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376A -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Google Patents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8376A KR20180008376A KR1020177019816A KR20177019816A KR20180008376A KR 20180008376 A KR20180008376 A KR 20180008376A KR 1020177019816 A KR1020177019816 A KR 1020177019816A KR 20177019816 A KR20177019816 A KR 20177019816A KR 20180008376 A KR20180008376 A KR 201800083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member
- housing
- tubular body
- bent
- sl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flexible hoo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로크부재는 관형상체의 삽입시에 관형상체의 테이퍼부에 의해서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은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부가 통과하여 하우징에 장착된 관형상체의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굴곡부와 로크부재의 선단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슬릿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로크부재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형상체의 로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파이프를 삽입할 때나 파이프를 해제할 때는, 와이어가 상측으로 끌어 올려져서 와이어가 외경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이프의 삽입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파이프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에는 커넥터의 슬릿을 통해서 커넥터의 내부로 돌출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파이프의 로크시나 로크 해제시에 와이어의 굴곡부가 슬릿의 가장자리에 맞닿거나 상기 가장자리에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 저항 등의 요인에 의해서 플러그의 로크시나 로크 해제시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커지게 되어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파이프 등의 관형상체의 삽입시의 조작력을 경감하여 관형상체의 연결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관형상체의 로크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관형상체의 로크기구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하우징
하우징은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통형상의 것이다.
(2) 로크부재
로크부재는 하우징과 관형상체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로크부재는 관형상체의 삽입시에 관형상체의 테이퍼부에 의해서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셋째, 하우징은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부가 통과하여 하우징에 장착된 관형상체의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넷째, '굴곡부'와 '로크부재의 선단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슬릿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로크부재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관형상체의 로크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관형상체의 로크기구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하우징
하우징은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통형상의 것이다.
(2) 로크부재
로크부재는 하우징과 관형상체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로크부재는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셋째, 하우징은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부가 통과하여 하우징에 장착된 관형상체의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넷째, 하우징은 적어도 로크 해제시에 로크부재가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굴곡부를 외측으로 벌리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섯째, 가이드부는 슬릿의 단부보다도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있다.
여섯째, '굴곡부'와 '로크부재의 선단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슬릿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로크부재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는, 가이드부는 로크부재가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또는 외경방향으로의 이동 후의 위치에서 내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크부재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외면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이동 사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와이어 등의 로크부재의 외경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사면에 의해서 로크부재의 선단측을 벌릴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으며, 또 내경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로크부재를 로크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는, 로크부재가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동 도중에서부터 선단부와 슬라이드 이동 사면이 맞닿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와이어 등의 로크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사면에 맞닿을 때까지의 조주부를 형성함으로써, 로크부재의 이동 개시시의 동작을 가볍게 할 수 있어, 파이프 등의 관형상체의 삽입시 및 해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로크부재의 이동 개시시에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사면에 맞닿으면, 로크부재를 외경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조작력이 서서히 증가한다. 이것에 대해서, 로크부재의 선단부를 조주부에 맞닿게 하였을 경우에는, 이동 개시시에 있어서의 조작력의 증가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는, 로크부재가 이동 후에 슬라이드 이동 사면에 형성된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간이한 구성으로 로크부재를 유지, 즉 해제위치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형태에서는, 굴곡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로 이루어지고,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의 사이에 제 3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굴곡부, 제 2 굴곡부 및 제 3 굴곡부의 3점에서 파이프 등의 관형상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등의 로크부재와 하우징의 슬릿과의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등의 관형상체의 삽입시의 조작력을 경감하고, 관형상체의 연결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슬릿의 단부보다도 와이어 등의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로크부재를 외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로크부재의 선단측을 비교적 쉽게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로크 해제시의 조작력을 경감하고, 관형상체의 연결상태의 해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로크부재의 선단측을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로크부재의 길이의 도중을 개방시키는 경우보다도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로크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관형상체를 삽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부재에 의해서 로크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6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로크부재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의 걸어맞춤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이고, (b)는 로크해제상태에 이르는 상태이고, (c)는 로크해제상태이다.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의 걸어맞춤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이고, (b)는 로크상태에 이르는 상태이고, (c)는 로크상태이다.
