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742A -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742A
KR20180007742A KR1020160088994A KR20160088994A KR20180007742A KR 20180007742 A KR20180007742 A KR 20180007742A KR 1020160088994 A KR1020160088994 A KR 1020160088994A KR 20160088994 A KR20160088994 A KR 20160088994A KR 20180007742 A KR20180007742 A KR 20180007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vanadium dioxide
coating liquid
dioxide nanoparticles
coup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연
김현
이광재
임순택
조경인
차승환
김정표
종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맨텍
Priority to KR102016008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742A/ko
Publication of KR2018000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경화형 바인더 10.0∼50.0중량%;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0.5∼5.0중량%;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30.0중량%; 레벨링제 0.1∼5.0중량%; 및 용제 10.0∼88.4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광 경화에 의해 코팅막이 형성되어 높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열선 차단과 투과 성능이 조절될 수 있고, 유리 창호 등에 적용시에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습식 코팅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for energy saving}
본 발명은 상온에서의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광 경화에 의해 코팅막이 형성되어 높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열선 차단과 투과 성능이 조절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부차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장려하여 이와 관련된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 저감 및 고효율 산업분야와 관련된 사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것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로 일반 가정의 에너지 소비량 중 60% 이상은 냉난방비로 사용되며, 창문을 통해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24%에 이른다.
요즘 신축되는 아파트, 사무용 빌딩, 주상복합 등의 건물들은 건물의 미려함과 조망권 확보를 위하여 건물의 많은 부분을 유리창호로 사용하고 있으나, 유리창호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난방비 및 냉방비가 증가하고 에너지 손실도 증가한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 중에서 적외선은 태양에너지의 약 53%에 해당하는 상당량의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적외선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코팅제 또는 소재가 절실해지고 있다.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적외선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는 유리 창호에 광학적 특수유리 즉, 로이(LOW-E) 유리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로이 유리란 일반 유리 내부에 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특수 금속막(일반적으로 은 및 구리를 사용)을 스퍼터링법(sputtering processing) 이나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의 코팅방식으로 도장한 유리로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높인 유리이다. 특수 금속막은 가시광선을 투과시켜 실내의 채광성을 높여주고, 적외선은 반사하므로 실내외 열의 이동을 극소화시켜 실내의 온도 변화를 작게 만들어주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로이 복층유리는 판유리에 단열효과가 뛰어난 특수 금속막을 코팅하므로 고단열 복층유리가 된다. 단열성능에 더하여 소음 차단 효과도 우수하고 다양한 색상의 표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이 유리는 적외선 차단 효과는 미비하고, 열선의 장파 반사 효과로 인하여 실내의 상승된 장파 복사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오히려 실내온도가 상승하여 냉방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특히 여름철에는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코팅방식에서 스퍼터링법 또는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코팅을 위해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정밀한 분위기 하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이 유리는 건축물 초기 시공시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이미 준공이 완료된 건축물이나 기존 건물에는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그 사용에 있어 매우 제한적이다.
두 번째 방법은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계열의 적외선 흡수 염료를 사용하여 필름에 증착시켜 제조하거나, 이를 직접 유기용제로 가용화시켜 액상 도료화한 습식 코팅제를 필름에 적용하여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적외선 흡수 염료를 사용하여야 원하는 적외선 차단 성능이 구현되므로 투명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직사일광에 노출 시 변색 및 탈색 등의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 방법은, ATO(antimony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전도성 산화물을 사용한 물리화학적인 증착이나, 이를 코팅제 내에 정밀 분산시켜 도료화한 습식 코팅제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적외선 차단 필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 방법은 적외선 차단 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ITO(indium tin oxide)의 경우는 그 원료 물질인 인듐(indium)의 고갈로 대체 물질로의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64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전이 특성에 의해 열선 차단 및 투과 조절이 가능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한 후 이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얻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광 경화에 의해 코팅막이 형성되어 높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열선 차단과 투과 성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유리 창호 등에 적용시에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습식 코팅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광 경화형 바인더 10.0∼50.0중량%;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0.5∼5.0중량%;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30.0중량%; 레벨링제 0.1∼5.0중량%; 및 용제 10.0∼88.4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5.0∼30.0중량%,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1.0∼30.0중량%, 분산제 0.1∼5.0중량% 및 유기용제 35.0∼93.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카르복실기(-COOH),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및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알카리로 중화시킨 염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는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암모늄염기, 술포늄염기 및 하이드록실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포함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Methacryloxy group), 에폭시기(epoxy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비닐기(Vinyl group) 및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실란 커플링제가 가지는 가수분해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 하고 수산기로서 얻을 수 있는 실라놀(silanol)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는 1∼30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경화형 바인더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광 경화성 모노머가 혼합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1:0.