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227A -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227A
KR20180004227A KR1020177035091A KR20177035091A KR20180004227A KR 20180004227 A KR20180004227 A KR 20180004227A KR 1020177035091 A KR1020177035091 A KR 1020177035091A KR 20177035091 A KR20177035091 A KR 20177035091A KR 20180004227 A KR20180004227 A KR 20180004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ber
bristle
constituted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714B1 (ko
Inventor
아카네 고마츠
도모카즈 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청구항 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기모 요소는,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에 있어서, 단부 영역(101e)의 기모부는, 중앙 영역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152)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본 발명은, 청소 대상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0-245670호 공보에는, 유지구에 유지되며, 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청소 시트는, 복수의 섬유를 기모시켜 구성된 솔부에 의해 진개를 포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 솔부는, 한쌍의 접합선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섬유체를 절단함으로써, 복수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솔부는, 상이한 섬유 연장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전술한 청소 시트에 있어서는, 상이한 섬유 연장 길이를 갖는 솔부를 구성함으로써, 진개를 양호하게 포착하는 것이 가능했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청소 시트에 있어서는, 진개의 포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연구가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0-24567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기부와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갖는다. 소정의 제1 방향은, 사용자가 청소 시에 유지구를 통해 이동시키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이 경우, 청소구가 청소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 경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청소 시트를 이동시키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청소 시트를 조작하는 개개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청소 시트가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는, 보다 광범위한 청소 대상에 대하여 청소 작업을 행할 필요성으로부터, 사용자가 청소 시트를 교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상기 교차 방향이 제1 방향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정의 제1 방향은, 사용자가 청소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계한 방향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또, 기부는 적합하게는 시트상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섬유 요소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요소는, 제2 방향으로 섬유 배향성을 갖는 토우 섬유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접속 요소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요소는, 기부와 섬유 요소의 쌍방을 열용착성 섬유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양자를 열용착함으로써 접속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부와 섬유 요소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접속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절단 요소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청소 시트에 있어서, 절단 요소가 형성되는 영역은 절단 요소 형성 영역을 구성하고, 절단 요소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은 비절단 섬유 요소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비절단 섬유 요소는 복수의 비절단 섬유부에 의해 구성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비절단 섬유부에 의해 제2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을 구성한다.
기모 요소는,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된다. 즉 기모부는, 절단된 섬유체의 단부가 접속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기모 요소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절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구성한다. 전형적으로는,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은 접속부를 공통으로 하는 기모 영역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은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모부와 비절단 섬유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영역에 의해 규정할 수도 있다.
청소 시트는 추가로,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갖는다. 청소 시트를 부착하는 청소 헤드를 갖는 유지구에 청소 시트를 장착하는 경우,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제1 방향 상의 단부는, 청소 헤드의 청소면에 대하여 되접혀져, 청소 헤드의 청소면과 반대측의 면에 위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단부 영역은,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제1 방향 상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청소 시트에 있어서의 제1 방향 상의 단부에 가장 근접한 기모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중앙 영역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청소 시트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에 있어서,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기모부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한다. 또, 다수 섬유 기모부는, 중앙 영역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제2 방향의 연장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 섬유 기모부는 중앙 영역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제2 방향 장거리 기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청소 대상이 바닥인 경우, 상기 바닥에 존재하는 진개로서,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과 같은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갖는 것이나, 솜먼지, 빵가루와 같은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것이나, 규사와 같은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는 것이 존재한다.
