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08A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08A
KR20180003808A KR1020160083401A KR20160083401A KR20180003808A KR 20180003808 A KR20180003808 A KR 20180003808A KR 1020160083401 A KR1020160083401 A KR 1020160083401A KR 20160083401 A KR20160083401 A KR 20160083401A KR 20180003808 A KR20180003808 A KR 2018000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pool
rod
valv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176B1 (ko
Inventor
김영근
강훈철
손솔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08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 F16K11/161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력 또는 아마추어의 스트로크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하지 않고도 토출 유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중심 내경을 갖는 축심공이 축심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에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유체의 유입, 배출, 회수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포트를 갖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축심공의 일측의 밸브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인 유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압력 작용면을 갖는 스풀; 상기 스풀을 상기 밸브챔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을 상기 압력 작용면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축심공의 타측의 로드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및 상기 스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자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또는 유체를 처리하는 장치에서 자로부의 크기 증대 없이 상대적으로 큰 유량을 간접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유체 시스템 또는 자동제어 변속기 등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체 장치 또는 유체 시스템의 경량화 및 제조 원가절감을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연구로 개발되어 왔다.
예컨대,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을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속기에 사용된다. 여기서, 변속기는 변속과정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동제어 변속기와, 일정한 패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제어 변속기로 나뉜다.
이 중에서 자동제어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작동기구, 유성기어장치, 유압제어기구,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제어기구에는 자동 변속기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밸브 기구가 마련되고, 압력조절용 밸브 기구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한편, 종래 기술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차에서 연료증발 가스의 대기 방출을 억제하기 위한 범용 퍼지 콘트롤 제어를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 내부 구조에 따라 스풀 타입 밸브(Spool Type Valve), 볼 타입 밸브(Ball Type Valve), 포핏 타입(Poppet Type Valve) 등이 있다.
각종 타입의 형태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기본적으로 밸브 전원이 인가시, 솔레노이드 자기장에 의하여 작동하는 아마추어를 통하여 밸브개폐를 직접제어함으로써, 밸브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입력포트, 제어포트를 갖는 플랜지와, 밸브를 자로부의 아마추어로 직접 밀거나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듯이 밸브 개폐를 수행하는 스풀을 포함한다, 즉 종래 기술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마추어와, 아마추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 자기장 또는 자기력을 형성시키는 자로부, 및 자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성품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토출 유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어, 즉 대유량 제어를 하기 위해서 자기력을 증대시켜야 하고, 그 결과 자로부의 크기 및 중량이 증대되어 경량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토출 유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유체 통로 또는 포트 직경이 커져야 하고,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포트 직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아마추어의 스트로크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계해야 하므로, 밸브 전체 크기뿐만 아니라 밸브 길이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기술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의 스트로크와 아마추어의 스트로크가 동일하므로, 그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유량으로 세팅되어 있으므로, 토출 유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스풀 및 아마추어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서 그 스트로크에 대응하게 자기력도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로부의 아마추어 및 로드에 의해 제어된 유압을 이용하여 스풀을 이동시켜서 밸브의 개폐를 간접제어함으로써, 자기력 또는 아마추어의 스트로크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하지 않고도 토출 유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서로 다른 크기의 중심 내경을 갖는 축심공이 축심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에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유체의 유입, 배출, 회수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포트를 갖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축심공의 일측의 밸브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인 유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압력 작용면을 갖는 스풀; 상기 스풀을 상기 밸브챔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을 상기 압력 작용면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축심공의 타측의 로드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및 상기 스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자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로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 또는 코킹에 의한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턱의 반대쪽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정지턱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턱에 지지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플랜지의 상기 축심공과 동일한 방향의 중심공이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자기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기 중심공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저면과 밀착되어 있는 아마추어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판은, 상기 코어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마감판의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바닥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부; 상기 판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돌기부; 및 상기 정지턱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판부의 외측면과 상기 판부의 저면 사이의 코너 위치에서 상기 판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마감판의 상기 돌기부에 국부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아마추어의 저부에 형성된 반구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드는, 상기 플랜지의 로드챔버의 내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아마추어의 상면에 접촉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드챔버에 대응한 직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로드챔버에 삽입되는 솔리드 샤프트부;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 샤프트부; 상기 중공 샤프트부와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경계 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회수통로부; 및 상기 제 1 회수통로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 샤프트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수통로부와 서로 관통하게 연결된 제 2 회수통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풀은, 상기 플랜지의 상기 밸브챔버에 대응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작용면이 형성된 스풀 저부; 상기 스풀 저부의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풀 측벽부; 상기 플랜지의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스풀 측벽부에 형성된 밸브공; 및 상기 스풀 측벽부의 끝단 외측 코너에 형성되며, 상기 스풀 측벽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지지턱을 포함한다.
