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017A -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017A
KR20180005017A KR1020160084871A KR20160084871A KR20180005017A KR 20180005017 A KR20180005017 A KR 20180005017A KR 1020160084871 A KR1020160084871 A KR 1020160084871A KR 20160084871 A KR20160084871 A KR 20160084871A KR 20180005017 A KR20180005017 A KR 2018000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lip
hole
rib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631B1 (ko
Inventor
김문종
서동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링이 결속되는 와이어링 결속 부재와, 차체 패널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 헤드와, 파지면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 고정 헤드는, 손잡이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차체 패널이 고정 헤드에 도달한 경우에, 고정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클립; 및 탄성 클립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 탄성 클립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홀을 구비하고,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고, 탄성 클립의 탄성 변형 여부에 따라 고정 헤드에 고정되거나 고정 헤드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링을 고정 헤드를 통해 차체 패널에 고정한 후 손잡이를 고정 헤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은, 고정 헤드로부터 분리된 손잡이를 재사용 가능하여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고, 와이어링을 차체 패널에 고정한 후 손잡이를 절단 도구를 절단 하는 공정을 생략 가능하여 생산성을 개선함과 함께, 손잡이의 절단 시에 절단 공차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A band cable for fixing wiring}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Wiring)은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와이어링은, 자동차의 각종 전기배선에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과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거나, 점화, 등화 및 충전 등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링은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되는 심한 진동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또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면서 차체 내부의 부품들과 스치게 되며, 이로 인해 와이어링 내에 있는 특정의 와이어가 손상되면서 결국 관련 작동부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각종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링은 반드시 클립이나 밴드 케이블 등으로 고정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링(13)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결속부(10)와, 와이어링 결속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11)와, 헤드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을 이용해 와이어링(13)을 고정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링 결속부(10)로 와이어링(13)을 묶어 결속한 다음, 손잡이부(12)를 차체 패널(14)의 홀(15)에 1차 체결하고, 계속해서 헤드부(11)에 차체 패널(14)을 2차 체결한 후, 절단 도구(16)를 사용하여 길게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부(12)를 절단함으로써, 와이어링(13)의 고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차체 패널(14)을 헤드부(11)에 체결한 후 손잡이부(12)를 절단 도구(16)를 사용해 절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작업 시 마다 손잡이부(12)를 절단 위치에 맞춰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다.
셋째, 절단 도구(16)에 의해 절단된 손잡이부(12)가 용도 상실되므로, 이러한 손잡이부(12)가 산업 폐기물화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손잡이의 절단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링이 결속되는 와이어링 결속 부재와, 차체 패널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 헤드와, 파지면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 고정 헤드는, 손잡이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차체 패널이 고정 헤드에 도달한 경우에, 고정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클립; 및 탄성 클립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 탄성 클립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홀을 구비하고,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고, 탄성 클립의 탄성 변형 여부에 따라 고정 헤드에 고정되거나 고정 헤드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헤드는, 탄성 클립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클립홀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탄성 클립은, 클립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 클립은, 탄성 클립과 클립홀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클립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탄성 클립은, 일단이 클립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클립은, 고정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탄성 클립의 외측면에 와이어링 결속 부재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탄성 리브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 클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되다가 탄성 클립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손잡이는, 탄성 리브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를 더 구비하며, 고정 헤드는,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 후크가 삽입되어 걸림되고,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걸림 후크가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후크홀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걸림 후크는,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된 경우에, 탄성 리브와 함께 리브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리브홀은, 손잡이 쪽으로 개방된 입구측 개방구; 및 와이어링 결속 부재 쪽으로 개방된 출구측 개방구를 구비하며, 탄성 리브와 걸림 후크는, 입구측 개방구를 통해 리브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후크홀은, 출구측 개방구로부터 인출된 걸림 후크가 걸림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클립은, 탄성 클립과 탄성 리브가 변형되어 걸림 후크가 후크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걸림 후크가 출구측 개방구를 통해 리브홀에 삽입되도록 손잡이를 이동시킨 경우에, 리브홀에 삽입된 걸림 후크가 걸림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클립은, 차체 패널이 고정 클립을 통과하여 탄성 클립에 대한 고정홀의 내측면의 가압이 해제된 경우에, 걸림 후크에 대한 탄성 클립의 구속이 해제되어 탄성 리브와 걸림 후크를 입구측 개방구를 통해 리브홀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헤드는, 탄성 클립을 통과한 차체 패널을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렌지를 더 구비하며, 탄성 클립을 통과한 차체 패널은, 플렌지와 탄성 클립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와이어링을 고정 헤드를 통해 차체 패널에 고정한 후 손잡이를 고정 헤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 헤드로부터 분리된 손잡이를 재사용 가능하여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고, 와이어링을 차체 패널에 고정한 후 손잡이를 절단 도구로 절단하는 공정을 생략 가능하여 생산성을 개선함과 함께, 손잡이의 절단 시에 절단 공차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손잡이의 파지부를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와이어링의 고정 작업과 손잡이의 분리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생상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밴드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클립의 탄성 변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이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이라고 함)은, 와이어링(W)이 결속되는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와, 차체 패널(P)에 형성된 고정홀(H)에 고정되는 고정 헤드(120)와, 파지면을 