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896A - 덧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덧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896A
KR20180009896A KR1020160091779A KR20160091779A KR20180009896A KR 20180009896 A KR20180009896 A KR 20180009896A KR 1020160091779 A KR1020160091779 A KR 1020160091779A KR 20160091779 A KR20160091779 A KR 20160091779A KR 20180009896 A KR20180009896 A KR 20180009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boot
tissue
inelastic
bra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빈
Original Assignee
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빈 filed Critical 유빈
Priority to KR102016009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896A/ko
Publication of KR2018000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1Elastic or flexible yarns knitted into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잘 벗겨지지 않으면서 착용감이 향상된 덧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덧신 및 그 제조방법{Oversho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덧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잘 벗겨지지 않으면서 착용감이 향상된 덧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이나 스타킹은 발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신발을 신기 위하여 발에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옷맵시나 개성을 살리기 위하여 양말이나 스타킹을 착용하지 않고 신발을 신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맨발로 신발을 신은 상태로 보행하게 되면, 보행중 땀이 차고 발냄새도 심하게 발생되어 본인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심한 불쾌감을 주게 되었고, 또한 무좀이 발생되고 굳은 살이 배기는 등 발 건강에도 좋지 않다.
따라서 최근에는 발등 부분까지만 착용할 수 있는 덧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덧신은 신발을 신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옷맵시나 개성을 살릴 수 있음과 동시에 땀을 흡수하여 발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덧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에 밀착되는 바닥편직부(11a)에 대응되는 편직물과, 발가락 상부측의 발등을 덮는 발등편직부(11b)에 대응되는 편직물과, 뒤꿈치를 덮는 뒤꿈치편직부(11c)에 대응되는 편직물을 각각 만들어 재단한 후, 그 제단된 편직물들을 상호 봉제하여 연결함으로써 덧신(11) 몸체를 형성하고, 이후 바닥편직부(11a)의 측부와, 발등편직부(11b)의 상부와, 뒤꿈치편직부(11c)의 상부측을 탄성밴드(11d)로 봉제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바닥편직부(11a)와 발등편직부(11b)를 연결하는 봉제선(11e)의 끝단은 오버록 재봉하여 마무리하고, 바닥편직부(11a)와 뒤꿈치편직부(11c)를 연결하는 봉제선(11f)의 끝단 역시 오버록 재봉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때문에, 덧신(11) 내측에 위치되는 바닥편직부(11a)와 발등편직부(11b) 사이의 봉제선(11e) 및 바닥편직부(11a)와 뒤꿈치편직부(11c) 사이의 봉제선(11f)의 끝단은 그 덧신(11) 내측면에서 꺼칠꺼칠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발에 착용할 때 착용감을 떨어뜨리는 요인된다. 아울러 제조 과정이 복잡하다.
환편기로 편조되는 이와 다른 간단한 형태의 종래 덧신은, 환편기로 위에서(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안으로 접어 쓰구이 처리함) 아래로 편직하여 밑단을 봉제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봉제선이 덧신 바닥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착용감이 불편하며, 뒷굽이 잘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뒷굽이 벗겨지는 문제는 뒷굽 내면에 실리콘을 발라 잘 벗겨지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의 실정이지만, 이는 후공정을 통해 처리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공정과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제품 품위면에 있어서도 매우 불리하다.
아울러, 덧신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431984호를 비롯하여, 등록특허 제1376591호, 등록특허 제0978201호, 등록특허 제0919969호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431984호 2. 등록특허공보 제1376591호 3. 등록특허공보 제0978201호 4. 등록특허공보 제09199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덧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편기로 편직되는 덧신에 있어서; 상단(1)은 고무단조직으로 편조되고 쓰꾸이 처리되어 덧신의 발목밴드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발등 부위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뒤측 및 바닥을 이루고, 일측(2) 및 타측(4)의 하단이 봉제되어, 착용 시 발가락 앞에 봉제선이 가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을 제공한다.
상기 타측(4)의 상부(5)가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마찬가지로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타측(4)의 상부(5)를 연결하는 덧신의 양 측면(3)이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다.
상기 비탄성조직은 곱씹기조직이고, 상기 탄성조직은 올프레임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측(4) > 양 측면(3) > 일측(2)의 적어도 일부 또는 타측(4)의 상부(5) > 상단(1)의 순으로 조직의 탄성이 커서 더 잘 늘어날 수 있다.