상기 스풀은, 상기 유압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지지턱에 끼워지는 제 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로드의 상기 베이스판부를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플랜지 하단부;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자로부의 상기 케이스의 고정턱에 의해 압착되는 플랜지 테두리부; 상기 플랜지 테두리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플랜지 몸체부; 상기 로드의 제 2 회수통로부 및 제 1 회수통로부의 유체를 밸브 밖으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축심공의 상기 로드챔버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된 제 3 포트; 상기 축심공의 상기 밸브챔버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된 제 1 포트; 및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되어서, 로드의 상부 끝단과 스풀의 저면 사이의 이격공간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로드에 삽입되는 제 2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반대쪽의 플랜지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스풀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의 내부에서 스풀과 로드 사이의 이격공간부 쪽으로 유체 일부가 유입되도록 간접제어를 수행하되, 유입된 유체의 압력인 유압에 의해 스풀이 이동되어서, 밸브 개방이 이루어지고, 밸브에 작동 전원을 인가시, 상기 유체 일부의 유입이 차단됨에 따라, 제 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스풀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밸브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자기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면서도 토출 유량이 큰 대유량 밸브 제품으로 적합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자기력 또는 아마추어의 스트로크 등과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 설계 인자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대형 자로부를 필요하지 않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의 크기와 무관하게 대유량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동일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크기 또는 아마추어 스트로크 대비, 스풀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결과적으로 자기력 증대 없이도 토출 유량을 증대, 즉 대유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 장치 또는 유체 시스템도 역시 기존의 대유량 제어 제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량화될 수 있고, 제조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유량 제어를 간접제어 방식을 통해 효율적 수행함으로써, 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상응하는 전기 사용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 내부에서 밸브 개폐 기능을 하는 스풀과, 자로부의 아마추어에 의해 이동되는 로드를 구비하되, 이때 스풀과 로드가 직접 접촉되어 있지 않고, 스풀과 로드의 사이에 유체가 존재함으로써, 스풀의 작동에 따른 충격력이 직접적으로 로드에 전달되지 않고 플랜지에 흡수되어서, 자로부의 아마추어에 접촉된 로드를 충격 응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의 확대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스풀은 밸브의 개폐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품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자로부는 미 도시되어 있지만 커넥터를 더 구비하여 제어부(예: 차량의 ECU 등)에 접속되고, 제어부에 의한 밸브 개폐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 기술의 직접제어는 자로부의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 로드 및 스풀이 이동되어 직접적으로 밸브가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접제어와 차별화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간접제어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처의 유체 제어라인에 설치된 후, 유체 제어라인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일부의 유압이 플랜지의 내부에서 스풀과 로드 사이의 이격공간부 쪽으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되도록, 자로부의 자기력으로 아마추어 및 로드만을 이동 제어함으로써, 밸브 개폐에 관여하는 스풀의 이동 또는 정지됨으로써, 피동적 또는 간접적으로 밸브의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평상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밸브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자로부에 자기력이 형성될 경우 밸브 개방 상태에서 밸브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밸브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 시스템의 유체 제어라인(1,2)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체 제어라인(1,2)은 솔레노이드 밸브쪽으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 1 제어라인(1)과,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 유체 시스템의 유체 사용처 쪽으로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 2 제어라인(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1 제어라인(1)과 제 2 제어라인(2)의 경계 지점, 즉 밸브 설치 부위에 결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 가능한 본 실시예는 플랜지(100), 스풀(200), 로드(300), 자로부(400), 복수개의 탄성체(500,600), 지지판(700), 여과망(800) 및 실링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0)는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 2 제어라인(2)에 삽입 또는 설치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샤프트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플랜지(1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중심 내경을 갖는 축심공(110)이 축심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110)에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유체의 유입, 배출, 회수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포트(120,130,140)를 갖는 밸브 구성품이다.
