제조방법, 이를 적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2012186383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201502214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transistor
US20150108468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026104A1 (en) P-type oxide semiconductor, method for forming p-type oxide semiconductor, and transistor with the p-type oxide semiconductor
KR10218051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9509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박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KR20170072438A (ko)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