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04U -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 Google Patents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04U
KR20180003204U KR2020187000075U KR20187000075U KR20180003204U KR 20180003204 U KR20180003204 U KR 20180003204U KR 2020187000075 U KR2020187000075 U KR 2020187000075U KR 20187000075 U KR20187000075 U KR 20187000075U KR 20180003204 U KR20180003204 U KR 20180003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ooden
pair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7000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신야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야 이노우에 filed Critical 신야 이노우에
Publication of KR20180003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나무 블럭(10)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가지는 다른 나무 블럭과 상호 결합 가능하며, 소정 방향으로 뻗는 기둥 형상의 기재의 일측면(17)에 한 쌍의 절결(12)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단면(16)의 폭 및 두께는 동일하며, 단면(16)의 폭을 W로 했을 때,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면(17)의 길이는 6W이며, 단면(16)으로부터 일방의 절결(12)까지의 거리는 W이며, 절결의 길이는 W이며, 절결의 깊이는 W/2이다.

Description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본 발명은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에 관한 것이다.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의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의 입체물을 쌓아올리는 블럭 쌓기와 같은 완구가 널리 일반적으로 친숙하다. 블럭 쌓기를 사용하여 주거와 유사한 구조물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블럭을 쌓아올려 일본의 주거에서 일반적인 목조 골조와 유사한 구조물을 만드는 것은 곤란하다. 또 블럭 쌓기 세트에는 복수 형상의 블럭이 포함되는데, 각 형상의 블럭의 수에 의해 창작의 발상이 제약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2064호 공보에는 직육면체에 가까운 외형을 가지는 3종류의 나무 블럭이 개시되어 있고, 이들 나무 블럭을 조합함으로써 복잡한 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나무 블럭의 외형은 직육면체에 가까워, 골조를 구성할 수 있는 비율의 형상이 아니다. 또 나무 블럭이 3종류 있기 때문에 종류마다의 나무 블럭의 개수의 상한에 의해 발상이 제약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이면서 목조 골조와 유사한 조립체를 얻을 수 있는 나무 블럭과, 이것을 사용한 조립체 및 가구의 제공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한 나무 블럭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가지는 다른 나무 블럭과 상호 결합 가능한 나무 블럭으로서, 소정 방향으로 뻗는 기둥 형상의 기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절결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재의 폭 및 두께는 동일하며, 상기 기재의 폭을 W로 했을 때,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면의 길이는 6W이며,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절결의 일방까지의 거리는 W이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 절결의 길이는 W이며, 각 절결의 깊이는 W/2이다.
상기 나무 블럭은 상기 한 쌍의 절결이 설치된 한 쌍의 박육부(薄肉部)와, 상기 한 쌍의 박육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厚肉部)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후육부의 어느 하나를 상기 다른 나무 블럭의 절결에 끼움으로써 상기 다른 나무 블럭과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조립체는 상기 나무 블럭을 복수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가구는 상기 조립체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절결이 설치된 1종류의 기둥 형상의 나무 블럭끼리를 조합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구조의 나무 블럭이면서 복잡한 조립체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또 나무 블럭을 사용한 나무 블럭 놀이, 오브젝트의 창작, 가구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나무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복수의 나무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복수의 나무 블럭의 사진이다.
도 4의 (a)는 제1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1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5의 (a)는 제2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2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6의 (a)는 제3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3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7의 (a) 및 (b)는 제4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c) 및 (d)는 제4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8의 (a)는 제5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5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9의 (a)는 제6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6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10의 (a)는 제7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7 조립체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 블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나무 블럭(10)은 길이 방향(DL)(소정 방향)으로 뻗는 기둥 형상의 기재의 상면(17)(일측면)에 한 쌍의 절결(12)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길이 방향(DL)을 따라 단으로부터 순서대로 단부(11), 박육부(15), 동체부(13), 박육부(15) 및 단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절결(12)에 대응하는 부분이 한 쌍의 박육부(15)이며, 한 쌍의 단부(11, 11) 및 동체부(13)는 박육부(15)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이다.