또한, 포트(120,130,140)는 제 2 제어라인(2)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대부분이 밸브 개방 또는 밸브 폐쇄를 위하여 유동되도록 스풀(200)의 측면 상부 외측에 접하는 플랜지(100)의 제 1 홈(101)의 상측원주면에 형성된 제 1 포트(120)와, 스풀(200)을 간접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스풀(200)의 저부 아래쪽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00)의 제 1 홈(101)의 하측원주면에 형성된 제 2 포트(130)와, 스풀(200)의 간접제어에 사용된 유체의 일부를 회수시키도록 제 2 포트(130)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플랜지(100)의 제 2 홈(102)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포트(140)일 수 있다. 제 1 홈(101) 또는 제 2 홈(102)는 플랜지(10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랜지(100)의 축심공(11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것으로서, 플랜지 하단부(113)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관통하게 각각 연장된 로드챔버(112), 이격공간부(116), 밸브챔버(111) 및 플랜지 상단부(114)의 내부 공간을 통칭할 수 있다.
스풀(200)은 플랜지(100)에 결합되어 밸브 개폐 기능을 담당한다.
예컨대, 스풀(200)은 플랜지(100)의 축심공(110)의 일측(예: 축심공 상부)의 밸브챔버(111)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압력 작용면(210)을 갖는다.
로드(300)는 스풀(200)을 밸브챔버(111)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상기 압력 작용면(210)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축심공(110)의 타측(예: 축심공 하부)의 로드챔버(112)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로부(400)는 스풀(200)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300)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복수개의 탄성체(500,600)는 코일형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 형태의 제 1 탄성체(500) 또는 제 2 탄성체(600)를 지칭한다.
제 1 탄성체(500)는 압축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스풀(200)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고, 압축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으로 스풀(20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2 탄성체(600)도 역시 압축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로드(300)의 이동에 따라 역시 압축되고, 압축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으로 로드(30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2 탄성체(600)는 플랜지(100)의 구성품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2 탄성체(600)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플랜지 하단부(113)의 내부 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로드(300)에 삽입되어서, 로드(300)의 솔리드 샤프트부(320)의 외주면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탄성체(500)는 스풀(200)을 하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700)의 저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700)은 링형 판부재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지지판(700)은 플랜지(100)에서 플랜지 하단부(113)의 반대쪽의 플랜지 상단부(114)에 결합된다. 예컨대, 지지판(700)의 결합에 따르면, 지지판(700)은 홈 형태의 플랜지 상단부(114)에 삽입되고, 이후 지지판(700)의 외주부는 억지끼움, 용접, 나사 결합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부재간 고정 방식을 이용하여 플랜지 상단부(114)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탄성체(500)의 상단부는 지지판(700)의 저면에 접촉하고, 제 2 탄성체(500)의 하단부는 스풀(200)의 지지턱(232)에 접촉한다.
이런 지지판(70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 스풀(20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체(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지판(700)의 중심 위치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서 스풀(200)의 내부의 유체를 도 1에 도시된 제 2 제어라인(2) 쪽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7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710)는 밸브챔버(111)의 위쪽의 유체 출구와 서로 관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과망(800)은 매쉬(mesh) 부재 또는 다공성 여과 부재와 같은 필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플랜지(100)의 제 1 홈(101)을 감싸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여과망(800)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제어라인(1)의 유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제 2 제어라인(2)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여과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실링 부재(900)는 플랜지(100)와 밸브 설치 부위와의 기밀 유지를 위해서 오링(O-ring), 실(seal), 기밀을 위해 부가되는 부품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실링 부재(900)는 플랜지(100)의 제 3 홈(103)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 3 홈(103)은 앞서 설명한 플랜지(100)의 제 2 홈(102)와, 플랜지(100)를 자로부(400)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테두리부(115)의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보이듯이, 자로부(400)는 플랜지(100)와 상호 결합 또는 고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스(410)를 포함한다.