청소 작업에 있어서는,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기모부가 맨 처음에 진개와 접촉한다. 이 경우, 상기 단부 영역의 기모부는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갖는 진개나,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진개를 포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 섬유 기모부에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중앙 영역에 형성된 기모부에 의해 포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에 의하면, 청소 시트의 청소면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진개를 포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기모부는,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섬유체의 수가 적게 형성된 소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소수 섬유 기모부는, 단부 영역의 기모부와 비교하여 제2 방향의 연장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 따라서, 소수 섬유 기모부는 제2 방향 단거리 기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다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포착되지 않은 진개를, 소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절단부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절단부와 비교하여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장거리 절단부가 섬유체를 절단함으로써, 다수 섬유 기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절단부는,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절단부와 비교하여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절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단거리 절단부가 섬유체를 절단함으로써, 소수 섬유 기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모부는,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와, 개방 단부를 가지며, 개방 단부가 기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 시트를 청소 대상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청소 시트를 이동시킨 경우, 개방 단부가 상기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기모부의 섬유체가 이동한다. 상기 기모부의 거동에 의해, 청소 대상을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모 요소가 형성되는 기모 요소 형성 영역과,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은, 전술한 비절단 섬유부에 의해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을 청소 대상에 접촉시킴으로써,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도 진개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모 요소 형성 영역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은, 전술한 제2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에 의해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제1 방향에 있어서,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과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을 교대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은, 소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보다 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은, 제1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다란, 청소 시트의 설계에 있어서 「동일」하면 족한 것이다. 또한, 「완전히 동일」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청소 시트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단위 면적당의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의 배치 비율이 단부 영역보다 많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 작업 시에 있어서는 기모부의 섬유체가 접속 단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이동한다. 이 때, 기모부의 섬유체가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과 청소 대상 사이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황에 있어서는, 청소 시트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과 청소 대상 사이에는, 단부 영역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섬유체가 들어간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중앙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 방향의 길이가 단부 영역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 장거리 두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부 영역은, 상기 단부 영역의 두께 방향의 길이가 중앙 영역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 단거리 두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부 영역으로부터 중앙 영역으로의 진개의 이동을 용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시트의 청소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모부와 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포켓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또, 포켓 요소는, 한쌍의 접속부와, 한쌍의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포켓 요소는 복수의 포켓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복수의 포켓부에 대하여 진개를 포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포켓부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포켓부와 비교하여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다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모아진 진개를 효율적으로 장거리 포켓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포켓부는,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포켓부와 비교하여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포켓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소수 섬유 기모부에 의해 모아진 진개를 효율적으로 단거리 포켓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섬유 요소는 토우 섬유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우 섬유를 구성하는 섬유가, 섬유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토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청소 시트의 제조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접속 요소는, 기부와 섬유 요소를 열용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부를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시트의 제조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섬유 요소를 기부의 양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청소 시트에 의하면, 한쪽의 면에 의해 청소 작업을 종료한 경우, 사용자는 다른쪽의 면에 의해 청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 비용 효과가 우수한 청소 시트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청소 시트와, 유지구에 의해 청소 용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구는, 청소 시트가 접촉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형성되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 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청소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영역 I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포켓 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교차 방향 기모부열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II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단부 영역 및 중앙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기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길이 방향 섬유 연속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청소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청소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청소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청소 용구의 개략)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에 관하여, 도 1∼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용구」의 일 실시형태인 청소 용구(A)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청소 용구(A)를 이용하여 청소되는 청소 대상으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 있어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창, 천장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조명, 가전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면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 용구(A)는, 유지구(200)와, 유지구(200)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청소체(100)를 갖는다. 이 중, 특히 유지구에 있어서는, 피청소면에 따라 그 구성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바닥면의 청소에 알맞은 유지구(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청소체(100)는, 일회용 청소체여도 좋고, 세탁 등에 의해 반복 사용되는 청소체여도 좋다. 이하에 있어서는, 일회용 청소체로서 설명한다.
이 청소 용구(A)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의 일례이고, 유지구(200)가 본 발명에 따른 「유지구」의 일례이고, 청소체(100)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유지구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용구(A)는, 유지구(200)와 청소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유지구(200)는, 청소체(100)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구(200)는,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가지 유지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0)는, 사용자에 파지되는 파지부(210)와, 파지부(210)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부(250)와, 헤드부(220)와, 파이프부(250)와 헤드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60)를 갖는다. 파이프부(250)는, 복수의 파이프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장척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60)는, 파이프부(250)(파지부(210))에 대하여, 헤드부(220)가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210)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일례이고, 헤드부(220)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의 일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220)는, 사용자가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 사용자측으로 향해지는 제1 헤드면(220Z1)을 갖는다. 헤드부(220)는, 제1 헤드면(220Z1)과 대향하는 면인 제2 헤드면(220Z2)을 갖는다. 제2 헤드면(220Z2)은, 사용자가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 바닥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헤드면(220Z1)은, 청소체(1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230)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230)의 구성은, 이러한 종류의 유지부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구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유지부(230)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한 판상 부재와, 상기 판상 부재에 형성한 슬릿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슬릿에 청소체(100)를 압입함으로써, 청소체(100)와 유지구(200)를 고정할 수 있다. 유지부(230)는, 착탈 가능하게 청소체(100)를 유지한다.