제공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한 후, 손잡이(130)를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차량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구비된 패널(P)에 와이어링(W)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을 이용해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는, 와이어링(W)을 결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0)의 반대 쪽에 위치하도록 고정 헤드(1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는, 와이어링(W)을 묶어서 결속 가능한 타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는 와이어링(W)을 결속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클립의 탄성 변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고정 헤드(120)는,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에 결속된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고정 헤드(120)는 차체 패널(P)에 형성된 고정홀(H)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고정 헤드(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클립(121, 122)과, 손잡이(130)의 탄성 리브(132, 133)의 적어도 일부분과,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121, 122)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홀(123)과, 손잡이(130)의 걸림 후크(134, 135)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후크홀(124, 125)과,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한 차체 패널(P)을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렌지(126)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클립(121, 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홀(127, 128)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클립홀(127, 12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홀(123)과 연통되도록 고정 헤드(120)의 반경 방향으로 천공되며, 탄성 클립(121, 12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탄성 클립(121, 122)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은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헤드(120)에는 리브홀(12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클립홀들(127, 128)이 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탄성 클립들(121, 122)은 각각, 클립홀들(127, 128)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클립(121, 12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0)의 파지부(131)가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에 삽입되어 차체 패널(P)이 고정 헤드(120)에 도달한 경우에,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탄성 클립(121, 122)의 외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21a, 1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탄성 클립(121, 12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0)의 파지부(131)가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에 삽입되어 차체 패널(P)이 고정 헤드(120)에 도달한 경우에,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해 리브홀(123)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클립(121, 122)은,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탄성 변형되고 또한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 복원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탄성 클립(121, 122)을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은, 클립홀(127, 128)에 회전축(121b, 122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홀(127, 128)과 탄성 클립(121, 122) 사이에 탄성 클립(121, 122)을 탄성 지지하도록 개재되는 스프링(129)을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129)은 비틀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프링(129)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9)은 일단(129a)이 탄성 클립(121, 122)에 고정되고 타단(129b)이 클림홀(127, 128)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 클립(121, 1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클립(121, 1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하여 탄성 클립(121, 122)에 대한 고정홀(H)의 내측면의 가압이 해제된 경우에,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어 원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 클립(121, 122)은, 탄성 변형된 상태일 때만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탄성 클립(121, 122)은 클립홀(127, 12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1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 클립(121, 12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클립홀(127, 128)의 내측면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면, 탄성 클립(121, 12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는 클립홀(127, 128)의 내측면에 연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휘어지고, 고정홀(H)의 내측면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도록 복원될 수 있다.
리브홀(1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들(121, 1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헤드(120)의 내부에 고정 헤드(120)의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다. 리브홀(1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0)의 파지부(131) 쪽으로 개방된 입구측 개방구(123a)와,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 쪽으로 개방된 출구측 개방구(123b)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브홀(123)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0)의 탄성 리브(132, 133)가 리브홀(123)의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삽입되고, 차체 패널(P)에 의해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121, 122)이 클립홀(127, 12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후크홀(124, 1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홀(123)의 출구측 개방구(123b)에 비해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 쪽에 위치되며, 고정 헤드(120)의 반경 반향으로 천공된다. 후크홀(124, 125)은 손잡이(130)의 걸림 후크(134, 135)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후크홀(124, 12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된 걸림 후크(134, 135)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플렌지(12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홀(124, 125)에 비해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 쪽에 위치되며,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한 차체 패널(P)을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한 차체 패널(P)은 플렌지(126)와 탄성 클립(121, 122) 사이에 개재된다. 이를 통해 고정 헤드(120)를 차체 패널(P)에 고정함으로써, 고정 헤드(120)에 연결된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 및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에 결속된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130)는 파지면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이다.
손잡이(130)는, 고정 헤드(120)를 기준으로 와이어링 결속 부재(110)의 반대 쪽에 위치되며, 고정 헤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면을 제공하는 파지부(131)와,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 헤드(120)의 리브홀(123)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탄성 변형되어 리브홀(123)에 삽입된 탄성 클립(121, 122)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리브(132, 133)와, 탄성 리브(132, 133)의 탄성 여부에 따라 후크홀(124, 125)에 삽입되어 걸림되거나 후크홀(124, 125)로부터 인출되는 걸림 후크(134, 135)를 구비할 수 있다.
