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576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576A
KR20180010576A KR1020160092884A KR20160092884A KR20180010576A KR 20180010576 A KR20180010576 A KR 20180010576A KR 1020160092884 A KR1020160092884 A KR 1020160092884A KR 20160092884 A KR20160092884 A KR 20160092884A KR 20180010576 A KR20180010576 A KR 2018001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ver
wall
insulating wall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824B1 (ko
Inventor
전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24B1/ko
Priority to PL17831288T priority patent/PL3490025T3/pl
Priority to HUE17831288A priority patent/HUE055310T2/hu
Priority to EP17831288.0A priority patent/EP3490025B1/en
Priority to PCT/KR2017/007639 priority patent/WO2018016815A1/ko
Priority to CN201780045126.2A priority patent/CN109478614B/zh
Priority to US16/318,964 priority patent/US11654782B2/en
Publication of KR2018001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9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팩과, 서로 이웃한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와, 버스 바의 단부에 씌워져서 버스 바를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바의 결합 공을 노출시키되, 버스 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에 대한 충분한 절연이 확보되고, 고전압의 충, 방전 전류가 흐르는 버스 바의 단락에 의한 오동작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팩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이러한 모듈 형태에서는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1492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서로 다른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에 대한 충분한 절연이 확보되고, 고전압의 충, 방전 전류가 흐르는 버스 바의 단락에 의한 오동작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서로 다른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상기 버스 바의 단부에 씌워져서 버스 바를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스 바의 결합 공을 노출시키되, 상기 버스 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커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부는 상기 결합 공을 애워싸면서 길게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버스 바의 일면과 타면 측에 형성된 제1, 제2 절연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과 커버 본체 사이에는, 제1 절연벽의 회동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가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절연벽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상기 중공부와 반대되는 하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의 외 측을 덮고,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의 내 측을 덮는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버스 바 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버스 바의 양측 단부를 제외한 중앙 부분에는 절연재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버스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버스 바가 끼워지는 조립 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버스 바에 대해 상기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 돌기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돌기는 상기 조립 홀을 정의하는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는, 각각 버스 바의 일면과 타면 측에 형성된 제1, 제2 절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조립 가이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중공부와 이웃한 위치에서 상기 버스 바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오프닝을 둘러싸며, 상기 버스 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둘 이상 다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스 바에는 고전압의 충, 방전 전류가 소통되므로, 외부 이물질이나 내부의 다른 구성이 버스 바와 접촉할 경우,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고, 충, 방전 전류의 패스가 단락되어 오동작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충, 방전 패스를 형성하는 버스 바에 대한 충분한 절연을 확보하고, 외부 환경이나 내부 구성과의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오동작 및 예기치 못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3의 VI 방향에서 도시한 버스 바 커버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의 VIII 방향에서 도시한 버스 바 커버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팩(50)과 배터리 팩(50)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은 다수의 배터리 팩(50)을 개재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 상에 덮여지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팩(50)은 하나 이상 다수의 배터리 팩(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 팩(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다수의 배터리 팩(50)이 직렬/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요구되는 전기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고전압 커넥터(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전압 커넥터(21)는 프레임(11) 상에 형성되고 프레임(11) 상으로부터 커버(12) 위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차량의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고전압 커넥터(21)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위한 출력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 상에는 배터리 팩(5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와, 배터리 팩(50)의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보조 커넥터(22) 및 오동작시 배터리 팩(50)의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퓨즈블록(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커넥터(21)는 커버(12)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차량의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보조 커넥터(21)는, 차량의 구동 전원이 아닌, 차량 