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035A -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035A
KR20180007035A KR1020160087470A KR20160087470A KR20180007035A KR 20180007035 A KR20180007035 A KR 20180007035A KR 1020160087470 A KR1020160087470 A KR 1020160087470A KR 20160087470 A KR20160087470 A KR 20160087470A KR 20180007035 A KR20180007035 A KR 2018000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ark current
information
vehic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황호훈
이진우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6008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035A/ko
Publication of KR2018000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B60L11/1859
    • B60L11/18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4Preventing excessive dis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시동 정지 시 측정한 암전류와 미리 추정한 배터리 SOC를 기반으로 차량 주차 시 배터리가 방전되기까지의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OC와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정차 시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을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여 암전류 정보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암전류 오류를 경고하거나 차량 정비 시 유용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LEAKAGE CURRENT MEASURING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시동 정지 시 측정한 암전류와 미리 추정한 배터리 SOC를 기반으로 차량 주차 시 배터리가 방전되기까지의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차량 등 전기장치가 구비되는 거의 대부분의 장치에 구비된다. 차량의 경우, 배터리는 엔진 시동 시 필수적인 구성이며, 차량 정차 시 차량 내 전자장비를 구동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즉, 차량 내 전자장비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은 배터리에서 제공되나,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차량의 암전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배터리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는 차량 정차 시(시동 OFF) 배터리가 언젠 방전될지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에 따라, 장시간 차량을 방치한 후 재시동 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을 걸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를 감안하여 배터리가 언제 방전될지 알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0169호(2000.10.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차 시 배터리가 방전되기까지의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정보 획득부와,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정보 획득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정보를 획득하는 전류 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 정보를 획득하는 전압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는,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SOC를 추정하는 SOC 추정 모듈과, 상기 차량이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인지 판단하는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 상기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에서 상기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암전류를 측정하는 암전류 측정 모듈, 및 상기 SOC 추정 모듈에서 추정된 SOC와 상기 암전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로부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ECU로 전송하고, 상기 ECU는 상기 암전류가 기준 암전류 이상이면 암전류 오류로 판단하여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정보 획득부가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한다.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정보로 SOC 추정 모듈이 상기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인지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암전류 측정 모듈이 상기 차량의 암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SOC와 상기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이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OC와 상기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이 추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가 되면 ECU가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로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암전류가 기준 암전류 이상이면 상기 ECU가 상기 암전류가 오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ECU가 상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부가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SOC와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정차 시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을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여 암전류 정보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암전류 오류를 경고하거나 차량 정비 시 유용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에서 시간에 따른 차량의 암전류량 예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에서 ECU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시동 성능 추정 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와,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에서 획득된 배터리 정보로 배터리가 방전되기까지의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에서 출력된 신호는 LIN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LIN 통신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ECU(300, Electronic Control Unit)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ECU(300)는 표시부(400)를 통해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한다.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하기 위한 기본 정보인 배터리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배터리 정보는 배터리의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는 배터리의 전류 정보를 획득하는 전류 정보 획득 모듈(110)과,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 모듈(120), 및 배터리의 전압 정보를 획득하는 전압 정보 획득 모듈(130)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에서 획득된 배터리 정보는 후술될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에 전달된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는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된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는 신호 처리 모듈에서 전달된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SOC를 추정하는 SOC 추정 모듈(220)과,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어 암전류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230), 암전류를 측정하는 암전류 측정 모듈(240), 및 미리 추정한 SOC와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250)을 포함한다.
SOC 추정 모듈(220)은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SOC(State of Charge)를 추정한다. 여기서, SOC의 추정은 배터리 전류값을 적산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 전류값과 전압값으로 기전력을 산출한 후, 배터리 온도값과 기전력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SOC의 추정은 어떠한 방법으로 수행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에서 시간에 따른 차량의 암전류량 예시 그래프이다.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230)은 차량의 암전류 상태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암전류 상태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전자 장비들에 전류가 소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230)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는 '카니발'의 시간에 따른 차량의 암전류량 그래프로서, 차량의 시동을 끄면 약 5분후 100mA 이하의 암전류 상태로 진입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00초 내지 250초 구간에서는 암전류가 800mA 이하로 흐르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시간(예를 들어, 10분) 평균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ECU(300) 요청 여부, 방전전류 세기, 및 방전 지속시간을 통해 암전류를 구분해내는 것을 예시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암전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을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다.