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는 메타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m-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메틸글루코사이드, 디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폭실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메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하이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메틸-2-모르핀(4-티오메틸페닐) 프로판-1-온,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 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아황산,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 벤젠메타나미늄블로미드,(4-벤조일벤질)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 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클로로티옥산톤 및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이 특성에 의해 열선 차단 및 투과 조절이 가능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한 후 이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얻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광 경화에 의해 코팅막이 형성되어 높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열선 차단과 투과 성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유리 창호 등에 적용시에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면서도 응집없이 균일 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습식 코팅 방법으로 간편하게 도포가 가능하며, 도포되어 경화된 코팅막은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열선 차단 및 투과 조절이 되는 에너지 저감의 기능성 코팅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므로 난부착 고분자 필름, 유리 등의 난부착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광에 의한 경화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광 경화성 모노머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난부착성 기재와의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내광, 내열, 내습 등의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며,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코팅제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험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실험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험예 6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험예 7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험예 8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험예 9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나노라 함은 나노미터(nm) 단위의 크기로서 1∼1000nm 범위의 크기를 의미하며, 나노입자라 함은 1∼1000nm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광 경화형 바인더 10.0∼50.0중량%;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0.5∼5.0중량%;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30.0중량%; 레벨링제 0.1∼5.0중량%; 및 용제 10.0∼88.4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5.0∼30.0중량%,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1.0∼30.0중량%, 분산제 0.1∼5.0중량% 및 유기용제 35.0∼93.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카르복실기(-COOH),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및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알카리로 중화시킨 염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는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암모늄염기, 술포늄염기 및 하이드록실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포함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Methacryloxy group), 에폭시기(epoxy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비닐기(Vinyl group) 및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실란 커플링제가 가지는 가수분해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 하고 수산기로서 얻을 수 있는 실라놀(silanol)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는 1∼30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경화형 바인더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광 경화성 모노머가 혼합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1:0.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는 메타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m-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메틸글루코사이드, 디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폭실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메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하이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메틸-2-모르핀(4-티오메틸페닐) 프로판-1-온,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 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아황산,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 벤젠메타나미늄블로미드,(4-벤조일벤질)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 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클로로티옥산톤 및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광 경화형 바인더 10.0∼50.0중량%,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0.5∼5.0중량%,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30.0중량%, 레벨링제 0.1∼5.0중량% 및 용제 10.0∼88.4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광 경화형 바인더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광 경화성 모노머가 혼합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를 혼합하여 광 경화형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므로 난부착 고분자 필름, 유리 등의 난부착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광에 의한 경화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는 메타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m-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메틸글루코사이드, 디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에 다관능성 알코올인 1,6-헥산디올을 반응 촉매 하에서 우레탄 반응을 시키게 되면,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게 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폭실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1:0.1∼1(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광 경화성 모노머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난부착성 기재와의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Ultraviolet; UV) 조사에 의해 반응을 통하여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광 경화형 바인더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10.0∼50.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경화형 바인더의 함량이 10.0중량% 미만이면 경도, 내구성 및 부착성이 미약할 수 있고, 50.0중량%를 초과하면 기능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 입자의 사용량이 적게 되어 기능성 부여 효율이 미약할 수 있다.
상기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메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하이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메틸-2-모르핀(4-티오메틸페닐) 프로판-1-온,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 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아황산,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 벤젠메타나미늄블로미드,(4-벤조일벤질)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 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클로로티옥산톤 및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상기 화합물은 코팅 후 코팅막 형성을 위해 조사되는 광(UV)의 반응을 이끌어 내게 되며,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0.5∼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을 처리한 후, 유기용제 내 분산제와 함께 일련의 분산과정을 통해 균일한 나노입자 분산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로 참여하게 된다.
이하,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5.0∼30.0중량%,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1.0∼30.0중량%, 분산제 0.1∼5.0중량%, 유기용제 35.0∼93.9중량%를 포함한다.