내 전장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퓨즈블록(23)은 커버(12)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퓨즈블록(23) 위로는 배터리 팩(50)의 충, 방전 패스를 형성하는 퓨즈박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퓨즈박스(미도시)는 충, 방전 패스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과열이나 과전류와 같은 오동작시에 충, 방전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퓨즈박스(미도시)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체 또는 줄 발열에 따라 충, 방전 패스를 차단할 수 있는 퓨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퓨즈블록(23) 위로 퓨즈박스(미도시)를 결합함으로써, 충, 방전 패스가 형성되고 배터리 모듈의 구동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고전압 커넥터(21), 보조 커넥터(22) 및 퓨즈블록(23)이 안착된 프레임(11) 상에 덮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2)에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21), 보조 커넥터(22) 및 퓨즈블록(23)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3의 VI 방향에서 도시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의 VIII 방향에서 도시한 버스 바 커버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3에 도시된 버스 바 및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 바(200)는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다른 배터리 팩(50)을 향하여 연장되는 양측 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에는, 서로 다른 배터리 팩(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 공(2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200)는 각각 서로 다른 배터리 팩(50)과 연결되는 양측 단부(220)의 결합 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는 서로 이웃한 배터리 팩(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수의 배터리 팩(50)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고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의 체결에 대해, 결합 홀(200`)을 관통하여 배터리 팩(50)의 단자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버스 바(20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에는 버스 바(200)의 절연을 위한 절연재(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재(C)는 양측 단부(220)를 제외한 버스 바(200)의 중앙 부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epoxy, PVC(polyvinyl chloride)와 같은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200)는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로부터 절곡되어 각각의 배터리 팩(50)을 향하여 연장되며 결합 홀(200`)을 포함하는 단부(22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의 단부(220)에는, 버스 바(200)를 절연하기 위한 버스 바 커버(100)가 씌워진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양측 단부(2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 단부(220)에 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양측 단부(220)에 씌워질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단부(220)를 덮어주며, 힌지부(105)를 포함하여 버스 바(200)의 절곡부에 밀착되어 해당 부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결합 홀(200`)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가 결합 홀(200`)을 향하는 결합 공구(미도시)의 접근을 안내함으로써, 버스 바(200)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결합 홀(200`)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버스 바(200)의 노출에 따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버스 바(200)의 결합 홀(200`)을 외부로 노출시키면서도 결합 홀(200`)의 노출에 따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홀(200`)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길게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공부(150)는 상기 버스 바(200)의 결합 공(200`)을 노출시키되, 버스 바(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결합 홀(200`)의 노출에도 불구하고 버스 바(200)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버스 바(2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홀(200`)을 향하여 접근하는 외부 물체는 중공부(150)에 의해 가로막혀 버스 바(2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버스 바(200)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결합 공(200`)을 둘러싸면서 길게 연장되는 원통형 중공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결합 공(200`)을 둘러싸서 결합 공(200`) 주변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공(200`)을 노출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고, 결합 공(200`) 주변을 절연시키기에 충분히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공부(150)는 상기 결합 공(200`)을 둘러싸면서 결합 공(200`)의 외주를 따라 원통형 중공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는 버스 바 커버(100)의 본체(101)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 본체(101)와, 상기 버스 바 본체(101)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절연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바 본체(101)란 힌지부(10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절연벽(110)을 제외한 나머지 버스 바 커버(100) 부분을 총칭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0)는, 버스 바(200)의 양측 단부(220)를 제외한 대부분에 절연재(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스 바(200)의 양측 단부(220)에는 버스 바 커버(100)가 씌워진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버스 바(200)의 결합 홀(200`)을 제외한 전부가 절연 소재에 의해 덮이게 되고, 버스 바(200)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50)와 인접한 위치, 그러니까, 상기 중공부(150)와 인접한 버스 바 본체(101)에는 버스 바(100)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오프닝과, 오프닝의 주변에서 오프닝을 둘러싸는 격벽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프닝은 버스 바(200)의 온도, 전압과 같은 상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버스 바(200)와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개소로서,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전압 측정용 배선(미도시)이나, 서미스터(미도시)가 버스 