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66B1 -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66B1
KR101288366B1 KR1020110008292A KR20110008292A KR101288366B1 KR 101288366 B1 KR101288366 B1 KR 101288366B1 KR 1020110008292 A KR1020110008292 A KR 1020110008292A KR 20110008292 A KR20110008292 A KR 20110008292A KR 101288366 B1 KR101288366 B1 KR 10128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hotoinitiator
azo
curable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934A (ko
Inventor
김현종
신태욱
임병태
신치호
Original Assignee
에스비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씨(주) filed Critical 에스비씨(주)
Priority to KR102011000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0Organic dyes or pigments; Optical bright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함께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차단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이하, 'AZO'라 함) 나노 분말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게 하는 광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에 분산된 AZO 나노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UV LIGHT CURABLE COMPOSITION FOR PROTECTING UV LIGHT AND INFRARED LIGHT}
본 발명은 투명하면서도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막이나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차단 특성과 함께 전기전도성도 양호한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이하, 'AZO'라 함) 나노 분말을 포함하며 특히 AZO 나노 분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차폐 투명막이나 투명 전도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구온난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공기 조화에 소요되는 전력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에너지 절약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에너지는 자외선의 10분의 1로 작지만 태양광의 약 50%를 차지하며 열적 작용이 큰 태양광 중의 적외선(열선)을 차폐함으로써 실내 또는 차량 내의 공간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키고자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런데, 적외선(열선)의 차폐재료가 건축 또는 차량 유리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가시광 투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가시광 영역의 빛은 잘 투과시키고 적외선 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은 최대한 흡수 또는 반사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태양광 중 특히 적외선 차폐용으로는 종래 PET와 PMMA의 복합고분자 코팅재료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PET와 PMMA와 같은 고분자 재료는 근본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태양광 중 적외선이나 자외선의 차단특성이 저하되고 변색이 일어나 가시광의 투과율에도 문제가 발생하므로, 건축용 자재 또는 차량 유리창과 같이 내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건축 또는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에 대한 일정 이상의 투과도를 유지하면서 적외선과 자외선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수 개의 서브 입자가 클러스터 형상을 이루고 있고, 투명하면서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의 차폐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전기전도성도 우수한 AZO 나노 분말을 개발한 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AZO 나노 분말로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 차폐용 투명막을 제조하거나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코팅할 수 있게 하는 코팅용 조성물이 필요한데, 기존에 개발된 AZO 나노 분말 코팅용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코팅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용의 AZO 나노 분말과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는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차폐용 투명막이나 투명 전도성 필름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은,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게 하는 광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에 분산되는 AZO 분말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 30중량%, 상기 광개시제 5 ~ 10중량%, 상기 유기용매 50 ~ 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 ~ 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dipentaerythritol hexa acrylate),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 핵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개시제는 흡수 파장대가 상이한 2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코팅액의 내부 경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개시제로는 히드록시 케톤류 광개시제 또는 페닐글리옥실레이트류 광개시제 단독 또는 혼합물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acetyl acetone),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자이렌,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유기 용매 중에서 이소프로판올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AZO 분말은 수십 나노미터 이하의 서브입자가 다수 개 응집된 클러스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ZO 분말은 상기 수지 조성물 중량의 5 ~ 30%의 비율로 상기 수지 조성물에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이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가지고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피복하였을 때 접착력, 경도 및 면저항 특성 등이 우수하여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차폐효율이 우수한 투명 차폐막이나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사용한 AZO 나노 분말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사용한 AZO 나노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사용한 AZO 나노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유기용매의 차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 분산액의 콜로이드 안정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동일한 유기용매(IPA)에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을 분산시켰을 때와, 하쿠수이(hakusui)사의 AZO 나노 분말을 분산시켰을 때의, AZO 나노 분말 분산액의 콜로이드 안정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함량의 차이에 따른 AZO 나노 분말 분산액의 콜로이드 안정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AZO 나노 분말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사용된 AZO 나노 분말의 제조 공정도이며, 본 발명에 사용된 AZO 나노 분말의 제조공정은 크게 합성공정(S10), 여과공정(S20), 세척공정(S30) 및 