파지부(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스틱 형상을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지부(131)는 파지면을 제공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리브(132, 1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탄성 리브(132, 133)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는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리브(132, 133)는, 한 쌍의 탄성 클립들(121, 122) 중 어느 하나와 대면하도록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탄성 리브(132, 133)는, 단부가 출구측 단부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어 후크홀(124, 125)과 대면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또한, 탄성 리브(132, 133)는, 리브홀(123)에 삽입된 탄성 클립(121, 12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파지부(131)의 일단으로부터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되다가 절곡부(136, 137)에서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탄성 리브(132, 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이 차체 패널(P)에 의해 탄성 변형된 경우에, 탄성 변형되어 리브홀(123)에 삽입된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걸림 후크(134, 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는 탄성 리브(132, 133)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걸림 후크(134, 13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된 탄성 리브(132, 133)와 함께 리브홀(123)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 후크(134, 135)를 이용해 손잡이(130)를 고정 헤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후크(134, 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크홀(124, 125)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이를 통해 탄성 리브(132, 133)와, 걸림 후크(134, 135)를 고정 헤드(120)에 고정하여, 손잡이(130)를 고정 헤드(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걸림 후크(134, 1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가 평평해지도록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후크홀(124, 125)로부터 인출되어 걸림 해제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후크(134, 135)가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줄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은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완전히 통과하기 전까지는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된 걸림 후크(134, 135)는, 탄성 클립(121, 122)에 걸림된다. 이를 통해,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하여 고정 헤드(120)가 차체 패널(P)에 고정되기 이전에 손잡이(130)가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통과하여 탄성 클립(121, 122)이 탄성 복원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와 걸림 후크(134, 135)가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 줌으로써, 손잡이(130)를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리브(132, 133)와 걸림 후크(134, 135)를 리브홀(123)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후크(134, 135)가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과 리브홀(123)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리브(132, 133)는 평평해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된 손잡이(130)는,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고정 헤드(120)에 결합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을 이용해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탄성 리브(132, 133)를 평평해지도록 탄성 변형시켜, 걸림 후크(134, 135)와 탄성 리브(132, 133)를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걸림 후크(134, 135)가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후크(134, 135)에 대한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과 리브홀(123)의 내측면의 가압이 해제되어, 탄성 리브(132, 133)가 탄성 복원된다. 그러면, 걸림 후크(134, 135)가 후크홀(124, 125)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손잡이(130)가 고정 헤드(120)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결속 부재를 이용해 차체 패널(P)에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W)을 결속한다.
이후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1)를 차체 패널(P)의 고정홀(H)에 삽입한 후, 차체 패널(P)이 고정 헤드(120)에 도달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 준다. 그러면, 탄성 클립(121, 122)의 경사면(121a, 122a)이 차체 패널(P)에 의해 리브홀(123)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 클립(121, 122)은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처럼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121, 122)은 리브홀(123)에 미리 삽입된 탄성 리브(132, 133)를 가압하여 평평해지도록 탄성 변형시키고, 이로 인해 걸림 후크(134, 135)는 후크홀(124, 125)로부터 인출되어 걸림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홀(124, 125)로부터 인출된 걸림 후크(134, 135)가 출구측 개방구(123b)를 통해 리브홀(123)에 삽입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 준다. 그러면, 리브홀(123)에 삽입된 걸림 후크(134, 135)는,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완전히 통과하지 못해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탄성 클립(121, 122)에 걸림된다.