분산하고자 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크기는 평균 입경이 1∼300 nm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200n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0 nm 인 것이 좋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크기가 상기 범위일 경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여 PET 필름과 같은 소재에 코팅하였을 때 뛰어난 투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내에서 응집없이 균일하게 분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 5.0∼30.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을 처리하는 화합물로서, 입자의 표면첨가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분산액을 제조할 때 점도의 상승을 제어하는 기능도 가진다.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제의 가수분해(hydrolysis)물은 실란 커플링제가 가지는 알콕시기(alkoxy group) 등의 가수분해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 하고 수산기로서 얻을 수 있는 실라놀(silanol)기를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통상 실란 커플링제를 물과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 초산 등의 유기산, 혹은 수산화 나트륨(sodium), 수산화 칼륨(potassium) 등의 알칼리(alkali) 등의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분 또는 완전 가수분해 하는 것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가수분해를 균일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적당한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Methacryloxy group), 에폭시기(epoxy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비닐기(Vinyl group) 및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제, 즉 메타크릴옥시계 실란 커플링제 (Methacryloxy silane coupling agent),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epoxy silane coupling agent), 아미노계 실란 커플링제(Amino silane coupling agent), 비닐계 실란 커플링제(Vinyl silane coupling agent), 메르캅토계 실란 커플링제(Mercapto silane coupling agent)를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옥시계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epoxy silane coupling agent), 아미노계 실란 커플링제(Amino silane coupling agent)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옥시계 실란 커플링제(Methacryloxy silane coupling agent)는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 silane),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 silane),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3-Methacryloxypropyltriethoxy silane)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epoxy silane coupling agent)는 디에톡시글리시드옥시프로필 메틸실란(Diethoxyglycidoxypropyl methyl silane), 2-(3,4 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트리 메톡시실란(2-(3,4 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 silane),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 silane),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ethoxy silane) 등이 있다.
상기 아미노계 실란 커플링제는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 3-amino propylmethyldimethoxy silane),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N-2(aminoethyl) 3-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N-2(아미노 에틸)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N-2(aminoethyl) 3-amino propyl triethoxy silane), 3-아미노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 3-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3-aminopropyl triethoxy 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N-phenyl-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등이 있다.
상기 비닐계 실란 커플링제(Vinyl silane coupling agent)는 비닐트리메톡시 실란(Vinyl trimethoxy silane), 비닐트리에톡시 실란(Vinyl triethoxy silane) 등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계 실란 커플링제(Mercapto silane coupling agent)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Mercaptopropyl trimethoxy silane) 등이 있다.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복수를 조합해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의 함유량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는 포화 첨가량으로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 1.0∼30.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상기 분산제는 카르복실기(-COOH),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및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알카리로 중화시킨 염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COOH),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및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알카리로 중화한 염화합물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뛰어난 분산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능기 중에서 카르복실기가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카르복실기와 동일한 분산 성능을 갖는 기능그룹(Fuctional group)으로는 인산기, 포스폰산기(phosphonic acid group), 술폰산(sulfonic acid)기 및 페놀(phenol)성 수산기 등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산기, 포스폰산기(phosphonic acid group) 등이 좋다.
상기 알카리로는 아미노기(amino group), 아미드기(amide group), 이미노기, 암모늄염(ammonium salt)기, 술포늄염(sulfonium salt)기 및 하이드록실(hydroxyl) 기 등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amino group), 암모늄염(ammonium salt)기가 좋다.
