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791A -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791A
KR20180005791A KR1020160085777A KR20160085777A KR20180005791A KR 20180005791 A KR20180005791 A KR 20180005791A KR 1020160085777 A KR1020160085777 A KR 1020160085777A KR 20160085777 A KR20160085777 A KR 20160085777A KR 20180005791 A KR20180005791 A KR 20180005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oop
base frame
fra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431B1 (ko
Inventor
전병윤
최수윤
곽성민
박창민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8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60J7/0435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at the outside of the roof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거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보강 프레임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2피스 글래스 또는 경량화 루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탑승자에게 넓은 개방감, 채광성, 수려한 외관, 환기성, 안전성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Multi Fixed Roof Modul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적용하여 한 개의 베이스 프레임으로 다양한 타입의 루프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탑승자에게 넓은 개방감, 채광성, 수려한 외관, 환기성, 안전성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지붕에 해당되는 루프에 기존의 선루프보다 길이가 길고 면적이 넓은 파노라마 선루프가 설치되어 개방감을 크게 증대시킨 구조의 차량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파노라마 선루프는 루프 패널이 전면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므로 채광이나 환기성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강화 유리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중앙부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시야각이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부 차종에서는 일반적인 파노라마 선루프보다 탁월한 개방감으로 2열 승객의 시야성 확보가 유리한 고정형 글래스 루프가 설치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고정형 글래스 루프(Fixed Glass Roof)의 경우, 글래스 파손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접합유리로 이루어진 한 개의 고정창(Glass)과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Blind)으로 구성되어 탑승자에게 최대의 개방감을 보장한다.
그러나, 고정형 글래스 루프(Fixed Glass Roof) 구조상 고정창(Glass)이 자동차 차체 골격(BIW)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조립되는 형식으로, 고정창 내부로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Reinforcement)가 미적용되어, 일반적인 스틸 재질의 루프(Normal Roof) 대비 상대적으로 강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고정형 글래스 루프는 차체 뒤틀림에 취약하여, 비틀림 하중이 부여되는 경우 각 모서리 부분이 매우 크게 뒤틀리게 되어 자동차의 충돌 등의 사고 시 탑승객의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파노라마 선루프와 고정형 글래스 루프의 최대 변위가 나타나는 모서리 부분의 변위량을 측정한 프레임 비틀림 강성 해석 결과, 센터에 보강 프레임이 있는 파노라마 루프 프레임의 경우, 최대 변위가 63.39㎜인 반면, 센터에 보강 프레임이 없는 고정형 글래스 루프의 경우, 모서리의 최대 변위는 141.85㎜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센터에 보강 프레임이 없는 경우, 차체 뒤틀림에 매우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에 보강 프레임이 있는 파노라마 선루프가 탑승자에게 보다 안전하지만, 센터에 보강 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시야를 가려 답답함을 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센터에 보강 프레임을 생략하여 개방감을 높이면서도 아울러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을 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형 글래스 루프에서는 글래스 오픈 기능이 없어 환기성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선루프의 향상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27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정형 글래스 루프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넓은 개방감과 함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성이 보강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보강 프레임을 적용하여 2피스 고정형 글래스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2열 글래스의 오픈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성이 보강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적용하여 루프를 모듈화함으로써,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 등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루프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옵션 아이템이었던 선루프를 표준 아이템(Standard Item)으로 적용하여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넓은 개방감, 채광성, 수려한 외관, 환기성, 안전성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거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보강 프레임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2피스 글래스 또는 경량화 루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은 강성 보강을 위해 구간별로 두께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은 4개의 모서리 구간과, 길이방향으로 양측 중앙에 구비되는 2개의 센터 구간과, 나머지 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의 두께가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나머지 구간의 두께가 0.8㎜인 경우, 상기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의 두께는 1.2㎜로 이루어지어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는 라미네이트 글래스(Laminated Glas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은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한 개의 상기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고정형 글래스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리어 글래스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글래스는 틸트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실내 환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은 스틸보다 경량의 소재를 루프로 적용하여 중량 절감형 루프 모듈로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센터와 후방에 각각 상기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로 경량화 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은 