이후에, 차체 패널(P)이 탄성 클립(121, 122)을 완전히 통과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 준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121, 122)은 가압 해제되어 탄성 복원된다. 다만, 걸림 후크(134, 135)는 탄성 클립(121, 122)의 내측면과 리브홀(123)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므로, 탄성 리브(132, 133)는 여전히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리브(132, 133)와 걸림 후크(134, 135)가 입구측 개방구(123a)를 통해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도록 파지부(131)를 당겨 준다. 탄성 리브(132, 133)와 걸림 후크(134, 135)가 리브홀(123)로부터 인출되면, 탄성 리브(132, 133)는 탄성 복원되고, 손잡이(130)는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된다.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와이어링(W)을 고정 헤드(120)를 통해 차체 패널(P)에 고정한 후, 손잡이(130)를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고정 헤드(120)로부터 분리된 손잡이(130)를 재사용 가능하여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고, 와이어링(W)을 차체 패널(P)에 고정한 후 손잡이(130)를 절단 도구로 절단하는 공정을 생략 가능하여 생산성을 개선함과 함께, 손잡이(130)의 절단 시에 절단 공차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100)은, 손잡이(130)의 파지부(131)를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와이어링(W)의 고정 작업과 손잡이(130)의 분리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생상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110 : 와이어링 결속 부재
120 : 고정 헤드
121, 122 : 탄성 클립
121a, 122a : 경사면
121b, 122b : 회전축
123 : 리브홀
123a : 입구측 개방구
123b : 출구측 개방구
124, 125 : 후크홀
126 : 플렌지
127, 128 : 클립홀
129 : 스프링
130 : 손잡이
131 : 파지부
132, 133 : 탄성 리브
134, 135 : 걸림 후크
136, 137 : 절곡부
W : 와이어링
P : 차체 패널
H : 고정홀

Claims (13)

  1. 와이어링이 결속되는 와이어링 결속 부재와, 차체 패널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 헤드와, 파지면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차체 패널이 상기 고정 헤드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 클립; 및
    상기 탄성 클립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탄성 클립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홀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탄성 변형된 탄성 클립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탄성 클립의 탄성 변형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헤드에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 헤드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탄성 클립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클립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상기 클립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 클립은,
    상기 탄성 클립과 상기 클립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 클립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일단이 상기 클립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탄성 클립의 외측면에 상기 와이어링 결속 부재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클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되다가 상기 탄성 클립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탄성 리브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걸림 후크가 삽입되어 걸림되고, 상기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상기 걸림 후크가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후크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탄성 리브가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탄성 리브와 함께 상기 리브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홀은,
    상기 손잡이 쪽으로 개방된 입구측 개방구; 및
    상기 와이어링 결속 부재 쪽으로 개방된 출구측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리브와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입구측 개방구를 통해 상기 리브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은,
    상기 출구측 개방구로부터 인출된 걸림 후크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상기 탄성 클립과 상기 탄성 리브가 변형되어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출구측 개방구를 통해 상기 리브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손잡이를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리브홀에 삽입된 걸림 후크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상기 차체 패널이 상기 고정 클립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 클립에 대한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의 가압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림 후크에 대한 탄성 클립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 리브와 상기 걸림 후크를 상기 입구측 개방구를 통해 상기 리브홀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탄성 클립을 통과한 차체 패널을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렌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 클립을 통과한 차체 패널은,
    상기 플렌지와 상기 탄성 클립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20160084871A 2016-07-05 2016-07-05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249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71A KR102496631B1 (ko) 2016-07-05 2016-07-05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71A KR102496631B1 (ko) 2016-07-05 2016-07-05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17A true KR20180005017A (ko) 2018-01-15
KR102496631B1 KR102496631B1 (ko) 2023-02-06

Family

ID=6100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71A KR102496631B1 (ko) 2016-07-05 2016-07-05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1068A (zh) * 2023-04-26 2023-06-2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公差调节器及隐藏式电动外开车门手柄总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620B1 (ko) * 1996-05-03 1999-06-15 정몽규 클립
KR20050022924A (ko) * 2003-08-27 200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선 고정용 밴드케이블 어셈블리
KR100655620B1 (ko) * 2005-10-20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클립부재
KR20070023843A (ko) * 2005-08-25 2007-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1134481B1 (ko) * 2010-05-28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620B1 (ko) * 1996-05-03 1999-06-15 정몽규 클립
KR20050022924A (ko) * 2003-08-27 200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선 고정용 밴드케이블 어셈블리
KR20070023843A (ko) * 2005-08-25 2007-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0655620B1 (ko) * 2005-10-20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클립부재
KR101134481B1 (ko) * 2010-05-28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1068A (zh) * 2023-04-26 2023-06-2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公差调节器及隐藏式电动外开车门手柄总成
CN116291068B (zh) * 2023-04-26 2024-05-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公差调节器及隐藏式电动外开车门手柄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631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0876B1 (en) Device for removing a wire harness from a vehicle
US8129621B2 (en) Wire harness fixing tool
JP2000166061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構造
EP2599405B1 (en) Seat and a cover fixing method of the seat
KR20180005017A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20080043490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JP2008162393A (ja) 車両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用クランプ
KR101134481B1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66132Y1 (ko) 밴드 케이블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6075201B2 (ja) コネクタ
KR100737577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클립
JP2016182929A (ja) グロメットのパネル貫通方法、集束保持治具、ワイヤハーネス、及び、パネルの貫通孔にグロメットを貫通嵌着させて配索した状態のワイヤハーネス
JP2001336670A (ja) ハーネス取付クリップ
JP6447433B2 (ja) 端子カバー
KR102302287B1 (ko) 스터드 타입 밴드케이블
JP3463088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取手部材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ワイヤハーネス
JPH08275347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H09196236A (ja) バンドクリップ
KR20110054351A (ko) 차량용 스터드 클립 케이블 타이 고정장치
KR20040037821A (ko) 자동차용 밴드 케이블
JP2017129254A (ja) 結束具、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443361Y1 (ko) 고정 클립
JP2001128342A (ja) 線材束の保持具
KR20240015881A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