바(20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이렇게 오프닝을 통하여 입수된 상태 정보는,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오프닝은 버스 바(200)의 일부를 노출하기 위한 것이나, 버스 바(200)의 노출에 따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닝의 주변으로는 오프닝을 둘러싸며, 중공부(150)와 나란하게 버스 바(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격벽부(108)는 버스 바(200)를 향하는 도전성 침투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버스 바(200)를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중공부(150)가 형성된 커버 본체(101)와, 상기 커버 본체(101)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버스 바(200)의 일면과 타면 측에 형성된 제1, 제2 절연벽(110,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절연벽(110,120)은 버스 바(200)와 이웃한 구성들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막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110)은 커버 본체(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커버 본체(101)에 대해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벽(110)은 힌지부(105)를 통하여 커버 본체(10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05)는 제1 절연벽(110)이 커버 본체(10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꺾임이 자유로운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05)는 버스 바(200)의 굴절부를 덮도록 커버 본체(101)에 대해 자유로운 회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단부(220)에 씌워질 수 있고, 제1 절연벽(110)을 회동시켜서 버스 바(200)의 굴절부를 덮어줄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제1, 제2 절연벽(110,120) 사이로 연장되는 버스 바(200)의 일부를 절연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110)은 버스 바(200)의 일 면을 덮어줄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벽(120)은 버스 바(200)의 타 면을 덮어줄 수 있다. 이렇게 제1, 제2 절연벽(110,120)은 버스 바(200)의 서로 반대되는 일 면과 타 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벽(110)은 힌지부(105)로 연결된 커버 본체(101)에 대해 회동될 수 있는 반면에, 제2 절연벽(120)은 커버 본체(101)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중공부(150)에 대해 보다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절연벽(110)은 중공부(15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벽(110)은 중공부(15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버스 바(200)의 외 측을 덮고,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중공부(15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버스 바(200)의 내 측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 바(200)의 외 측을 덮는 제1 절연벽(110)을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버스 바(200)의 해당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절연벽(110)이 회동되면서 버스 바(200)의 외 측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바(200)의 내 측을 덮는 제2 절연벽(120)은 고정적으로 형성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버스 바(200)의 내 측을 덮게 되므로, 굳이 버스 바(200)의 해당 부분에 밀착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절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벽(110)에는 버스 바(2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1)은 제1 절연벽(110)으로부터 버스 바(2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1)은 제1 절연벽(110)이 버스 바(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버스 바(200)와의 밀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바(200)와 후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1)은 버스 바(200)를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절연벽(110)의 양편에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1)은 버스 바(200)의 양단에 결착되어 버스 바(200)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111)의 끝단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버스 바(200)의 단부(220)에 씌워지며, 버스 바(200)의 단부(220)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200)는, 버스 바 커버(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고, 버스 바 커버(200)를 조립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121)는 상기 버스 바(200)가 끼워지는 조립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 홀(121`)은 버스 바(200)의 단면 형상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홀(121`)을 정의하는 벽체는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바 커버(1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조립 홀(121`)에는 버스 바(200)가 끼워질 수 있고, 조립 홀(121`)에 끼워진 버스 바(200)를 따라, 버스 바 커버(1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조립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립 가이드(121)에는 상기 버스 바 커버(10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조립 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돌기(121a)는 조립 홀(121`)의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버스 바(200)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함으로써 버스 바(200)와 버스 바 커버(100)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돌기(121a)는 조립 홀(121`)을 정의하는 벽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홀(121`)의 벽체가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할 때, 상기 조립 돌기(121a)는 장변부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101)에는 커버 본체(101)의 위치 고정을 위한 조립 돌기(1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101)와 힌지부(105)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절연벽(110)에는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버스 바(2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1 절연벽(110)이 버스 바(200)에 대해 밀착된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 본체(101)의 조립 돌기(121a)와 제1 절연벽(110)의 걸림턱(111)을 이용하여 버스 바 커버(100)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커버 