이 유지부(230)가 본 발명에 따른 「유지부」의 일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헤드면(220Z2)은, 유지부(230)에 부착된 청소체(100)가 접촉되는 접촉부(240)를 형성한다. 접촉부(240)의 구성은, 이러한 종류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구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접촉부(240)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성의 발포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40)의 표면으로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촉부(240)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의 일례이다.
(청소체의 구성)
청소체(100)의 구성을, 도 2∼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청소체(100)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시트상이고, 길이 방향(Y)과, 길이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인 교차 방향(X)과, 길이 방향(Y)과 교차 방향(X)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인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된다. 청소체(100)는, 사용자가 청소체(100)를 교차 방향(X)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어 있다. 청소체(100)는,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X)와,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Y)를 갖는다.
이 교차 방향(X)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의 일례이고, 길이 방향(Y)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의 일례이고, 단부(100X)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 상의 단부」의 일례이다.
청소체(100)는, 제1 면(100Z1)과, 상기 제1 면(100Z1)과 대향하는 면인 제2 면(100Z2)을 갖는다.
도 3은, 청소체(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기부(110)와, 섬유 요소(120)와, 측방 시트부(180)를 갖는다. 이 기부(110)가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일례이고, 섬유 요소(120)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요소」의 일례이다. 섬유 요소(120)와 측방 시트부(180)는, 제1 면(100Z1)측과, 제2 면(100Z2)측에 각각 형성된다. 측방 시트부(180)는, 섬유 요소(120)와 기부(110)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X)를 포함하는 영역에 있어서, 섬유 요소(120)와 기부(110)에 접합된다. 즉, 기부(110)와 섬유 요소(120)의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X)는, 제1 면(100Z1)측의 측방 시트부(180)와, 제2 면(100Z2)측의 측방 시트부(180)에 의해 각각 끼워진다. 기부(110)와 측방 시트부(180)는 소정의 영역을 열융착함으로써 접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00)를, 유지구(200)의 헤드부(220)에 부착한 경우에는, 측방 시트부(180)를 갖는 영역이 제1 헤드면(220Z1)측으로 되접혀진다. 이 청소체(100)에 있어서의 「되접혀진 영역」은, 헤드부(220)의 접촉부(240)에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 된다. 제1 헤드면(220Z1)에 되접혀진 측방 시트부(180)의 일부는, 유지구(200)의 유지부(230)에 고정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10)와 섬유 요소(120)는,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접속 요소(130)에 의해 접속된다. 접속 요소(130)는, 복수의 접속부(131)에 의해 구성된다. 접속 요소(130)는, 기부(110)와 섬유 요소(120)의 소정 영역을 열용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접속 요소(130)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요소」의 일례이고, 접속부(131)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의 일례이다. 또, 접속부(131)는, 청소체(100)의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심선(100yc)(도 10 참조)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는 영역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 요소 등이 교차 방향(X)(길이 방향(Y))으로 연장된다」란, 상기 구성 요소 등이 교차 방향(X)(길이 방향(Y))과 평행인 경우나, 상기 구성 요소 등의 연장 방향이 교차 방향(X) 성분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요소(130)(접속부(131)), 절단 요소(140)(절단부(141)), 기모 요소(150)(기모부(151)) 및 포켓 요소(160)(포켓부(161))는, 교차 방향(X)과 길이 방향(Y)의 쌍방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이들 구성 요소는 교차 방향(X)(길이 방향(Y))으로 연장된다고 할 수 있다. 또, 접속 요소(130)(접속부(131)), 절단 요소(140)(절단부(141)), 기모 요소(150)(기모부(151)) 및 포켓 요소(160)(포켓부(161))는, 교차 방향(X)과 길이 방향(Y)의 쌍방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성 요소는, 교차 방향(X)에 있어서의 길이와,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의 쌍방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요소(120)는, 길이 방향(Y)으로 섬유 배향성을 갖는 섬유체(121)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섬유체(121)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체」의 일례이다. 이 섬유체(121)는 열가소성 섬유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심(core)부가 폴리에스테르(PET), 초(sheath)부가 폴리에틸렌(PE)에 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사용된다. 섬유 요소(120)는, 전형적으로는 토우 섬유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기부(110) 및 섬유 요소(120)에는, 착진유제(着塵油劑)(도시하지 않음)가 부여된다. 착진유제로는, 여러가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체(100)에 있어서, 착진유제는 유동 파라핀이 사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접속부(131) 사이에는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절단 요소(140)가 형성된다. 절단 요소(140)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120)는 기모 요소(150)와 포켓 요소(160)를 형성한다. 이 절단 요소(140)가 본 발명에 따른 「절단 요소」의 일례이고, 기모 요소(150)가 본 발명에 따른 「기모 요소」의 일례이고, 포켓 요소(160)가 본 발명에 따른 「포켓 요소」의 일례이다.