나아가, 상단(1)과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 또는 타측(4) 사이에,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가 2회 내지 3회 둘러지면서 밀착부(7)가 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일 예로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그리고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일측(2)과 타측(4)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덧신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다른 예로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를 2회 내지 3회 두르면서 상단(1)으로부터 아래로 밀착부(7)를 편조하는 단계; 밀착부(7)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비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제외한 나머지를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상기 나머지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덧신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첫째, 착용 시 봉제선이 바닥에 세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발가락 앞에 봉제선이 가로로 형성되므로 바닥에 봉제선이 있는 종래의 덧신에 비해 착용감이 훨씬 우수하고
둘째,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타측(4)이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파도 모양으로 돌출된 폴리우레탄사가 발 뒤꿈치 피부와 직접적으로 밀착되고, 타측(4) 상부(5)에 편조된 비탄성조직이 아킬레스건(발 뒤꿈치 위의 가늘고 들어간 부분)를 수평으로 치밀하게 감싸고, 비탄성적인 양 측면(3) 조직으로 인해 발 뒤꿈치가 자리잡을 수 있는 공간이 덧신 뒤측에 마련되므로, 종래 덧신과 같이 뒷꿈치 내면에 실리콘 처리가 되지 않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으며
셋째, 비탄성적인 양 측면(3) 조직으로 인해 다양한 족형에 따라 측면과 뒤측에 발생될 수 있는 주름이나 들뜸이 방지될 수 있으며
넷째, 일측(2)과 타측(4)의 하단(6)이 1:1, 2:1, 또는 3:1의 립(rib)조직으로 편조되어 유려하고 발가락을 편안히 감쌀 수 있는 고품질의 덧신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편기를 이용하여 일측(2)의 적어도 일부에 편조되는 비탄성조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맞는 덧신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덧신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덧신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의 조직을 설명하기 위해 조직번호를 부여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의 뒷부분을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의 착용시 정면을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의 착용시 저면을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을 설명함에 있어 그 제조방법이 편직구조를 포함하므로 물건인 덧신과 덧신 제조방법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덧신의 구성 설명시 방법적인 측면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조직이란 당겼을 때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나는 조직, 비탄성조직이란 당겼을 때 거의 늘어나지 않는 조직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비탄성조직 및 탄성조직은 환편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환편기는 도 2의 (a)에서 원(Circle)의 둘레방향으로 표시된 ①,②,③,④는 다수의 사도(실 공급지점)를 의미하고, 최대 4개의 사도를 응용하여 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이 제조된다. 사도를 이용하여 편조될 실의 굵기, 종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덧신은, 환편기로 편직되는 덧신으로서,
상단(1)은 고무단조직으로 편조되고 쓰꾸이 처리되어 덧신의 발목밴드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발등 부위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뒤측 및 바닥을 이루고, 일측(2) 및 타측(4)의 하단이 봉제되어, 착용 시 발가락 앞에 봉제선이 가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덧신은, 고무단조직으로 편조되고 쓰꾸이 처리되어 덧신의 발목밴드를 이루는 상단(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1)은 복사뼈 아래 위치의 발목 둘레를 압박하면서 감싸되 쉽게 흘러내리지 않고 조일 수 있도록 편직된다.
이때, 상기 상단(1)은 흘러내리지 않도록 조일 수 있는 탄압 기능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실이 아닌 특수사로서, (20/40)의 특수사를 이용하여 ②번사도, ③번사도, ④번사도를 이용하여 편직된다.
여기에서, (20/40)이란 '/'를 기준으로 심사/부사(커버사)로 나뉘고, 심사는 폴리우레탄 고무로서 20데니어의 굵기를 갖는 실이고, 부사 즉, 커버사(탄성없는 나일론)는 40데니어의 굵기를 갖는 실로서 부사가 심사에 나선형으로 감겨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조의 실, 즉 특수사를 ②,③,④ 3군데의 사도에서 공급하면서 고무단조직으로 편조되고 쓰꾸이 처리되어 덧신의 상단(1)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직조되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발등 부위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뒤측 및 바닥을 이룬다.
상단으로부터 이어서 아래로 직조함에 있어서, 덧신의 발등 부위를 덮게 될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겹쳐서 조밀하게 비탄성적으로 편조(예컨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곱씹기조직)되는 동시에, 덧신의 뒤측 및 바닥을 모두 덮도록 타측(4)은 성기게 탄성적으로 편조(예컨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올프레임조직)된다.
예컨대, 매 100턴 마다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약 2cm 정도의 치밀하고 견고한 비탄성조직으로 직조되는 반면, 타측(4)은 약 10cm 정도의 성기고 신축적인 탄성조직으로 직조되는 것이다.