자로부(400)의 케이스(4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 몸체를 갖는다. 케이스(410)의 고정턱(411)은 절곡 또는 코킹을 통해서 케이스(410)의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턱(411)은 케이스(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고정턱(411)의 반대쪽으로 케이스(410)의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는 정지턱(412)이 형성되어 있다. 정지턱(412)은 케이스(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때 정지턱(41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자로부(400)는 마감판(420), 코어(430), 코일(440) 및 아마추어(450)를 포함한다.
마감판(420)은 케이스(410)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410)의 상기 정지턱(412)에 지지된다. 여기서, 마감판(420)은 안착부(421), 판부(422), 돌기부(423) 및 경사면(424)를 포함한다.
마감판(420)의 안착부(421)는 코어(43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마감판(420)의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마감판(420)의 판부(422)는 안착부(421)의 외측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410)의 내주면의 단턱부(413)에 삽입 또는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421)의 바닥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마감판(420)의 돌기부(423)는 판부(42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안착부(421)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마추어(4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마감판(420)의 돌기부(423)는 마감판(420)의 판부(4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바닥 두께를 갖고 판부(422)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안착부(421)의 중심에서 상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안착부(421)는 판부(42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판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마감판(420)의 돌기부(423)는 아마추어(450)에 대하여 최소한의 접촉을 이루면서, 아마추어(450)를 탄성 지지 역할 또는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감판(420)의 경사면(424)은 판부(422)의 외측면과 상기 판부(422)의 저면 사이의 코너 위치에서 판부(4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케이스(410)의 정지턱(412)에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마감판(420)은 경사면(424), 정지턱(412) 및 단턱부(413)를 이용하여 케이스(4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코어(430)는 마감판(420)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끼워지며, 플랜지(100)의 축심공(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공(431)을 갖는다.
코일(440)은 중심공(431)의 원통 외벽에 해당하는 코어(4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코일(440)은 미 도시된 커넥터를 통해 작동 전원 또는 동작 제어 신호를 공급받아서,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자기력 제어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마추어(450)는 코일(450)의 자기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어(430)의 상기 중심공(4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로드(300)의 저면과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아마추어(450)는 마감판(420)의 돌기부(423)에 국부적으로 접촉하도록, 아마추어(450)의 저부에 형성된 반구면부(451)를 더 포함한다. 반구면부(451)은 돌기부(423)와 점접촉을 통해 접촉 면적을 축소시키고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로드(300)는 아마추어(450)와 접촉하며, 아마추어(450)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아마추어(450)에 의해 이동(예: 상승)되거나, 아마추어(450)의 전달된 자기력이 제거거나 혹은 상기 이동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될 경우, 제 2 탄성체(60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로드(300)는 베이스판부(310), 솔리드 샤프트부(320), 중공 샤프트부(330), 제 1 회수통로부(340) 및 제 2 회수통로부(350)를 포함한다.
로드(300)의 베이스판부(310)는 플랜지(100)의 로드챔버(112)의 내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아마추어(45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베이스판부(310)의 저면은 아마추어(450)의 상면에 접촉한다. 또한, 베이스판부(310)의 테두리 상면은 제 2 탄성테(600)에 접촉된다.
로드(300)의 솔리드 샤프트부(320)는 베이스판부(310)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드챔버(112)에 대응한 직경, 예컨대 로드챔버(112)에 삽입되고 로드챔버(112)를 따라 기밀하게 이동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있다.
로드(300)의 중공 샤프트부(330)는 솔리드 샤프트부(320)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중공 샤프트부(330)의 외경은 솔리드 샤프트부(3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런 중공 샤프트부(33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로드(300)의 제 1 회수통로부(340)는 중공 샤프트부(330)와 솔리드 샤프트부(320)의 경계 위치에서 상기 로드(300)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드(3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제 1 회수통로부(340)는 플랜지(100)의 제 3 포트(140)에 일치되어 제 1 회수통로부(340)의 유체가 제 3 포트(140)를 통해서,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회수라인(3)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회수라인(3)에는 체크변(미 도시)이 더 구비되어서, 체크변에 의해 유체가 제 3 포트(140)에서 회수라인(3) 쪽으로 유동 또는 회수될 뿐, 유체의 역방향 유동, 즉 회수라인(3)에 제 3 포트(140) 쪽으로의 역류가 방지될 수도 있다.