보강 프레임이 포함되므로, 별도의 보강재 없이 그대로 차체 프레임에 조립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량화 루프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허니컴(honeycomb)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루프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옵션 아이템이었던 선루프를 표준 아이템(Standard Item)으로 적용하여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넓은 개방감, 채광성, 수려한 외관, 환기성 및 안전성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넓은 개방감과 함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한 개의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에 보강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2피스 리어 틸트 글래스 모듈 또는 경량화 루프 모듈 등 다양한 루프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적용한 실시예들을 비교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경량화 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는 자동차의 루프를 모듈화하여 루프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한 보강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은 차체 바디에 루프를 모듈화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거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임의의 위치에 보강 프레임(20)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2피스 글래스 또는 경량화 루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은 센터에 보강 프레임을 생략하여 개방감을 높이는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더라도 차체 뒤틀림에 강성을 가지도록 강성 보강을 위해 구간별로 두께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예컨대, 모서리 구간, 측면 구간 등 구간별로 다른 강성이 요구되는 것에 맞추어 두께를 상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은 4개의 모서리 구간과, 길이방향으로 양측 중앙에 구비되는 2개의 센터 구간과, 나머지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서리 구간과 2개의 센터 구간은 자동차의 뒤틀림 및 충돌 시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두께가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나머지 구간의 두께가 0.8㎜인 경우, 상기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의 두께는 1.2㎜로 이루어지어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루프의 센터에 보강 프레임을 설치함으로 인해 탑승자에게 답답함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센터에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모서리 구간과 2개의 센터 구간의 두께를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하여 프레임의 센터부분에 강성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두께를 구간별로 상이하게 구성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모서리 구간과 2개의 센터 구간에 별도의 보강재(12)(14)(16)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두께의 보강재(12)(14)(16)를 더 설치하여 상기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의 두께가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보강재(12)(14)(16)는 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에 별도로 설치되는 보강재(12)(14)(16)의 두께는 가감이 가능하며, 본 출원인의 차체 강성실험과 관련하여 가장 바람직한 두께를 제시하였을 뿐 상기 보강재(12)(14)(16)의 두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는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거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임의의 위치에 보강 프레임(20)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2피스 글래스 또는 경량화 루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적용한 실시예들을 비교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한 경우,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에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설치하고 2피스 글래스를 적용한 경우,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센터와 후방에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각각 설치하고 경량화 루프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에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설치하고 2피스 글래스를 적용한 경우에는 후방에 틸트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리어 글래스(50)가 틸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환기성을 보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멀티 루프 장치의 제1 실시예는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를 적용하여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100)을 차체 바디(2)에 설치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100)은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를 고정시켜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와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양한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존의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픽스드(Rearfixed) 글래스 고정방식과 유사하게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의 전면에 글루(4)(글라스 접착용 실러)를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별도 장치는 필요없으나 글루(4)가 적용되야하는 좌면을 확보해야 한다.
한편,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은 스틸 재료로 이루어지며, 구간별로 두께를 상이하게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고정형 글래스보다 강성이 향상되고, 차체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이 글래스(30)를 4면에도 모두 잡아주므로 이에 대한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30)는 라미네이트 글래스(Laminated Glas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100)은 글래스(30)가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글래스의 작동 구간이 불필요하여 일반적인 선루프의 슬라이딩 작동 구간의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중앙부에 보강 프레임의 삭제 시, 강성에 취약하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두께 증가로 인해 강성 보강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개발을 통해 이를 모듈화함으로써, 자동차 루프의 타입별로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추가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에 한 개의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설치하는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200)이다.