덧신의 발등 부위를 충분히 덮게 될 정도로 일측(2)의 적어도 일부가 편조된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2)의 나머지(6)와 타측(4)은 공히 동일한 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2)은 짧게, 타측(4)는 길게 편직될 것이며 양측(2,4)의 하단은 대략 발가락 앞부리에서 만나게 된다.
환편기로 위와 같이 편조하기 위해서는, ①번사도와 ③번사도는 (20/40)의 실을 사용하고, ②번사도와 ④번사도에는 (20/70)의 실을 사용하여 덧신의 내구성을 강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4개의 모든 사도에서 (20/40)의 실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을 제조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나아가 일측(2) 및 타측(4)의 하단이 봉제되면, 본원 덧신을 착용 시 봉제선이 바닥에 세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발가락 앞에 봉제선이 가로로 형성되므로 바닥에 봉제선이 있는 종래의 덧신에 비해 착용감이 훨씬 우수하다.
아울러, 본원 덧신의 일측(2)는 발등으로부터 흘러내려 발가락에 이를 때까지 그다지 신장되지 않는 반면에, 타측(4)은 바닥을 가로지르고 뒤꿈치를 돌아들어 아킬레스건에 이를 만큼 탄성적으로 신장되어,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타측(4)이 긴장관계를 형성하므로 덧신의 뒷꿈치 내면에 실리콘 처리가 되지 않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본원 덧신의 일측(2)의 적어도 일부에 편조되는 비탄성조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맞는 덧신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운동화용에 맞도록 비탄성조직의 길이를 더 늘려줌으로써 스니커즈용 덧신을 제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덧신에 대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이뤄질 수 있음을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덧신에 있어서, 상단(1)과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 또는 타측(4)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가 2회 내지 3회 둘러지면서 밀착부(7)가 편조될 수 있으며, 파도 모양으로 돌출된 폴리우레탄사는 발 뒤꿈치 피부와 직접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덧신 뒤측이 벗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원 덧신에 밀착부(7)이 편조되는 경우, 상단(1)이 아니라 밀착부(7)로부터 이어지도록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후술되는 덧신의 양 측면(3)이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덧신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킬레스건을 감싸도록 타측(4)의 상부(5)가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마찬가지로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으며, 타측(4) 상부(5)에 편조된 비탄성조직이 아킬레스건(발 뒤꿈치 위의 가늘고 들어간 부분)를 수평으로 치밀하게 감싸면서 덧신 뒤측이 벗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덧신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타측(4)의 상부(5)를 연결하도록 덧신의 양 측면(3)이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양 측면(3) 조직으로 인해 발 뒤꿈치가 자리잡을 수 있는 공간이 덧신 뒤측에 마련되고, 다양한 족형에 따라 측면과 뒤측에 발생될 수 있는 주름이나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양 측면(3)은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타측(4)사이를 연결하면서 발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정도 신축될 필요가 있으므로 타측(4)보다는 비탄성적이고 일측(2)의 적어도 일부보다는 더 탄성적인 조직으로 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덧신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2)과 타측(4)의 하단(6)은 1:1, 2:1, 또는 3:1의 립(rib)조직으로 편조하면 봉제 시 덧신의 유려함을 더하고 발가락을 편안히 감쌀 수 있는 덧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립조직 중 3:1 조직 또는 2:1 조직 또는 1:1 조직이란, 3개가 들어가고 1개가 튀어나온 형태의 편조 조직, 2개가 들어가고 1개가 튀어나온 형태의 편조 조직, 1개가 들어가고 1개가 튀어나온 형태의 편조 조직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제조 방법에 대해 중복을 피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덧신은, 환편기로 덧신을 편직함에 있어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그리고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일측(2)과 타측(4)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그리고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부연 설명을 생략한다.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일측(2)과 타측(4)의 하단을 봉제하는 것은 봉제 후 봉제된 직을 다시 뒤집음으로써 봉제선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를 따른 덧신은, 환편기로 덧신을 편직함에 있어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를 2회 내지 3회 두르면서 상단(1)으로부터 아래로 밀착부(7)를 편조하는 단계; 밀착부(7)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비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제외한 나머지를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상기 나머지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원 덧신에 밀착부(7)이 편조되는 경우라서, 제1 실시예와 달리 상단(1)이 아니라 밀착부(7)로부터 이어지도록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후술되는 덧신의 양 측면(3)이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된다.