건조공정(S40)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합성공정(S10)은 수용성 폴리올(polyol) 공정을 통해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원제 및 용매 역할을 하는 수용성 폴리올로는 디에틸렌글리콜(DEG)을 사용하였으나, 전구체의 용해와 반응이 용이하다면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다른 종류의 수용성 폴리올도 단독 또는 디에틸렌글리콜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에틸렌글리콜에 산화아연 전구체 및 도핑원소 전구체를 투입한 반응물은 가열수단이 구비된 반응용기에서 합성되는데, 반응온도는 120 ~ 19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20℃ 미만에서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의 합성 반응속도가 너무 느리고 190℃를 초과할 경우 아연전구체의 아세테이트의 탄화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60℃에서 합성공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합성 반응시간은 1 ~ 20시간이 바람직한데, 1시간 미만일 경우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기 어렵고, 20시간이 지나면 반응이 완료되기 때문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또한, 아연전구체로는 아연 아세테이트 수화물(Zn(CH3COO)2ㆍH2O)을 사용하였고, 도핑 원소의 전구체로는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수화물(AlCl3ㆍH2O)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여과공정(S20)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반응물을 용매로부터 분리하였는데, 반응물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공정(S30)은 알코올류의 용매를 사용하여 교반과 초음파 세척을 병행하여 2 ~ 3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S40)은 세척된 반응물을 오븐에 넣고 7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여 세척공정에 사용된 세척수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AZO 나노분말은, 아연 아세테이트 수화물(Zn(CH3COO)2ㆍH2O) 3.29g과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수화물(AlCl3ㆍH2O) 0.0109g(약 0.3mol%)을 100ml의 디에틸렌글리콜에 투입한 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16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반응물을 분리 및 세척하고 70℃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는 방법을 통해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분말을 XRD로 분석한 결과, 완전 결정화를 이루고 있으며, 육방정계 우르차이트(wurtz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한 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용되고 있는 산화아연 분말과 달리,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클러스터 형상의 입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말의 내부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입자는 10 ~ 20nm 크기의 서브입자(프라이머리(primary) 결정)가 다수 개 뭉쳐서 100 ~ 150nm 크기의 클러스터(cluster) 형상을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제조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코팅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용제로 사용할 유기용매와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과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적합성은 유기용매 내에 AZO 나노 분말을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침강 거리를 측정하여, 유기용매 내에서 클러스터 형상 나노 분말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acetyl acetone),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자이렌,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가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50 ~ 70%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50% 미만일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해 코팅 작업이 난해하게 되고, 70%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 등의 코팅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며 50 ~ 70%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한 유기용매들 중에 유기용매 총 중량의 5%에 해당하는 중량의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을 투입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분산액의 안정성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메탄올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기용매는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을 분산시킨 후 30분까지는 침강 거리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나, 30분을 경과하여 1시간으로 갈수록 침강 거리에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메탄올의 경우 다른 유기용매와 달리 분산시킨 후 30분 경과시에도 침강 거리가 8mm 정도여서 다른 유기용매들에 비해 콜로이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비해, 이소프로판올(IPA)의 경우 분산시킨 후 1시간까지의 침강 거리가 약 3mm에 불과하고 추가로 시간이 경과하여도 침강 거리가 완만하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분산 측면에서는 이소프로판올이 유기용매로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도 5는 이소프로판올에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 5중량%를 분산시켰을 때와 시판되고 있는 하쿠수이(hakusui)사의 AZO 나노 분말 5중량%를 분산시켰을 때의, 콜로이드 안정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도 5의 우측 그래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경우 이소프로판올에서 72시간 동안 침강 거리에 변화가 거의 없는 안정된 분산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시판되고 있는 하쿠수이사의 나노 분말의 경우 이소프로판올에 분산시킨 직후부터 거의 선형적으로 침강 거리가 증가하여 약 72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의 나노 분말이 침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의 좌측 사진 참조).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은 시판되는 AZO 나노 분말과 달리 이소프로판올이 유기용매로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차이는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과 시판되는 AZO 나노 분말 간의 합성공정의 차이로 인한 표면특성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는 바인더(binder)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는데, 트리메틸렌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dipentaerythritol hexa acrylate),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1,6 핵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적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서 바인더로 사용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TMPTA와 DPHA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의 함량 차이(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을 5중량%, 10중량% 및 15중량%로 조절함)가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콜로이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진과 그래프이다.