절단 요소(140)는, 복수의 절단부(14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연속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절단부(141)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I의 확대도이고, 절단부(141), 기모부(151) 및 포켓부(161)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부(141)에 의해, 기모부(151) 및 포켓부(161)가 형성된다. 이 기모부(151)가 본 발명에 따른 「기모부」의 일례이고, 포켓부(161)가 본 발명에 따른 「포켓부」의 일례이다. 기모 요소(150)는 복수의 기모부(151)에 의해 구성되고, 포켓 요소(160)는 복수의 포켓부(161)에 의해 구성된다.
또, 절단 요소(140)가 형성되어 있는 섬유 요소(120)의 영역은, 절단 요소 형성 영역을 형성한다. 절단 요소 형성 영역에 의해 기모 요소 형성 영역 및 포켓 요소 형성 영역이 구성된다.
또한, 절단 요소(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섬유 요소(120)의 영역은, 비절단 섬유 요소(170)를 구성한다. 비절단 섬유 요소(170)는,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146)이라고 하거나,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156)이라고 하거나, 포켓 요소 비형성 영역(166)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비절단 섬유 요소(170)는, 복수의 비절단 섬유부(171)에 의해 구성된다. 비절단 섬유부(171)는, 한쌍의 접속부(131) 사이에 걸쳐 섬유체(121)가 연장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156)이 본 발명에 따른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의 일례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모부(151)는, 절단부(141)에 의해 절단된 섬유체(121)에 의해 형성된다. 기모부(151)는, 접속부(131)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151a)와, 개방 단부(151b)를 가지고, 개방 단부(151b)가 기부(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접속 단부(151a)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부」의 일례이고, 개방 단부(151b)가 본 발명에 따른 「개방 단부」의 일례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모부(151)와 기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포켓부(161)가 형성된다. 또, 기모부(151)는 복수의 섬유체(121)의 개방 단부(151b)가 각각 기부(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경우, 기모부(151)는, 적어도 일부의 섬유체(121)에 있어서의 개방 단부(151b)가 기부(110)로부터 이격되면 구성된다. 즉, 기모부(151)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모든 섬유체(121)의 개방 단부(151b)가 기부(1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포켓부(161)는, 기모부(151)와 기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지만, 상기 「공간」에 기모부(151)를 구성할 수 있는 섬유체(121)가 존재하고 있어도, 상기 포켓부(161)를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포켓부(161)는, 한쌍의 접속부(131)와, 한쌍의 비절단 섬유부(17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절단부(141)가 연속함으로써, 교차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x)이 구성된다. 교차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x)이 구성됨에 따라, 교차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x)과 교차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x)이 구성된다. 또, 교차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x)은, 한쌍의 접속부(131) 사이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한쌍의 접속부(131) 사이에는 2개의 기모부(151)가 형성되지만, 상기 2개의 기모부(15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섬유체(12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비절단 섬유부(171)가 연속함으로써, 교차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x)이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절단부(141)가 연속함으로써,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이 구성된다.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이 구성됨에 따라,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과 길이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y)이 구성된다. 또, 교차 방향(X)에 있어서의 한쌍의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 길이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y)) 사이에는,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이 형성된다. 이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의 일례이고,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의 일례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 선 단면도이고,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8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면(100Z2)의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절단부(141)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을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으로서 고찰한 경우, 상기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기모부(151)가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y)을 길이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y)으로서 고찰한 경우, 상기 길이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y)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포켓부(161)가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있어서의 III-III 선 단면도이고,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9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면(100Z2)의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비절단 섬유부(171)가 배치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X)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101e)을 갖는다. 단부 영역(101e)은, 단부(100X)와, 상기 단부(100X)에 가장 근접한 절단부(14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단부 영역(101e)은, 단부(100X)와, 상기 단부(100X)에 가장 근접한 기모부(15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부 영역(101e)은, 단부(100X)와, 상기 단부(100X)에 가장 근접한 포켓부(16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단부 영역(101e)이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영역」의 일례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심선(100yc)을 갖는다. 또한, 청소체(100)는, 중심선(100yc)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101c)을 갖는다. 중앙 영역(101c)은, 중심선(100yc)과, 상기 중심선(100yc)에 가장 근접한 절단부(14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앙 영역(101c)은, 중심선(100yc)과, 상기 중심선(100yc)에 가장 근접한 기모부(15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영역(101c)은, 중심선(100yc)과, 상기 중심선(100yc)에 가장 근접한 포켓부(161)를 포함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중앙 영역(101c)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영역」의 일례이다.