상기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복수를 조합해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산제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 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와 후술하는 용제와의 친화성이 양호해져 높은 분산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헥산(hexane), 데칸, 도데칸(do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hydrocarbon), 시클로 헥산(hexane)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alicyclic hydrocarbon),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hydrocarbon),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methyl acetate), 초산에틸(ethyl acetate), 초산 프로필(propyl), 초산 부틸(butyl acetate), 초산이소부틸(isobut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ester)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n-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n-부탄올(butanol),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등의 알코올(alcohol)류, 테트라히드로푸란 (tetrahydrofuran), 디옥산(dioxan), 에틸렌 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메틸셀로솔브(methyl cellosolve)),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등의 에테르류(ether) 등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높은 분산성을 얻는 관점에서, 지방족탄화수소(hydrocarbon), 방향족 탄화수소(hydrocarbon), 케톤류, 에스테르(ester)류, 알코올(alcohol)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용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 35.0∼93.9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를 위해,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및 유기용제를 혼합하고 소정 온도(예컨대, 상온)에서 소정 시간(예컨대, 8∼10 시간) 동안 표면처리 반응을 진행한 후, 표면처리 반응된 결과물을 용기(예컨대, 비드밀 용기)에 넣고 분산제와 소정 크기(예컨대, 0.1∼0.5mm)의 비드(예컨대, 지르코늄 비드)를 표면처리 반응된 결과물의 80∼100 부피%를 채우고 소정 시간(예컨대, 24∼48시간) 동안 분산시키면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가 유기용제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1.0∼30.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을 제조하여 PET 필름과 같은 소재에 코팅하였을 때 표면 장력의 부분적 차이에 의해 코팅막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파도 모양처럼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때 레벨링제는 코팅막 표면에 분포하여 표면평활성 작용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코팅막 표면의 성질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레벨링제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아크릴 공중합 고분자 등의 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용제는 광 조사(UV)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광 경화형 바인더,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그리고 레벨링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광 경화형 바인더,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레벨링제 각각이 서로 잘 섞이지 않게 되면 코팅막 형성시 투과율, 헤이즈, 경도, 부착성 등이 나빠지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용제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에 10.0∼88.4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제, 이소프로필알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부탄올과 같은 알콜계 용제,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아세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 등유, n-헥산, 사이클로헥사논, 휘발류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자일렌, 톨루엔, 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은 습식 형태의 광 경화형 코팅액으로써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고분자 필름 기재에 코팅하고, 건조 및 자외선(UV) 경화 과정을 거쳐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유리에 증착시켜 제조하는 단열성 유리 창호와 달리, 코팅 비용은 감소되고 코팅 효율은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통해 필름에 코팅함으로써 대량 생산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에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창호의 크기, 형태, 모양 등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굴곡 모양의 창호 등 어떠한 모양이나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험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합성
300㎖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로일로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Isocyanate monomer)로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80.2g을 넣고 온도를 70℃까지 승온 후 감압 탈수한 다음에, 질소를 주입하며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반응촉매인 디부틸-틴-딜로레이트(dibuthyl-tin-dilaurate) 0.01g을 투입하여 약 30분 동안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교반된 결과물을 35℃의 온도까지 냉각한 후, 다관능성 알코올인 1,3-부탄디올(1,6-Butanediol) 19.8g을 서서히 적하(dropping)하여 투입하고, 65℃∼70℃에서 유지하여 약 5시간 동안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광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2>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 ①
150㎖ 비이커에 에탄올 23.8g,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3-Methacryloxypropylmethyl dimethoxy silane) 27.9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촉매로서 염산 0.15g을 넣어 pH를 2로 조절한 후 증류수 24.2g을 30분 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Dropping) 하였다. 증류수 적하 완료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별도의 200 ㎖ 비이커에 입자 크기가 150nm인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10g, 상기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가수분해물 10g, 에탄올 80g을 혼합하여 넣은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을 얻었다.
200㎖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드밀 용기에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 99g, 인산기를 아미노기로 중화한 염화합물의 분산제 Disperbyk-106(독일 BYK社 제품) 1g을 넣은 후, 이 분산물 부피의 100% 가량 되는 0.3mm 크기의 지르코늄 비드 200g을 넣고 48시간 동안 분산시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 ②
150㎖ 비이커에 에탄올 23.8g, 디에톡시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실란(Diethoxyglycidoxypropyl methyl silane) 27.9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촉매로서 염산 0.15g을 넣어 pH를 2로 조절한 후 증류수 24.2g을 30분 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Dropping) 하였다. 증류수 적하 완료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디에톡시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실란의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별도의 200 ㎖ 비이커에 입자 크기가 150nm인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10g, 상기 디에톡시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실란의 가수분해물 10g, 에탄올 80g을 혼합하여 넣은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을 얻었다.