1: 상단 2: 일측(또는 일측의 적어도 일부)
3: 양 측면 4: 타측
5: 타측의 상부 6: 일측과 타측의 하단
7: 밀착부

Claims (8)

  1. 환편기로 편직되는 덧신에 있어서,
    상단(1)은 고무단조직으로 편조되고 쓰꾸이 처리되어 덧신의 발목밴드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발등 부위를 이루고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되어 덧신의 뒤측 및 바닥을 이루고
    일측(2) 및 타측(4)의 하단이 서로 봉제되어,
    착용 시 발가락 앞에 봉제선이 가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측(4)의 상부(5)가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마찬가지로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타측(4)의 상부(5)를 연결하는 덧신의 양 측면(3)이 비탄성조직으로 편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조직은 곱씹기조직이고, 탄성조직은 올프레임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5. 청구항 3에 있어서,
    타측(4) > 양 측면(3) > 일측(2)의 적어도 일부 또는 타측(4)의 상부(5) > 상단(1)의 순으로 조직의 탄성이 커서 더 잘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1)과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 또는 타측(4) 사이에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가 2회 내지 3회 둘러지면서 밀착부(7)가 편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7. 환편기로 덧신을 편직함에 있어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조직으로 그리고 상단(1)으로부터 이어지는 타측(4)은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일측(2)과 타측(4)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덧신 제조 방법.
  8. 환편기로 덧신을 편직함에 있어서,
    상단(1)을 고무단조직으로 편조하고 편조된 상단(1)을 안으로 접어 쓰꾸이처리하여 덧신의 발목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덧신의 발목 내부를 향해 파도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폴리우레탄사를 2회 내지 3회 두르면서 상단(1)으로부터 아래로 밀착부(7)를 편조하는 단계;
    밀착부(7)로부터 이어지는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비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상기 일측(2)의 적어도 일부, 타측(4)의 상단, 및 덧신의 양 측면(3)을 제외한 나머지를 탄성조직으로 편조하는 단계;
    편조된 직물을 뒤집은 후 상기 나머지의 하단을 봉제하는 단계; 및
    봉제된 직물을 다시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덧신 제조 방법.
KR1020160091779A 2016-07-20 2016-07-20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9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79A KR20180009896A (ko) 2016-07-20 2016-07-20 덧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79A KR20180009896A (ko) 2016-07-20 2016-07-20 덧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896A true KR20180009896A (ko) 2018-01-30

Family

ID=6107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779A KR20180009896A (ko) 2016-07-20 2016-07-20 덧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8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609B1 (ko) * 2018-02-14 2019-03-18 박철환 덧버선 편직방법 및 덧버선
KR101988651B1 (ko) 2019-02-20 2019-06-12 주식회사 제이패션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010B1 (ko) 2018-04-26 2019-08-06 고미화 신축성 원단을 이용한 긴 양말의 제조 방법
KR20190124539A (ko) 2018-04-26 2019-11-05 고미화 양말과 양털 원단을 이용한 보온 덧신의 제조 방법
KR20230117031A (ko) * 2022-01-29 2023-08-07 김재동 뒤꿈치와 밴드에 실리콘이 없는 벗겨짐 방지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609B1 (ko) * 2018-02-14 2019-03-18 박철환 덧버선 편직방법 및 덧버선
KR102008010B1 (ko) 2018-04-26 2019-08-06 고미화 신축성 원단을 이용한 긴 양말의 제조 방법
KR20190124539A (ko) 2018-04-26 2019-11-05 고미화 양말과 양털 원단을 이용한 보온 덧신의 제조 방법
KR101988651B1 (ko) 2019-02-20 2019-06-12 주식회사 제이패션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17031A (ko) * 2022-01-29 2023-08-07 김재동 뒤꿈치와 밴드에 실리콘이 없는 벗겨짐 방지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896A (ko) 덧신 및 그 제조방법
JP3211514U (ja) フットカバー
US20070033711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JPH1170140A (ja) 治療用靴下
US20060218973A1 (en) Socks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CN105831822A (zh) 袜子
KR20170006877A (ko) 덧신양말
JP2010100982A (ja) 靴下
KR101431984B1 (ko) 벗겨짐 방지용 덧신양말 및 그 제조방법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US9957649B2 (en) Sock structure
JP3225930U (ja) フットカバー
KR20180038853A (ko) 타이즈
CA2558157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KR101623078B1 (ko) 발가락 덧신 양말의 제조방법
JP6253257B2 (ja) フットカバー
KR102422172B1 (ko) 다기능 덧신양말 및 그 제조방법
JP2008075236A (ja) 靴下類の製造方法
JP3226201U (ja) カバーソックス
JP2006104599A (ja) 靴下
JP5936025B2 (ja) サポートソックス
JP2011042900A (ja) フート・ウェア
KR101552570B1 (ko)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CN111083920A (zh) 运动袜或运动绑带
CN111200946A (zh) 船袜以及制造这种船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