특히, 제 1 회수통로부(340)의 통로 수평 길이는 솔리드 샤프트부(3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즉, 솔리드 샤프트부(320)와 중공 샤프트부(330)의 경계에는 유체 회수 유동을 증대시키기 위한 로드 홈부(341)가 더 형성되어 있다. 로드 홈부(341)의 중심과 제 3 포트(14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체가 제 1 회수통로부(340)의 유체가 제 3 포트(140) 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로드 홈부(341)은 가이드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로드(300)의 제 2 회수통로부(350)는 제 1 회수통로부(340)의 연장 방향(예: 로드 지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 샤프트부(330)의 중심에 형성된다. 이런 제 2 회수통로부(350)는 제 1 회수통로부(340)와 서로 관통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로드(300)의 하향 이동시 제 1 회수통로부(340)와 플랜지(100)의 제 3 포트(140)가 서로 관통할 수 있으므로, 스풀(200)과 로드(300) 사이에 위치한 유체는 스풀(200)의 하향 이동에 따라서, 로드(300)의 제 2 회수통로부(350), 제 1 회수통로부(340), 제 3 포트(140)를 경유하여 상기 회수라인(3)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스풀(200)은 플랜지(100)의 밸브챔버(111)에 삽입되어 있고, 이때, 밸브챔버(111)의 바닥면(111a)은 스풀(200)의 압력 작용면(210)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이 가능한 이유는 도 2 또는 도 3을 병행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밸브챔버(111)의 바닥면(111a)과 스풀(200)의 압력 작용면(210)이 서로 평행하게 대면 또는 기밀하게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밸브챔버(111)는 밸브챔버(111)의 바닥면(111a)의 테두리에 형성된 캐비티(111b)를 더 포함한다. 캐비티(111b)는 바닥면(111a)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캐비티(111b)로 인하여, 밸브챔버(111)의 바닥면(111a)과 밸브챔버 내측면(111c)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이런 스풀(200)은 플랜지(100)의 밸브챔버(111)에 대응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작용면(210)에 해당하는 스풀 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풀 저부는 압력 작용면(210) 또는 압력 작용면(210)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풀(200)은 스풀 저부의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풀 측벽부(230)와, 플랜지(100)의 포트(120,130,140) 중 제 1 포트(1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스풀 측벽부(230)에 형성된 다수의 밸브공(231)을 포함한다. 밸브공(231)은 스풀 측벽부(2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된다. 스풀 측벽부(230)의 내측에는 상향으로 개구된 중공부(220)가 형성된다.
스풀 측벽부(230)에서 각 밸브공(231)의 형성 위치는, 간접제어 방식에 따른 유압에 의해 스풀(200)이 밸브 개방 위치 쪽으로 상승하였을 때, 플랜지(100)의 제 1 포트(120)에 서로 관통하게 되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스풀(200)은 스풀 측벽부(230)의 끝단(예: 상단) 외측 코너에 형성되며, 스풀 측벽부(23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지지턱(232)을 포함한다. 지지턱(232)은 앞서 언급한 제 1 탄성체(500)의 안착 위치가 된다. 제 1 탄성체(500)는 지지턱(232)을 통해 스풀(200)의 복귀에 필요한 탄성력을 스풀(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스풀(200)은 플랜지(100)의 내부에서 스풀(200)과 로드(300) 사이의 이격공간부(116) 쪽으로 유입된 유압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밸브 개방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이격공간부(116) 쪽으로 유입된 유압이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 및 스풀(200)의 중력보다 클 경우, 스풀(200)은 상향으로 이동(예: 밸브 개방)될 것이다.
반대로, 스풀(200)은 지지턱(232)에 끼워지는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밸브 폐쇄를 만든다. 예컨대, 로드(300) 및 자로부(400)의 간접제어에 의해서 이격공간부(116)의 유체가 로드(300)의 제 2 회수통로부(350), 제 1 회수통로부(340), 제 3 포트(140)를 경유하여 상기 회수라인(3) 쪽으로 빠져나가듯이 유동될 경우에는, 이격공간부(116)의 유압이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그 결과 스풀(200)은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인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밸브 폐쇄를 만들게 된다.