또, 단부 영역(101e)과 중앙 영역(101c) 사이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간 영역(101m)이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영역(101e)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길이(D1)는, 중앙 영역(101c)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길이(D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 영역(101m)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길이(D2)는, 길이(D1)보다 짧고, 길이(D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부 영역(101e)의 절단부(141)는, 장거리 절단부(142)를 형성한다. 장거리 절단부(142)에 의해, 단부 영역(101e)의 기모부(151)는, 중앙 영역(101c)의 기모부(151)와 비교하여 섬유체(121)의 수가 많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부 영역(101e)의 기모부(151)는, 다수 섬유 기모부(152)를 형성한다. 또한, 장거리 절단부(142)에 의해, 단부 영역(101e)의 포켓부(161)는, 중앙 영역(101c)의 포켓부(161)와 비교하여 교차 방향(X)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부 영역(101e)의 포켓부(161)는, 장거리 포켓부(162)를 형성한다.
이 장거리 절단부(142)가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절단부」의 일례이고, 다수 섬유 기모부(152)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섬유 기모부」의 일례이고, 장거리 포켓부(162)가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포켓부」의 일례이다.
단부 영역(101e)의 절단부(141)가 장거리 절단부(142)를 형성하고, 기모부(151)가 다수 섬유 기모부(152)를 형성하고, 포켓부(161)가 장거리 포켓부(162)를 형성함에 따라, 중앙 영역(101c)의 절단부(141)는 단거리 절단부(144)를 형성하고, 기모부(151)는 소수 섬유 기모부(154)를 형성하고, 포켓부(161)는 단거리 포켓부(164)를 형성한다. 또한, 중간 영역(101m)의 절단부(141)는 중거리 절단부(143)를 형성하고, 기모부(151)는 중간수 섬유 기모부(153)를 형성하고, 포켓부(161)는 중거리 포켓부(163)를 형성한다. 이 단거리 절단부(144)가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절단부」의 일례이고, 소수 섬유 기모부(154)가 본 발명에 따른 「소수 섬유 기모부」의 일례이고, 단거리 포켓부(164)가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포켓부」의 일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교차 방향 절단부열 영역(141x)(도 6 참조)에 있어서는, 단부 영역(101e)으로부터 중앙 영역(101c)을 향하여,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거리가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차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x)에 있어서는, 단부 영역(101e)으로부터 중앙 영역(101c)을 향하여, 기모부(151)에 있어서의 섬유체(121)의 수가 단계적으로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차 방향 포켓부열 영역(161x)에 있어서는, 단부 영역(101e)으로부터 중앙 영역(101c)을 향하여, 포켓부(16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거리가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절단 섬유부(171)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X)의 길이(D4)는, 단부 영역(101e), 중간 영역(101m) 및 중앙 영역(101c) 중 어느 곳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비절단 섬유부(171)가 차지하는 단위 면적당의 비율은, 단부 영역(101e) 쪽이 중앙 영역(101c)보다 적어진다.