상기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200)은 상기 보강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고정형 글래스(4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리어 글래스(50)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글래스(50)는 틸트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실내 환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리어 글래스(50)의 틸트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경량화 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강화 유리를 루프 전면에 배치한 선루프가 아닌 기존의 스틸 루프에 대응되는 경량화 루프 모듈(300)이다.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300)은 스틸보다 경량의 소재를 루프로 적용하여 중량 절감형 루프 모듈로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센터와 후방에 각각 상기 보강 프레임(20)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20)의 상부로 경량화 루프(6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300)은 보강 프레임(20)이 포함되므로, 별도의 보강재 없이 그대로 차체 프레임에 조립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량화 루프(60)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허니컴(honeycomb)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량화 루프 모듈(300)은 기존의 자동차 루프에서 스틸 루프에다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고 차체 바디에 조립하는 구조에서 경량화 로프 모듈(300)을 직접 차체 바디(2)에 조립하는 구조로 변경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는 보강 기능을 흡수하여 프레임에 반영한 것으로, 스틸 루프를 경량화 소재 루프로 변경시켜 중량 절감형 루프 모듈을 제안하며, 다양한 루프를 모듈화함으로써, 옵션 아이템이었던 선루프를 표준 아이템(Standard Item)으로 적용하여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100),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200) 및 경량화 루프 모듈(300)은 차체 바디(2)에 직접 조립되는 구조이며, 예를 들어,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단 좌면에 실러를 도포한 후 차체의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압착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멀티 루프 장치는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을 공용화하여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보강 프레임(20)을 적용함으로써, 한 개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다양한 타입의 루프 모듈을 구현할 수 있어 선루프의 상품성 및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탑승자에게 넓은 개방감, 채광성, 수려한 외관, 환기성, 안전성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2: 차체 바디 10: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
12, 14, 16: 보강재 20: 보강 프레임
30: 1피스 고정형 글래스 40: 고정형 글래스
50: 리어 글래스 60: 경량화 루프
100: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00: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300: 경량화 루프 모듈

Claims (8)

  1. 표준화된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에 1피스 고정형 글래스를 적용하거나,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보강 프레임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2피스 글래스 또는 경량화 루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으로 1피스 고정형 글래스 루프 모듈,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 및 경량화 루프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자동차 루프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은 강성 보강을 위해 구간별로 두께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은 4개의 모서리 구간과, 길이방향으로 양측 중앙에 구비되는 2개의 센터 구간과, 나머지 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모서리 구간과 센터 구간의 두께가 나머지 구간의 두께보다 3/2배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피스 고정형 글래스는 라미네이트 글래스(Laminated Glass)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피스 리어 글래스 틸트 모듈은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한 개의 상기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고정형 글래스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리어 글래스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글래스는 틸트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실내 환기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은 스틸보다 경량의 소재를 루프로 적용하여 중량 절감형 루프 모듈로서,
    상기 고강성 베이스 프레임의 센터와 후방에 각각 상기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로 경량화 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 루프 모듈은 보강 프레임이 포함되므로, 별도의 보강재 없이 그대로 차체 프레임에 조립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 루프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허니컴(honeycomb)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KR1020160085777A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KR10182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77A KR101823431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77A KR101823431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91A true KR20180005791A (ko) 2018-01-17
KR101823431B1 KR101823431B1 (ko) 2018-01-31

Family

ID=6102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77A KR101823431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6753A (zh) * 2019-05-29 2019-08-16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全景可调光玻璃顶盖的顶蓬连接系统及汽车
CN112078665A (zh) * 2020-09-22 2020-12-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非金属顶盖总成及商用车
KR102485467B1 (ko) 2021-10-05 2023-01-06 오경주 과일 음료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5733A1 (de) * 2009-08-01 2011-02-03 Daimler Ag Baukasten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achmodu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6753A (zh) * 2019-05-29 2019-08-16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全景可调光玻璃顶盖的顶蓬连接系统及汽车
CN112078665A (zh) * 2020-09-22 2020-12-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非金属顶盖总成及商用车
KR102485467B1 (ko) 2021-10-05 2023-01-06 오경주 과일 음료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431B1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472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8091286B2 (en) Vehicle door
JP6658645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US20070182217A1 (en) Transparent vehicle roof
US10421341B2 (en) Vehicle with moonroof and panoramic glass
KR20190087297A (ko)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
JPH0725236A (ja) 車両のドア構造
KR101823431B1 (ko)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CN104602931A (zh) 车门
US20190225275A1 (en) Vehicle front pillar structure and vehicle side structure
US6481788B1 (en) Upper body structure for a vehicle
KR102463200B1 (ko) 차량용 도어
KR102529375B1 (ko) 차량용 도어
RU2710417C2 (ru)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конструкцией кузова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крыши на конструкции кузов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463195B1 (ko) 차량용 도어
JP4547707B2 (ja) 自動車のルーフ補強構造
US10864806B2 (en) Door for vehicle
JP6107209B2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構造
US5954389A (en) Reinforced front par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abins/bodies for vehicles
EP3950467B1 (en) Composite elongated member
KR20150117648A (ko) 중공체를 한정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개방 패널 구조물
KR20200101569A (ko) 차량용 도어
KR20200071154A (ko) 차량용 도어
JP202007895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2506929B1 (ko) 차량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