위에 설명한 유체 유동을 위한 스풀(200)과 로드(300)의 결합을 위해서, 플랜지(100)는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랜지(100)의 제 1 홈(101)의 위치, 또는 제 1 홈(101)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제 1 포트(120) 및 제 2 포트(130)는 제 1 제어라인(1)으로부터 유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포트(120)는 단수 또는 복수(예: 도 3에서는 복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포트(120)는 스풀(200)의 외측면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각각 제 2 포트(130)의 직경(d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d1)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체의 메인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밸브 개방이 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d1)이 개방될 수 있을 만큼 스풀 이동에 대응한 제 1 스트로크가 요구된다. 제 1 스트로크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실제로 자로부의 아마추어 또는 아마추어에 연결된 로드에 대응한 제 2 스트로크는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d2)에 비례하여 상기 제 1 스트로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전원을 사용하는 자로부에 의해 제 2 스트로크만큼 아마추어 및 로드를 이동시킴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 2 스트로크보다 더 크게 스풀을 제 1 스트로크만큼 이동시켜서 대융량의 유체를 유동 또는 토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포트(130)는 단수 또는 복수(예: 도 3에서는 단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포트(130)는 스풀(200)의 저면쪽, 즉 압력 작용면 쪽의 축심공(110)의 밸브챔버(111)와 로드챔버(112) 사이에 위치한 이격공간부(116)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 2 포트(130)는 제 1 포트(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d2)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체의 서브 경로로 사용된다. 즉, 제 2 포트(130)는 유체의 일부를 제 1 제어라인(1)으로부터 공급받아서, 이격공간부(116) 쪽으로 공급하고, 그 결과 이격공간부(116)에 도달한 유압이 밸브챔버(111) 내의 스풀(200)의 압력 작용면(210) 쪽으로 인가되어, 스풀(20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밸브챔버(111)의 위쪽에는 유체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홈(102)의 위치, 즉 제 2 홈(102)에 형성된 제 3 포트(140)는 회수라인(3) 쪽으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3 포트(140)는 단수 또는 복수(예: 도 3에서는 단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포트(140)는 회수라인(3)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되, 적어도 제 2 포트(130)의 직경(d2)보다는 크고 제 1 포트(120)의 직경(d1)보다는 작은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100)는 축심공(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플랜지 테두리부(115)의 저면보다 더 돌출된 튜브 형상의 플랜지 하단부(113)를 갖는다.
여기서, 플랜지 하단부(113)는 앞서 언급한 자로부(400)의 중심공(431)(도 2 참조)에 삽입된다. 플랜지 하단부(113)의 외경은 상기 중심공(431)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플랜지 하단부(113)의 내경(d4)은 플랜지(100)의 축심공(110)의 내경(d5)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제 2 탄성체(6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플랜지 하단부(11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00)의 플랜지 상단부(114)는 밸브챔버(111)의 내경(d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d7)을 구비한다. 플랜지 상단부(114)에는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지지판(700)이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는 단차형 안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100)는 로드(300)의 베이스판부(310)를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플랜지 하단부(113)와, 상기 플랜지 하단부(113)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단부(113)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자로부(400)의 케이스(410)의 고정턱(411)에 의해 압착되는 플랜지 테두리부(115)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100)는 플랜지 테두리부(115)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테두리부(115)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몸체 외경(예: 도 1에 도시된 제 2 제어라인(2)에 기밀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축심공(110)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플랜지 몸체부(117)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100)는 로드(300)의 제 2 회수통로부(350) 및 제 1 회수통로부(340)의 유체를 밸브 밖으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제 2 포트(130)의 아래쪽 위치를 기준으로, 축심공(110)의 로드챔버(112)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117)에 형성되고, 플랜지(100)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포트(140)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100)는 축심공(110)의 밸브챔버(111)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117)에 형성되고, 플랜지(100)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포트(120)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100)는 제 1 포트(120)와 제 3 포트(140)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 몸체부(117)에 형성되고, 플랜지(100)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드(300)의 상부 끝단과 스풀(200)의 저면 사이의 이격공간부(116)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포트(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관련 도면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시스템의 유체 제어라인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
스풀(200)은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100)의 밸브챔버 하부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때, 스풀(200)의 외측면은 제 1 포트(120)를 폐쇄시킨다.