도 6의 사진은 분산 후 2시간 이상 경과시의 침강 상태를 보여준 것으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에 따라 침강 거리의 차이가 현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그래프는 시간 경과에 따른 침강 거리 변화량을 측정한 것인데, 분산 후 1 ~ 2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에 따른 침강 거리의 차이는 커지며, 2 시간 이후에는 차이가 점점 좁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 후 1시간 경과시의 침강 거리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5중량%인 것이 약 2.5mm임에 비해, 10중량%인 것은 약 1.8mm, 15중량%인 것은 약 0.3mm로 나타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성분이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서 바인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분산 안정제로도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는 추가로 코팅층의 접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2 ~ 20중량% 포함할 수 있는데, 2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접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접착성은 증대되나 코팅층의 내마모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AZO 나노 분말의 전도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2 ~ 20중량%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는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게 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데, 내부 경화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흡수할 수 있는 2종 이상의 광개시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개시제의 첨가량이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하여, 1중량% 미만일 경우 광 반응이 어려워지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코팅막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광개시제는 1 ~ 10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AZO 나노 분말의 함량은 형성하고자 하는 코팅층의 물성요구에 따라 달라지나 5 ~ 3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일 경우 전도성이 저하되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코팅 막의 투과도 및 경도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5 ~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DPHA 10 7.5 5 2.5 0
TMPTA 10 7.5 5 2.5 0
올리고머 OUMD-3000H 5 10 15 20 25
광개시제 IGACURE-184 2.5 2.5 2.5 2.5 2.5
IGACURE-651 2.5 2.5 2.5 2.5 2.5
유기용매 이소프로판올 35 35 35 35 35
에틸아세테이트 35 35 35 35 35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OUMD-3000H)는 분자량 2000-3000의 폴리부타디엔디올, 몰 비율 1:2:2의 지반족,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폴리부타디엔디올은 1,4 및 1,2 부가 반응에 따라 모노머 고리들을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생성물이다.
또한, 바인더는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SK CYTECH사 제조)와 트리메틸렌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SK CYTECH사 제조)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광개시제로는 각각 흡수하는 자외선 파장대가 상이한 제품명 IGACURE-184(CIBA사 제조)와 제품명 IGACURE-651(CIBA사 제조)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기용매로는 이소프로판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상기 표 1과 같이 원료들을 한 번에 혼합한 후, 광개시제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수지 조성물에 수지 조성물의 중량의 약 15%가 되는 중량의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피막 물성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한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판에 용액을 도포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피막을 형성한 후 피막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접착성
접착성은 ASTM D3359에 의거하여 형성된 피막에 세로, 가로 각각 1mm 간격으로 칸을 그어 1㎟의 칸을 100개 만든 후 일본 니치반사의 폭 24mm의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하여 5회 박리 테스트를 행하여 박리되지 않고 부착되어 있는 칸 수를 세어서 판정하였으며, 부착되어 있는 칸의 숫자가 80 ~ 90일 때 '보통'으로, 부착되어 있는 칸의 숫자가 90 ~ 100일 때 '우수'라고 판정된다.
(2) 경도
고굴절 평판을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침지시켜 피복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피막을 형성한 후, 연필 경도계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3) 면저항
면저항은 전도성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2는 표 1의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경도 및 면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평가항목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접착성 보통 우수 우수 우수 우수
경도 5H 4H 3H 2H H
면저항(MΩ/□) 260 355 421 560 880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로 제조한 피막은 접착성은 다소 떨어지나 면저항과 경도가 우수하므로 특히 전도성 필름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및 3에 따른 피막은 접착성과 경도가 우수하므로, 클러스터 형상 AZO 나노 분말의 우수한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이용한 투명 차폐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에 비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우, 접착력은 우수하나 제조한 피복층의 경도가 떨어진다. 또한, 올리고머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올리고머가 AZO 분말 표면을 감싸는 효과로 인해 전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비교예 1 및 2 참조). 그러므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적어도 10중량%는 되어야 한다.