도 2는 로크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관형상체를 삽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부재에 의해서 로크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6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로크부재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의 걸어맞춤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로크부재의 로크상태이고, (b)는 로크해제상태에 이르는 상태이고, (c)는 로크해제상태이다.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며, 로크부재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의 걸어맞춤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로크부재의 로크해제상태이고, (b)는 로크상태에 이르는 상태이고, (c)는 로크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기구를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크기구(10)>
도 1에서 부호 10은 관형상체(20)의 로크기구이며, 이 로크기구(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터보 덕트나 인터쿨러의 배관용 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크기구(10)의 용도로서 자동차의 터보 덕트나 인터쿨러의 배관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라디에이터 등의 수계(水系)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동차에도 한정하지 않고 열차, 선박, 항공기 외에 주택 설비, 농업 관수, 공업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로크기구(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파트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관형상체(20)
(2) 하우징(30)
(3) 로크부재(40)
(4) O링(50)
또한, 로크기구(10)의 파트는 상기한 (1)∼(4)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4) O링(50)」을 생략하여도 좋다.
<관형상체(20)>
관형상체(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 내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며, 걸어맞춤부(26)를 구비하는 것이다. 관형상체(20)는 강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열소성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관형상체(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관통하는 중공부(21)를 가지며, 좌우 길이의 도중에 외경방향으로 환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2)를 가진다. 관형상체(20)는, 플랜지부(22)를 사이에 두고서 마주보는 좌측에 위치하며, 하우징(30)과 대향하고 이 하우징(30)의 후술하는 개구부(31)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23)와, 반대측, 즉 플랜지부(22)를 사이에 두고서 마주보는 우측에 위치하며,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 등을 연결하는 연결부(24)를 가진다.
삽입부(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테이퍼부(25)
(2) 걸어맞춤부(26)
또한, 삽입부(23)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테이퍼부(25)>
테이퍼부(25)는 도 2 및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23)를 하우징(30)의 후술하는 개구부(31)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31) 내에 있어서의 로크부재(40)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40)를 하우징(30)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즉 로크부재(40)의 직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하 '직경을 확장시키는 것'을 간단히 '확경(擴徑)'이라 한다)이다. 테이퍼부(25)는 삽입부(23)의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원뿔대형의 형상으로 융기되며, 플랜지부(22)로 향하여 서서히 외경을 증가시키고 있다.
<걸어맞춤부(26)>
걸어맞춤부(26)는 도 2, 도 7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부(25)와 플랜지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에서 로크부재(40)의 후술하는 굴곡부(42)가 끼워짐으로써 관형상체(20)의 삽입부(23)를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걸어맞춤부(26)는 환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테이퍼부(25)에 의해서 확경된 로크부재(40)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직경이 축소(이하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간단히 '축경(縮徑)'이라 한다)됨으로써 끼워진다.
<하우징(30)>
하우징(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26)를 구비한 관형상체(20)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통형상의 것이다. 하우징(30)은 강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열소성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관통하는 개구부(31)를 가지며, 개구부(31)의 내경은 관형상체(20)의 삽입부(23)의 외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개구부(31) 내에는 환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링홈(32)을 형성하고 있으며, 링홈(32)에는 후술하는 O링(50)이 끼워진다.
하우징(30)의 외주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지그용 경사홈(33, 34)을 형성하고 있다. 1쌍의 지그용 경사홈(33, 34)은 후술하는 슬릿(6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3 슬릿(6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각 지그용 경사홈(33, 34)은 제 3 슬릿(63) 측으로 향하여 비스듬하게 내리막 경사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그의 일례인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삽입된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는 하우징(30)의 외주와 로크부재(40)의 사이에 삽입된다.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로크부재(40)를 하우징(30)의 외경방향으로 부상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4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1쌍의 지그용 경사홈(33, 34) 중,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좌측에 위치하는 지그용 경사홈(33)을 사용하여 로크부재(40)를 부상시키면,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굴곡부(43)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우측에 위치하는 지그용 경사홈(34)를 사용하여 로크부재(40)를 부상시키면,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굴곡부(44)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의 로크상태를 모두 해제시킴으로써, 로크부재(40)의 전체로서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지그용 경사홈(33, 34)을 1쌍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수로 하여도 좋다.