또한, 로드(300) 및 아마추어(450)는 자로부(400)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가 인가되기 전 상태로서, 제 2 탄성체(600)에 의해 하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강 위치의 로드(300)는 제 2 포트(130)를 개방시키는 대신 제 3 포트(140)를 폐쇄시키고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초기 유압이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 시, 유체는 여과망(800)을 통하여 제 1 포트(120) 및 제 2 포트(130) 쪽으로 유입된다.
제 1 포트(120)는 스풀(20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제 2 포트(130)는 로드(300)의 상단(예: 솔리드 샤프트부의 끝단) 위쪽의 이격공간부(116)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제 3 포트(140)는 로드(300)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유체의 일부는 개방된 제 2 포트(130), 이격공간부(116), 제 1 회수통로부(340) 및 제 2 회수통로부(350) 쪽으로 유입되지만, 제 3 포트(140)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유압의 압력 작용은 위쪽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유압은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스풀(200)을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예: 상승)시킨다. 물론 스풀(200)을 통해 전달된 유압의 상승력은 제 1 탄성체(500)를 압축시킨다.
이러한 스풀(200)의 이동(유량 공급 제어 및 전원 오프)에 의하여, 제 1 포트(120) 및 제 2 포트(130)의 개방(예: 밸브 개방)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유체가 제 1 포트(120), 스풀(200)의 밸브공(231) 및 밸브챔버(111)의 위쪽의 유체 출구를 통해 유동 또는 토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미 도시된 제어부의 밸브 폐쇄 제어 신호에 의해서 자로부(400)에는 자기력이 형성된다. 이는 스풀(200)의 원래 위치로의 복귀(유량 차단 제어 및 전원 온)로서 밸브 폐쇄를 의미한다.
즉,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450) 및 로드(300)는 제 2 탄성체(600)를 압축시키면서 상승 위치로 이동된다. 상승 위치의 로드(300)는 제 2 포트(130)를 폐쇄시키는 대신 밸브챔버(111), 제 2 회수통로부(350), 제 1 회수통로부(340) 및 제 3 포트(140)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개방시킨다. 밸브챔버(111) 내에 스풀(200)을 지탱하고 있던 유체는 제 2 회수통로부(350), 제 1 회수통로부(340) 및 제 3 포트(140)를 경유하여 회수되기 때문에 유압이 제 1 탄성력(5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풀(200)이 원위치로 복귀(예: 하강)하고, 스풀(200)에 의해 제 1 포트(120)가 폐쇄됨으로써, 밸브챔버(111)의 유체 출구를 통한 유량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미 도시된 제어부에서 다시 밸브 개방 제어(유량 공급 제어 및 전원 오프 상태)가 될 경우, 본 실시예는 도 7의 로드(30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의 원위치로 복귀되기 되기 때문에 자로부(400)에서 전력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효율적으로 대유량의 유체가 사용처인 유체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플랜지 200: 스풀
300: 로드 400: 자로부
450: 아마추어 500: 제 1 탄성체
600: 제 2 탄성체 700: 지지판
800: 여과망 900: 실링 부재

Claims (10)

  1. 서로 다른 크기의 중심 내경을 갖는 축심공이 축심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에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유체의 유입, 배출, 회수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포트를 갖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축심공의 일측의 밸브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인 유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압력 작용면을 갖는 스풀;
    상기 스풀을 상기 밸브챔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을 상기 압력 작용면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축심공의 타측의 로드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및
    상기 스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자로부를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로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 또는 코킹에 의한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턱의 반대쪽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정지턱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턱에 지지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플랜지의 상기 축심공과 동일한 방향의 중심공이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자기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기 중심공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저면과 밀착되어 있는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상기 코어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마감판의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바닥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부;
    상기 판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돌기부; 및
    상기 정지턱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판부의 외측면과 상기 판부의 저면 사이의 코너 위치에서 상기 판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마감판의 상기 돌기부에 국부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아마추어의 저부에 형성된 반구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플랜지의 로드챔버의 내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아마추어의 상면에 접촉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드챔버에 대응한 직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로드챔버에 삽입되는 솔리드 샤프트부;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 샤프트부;