조건 출력값 변경 여부
ECU(300) 요청 방전전류 10분 지속 암전류 값 에러플래그
D/C D/C 유지 유지
× 1A 이상 에러값 1
× 1A 이하 10분 평균값 0
× 1A 이상 × 유지 유지
× 1A 이하 × 유지 유지
표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ECU(300) 요청 여부와 방전전류값 및 전류 방전 지속시간을 암전류 상태 판단 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암전류 상태 판단 조건에 따라 출력값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예를 들어, ECU(300) 요청이 없고 배터리 방전전류가 1A이하로 10분 이상 흐를 경우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10분간의 암전류 평균값을 구한다. 또한, ECU(300)의 요청이 없고 배터리 방전전류가 1A이상으로 흐를 경우 에러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ECU(300) 요청 여부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ECU(300)가 배터리 정보 획득부(100), 즉, 배터리 센서로 배터리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다. 따라서, ECU(300) 요청이 없다는 것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라는 조건 중 하나이다.
암전류 측정 모듈(240)은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230)에서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암전류 측정을 시작한다. 여기서, 암전류 측정 모듈(240)은 배터리 정보 중 전류 정보를 적산하여 암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250)은 SOC 추정 모듈(220)에서 미리 추정된 SOC와 암전류 측정 모듈(240)에서 측정된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미리 추정된 SOC가 55A이고, 암전류 측정 모듈(240)에서 측정된 암전류가 시간당 100㎃일 경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은 550시간(약 22.9일)이다. 즉,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250)은 배터리 전체 충전량에서 시간당 암전류를 제하여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에서 ECU의 블록도이다.
ECU(300)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로부터 암전류 및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서, ECU(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에 암전류 및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모듈(310)과,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200)로부터 암전류 및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320), 수신한 암전류 및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로 암전류 오류를 판단하는 암전류 오류 판단 모듈(330), 및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를 표시부(4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모듈(340)을 포함한다.
암전류 오류 판단 모듈(330)은 수신한 암전류가 정해진 기준 암전류보다 높을 경우 이를 오류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준 암전류가 200mA일 경우, 수신한 암전류가 200mA보다 높을 경우,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오류가 발생되면 후술될 표시부(400)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추후 차량 정비 시 해당 오류 정보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400)는 ECU(300)로부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운전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400)는 차량 계기판,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00)가 차량 계기판일 경우 계기판 내에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CID의 경우 CID 화면 자체에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OC와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정차 시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을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여 암전류 정보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암전류 오류를 경고하거나 차량 정비 시 유용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S2), 및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는 MCU가 작동(S1-1)되면 배터리 정보 획득부가 배터리로부터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획득(S1-2)한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S2)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에서 획득된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가 시동을 끈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기까지의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S2)는 SOC를 추정하는 단계(S2-1)와 암전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 암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2-3),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연산하는 단계(S2-4)를 포함한다.
SOC를 추정하는 단계(S2-1)는 SOC 추정 모듈이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SOC를 추정한다.
암전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는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이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는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암전류 측정 시스템에서와 같이, 배터리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의 전류값이 기준전류 이하일 경우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 1에 기재된 것처럼 ECU 요청 여부와 방전전류 세기 및 방전 지속시간을 통해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암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2-3)는 암전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에서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암전류 측정 모듈이 차량의 암전류를 측정한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연산하는 단계(S2-4)는 SOC를 추정하는 단계(S2-1)에서 추정된 SOC와 암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2-3)에서 측정된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이 차량의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연산한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연산하는 단계(S2-4)에서 연산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ECU가 수신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의 표시 뿐만 아니라 암전류 에러 및 암전류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는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단계(S3-1)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S3-2), 암전류 에러를 판단하는 단계(S3-3), 및 추정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단계(S3-1)는 ECU의 요청 여부를 기반으로 차량시동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서,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차량 시동 감지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 시동 감지 모듈은 ECU의 주기적 데이터 전송요청이 있으면 시동 된 것으로 판단한다.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S3-2)는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단계(S3-1)에서 차량 시동이 걸리면 ECU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에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요청하고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는 ECU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한다.