한편, 하우징(3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슬릿(60)
(2) 가이드부(70)
또한, 하우징(30)의 각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부재(40)>
로크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크부재(40)는 도 2 및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체(20)의 삽입시에 관형상체(20)의 테이퍼부(25)에 의해서 하우징(30)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크부재(4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와이어 내지는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대략 C자형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성을 갖게 하고 있다. 로크부재(40)는 대략 C자형의 내경을 하우징(30)의 외경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스프링성을 이용하여 하우징(30)의 외주에 외측에서 끼워지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30)의 외주를 채결하고 있다.
또한, 로크부재(40)는 금속제의 와이어 내지는 선재 대신에 금속제의 판재를 굴곡시킴에 의해서 스프링성을 갖게 하여도 좋다.
로크부재(40)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선단부(41)
(2) 굴곡부(42)
또한, 로크부재(40)의 각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O링(50)>
O링(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에 형성된 링홈(32)에 끼워지며, 개구부(31) 내로 일부가 돌출된다. O링(50)은 예를 들면 고무제이며, 도 7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1)에 삽입된 관형상체(20)의 삽입부(23)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개구부(31)의 내주면과 삽입부(23)의 외주면의 사이를 밀봉한다.
또한, O링(50)을 1개 사용하였으나 복수개 사용하여도 좋다.
<선단부(41)>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대략 C자형의 서로 떨어진 1쌍의 자유단부, 즉 좌우의 하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선단부(41)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원주방향에서 길이방향으로 대략 L자형으로 구부러지며, 하우징(30)의 후술하는 가이드부(70)에 걸어 맞춰진다.
<굴곡부(42)>
로크부재(40)의 굴곡부(42)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방향으로 굴곡된 개소이며,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42)는 하우징(30)의 내외로 관통하는 후술하는 슬릿(60)을 통과하여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돌출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와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42)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굴곡부(42)로서 제 1∼제 3 굴곡부(43, 44, 45)의 3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3 굴곡부(45)를 생략하여 2개로 하여도 좋고, 또는 4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1)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의 선단측{즉, 선단부(41) 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는 하우징(30)의 내외로 관통하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슬릿(61, 62)을 각각 통과하여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돌출된 상태에서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와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는 대략 V자형 내지는 산(山)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하여 선단부(41)의 상측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좌우에 선대칭으로 합계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를 대략 V자형 내지는 산형상으로 굴곡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략 U자형으로 굴곡하여도 좋다.
(2) 제 3 굴곡부(45)
제 3 굴곡부(45)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의 사이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3 굴곡부(45)는 하우징(30)의 내외로 관통하는 후술하는 제 3 슬릿(63)을 통과하여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돌출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와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굴곡부(45)는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의 중간, 즉 상측에 1개 형성되어 있다.
제 3 굴곡부(45)는 대략 U자형으로 굴곡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략 V자형 내지는 산형상으로 굴곡하여도 좋다.
<슬릿(60)>
슬릿(60)은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의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통과하여 하우징(30)에 장착된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슬릿(60)은 하우징(30)의 외주에서 개구부(31)로 향하여 홈형상으로 내외로 관통하며, 하우징(3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 형성되어 있다.
슬릿(60)은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릿(60)의 각부로서 다음의 (1)∼(4)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릿(60)으로서 제 1∼제 3 슬릿(61, 62, 63)의 3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로크부재(40)의 제 3 굴곡부(45)를 생략하여 2개로 하여도 좋고, 또는 로크부재(40)의 굴곡부(42)를 4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1) 제 1 슬릿(61)
제 1 슬릿(61)은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며, 로크부재(40)의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굴곡부(43)가 통과 가능한 것이다.