본체(101)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제1 절연벽(110)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고 커버 본체(10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조립 가이드(121) 밑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가이드(121)는 버스 바(200)의 저면을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상기 조립 가이드(1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조립 가이드(1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버스 바(200)의 일부를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벽(120)은 커버 본체(101)로부터 수직에 가깝게 절곡될 수 있는데, 버스 바(200)와 밀착상태를 유지하지는 않더라도 버스 바(200)와 인접한 거리에서 버스 바(200)의 노출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커버(100)는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버스 바 커버(100)의 전체가 심-리스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서로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된 둘 이상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되지 않고, 버스 바 커버(100)의 전체가 하나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프레임
12 : 커버 21 : 고전압 커넥터
22 : 보조 커넥터 23 : 퓨즈블록
100 : 버스 바 커버 101 : 커버 본체
105 : 힌지부 108 : 격벽부
110 : 제1 절연벽 111 : 걸림턱
120 : 제2 절연벽 121 : 조립 가이드
121`: 조립 홀 121a : 조립 돌기
150 : 중공부 200 : 버스 바
210 : 버스 바 본체 220 : 버스 바의 단부
200`: 결합 홀 C : 절연재

Claims (18)

  1. 다수의 배터리 팩;
    서로 이웃한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및
    상기 버스 바의 단부에 씌워져서 버스 바를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스 바의 결합 공을 노출시키되, 상기 버스 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결합 공을 애워싸면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버스 바의 일면과 타면 측에 형성된 제1, 제2 절연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벽과 커버 본체 사이에는, 제1 절연벽의 회동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벽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절연벽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에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상기 중공부와 반대되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벽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의 외 측을 덮고,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의 내 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버스 바 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버스 바의 양측 단부를 제외한 중앙 부분에는 절연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버스 바에 대한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버스 바가 끼워지는 조립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버스 바에 대해 상기 버스 바 커버의 조립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는 상기 조립 홀을 정의하는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커버는, 각각 버스 바의 일면과 타면 측에 형성된 제1, 제2 절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벽은 상기 조립 가이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커버는,
    상기 중공부와 이웃한 위치에서 상기 버스 바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오프닝을 둘러싸며, 상기 버스 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60092884A 2016-07-21 2016-07-21 배터리 모듈 KR10220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84A KR102209824B1 (ko) 2016-07-21 2016-07-21 배터리 모듈
PL17831288T PL3490025T3 (pl) 2016-07-21 2017-07-17 Moduł akumulatora
HUE17831288A HUE055310T2 (hu) 2016-07-21 2017-07-17 Akkumulátormodul
EP17831288.0A EP3490025B1 (en) 2016-07-21 2017-07-17 Battery module
PCT/KR2017/007639 WO2018016815A1 (ko) 2016-07-21 2017-07-17 배터리 모듈
CN201780045126.2A CN109478614B (zh) 2016-07-21 2017-07-17 电池模块
US16/318,964 US11654782B2 (en) 2016-07-21 2017-07-17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84A KR102209824B1 (ko) 2016-07-21 2016-07-21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576A true KR20180010576A (ko) 2018-01-31
KR102209824B1 KR102209824B1 (ko) 2021-01-29

Family

ID=6099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84A KR102209824B1 (ko) 2016-07-21 2016-07-21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54782B2 (ko)
EP (1) EP3490025B1 (ko)
KR (1) KR102209824B1 (ko)
CN (1) CN109478614B (ko)
HU (1) HUE055310T2 (ko)
PL (1) PL3490025T3 (ko)
WO (1) WO20180168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3398A (zh) * 2018-03-30 2019-10-11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连接模块
CN110858637A (zh) * 2018-08-22 2020-03-0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连接模块
US11664524B2 (en) 2018-09-14 2023-05-3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1721876B2 (en) 2020-10-12 2023-08-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1684A (zh) * 2018-04-10 2018-08-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新能源商用车电池包及电动车
US11038232B2 (en) * 2018-05-08 2021-06-15 Toshiba International Corporation All front access battery rack system with insulated bus bar connection
CN209963326U (zh) * 2019-07-05 2020-01-17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连接组件及电池包
GB2590461B (en) * 2019-12-19 2022-06-01 Dyson Technology Ltd Battery pack
SE545987C2 (en) * 2021-07-09 2024-04-02 Scania Cv Ab A busbar protector, a busbar protector assembly, a battery system and a vehicle
WO2023215492A2 (en) * 2022-05-04 2023-11-09 Aspen Aerogels, Inc. Protec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in battery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911A (ja) * 1997-12-03 1999-06-22 Harness Syst Tech Res Ltd バッテリーポスト用接続具及びバッテリー接続端子用カバー