    상기 중공 샤프트부와 상기 솔리드 샤프트부의 경계 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회수통로부; 및
    상기 제 1 회수통로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 샤프트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수통로부와 서로 관통하게 연결된 제 2 회수통로부를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플랜지의 상기 밸브챔버에 대응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작용면이 형성된 스풀 저부;
    상기 스풀 저부의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풀 측벽부;
    상기 플랜지의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스풀 측벽부에 형성된 밸브공; 및
    상기 스풀 측벽부의 끝단 외측 코너에 형성되며, 상기 스풀 측벽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유압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지지턱에 끼워지는 제 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로드의 상기 베이스판부를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플랜지 하단부;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자로부의 상기 케이스의 고정턱에 의해 압착되는 플랜지 테두리부;
    상기 플랜지 테두리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심공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플랜지 몸체부;
    상기 로드의 제 2 회수통로부 및 제 1 회수통로부의 유체를 밸브 밖으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축심공의 상기 로드챔버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된 제 3 포트;
    상기 축심공의 상기 밸브챔버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된 제 1 포트; 및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 몸체부에 형성되어서, 로드의 상부 끝단과 스풀의 저면 사이의 이격공간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포트를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로드에 삽입되는 제 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하단부의 반대쪽의 플랜지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스풀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60083401A 2016-07-01 2016-07-01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4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01A KR101847176B1 (ko) 2016-07-01 2016-07-01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01A KR101847176B1 (ko) 2016-07-01 2016-07-01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08A true KR20180003808A (ko) 2018-01-10
KR101847176B1 KR101847176B1 (ko) 2018-04-09

Family

ID=6099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401A KR101847176B1 (ko) 2016-07-01 2016-07-01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3560A (zh) * 2018-05-15 2018-08-24 江苏惠民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带缓冲功能的电磁阀
CN108953740A (zh) * 2018-08-08 2018-12-07 厦门坤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
CN109780270A (zh) * 2019-04-08 2019-05-21 南京纳摩尔仪器有限公司 一种电磁选择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09A (ko) 2021-04-15 2022-10-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방폭 구조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747B2 (ja) * 1995-05-01 2001-04-25 株式会社ケーヒン ソレノイド弁
JP2012151300A (ja) * 2011-01-19 2012-08-09 Kawasaki Heavy Ind Ltd 油浸型ソレノイ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3560A (zh) * 2018-05-15 2018-08-24 江苏惠民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带缓冲功能的电磁阀
CN108953740A (zh) * 2018-08-08 2018-12-07 厦门坤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
CN108953740B (zh) * 2018-08-08 2024-04-12 厦门坤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
CN109780270A (zh) * 2019-04-08 2019-05-21 南京纳摩尔仪器有限公司 一种电磁选择阀
CN109780270B (zh) * 2019-04-08 2023-12-19 南京纳摩尔仪器有限公司 一种电磁选择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76B1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7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6328461B2 (ja) ソレノイド
JP6333086B2 (ja) 三方電磁弁
JP6031115B2 (ja) オイルポンプコントロールバルブ
CA2459088A1 (en) Leak-resistant solenoid valve
KR101930466B1 (ko)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EP1818749A1 (en) Valve device for high-pressure gas
KR10118817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02517696A (ja) 二重安全電磁弁
US7793912B2 (en) Fluid pressure actuated poppet valve
CA2956781C (en) Oil pump control valve
KR101238320B1 (ko) 솔레노이드 펌프
CN106763990B (zh) 电磁阀
EP2910874A1 (en) Pilot operated electromagnetic valve
CN102292581A (zh) 带有固有的粘性阻尼作用的、开放端可变放泄的螺线管(vbs)阀门
CN103097792A (zh) 用于压力容器的电磁阀
JP2004093028A (ja) 電気式膨張弁
JP2004069069A (ja) ソレノイド作動圧力制御弁
US4714089A (e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KR100903413B1 (ko) 압력 평형 솔레노이드 밸브
US20130292588A1 (en) Solenoid valve
JP2016014414A (ja) エアバイパスバルブ
CN108700202B (zh) 电磁阀和电磁阀的应用
CN113685603A (zh) 电磁阀
KR20170079250A (ko) 리프트 제어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