다음으로, 도 13∼도 15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A)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교차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모부(151), 포켓부(161) 및 비절단 섬유부(171)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13에 있어서는 편의상, 접속부(131)가 생략된다. 또한, 도 14는 다수 섬유 기모부(152), 중간수 섬유 기모부(153) 및 소수 섬유 기모부(154)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각각의 길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부(220)에 청소체(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파지부(210)를 파지하고, 청소체(100)를 교차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Y)에 있어서, 다수 섬유 기모부(152)의 길이(152y)는, 중간수 섬유 기모부(153)의 길이(153y) 및 소수 섬유 기모부(154)의 길이(154y)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모부(151)는, 단부 영역(101e)의 기모부(15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52y)가, 중앙 영역(101c)의 기모부(15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54y)보다 길게 형성된 길이 방향 장거리 기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중앙 영역(101c)의 기모부(151)는, 길이 방향 단거리 기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141)는, 단부 영역(101e)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42y)가, 중앙 영역(101c)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44y)보다 길게 형성된 길이 방향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중앙 영역(101c)의 절단부(141)는, 길이 방향 단거리 절단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 중간 영역(101m)의 절단부(14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43y)는, 길이(142y)보다 짧고, 길이(144y)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포켓부(161)는, 단부 영역(101e)의 포켓부(16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62y)가, 중앙 영역(101c)의 포켓부(16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64y)보다 길게 형성된 길이 방향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중앙 영역(101c)의 포켓부(161)는, 길이 방향 단거리 포켓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 중간 영역(101m)의 포켓부(16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길이(163y)는, 길이(162y)보다 짧고, 길이(164y)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청소 대상이 바닥인 경우, 상기 바닥에 존재하는 진개로서,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과 같은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갖는 것이나, 솜먼지, 빵가루와 같은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것이나, 규사와 같은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는 것이 존재한다.
청소 작업에 있어서는, 다수 섬유 기모부(152)가 맨 처음에 진개와 접촉하기 때문에, 다수 섬유 기모부(152)는, 전술한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갖는 진개나,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진개를 포착할 수 있다. 다수 섬유 기모부(152)에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중간수 섬유 기모부(153)에 의해 포착되고, 중간수 섬유 기모부(153)에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소수 섬유 기모부(154)에 의해 포착된다. 이러한 청소 과정을 거침으로써, 소수 섬유 기모부(154)는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는 진개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포켓부(16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장거리 포켓부(162)가 맨 처음에 진개와 접촉하기 때문에, 장거리 포켓부(162)는, 전술한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갖는 진개나,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진개를 수용할 수 있다. 장거리 포켓부(162)에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중거리 포켓부(163)에 수용되고, 중거리 포켓부(163)에 수용되지 않은 진개는, 단거리 포켓부(164)에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 용구(A)에 의하면, 상이한 연장 길이나 체적을 갖는 진개를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소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101c)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의 배치 비율이, 단부 영역(101e)보다 많아진다. 청소 작업 시에 있어서는 기모부(151)의 섬유체(121)가 접속 단부(151a)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한다. 이 때, 기모부(151)의 섬유체(121)가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과 청소 대상 사이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황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101c)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171y)과 청소 대상 사이에는, 단부 영역(101e)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섬유체(121)가 들어간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중앙 영역(101c)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단부 영역(101e)보다 긴 거리를 갖는 장거리 두께 영역(102z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부 영역(101e)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중앙 영역(101c)보다 짧은 거리를 갖는 단거리 두께 영역(102z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중간 영역(101m)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중거리 두께 영역(102z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부 영역(101e)으로부터 중앙 영역(101c)으로의 진개의 이동을 용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체(100)의 청소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체(100) 및 청소 용구(A)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에 관하여)
청소 용구(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의 일례이다. 유지구(2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구」의 일례이다. 청소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파지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일례이다. 헤드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의 일례이다. 유지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부」의 일례이다. 교차 방향(X)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의 일례이다. 길이 방향(Y)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의 일례이다. 단부(100X)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 상의 단부」의 일례이다. 기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일례이다. 섬유 요소(120)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요소」의 일례이다. 접속 요소(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요소」의 일례이다. 접속부(131)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의 일례이다. 섬유체(121)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체」의 일례이다. 절단부(141)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일례이다. 기모부(151)는 본 발명에 따른 「기모부」의 일례이다. 포켓부(161)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부」의 일례이다.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15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의 일례이다. 접속 단부(151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부」의 일례이다. 개방 단부(15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 단부」의 일례이다.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151y)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의 일례이다. 길이 방향 비절단부열 영역(171y)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의 일례이다. 단부 영역(101e)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영역」의 일례이다. 중앙 영역(101c)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영역」의 일례이다. 장거리 절단부(14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절단부」의 일례이다. 다수 섬유 기모부(15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섬유 기모부」의 일례이다. 장거리 포켓부(16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포켓부」의 일례이다. 단거리 절단부(144)는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절단부」의 일례이다. 소수 섬유 기모부(15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 섬유 기모부」의 일례이다. 단거리 포켓부(164)는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포켓부」의 일례이다.