KR20100070170A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746Y2 (ja) 1990-07-30 1997-01-08 日本電池株式会社 蓄電池
JP2855041B2 (ja) 1993-02-17 1999-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接続端子用カバー
JP3134741B2 (ja) 1995-10-11 2001-0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バー付きバッテリ接続端子およびバッテリ接続端子用カバー
US5804770A (en) 1995-09-19 1998-09-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ver equippe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a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127602B1 (ko) 2009-10-22 2012-03-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8580423B2 (en) 2009-10-22 2013-11-12 Samsung Sdi Co., Ltd. Bus bar hold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172068B2 (en) 2009-10-22 2015-10-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084213B1 (ko) 2009-11-30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CN103026554B (zh) 2010-06-24 2015-12-02 富加宜汽车控股公司 电连接器和包括该电连接器的电源设备
WO2011161023A1 (en) 2010-06-24 2011-12-29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ion bus
JP2012038558A (ja) 2010-08-06 2012-02-2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の接続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US8709628B2 (en) 2010-09-02 2014-04-29 Bathium Canada Inc.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device
US8338710B2 (en) * 2010-11-03 2012-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rt-preventing shield for wire harness terminals
KR101223520B1 (ko) 2010-11-10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JP5644523B2 (ja) 2010-12-07 2014-12-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具
US9705161B2 (en) 2011-03-29 2017-07-1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module, battery system, electric vehicle, mobile unit,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device
JP5803405B2 (ja) 2011-08-10 2015-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バスバー
JP5813430B2 (ja) 2011-09-13 2015-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体の接続部材、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該バスバー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源装置
KR101678527B1 (ko) 2012-10-24 2016-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405808B1 (ko) 2012-12-28 2014-06-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료전지스택의 노출충전부 절연 장치
JP5880473B2 (ja) 2013-02-27 2016-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JP5648714B2 (ja) 2013-05-31 2015-01-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1708365B1 (ko) 2013-09-13 201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84098B1 (ko) 2013-09-23 2020-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US9368882B2 (en) * 2013-11-15 2016-06-1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device with a busbar assembly having a frame providing access for laser welding
JP6292377B2 (ja) 2013-12-02 2018-03-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セル固定装置
JP6382524B2 (ja) 2014-02-07 2018-08-29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911A (ja) * 1997-12-03 1999-06-22 Harness Syst Tech Res Ltd バッテリーポスト用接続具及びバッテリー接続端子用カバー
KR20100070170A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3398A (zh) * 2018-03-30 2019-10-11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连接模块
CN110323398B (zh) * 2018-03-30 2021-09-17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连接模块
CN110858637A (zh) * 2018-08-22 2020-03-0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连接模块
US11664524B2 (en) 2018-09-14 2023-05-3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1721876B2 (en) 2020-10-12 2023-08-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0025A1 (en) 2019-05-29
WO2018016815A1 (ko) 2018-01-25
CN109478614B (zh) 2021-10-15
EP3490025A4 (en) 2020-03-11
US11654782B2 (en) 2023-05-23
PL3490025T3 (pl) 2021-08-02
KR102209824B1 (ko) 2021-01-29
US20190305282A1 (en) 2019-10-03
HUE055310T2 (hu) 2021-11-29
EP3490025B1 (en) 2021-04-07
CN109478614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576A (ko) 배터리 모듈
US10211434B2 (en) Battery pack
KR102235655B1 (ko) 이차 전지 팩
KR102340898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20180010578A (ko) 배터리 모듈
US9312530B2 (en) Battery connection member and battery connection body
KR20180010577A (ko) 배터리 모듈
US10361408B2 (en) Battery module
KR102233501B1 (ko) 이차 전지용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2381583B1 (ko)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KR20180047407A (ko) 배터리 팩
US20140356669A1 (en) Battery module
KR20160134324A (ko) 이차전지
KR102479720B1 (ko) 배터리 팩
KR20060028179A (ko) 팩 전지
KR20120013122A (ko) 외부단자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지 팩
KR20210103079A (ko)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블록
CN220544191U (zh) 背负式电池包
CN118044054A (zh) 电池组
KR20210036903A (ko) 이차 전지 팩
JP200619052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接続用カバー
KR20160104995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