(2) 제 2 슬릿(62)
제 2 슬릿(62)은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며, 로크부재(40)의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굴곡부(44)가 통과 가능한 것이다.
(3) 제 3 슬릿(63)
제 3 슬릿(63)은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상측의 중앙에 위치하며, 로크부재(40)의 길이의 도중, 즉 상측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3 굴곡부(45)가 통과 가능한 것이다.
(4) 간극부(64)
간극부(64)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의 굴곡부(42){좌우의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와 "로크부재(40)의 선단측{즉, 선단부(41) 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슬릿(60){좌우의 제 1 및 제 2 슬릿(61, 62)}의 단부(상측 단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로크부재(40)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간극부(64)는, 편측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슬릿(61)의 상단부를 하우징(30)의 원주방향의 상측으로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40)의 제 1 굴곡부(43)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방향으로 축경된{즉, 제 1 슬릿(61)을 통과하여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방향으로 확경된 상태로 이동할 때에 간극부(64) 내를 이동함으로써 제 1 슬릿(61)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 슬릿(61)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면서 외경방향으로 확경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찰저항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40)를 확경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가이드부(70)>
가이드부(70)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로크 해제시에 로크부재(40)가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굴곡부(42){즉,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를 외측으로 벌리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부(70)는 슬릿(60){즉, 제 1 및 제 2 슬릿(61, 62)}의 단부보다도 로크부재(40)의 선단측{즉, 선단부(41) 측},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 구비되며, 좌우에 합계 2개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70)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의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선단부(41)가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로크부재(40)가 축경 및 확경될 때에 그 선단부(41)의 궤적을 따라서, 즉 하우징(3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70)는 하우징(30)의 외주면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측면이 대소 2개의 혹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70)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부(70)의 각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슬라이드 이동 사면(71)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가 하우징(30)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방향으로의 이동 후의 위치에서 내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30)의 외면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은 대소 2개의 혹 중의 작은 혹에 이르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유지부(72)
유지부(72)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이동한 후의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형성된 것이며, 선단부(41)를 유지하는 것이다. 유지부(72)는 대소 2개의 혹 사이에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끼워지는 것이다.
(3) 조주부(助走部)(73)
조주부(73)는, 로크부재(40)가 하우징(30)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도중에서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와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이 맞닿도록 하는 것이다. 조주부(73)는 하우징(30)의 외주면을 따라서 만곡되다가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이르는 부분이다.
<하우징(30)에 대한 관형상체(20)의 연결방법>
다음은 하우징(30)에 대한 관형상체(20)의 연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30)의 외주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0)가 끼워지며, 그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하우징(30)의 제 1∼제 3 슬릿(61, 62, 63)을 각각 통과하여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돌출되어 있다.
관형상체(20)는 도 3∼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삽입부(23)를 하우징(30)의 개구부(31)에 맞춰 삽입함으로써 하우징(30)에 대해서 연결할 수 있다.
즉, 삽입부(23)를 삽입하면, 그 테이퍼부(25)가 개구부(31) 내로 돌출되어 있는 제 1∼제 3 굴곡부(43, 44, 45)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테이퍼부(25)에 의해서 떼밀림으로써 로크부재(40)가 외경방향으로 확경된다. 이때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조주부(73)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는 조주부(73)를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고 부상한 상태로 이동하여도 좋다.
로크부재(40)가 외경방향으로 더 확경되면,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가이드부(70)의 조주부(73)에서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이르고,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을 타고 오른다.
한편,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테이퍼부(25)를 타고 넘어서 오목형상의 걸어맞춤부(26)에 이르면, 이때 로크부재(40)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내경방향으로 축경됨에 의해서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걸어맞춤부(26)에 끼워짐으로써, 관형상체(20)의 삽입부(23)가 하우징(30)의 개구부(31)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연결상태가 로크된다.