이상의 발명의 취지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는, 하기의 양태가 구성 가능하다.
(양태 A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와,
포켓 요소
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와, 개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포켓 요소는, 상기 기모부와 상기 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포켓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포켓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포켓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포켓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2)
양태 A1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3)
양태 A1 또는 2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4)
양태 A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적게 형성된 소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5)
양태 A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6)
양태 A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7)
양태 A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포켓 요소가 형성되는 포켓 요소 형성 영역과, 포켓 요소 비형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8)
양태 A7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포켓 요소 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포켓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방향 포켓부열 영역을 가지고,
상기 포켓 요소 비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방향 비포켓부열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9)
양태 A8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2 방향 비포켓부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10)
양태 A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섬유 요소는 토우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11)
양태 A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가 열용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12)
양태 A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기부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A13)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장착되는 청소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청소 용구로서,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가 접촉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와,
포켓 요소
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와, 개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포켓 요소는, 상기 기모부와 상기 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포켓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포켓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포켓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포켓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양태 B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절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절단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절단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2)
양태 B1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3)
양태 B1 또는 2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4)
양태 B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적게 형성된 소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5)
양태 B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절단 요소가 형성되는 절단 요소 형성 영역과,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6)
양태 B5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절단 요소 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방향 절단부열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방향 비절단부열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7)
양태 B6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2 방향 비절단부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8)
양태 B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기모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와, 개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9)
양태 B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기모부와 상기 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포켓 요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0)
양태 B9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포켓 요소는 복수의 포켓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1)
양태 B10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2)
양태 B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3)
양태 B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섬유 요소는 토우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4)
양태 B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가 열용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5)
양태 B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기부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B16)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장착되는 청소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청소 용구로서,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가 접촉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절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절단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절단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양태 C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기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C2)
양태 C1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D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소정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쌍방과 교차하는 제3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사용자에 의해 청소 시트가 사용된 경우에,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제3 방향의 길이가 상기 단부 영역보다 길게 형성된 장거리 두께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양태 D2)
양태 D1에 기재된 청소 시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청소 시트가 사용된 경우에,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제3 방향의 길이가 상기 중앙 영역보다 짧게 형성된 단거리 두께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A: 청소 용구, D1: 길이, D2: 길이, D3: 길이, D4: 길이, X: 교차 방향(제1 방향), Y: 길이 방향(제2 방향), Z: 두께 방향, 100: 청소체(청소 시트), 100X: 단부(제1 방향 상의 단부), 100Y: 단부(제2 방향 상의 단부), 100yc: 중심선, 100Z1: 제1 면, 100Z2: 제2 면, 101e: 단부 영역, 101c: 중앙 영역, 101m: 중간 영역, 102z1: 단거리 두께 영역, 102z2: 중거리 두께 영역, 102z3: 장거리 두께 영역, 110: 기부, 120: 섬유 요소, 121: 섬유체, 130: 접속 요소, 131: 접속부, 140: 절단 요소, 141: 절단부, 141x: 교차 방향 절단부열 영역, 141y: 길이 방향 절단부열 영역, 142: 장거리 절단부, 142y: 길이, 143: 중거리 절단부, 143y: 길이, 144: 단거리 절단부, 144y: 길이, 146: 절단 요소 비형성 영역, 150: 기모 요소, 151: 기모부, 151a: 접속 단부, 151b: 개방 단부, 151x: 교차 방향 기모부열 영역(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 151y: 길이 방향 기모부열 영역, 152: 다수 섬유 기모부, 152y: 길이, 153: 중간수 섬유 기모부, 153y: 길이, 154: 소수 섬유 기모부, 154y: 길이, 156: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 160: 포켓 요소, 161: 포켓부, 161x: 교차 방향 포켓부열 영역, 161y: 길이 방향 포켓부열 영역, 162: 장거리 포켓부, 162y: 길이, 163: 중거리 포켓부, 163y: 길이, 164: 단거리 포켓부, 164y: 길이, 166: 포켓 요소 비형성 영역, 170: 비절단 섬유 요소, 171: 비절단 섬유부, 171x: 교차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 171y: 길이 방향 비절단 섬유부열 영역, 180: 측방 시트부, 200: 유지구, 210: 파지부, 220: 헤드부, 220Z1: 제1 헤드면, 220Z2: 제2 헤드면, 230: 유지부, 240: 접촉부, 250: 파이프부, 260: 연결부

Claims (16)

  1. 유지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되는 청소 시트로서,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기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적게 형성된 소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절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와, 개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 요소가 형성되는 기모 요소 형성 영역과,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 요소 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기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가지고,
    상기 기모 요소 비형성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방향 비기모부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부와 상기 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포켓 요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요소는 복수의 포켓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단거리 포켓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요소는 토우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가 열용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기부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트.