200㎖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드밀 용기에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 99g, 인산기를 아미노기로 중화한 염화합물의 분산제 Disperbyk-106(독일 BYK社 제품) 1g을 넣은 후, 이 분산물 부피의 100% 가량 되는 0.3mm 크기의 지르코늄 비드 200g을 넣고 48시간 동안 분산시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 ③
150㎖ 비이커에 에탄올 23.8g,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 3-amino propylmethyldimethoxy silane) 27.9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촉매로서 염산 0.15g을 넣어 pH를 2로 조절한 후 증류수 24.2g을 30분 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Dropping) 하였다. 증류수 적하 완료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의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별도의 200㎖ 비이커에 입자 크기가 150nm인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10g, 상기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의 가수분해물 10g, 에탄올 80g을 혼합하여 넣은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을 얻었다.
200㎖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드밀 용기에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반응물 99g, 인산기를 아미노기로 중화한 염화합물의 분산제 Disperbyk-106(독일 BYK社 제품) 1g을 넣은 후, 이 분산물 부피의 100% 가량 되는 0.3mm 크기의 지르코늄 비드 200g을 넣고 48시간 동안 분산시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5>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 ④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또 다른 실험예로 실험예 2에서 이산화바나듐의 나노입자 크기가 150nm 대신 입자가 500nm 크기의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6>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 ①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은박지로 감싼 200㎖ 비이커에 상기 실험예 1에서 합성한 광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g과 광 경화성 모노머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g,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1,6-HDDA) 5g, 실험예 2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g, 광개시제(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수 있는 화합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1.5g, 레벨링제로 BYK社 제품 BYK-306 0.1g, 용제로 톨루엔(Toluene) 29.2g,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29.2g을 넣고 30분간 교반하여 열전이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7>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 ②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다른 실험예로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이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8>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 ③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실험예로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이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9>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 ④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실험예로 상기 실험예 5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이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들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험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한다. 후술하는 비교예 1 및 2는 실험예들의 특성과 단순히 비교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 아님을 밝혀둔다.
<비교예 1>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 ⑤
200㎖ 비드밀 용기에 입자크기가 150nm인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10g, 에탄올 89g, 분산제 Disperbyk-106 1g을 넣은 후, 이 분산물 부피의 100% 가량 되는 0.3mm 크기의 지르코늄 비드 200g을 넣고 48시간 동안 분산시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 ⑤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비교예로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이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분산상태 측정
상기 실험예 2∼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 대하여 분산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디지털 현미경(Olympus BX-51) 및 입도분석기(Particle Analyzer, Microtrac社 SDC)로 측정하여 도 1∼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며, 도 3은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실험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며, 도 5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실험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입도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험예 5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서는 디지털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분산 상태가 상당부분 응집되어 있고, 입도 분석기의 입자 분포도 데이터로부터 800nm의 작은 사이즈부터 200㎛까지 매우 불균일한 분포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에서는 이산화바나듐 바나듐 입자가 응집되지 않고 잘 분산되어 있으며, 입자의 균일도 또한 약 130nm로 매우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실험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의 경우에 분산이 불균일하고 입자 분포도 불균일한 분포를 보였는데, 이로부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는 500nm 보다 작은 입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코팅막의 형성
두께 100㎛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에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적당량 도포한 후, 바코터(BAR-COATER #10)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코팅한 다음에, 60℃의 온도에서 약 2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제 조성물 내의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다음에, 500mJ/㎠ 의 광량을 상기 PET 필름에 조사하여 코팅막을 형성시켰다.