로크부재(40)가 축경될 때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내경방향으로 급속히 축경되기 때문에, 그 선단부(41)가 하우징(30)의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서 일순간 부상한 후에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맞닿아 착지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후,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는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을 타고 내려와서 조주부(73)에 이르고, 상기 조주부(73)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관형상체(20)의 연결상태의 해제방법>
다음은 연결상태의 관형상체(20)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30)의 1쌍의 지그용 경사홈(33, 34)에 도시하지 않은 지그의 일례인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로크부재(40)를 하우징(30)의 외경방향으로 부상, 즉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시키면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즉, 로크부재(40)를 상승시키면, 그 선단부(41)가 도 17(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70)의 조주부(73)에서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이르고, 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을 타고 오르게 된다. 그리고, 로크부재(40)를 더욱 상승시키면, 그 선단부(41)가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을 타고 넘어서 오목형상의 유지부(72)에 이르게 된다. 이때 로크부재(40)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내경방향으로 축경됨으로써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유지부(72)에 끼워지게 되며, 가이드부(70)에 의해서 로크부재(40)가 로크된다.
한편, 가이드부(70)가 하우징(30)의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로크부재(40)가 외경방향으로 확경된다. 따라서, 로크부재(40)의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에서 부상함으로써, 상기 관형상체(20)와 하우징(30) 간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굴곡부(43, 44)는 제 1 및 제 2 슬릿(61, 62)의 간극부(64) 내를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없어 로크부재(40)를 확경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로크부재(40)의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관형상체(20)의 걸어맞춤부(26)에서 부상하기 때문에, 관형상체(20)의 삽입부(23)를 하우징(30)의 개구부(31)에서 빼낼 수 있다.
관형상체(20)를 재차 연결할 때에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한 로크부재(40)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압입하여 로크부재(40)를 하강시키면 된다.
로크부재(40)를 하강시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41)가 가이드부(70)의 유지부(72)에서 빠지기 때문에, 가이드부(70)에 의한 로크부재(4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즉, 로크부재(40)를 하강시키면,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41)가 유지부(72)와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의 사이의 산을 타고 넘기 때문에, 이 때에 로크부재(40)가 외경방향으로 일단 확경된다.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유지부(72)를 타고 넘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로크부재(40)가 내경방향으로 급속하게 축경된다. 따라서, 로크부재(40)의 선단부(41)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서 일순간 부상한 후에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맞닿아 착지되게 되며, 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후, 로크부재(40)가 내경방향으로 서서히 축경됨으로써 그 선단부(41)가 도 18(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사면(71)을 타고 내려와서 조주부(73)에 이르고, 이 조주부(73)에 접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로크부재(40)가 내경방향으로 축경되기 때문에, 그 제 1∼제 3 굴곡부(43, 44, 45)가 하우징(30)의 제 1∼제 3 슬릿(61, 62, 63)을 각각 통과하여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개구부(31) 내로 재차 돌출되는, 즉 관형상체(20)를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2016년 5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101191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0 : 로크기구 20 : 관형상체
21 : 중공부 22 : 플랜지부
23 : 삽입부 24 : 연결부
25 : 테이퍼부 26 : 걸어맞춤부
30 : 하우징 31 : 개구부
32 : 링홈 33, 34 : 지그용 경사홈
40 : 로크부재 41 : 선단부
42 : 굴곡부 43 : 제 1 굴곡부
44 : 제 2 굴곡부 45 : 제 3 굴곡부
50 : O링 60 : 슬릿
61 : 제 1 슬릿 62 : 제 2 슬릿
63 : 제 3 슬릿 64 : 간극부
70 : 가이드부 71 : 슬라이드 이동 사면
72 : 유지부 73 : 조주부(助走部)
21 : 중공부 22 : 플랜지부
23 : 삽입부 24 : 연결부
25 : 테이퍼부 26 : 걸어맞춤부
30 : 하우징 31 : 개구부
32 : 링홈 33, 34 : 지그용 경사홈
40 : 로크부재 41 : 선단부
42 : 굴곡부 43 : 제 1 굴곡부
44 : 제 2 굴곡부 45 : 제 3 굴곡부
50 : O링 60 : 슬릿
61 : 제 1 슬릿 62 : 제 2 슬릿
63 : 제 3 슬릿 64 : 간극부
70 : 가이드부 71 : 슬라이드 이동 사면
72 : 유지부 73 : 조주부(助走部)
Claims (5)