  16.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장착되는 청소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청소 용구로서,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가 접촉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사용자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청소 시트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에 걸쳐 연장되며,
    기부와,
    섬유 요소와,
    상기 기부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접속하는 접속 요소와,
    상기 섬유 요소를 절단하는 절단 요소와,
    상기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된 섬유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기모 요소를 가지고,
    상기 섬유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절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모 요소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섬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기모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기모부가 연속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청소 시트는 추가로,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 기모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의 상기 기모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기모부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체의 수가 많게 형성된 다수 섬유 기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KR1020177035091A 2015-05-08 2015-05-12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KR102329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5750 2015-05-08
JP2015095750A JP5763283B1 (ja) 2015-05-08 2015-05-08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PCT/JP2015/063684 WO2016181514A1 (ja) 2015-05-08 2015-05-12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227A true KR20180004227A (ko) 2018-01-10
KR102329714B1 KR102329714B1 (ko) 2021-11-22

Family

ID=5388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091A KR102329714B1 (ko) 2015-05-08 2015-05-12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63283B1 (ko)
KR (1) KR102329714B1 (ko)
CN (1) CN107529931B (ko)
WO (1) WO201618151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70A (ja) 1999-03-04 2000-09-12 Uni Charm Corp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96084A (ja) * 1999-04-13 2000-10-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5999A (ja) * 2009-12-28 2011-07-14 Kao Corp 清掃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4109B2 (ja) * 1997-11-07 2004-07-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粘弾性の粘着材を利用した清掃用シート
TW394679B (en) * 1997-12-16 2000-06-21 Uni Charm Corp Cleaning art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100578B2 (ja) * 1997-12-16 2000-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6807702B2 (en) * 1999-11-12 2004-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system and apparatus
JP2008272147A (ja) * 2007-04-27 2008-11-13 Kao Corp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235501B2 (ja) * 2007-05-28 2013-07-1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AU2009292531B2 (en) * 2008-09-09 2012-11-08 Kikuo Yamada Cleaning sheet
JP6300483B2 (ja) * 2013-09-30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70A (ja) 1999-03-04 2000-09-12 Uni Charm Corp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96084A (ja) * 1999-04-13 2000-10-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5999A (ja) * 2009-12-28 2011-07-14 Kao Corp 清掃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9931A (zh) 2018-01-02
CN107529931B (zh) 2020-02-18
WO2016181514A1 (ja) 2016-11-17
KR102329714B1 (ko) 2021-11-22
JP2016209302A (ja) 2016-12-15
JP5763283B1 (ja)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525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597880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869984B2 (ja) 清掃用具
KR102175025B1 (ko) 청소구
JP5171348B2 (ja) 清掃用具、清掃体
JP2008253286A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823105B2 (ja) 清掃用具及び清掃体
JP5436042B2 (ja)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KR102104694B1 (ko) 청소구
JP2014168653A5 (ko)
WO2007139166A1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6488190B2 (ja)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KR20180004227A (ko) 청소 시트 및 청소 용구
JP6473384B2 (ja)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JP5503640B2 (ja) 清掃用具、清掃体
CN206275675U (zh) 一种改进结构的尘掸头
WO2010114072A1 (ja) 清掃用具、清掃体
JP6208949B2 (ja) 清掃具
JP6126398B2 (ja) 清掃具
JP6239828B2 (ja) 清掃具
JP6126397B2 (ja) 清掃具
JP6126399B2 (ja)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