부착성 측정
상기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KSM 5981(Scotch Tape 테스트법)에 의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투과율 측정
상기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헤이즈 미터(Haze meter NDH-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헤이즈 측정
상기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헤이즈 미터(Haze meter NDH-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코팅막 경도 측정
상기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JIS K5401 측정법(연필경도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열선 차단율 및 상온 열전이 특성
상기 실험예 6∼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KSL 2514 기준에 의거 Visible-NI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5℃, 35℃에서 적외선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여 상온에서의 열전이 특성 정도를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고, 또한, 700∼2000nm의 파장에서 적외선 투과율 평균값을 측정함으로서 이 값을 통해 환산된 열선 차단율(1-적외선 투과율 평균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실험예 6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실험예 7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실험예 8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실험예 9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코팅막의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평가항목 실험예 6 실험예 7 실험예 8 실험예 9 비교예 4
부착성(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투과율(%) 56.3 58.4 65.1 45.3 46.2
헤이즈(%) 3.8 3.7 3.6 12.2 11.5
경도(H) 3H 3H 3H 2H 2H
열선 차단율
(1-적외선 투과율평균값)
(%, 700∼2000nm at 35℃)
85.8 87.3 88.9 51.4 53.6
상온 열전이 특성 양호 양호 양호 나쁨 나쁨
표 1,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실험예 6∼8에서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분산 상태가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내에서 응집되지 않고 매우 균일하게 분포되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25℃에서 35℃로의 열전이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열선 차단율이 약 90% 이르는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광학적 물성에서도 투과율이 55% 이상, 헤이즈도 5% 이하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험예 9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코팅액 조성물 내에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가 응집 및 균일하지 못하여 열전이 특성도 불량하고, 열선차단율에 있어서도 상기 실험예 6∼8과 비교하여 30% 이상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투과율과 헤이즈에 있어서도 10% 이상 물성 격차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광 경화형 바인더 10.0∼50.0중량%;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 0.5∼5.0중량%;
    열전이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 1.0∼30.0중량%;
    레벨링제 0.1∼5.0중량%; 및
    용제 10.0∼88.4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로 표면처리된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분산액은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 5.0∼30.0중량%,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1.0∼30.0중량%, 분산제 0.1∼5.0중량% 및 유기용제 35.0∼93.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카르복실기(-COOH),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및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알카리로 중화시킨 염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이고,
    상기 알카리는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암모늄염기, 술포늄염기 및 하이드록실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기를 포함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Methacryloxy group), 에폭시기(epoxy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비닐기(Vinyl group) 및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은 실란 커플링제가 가지는 가수분해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 하고 수산기로서 얻을 수 있는 실라놀(silanol)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는 1∼30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바인더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광 경화성 모노머가 혼합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1:0.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다관능성 알코올이 우레탄 결합하여 얻어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는 메타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m-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관능성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메틸글루코사이드, 디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폭실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메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하이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메틸-2-모르핀(4-티오메틸페닐) 프로판-1-온,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 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아황산,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 벤젠메타나미늄블로미드,(4-벤조일벤질)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 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클로로티옥산톤 및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KR1020160088994A 2016-07-14 2016-07-14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KR20180007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994A KR20180007742A (ko) 2016-07-14 2016-07-14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994A KR20180007742A (ko) 2016-07-14 2016-07-14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42A true KR20180007742A (ko) 2018-01-24

Family

ID=6102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994A KR20180007742A (ko) 2016-07-14 2016-07-14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7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739B1 (ko) * 2020-06-30 2021-02-17 김상분 바닥 난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739B1 (ko) * 2020-06-30 2021-02-17 김상분 바닥 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821B1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반사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7528B1 (ko) 경화성 액체 조성물, 경화 필름 및 대전방지성 라미네이트
KR101194180B1 (ko) 반사 방지 적층체
JP418745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4360510B2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TWI395796B (zh) 透明膜形成用組成物及積層透明膜
WO2008041681A1 (fr) Composition de revêtement destinée à la formation d&#39;un film antireflet, et article sur lequel est formé un film antireflet
KR20130066754A (ko) 하드 코팅 조성물
KR20090049517A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KR20100005549A (ko) 고분자 분산 액정형 스마트윈도우의 전극제조를 위한전기전도성 고분자 코팅 조성물
JP4872142B2 (ja) 帯電防止用硬化性組成物、硬化膜及び帯電防止性反射防止積層体
Iqbal et al. Investigations on ZnO/polymer nanocomposite thin film for polymer based devices
KR100794717B1 (ko)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JP2006514143A (ja) 熱線遮断組成物、これを利用した熱線遮断被膜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20153035A1 (ja) 表面処理赤外線吸収微粒子、表面処理赤外線吸収微粒子粉末、当該表面処理赤外線吸収微粒子を用いた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液、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体、および、赤外線吸収基材
KR101447280B1 (ko)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KR20180007742A (ko)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JP7342861B2 (ja) 表面処理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液および赤外線吸収透明基材
KR20140112987A (ko) 대전방지성을 갖는 고성능 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물
KR20120128734A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082667B1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KR101288366B1 (ko)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20190011410A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코팅액 조성물
KR20090049519A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KR101636707B1 (ko) 상전이 안정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복합체를 이용한 고투명 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