-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관형상체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로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관형상체의 삽입시에 상기 관형상체의 테이퍼부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부가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관형상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로크부재의 상기 선단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상기 슬릿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내경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부가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관형상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고,
또,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로크 해제시에 상기 로크부재가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굴곡부를 외측으로 벌리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릿의 단부보다도 상기 로크부재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로크부재의 상기 선단측과는 역방향 측에 위치하는 상기 슬릿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 중에는 맞닿지 않도록 하는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또는 외경방향으로의 이동 후의 위치에서 내경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크부재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이동 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외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동 도중에서부터 상기 선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이동 후에 상기 슬라이드 이동 사면에 형성된 유지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굴곡부와 상기 제 2 굴곡부의 사이에 제 3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01191A JP6563854B2 (ja) | 2016-05-20 | 2016-05-20 | 管状体のロック機構 |
JPJP-P-2016-101191 | 2016-05-20 | ||
PCT/JP2017/016572 WO2017199718A1 (ja) | 2016-05-20 | 2017-04-26 | 管状体のロック機構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8376A true KR20180008376A (ko) | 2018-01-24 |
Family
ID=6032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9816A KR20180008376A (ko) | 2016-05-20 | 2017-04-26 |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598462B2 (ko) |
EP (1) | EP3460308B1 (ko) |
JP (1) | JP6563854B2 (ko) |
KR (1) | KR20180008376A (ko) |
CN (1) | CN109196263B (ko) |
ES (1) | ES2911023T3 (ko) |
WO (1) | WO20171997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41272B2 (ja) * | 2018-07-18 | 2022-09-22 |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 管状体の接続構造 |
JP7141271B2 (ja) * | 2018-07-18 | 2022-09-22 |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 管状体の接続構造 |
CN109027481A (zh) * | 2018-09-18 | 2018-12-18 | 深圳市新源科技有限公司 | 快装接头 |
KR20200000958U (ko) * | 2018-11-05 | 2020-05-14 |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 퀵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187676B1 (ko) * | 2019-06-28 | 2020-12-08 |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 퀵 커넥터 어셈블리 |
JP2022062434A (ja) * | 2020-10-08 | 2022-04-20 | 株式会社東郷製作所 | コネクタ |
CN112096991A (zh) * | 2020-10-20 | 2020-12-18 |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 用于连接阳接头和柔性管的快速连接器 |
US11262011B1 (en) * | 2021-05-17 | 2022-03-01 | Quick Fitting Holding Company, Llc | Swage connec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
DE102021132343A1 (de) * | 2021-12-08 | 2023-06-15 | Veritas Ag | Verbindungselement |
US20240159340A1 (en) * | 2022-11-16 | 2024-05-16 |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 Connector with guiding components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22011A (en) * | 1973-12-11 | 1975-11-25 | Tom Walters | Hose coupling |
US5211427A (en) | 1990-12-22 | 1993-05-18 |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 Piping connector |
JP3095178B2 (ja) * | 1990-12-22 | 2000-10-03 |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 配管用コネクタ |
FR2820489B1 (fr) * | 2001-02-05 | 2004-01-23 | Valeo | Dispositif de branchement d'alimentation pour un systeme a pression de fluide |
JP4354794B2 (ja) * | 2002-12-18 | 2009-10-2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チェッカー付きコネクタ |