Claims (10)

  1.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게 하는 광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에 분산되는 AZO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AZO 분말은 서브입자가 응집된 클러스터 형상의 입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 30중량%, 상기 광개시제 5 ~ 10중량%, 상기 유기용매 50 ~ 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 ~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dipentaerythritol hexa acrylate),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 핵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흡수 파장대가 상이한 2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히드록시 케톤류 광개시제와 페닐글리옥실레이트류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acetyl acetone),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자이렌,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ZO 분말은 상기 수지 조성물 중량의 5 ~ 30%의 비율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1020110008292A 2011-01-27 2011-01-27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10128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92A KR101288366B1 (ko) 2011-01-27 2011-01-27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92A KR101288366B1 (ko) 2011-01-27 2011-01-27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34A KR20120086934A (ko) 2012-08-06
KR101288366B1 true KR101288366B1 (ko) 2013-07-22

Family

ID=4687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292A KR101288366B1 (ko) 2011-01-27 2011-01-27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2137A (zh) * 2017-07-20 2017-11-10 安徽华宝电缆有限责任公司 光伏热导阻燃电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9547C1 (ru) * 2014-10-22 2015-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Липе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ЛГТУ)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102659555B1 (ko) * 2023-04-24 2024-04-22 주식회사 에스아이 Uv레진을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127A (ja) * 2006-07-12 2008-02-21 San Nopco Ltd 樹脂組成物
KR100927963B1 (ko) 2006-11-29 2009-11-24 주식회사 삼양사 플라스틱 기판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20100110173A (ko) * 2009-04-02 2010-10-12 (주)유비스재료기술 자외선 경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127A (ja) * 2006-07-12 2008-02-21 San Nopco Ltd 樹脂組成物
KR100927963B1 (ko) 2006-11-29 2009-11-24 주식회사 삼양사 플라스틱 기판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20100110173A (ko) * 2009-04-02 2010-10-12 (주)유비스재료기술 자외선 경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2137A (zh) * 2017-07-20 2017-11-10 安徽华宝电缆有限责任公司 光伏热导阻燃电缆
CN107342137B (zh) * 2017-07-20 2018-05-25 安徽华宝电缆有限责任公司 光伏热导阻燃电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34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28B1 (ko) 경화성 액체 조성물, 경화 필름 및 대전방지성 라미네이트
US7648762B2 (en) Antibacterial and anti-static multifunctional hard coating composition
EP2203388B1 (en) Dispersion of nanoparticles in organic solvents
KR101415840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009821B1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반사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3950B1 (ko)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EP3712223A1 (en) Surface-treated infrared-absorbing fine particles, surface-treated infrared-absorbing fine particle powder, infrared-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ion in which said surface-treated infrared-absorbing fine particles are used, infrared-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oid,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se
DE60008243T2 (de) Wässrige Ceramer-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gestellte antistatische abriebfeste Ceramere
US830407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treated zinc oxide particles, surface-treated zinc oxide particles, dispersion liquid and dispersion solid thereof, and base material coated with zinc oxide particles
WO2011074619A1 (ja) 近赤外線吸収色素及び近赤外線吸収組成物
KR20180010694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1470467B1 (ko) 코팅 조성물
KR101827362B1 (ko) 무기입자 함유-유기 나노분산체 조성물,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부재
KR101288366B1 (ko)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KR20090049517A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CN113316560B (zh) 表面处理红外线吸收微粒、粉末、分散液、分散体及基材
KR100794717B1 (ko)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KR20150040260A (ko)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US11987520B2 (en) Surface-treated infrared 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ion liquid and infrared absorbing transparent substrate
KR20140112987A (ko) 대전방지성을 갖는 고성능 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물
KR101082667B1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KR101470468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1793441B1 (ko) 부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광 경화형 기능성 코팅제 조성물
JP2012061679A (ja) 帯電防止用積層体
JP5686942B2 (ja) 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料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