암전류 에러를 판단하는 단계(S3-3)는 ECU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S3-2)에서 전송받은 암전류를 기준 암전류와 비교하여 에러가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전송받은 암전류가 기준 암전류 이상일 경우 암전류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암전류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추정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3-4)는 ECU가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에러 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하고, 표시부는 이를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정보 획득부 110: 전류 정보 획득 모듈
120: 온도 정보 획득 모듈 130: 전압 정보 획득 모듈
200: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
210: 신호 처리 모듈 220: SOC 추정 모듈
230: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 240: 암전류 측정 모듈
250: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
260: 출력부 300: ECU
310: 데이터 요청 모듈 320: 데이터 수신 모듈
330: 암전류 오류 판단 모듈 340: 데이터 송신 모듈
400: 표시부

Claims (10)

  1.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정보 획득부와,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정보 획득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정보를 획득하는 전류 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 정보를 획득하는 전압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는,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SOC를 추정하는 SOC 추정 모듈과,
    상기 차량이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인지 판단하는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
    상기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에서 상기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암전류를 측정하는 암전류 측정 모듈, 및
    상기 SOC 추정 모듈에서 추정된 SOC와 상기 암전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로부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ECU로 전송하고,
    상기 ECU는 상기 암전류가 기준 암전류 이상이면 암전류 오류로 판단하여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시스템.
  6. 배터리 정보 획득부가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전류 정보와 온도 정보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와 차량의 암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정보로 SOC 추정 모듈이 상기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인지 암전류 상태 판단 모듈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암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암전류 측정 모듈이 상기 차량의 암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SOC와 상기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이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OC와 상기 암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암전류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모듈이 추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가 되면 ECU가 상기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부로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암전류가 기준 암전류 이상이면 상기 ECU가 상기 암전류가 오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암전류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ECU가 상기 암전류와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및 암전류 오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부가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치 가능 시간 추정 방법.
KR1020160087470A 2016-07-11 2016-07-11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7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70A KR20180007035A (ko) 2016-07-11 2016-07-11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70A KR20180007035A (ko) 2016-07-11 2016-07-11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35A true KR20180007035A (ko) 2018-01-22

Family

ID=6109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70A KR20180007035A (ko) 2016-07-11 2016-07-11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0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040A (zh) * 2020-08-17 2020-11-03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暗电流测试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14563615A (zh) * 2022-02-28 2022-05-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暗电流测量方法、系统、车辆和存储介质
US20220198843A1 (en) * 2020-12-23 2022-06-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436818A (zh) * 2022-09-19 2022-12-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亏电分析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040A (zh) * 2020-08-17 2020-11-03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暗电流测试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11880040B (zh) * 2020-08-17 2022-12-02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暗电流测试系统、方法及工程机械
US20220198843A1 (en) * 2020-12-23 2022-06-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563615A (zh) * 2022-02-28 2022-05-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暗电流测量方法、系统、车辆和存储介质
CN114563615B (zh) * 2022-02-28 2024-04-1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暗电流测量方法、系统、车辆和存储介质
CN115436818A (zh) * 2022-09-19 2022-12-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亏电分析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3707B2 (en) Power tool battery pack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20180007035A (ko) 암전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93820B2 (en)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ng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ng method
JP3686776B2 (ja) 蓄電池の過放電防止装置
JP2010223768A (ja) 電池異常検出回路、及び電源装置
JP2007230398A (ja) バッテリ監視装置及びバッテリ監視方法
US20200114768A1 (en) Energy-consumption detection of vehicles in an off state
CN110794756B (zh) 一种车载终端、车载终端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09507604A (zh) 电池输出监控装置和电池输出监控方法
JP2007057434A (ja) 蓄電デバイスの劣化状態推定システム
EP3326855A1 (en) A battery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JP2006015896A (ja) 劣化度推定方法及び劣化度推定装置
US8965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in a vehicle
US10377239B2 (en)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method
JP2007278851A (ja) 電池状態検知システム
JP2007253716A (ja) バッテリ監視装置
CN100544159C (zh) 微处理器控制的具有极性保护的助启动装置
EP1396729A1 (en) Method of diagnosing a motor vehicle battery
US113403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state variable of a storage element for electrical energy
KR20230000479U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3156319A (zh) 剩余电量确定方法、装置、交通工具、介质和程序产品
US10247784B2 (en) Secondary battery status detec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tatus detection method
KR101828329B1 (ko) 배터리 시동 성능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220434875U (zh) 一种主动控制车辆水泵系统
KR20090111948A (ko) 차량의 전자기기 진단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