US6834888B2 (en) * | 2003-02-04 | 2004-12-28 | Flow-Rite Controls, Ltd. | Connector |
FR2855590B1 (fr) * | 2003-05-27 | 2006-10-20 | Caillau Ets | Embout de connexion rapide |
DE10346712B4 (de) * | 2003-10-08 | 2006-02-02 | Henn Gmbh & Co. Kg | Steckverbindung für Rohr- und Schlauchleitungen mit Rastfederführung |
JP4299646B2 (ja) * | 2003-12-05 | 2009-07-22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管継手 |
DE102004019799A1 (de) | 2004-04-23 | 2005-11-17 | Henn Gmbh & Co. K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 |
US7497478B2 (en) * | 2004-07-29 | 2009-03-03 |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 Duct assembly |
CN100510498C (zh) * | 2005-01-12 | 2009-07-08 | 诺玛德国有限责任公司 | 用于连接两个管的连接件 |
JP4644063B2 (ja) * | 2005-07-26 | 2011-03-02 | 豊田合成株式会社 | 管接続構造体 |
DE102007031614A1 (de) | 2007-07-06 | 2009-01-08 | Daimler Ag | Ladeluftschlauch |
KR20130098171A (ko) * | 2010-05-04 | 2013-09-04 |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 커넥터 어셈블리 |
FR2983556B1 (fr) * | 2011-12-06 | 2013-12-13 | Hutchinson | Organe de verrouillage d'u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ransfert de fluide, ce dispositif et son procede de verrouillage. |
BR112014021239A2 (pt) * | 2012-02-28 | 2020-06-23 | Norma U.S. Holding Llc | Retentor de sensor de sistema de redução catalítica seletiva de automóvel, e, conjunto de sistema de redução catalítica de automóvel |
FR3001024B1 (fr) * | 2013-01-17 | 2015-12-25 | Delphi Automotive Systems Lux | Dispositif de connexion rapide. |
KR20150054032A (ko) * | 2013-11-08 | 2015-05-20 | 부국산업주식회사 | 커넥터 유닛 |
-
2016
- 2016-05-20 JP JP2016101191A patent/JP6563854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4-26 CN CN201780031065.4A patent/CN109196263B/zh active Active
- 2017-04-26 US US16/302,983 patent/US11598462B2/en active Active
- 2017-04-26 ES ES17799148T patent/ES2911023T3/es active Active
- 2017-04-26 EP EP17799148.6A patent/EP3460308B1/en active Active
- 2017-04-26 KR KR1020177019816A patent/KR201800083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4-26 WO PCT/JP2017/016572 patent/WO2017199718A1/ja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293102A1 (en) | 2019-09-26 |
JP6563854B2 (ja) | 2019-08-21 |
WO2017199718A1 (ja) | 2017-11-23 |
EP3460308B1 (en) | 2022-01-26 |
ES2911023T3 (es) | 2022-05-17 |
CN109196263B (zh) | 2021-07-13 |
US11598462B2 (en) | 2023-03-07 |
EP3460308A4 (en) | 2019-11-20 |
CN109196263A (zh) | 2019-01-11 |
EP3460308A1 (en) | 2019-03-27 |
JP2017207170A (ja) | 2017-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08376A (ko) |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 |
US11529722B2 (en) |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disconnect tool | |
JP6073510B2 (ja) | 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US10047889B2 (en) | Tubular connector with an automatic connection | |
US9121439B2 (en) |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 |
WO2012043024A1 (ja) | クイックコネクタ | |
EP3149381B1 (en) |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 |
JP5317760B2 (ja) |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 |
US20130082459A1 (en) | Connector | |
JP5317761B2 (ja) |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 |
US11098833B2 (en) | Quick connector | |
KR101421858B1 (ko) | 커넥터 | |
JP2007255669A (ja) | クイックコネクタ | |
CN108139009B (zh) | 连接器 | |
KR950005554B1 (ko) | 관 연결구 | |
TWI674364B (zh) | 用於將連接器安裝至面板之緊固件、連接器總成及將連接器安裝至面板之方法 | |
JP2006234024A (ja) | コネクタ | |
WO2019059013A1 (ja) | パイプ用コネクタ | |
JP2005127394A (ja) | 管継手 | |
JP4330415B2 (ja) | 管継手 | |
WO2017099084A1 (ja) | 管継手 | |
US8763492B2 (en) |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 |
JP2010226800A (ja) |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固定具 | |
JPH08170615A (ja) | パイプの接続機構 | |
JPH0628485U (ja) | クイック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