여기서 「길이」는 길이 방향(DL)에 있어서의 치수를, 「폭」은 폭 방향(DW)에 있어서의 치수를, 「두께」 또는 「깊이」는 두께 방향(DT)에 있어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길이 방향(DL)에 있어서의 나무 블럭(10)의 단면(16)은 대략 정사각 형상을 가지고, 단면(16)의 폭 및 두께는 동일하다. 단면(16)의 폭을 W로 했을 때, 각 단부(11)의 길이, 폭 및 두께는 모두 W이다. 따라서 길이 방향(DL)에 있어서의 단면(16)으로부터 일방의 절결(12)까지의 거리도 W이다. 동체부(13)의 길이는 2W이며, 폭 및 두께는 W이다. 각 절결(12)의 길이 및 폭은 W이며, 깊이는 W/2이다. 따라서 박육부(15)의 길이 및 폭은 W이며, 두께는 W/2이다.
W의 구체적 치수는 어떻게 설정해도 되지만, 나무 블럭(10)을 완구로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소형의 가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3센티미터로 하고, 중형의 가구에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7센티미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는 나무 블럭(10)의 각부에 모따기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무 블럭(10)의 재료로서는 목재, 수지, 금속, 유리 등 다양한 것이 사용 가능하다.
이어서 나무 블럭(10)을 사용한 조립체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1~제7 조립체(100~700)는 모두 서로 연결된 복수의 나무 블럭(1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 조립체(100)는 복수의 나무 블럭(10)을 토대(101), 기둥(103), 거더(104), 빔(105)으로 골라 조립한 목조 골조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우선 4개의 나무 블럭(10)의 절결(12)끼리를 서로 끼워맞추어 우물정자 형상을 가지는 토대(101)를 작성한다. 이어서 한 쌍의 거더(104)에 한 쌍의 빔(105)을 연결시켜 토대(101)와 동일한 우물정자 형상을 가지는 조립체(102)를 작성한다. 이어서 토대(101)와 조립체(102)를 4개의 기둥(103)으로 연결시킨다. 이 연결에 있어서는 기둥(103)의 절결(12)에 토대(101) 및 조립체(102)의 단부(11)를 끼워넣으면 된다.
조립체(102)에 또 다른 나무 블럭(10)을 연결시키면 조립체(100)를 더욱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 조립체(100)를 복수개 작성하고, 이들 복수의 조립체(100)를 나무 블럭(10)을 사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면 수평 방향으로 조립체(100)를 확장시킬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조립체(200)는 거더(201)에 완목(202)을 직각 방향으로 연결시킨 구조를 가진다. 절결(12)의 폭이 박육부(15)의 길이와 동일하며, 또 동체부(13)의 길이는 단부(11)의 폭의 2배인 점에서, 완목(202)에 처마(203)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져도, 한 쌍의 완목(202, 202)은 단면끼리가 맞닿음으로써 떠받쳐서 안정적인 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또 거더(201)는 완목(202)의 길이 방향 중심보다 처마(20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기한 위치에 있어서 완목(20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어, 거더(201)를 중심으로 하는 완목(202)의 좌우의 비율은 블럭 쌓기에서는 실현 불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내는 제3 조립체(300)는 나무 블럭(10)의 절결(12)끼리를 끼워맞추어 평면적인 구조로 한 것이다. 많은 나무 블럭(10)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을 얻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제4 조립체(400)는 나무 블럭(10)의 절결(12)끼리를 끼워맞추어 매달아올리는 구조를 가지고, 2개의 다리 부재(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절결(12)끼리를 끼워맞추어 밸런스가 잡힌 구조로 함으로써,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부(401)를 파지하여 조립체(400)를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이 구조도 종래의 블럭 쌓기에서는 실현할 수 없다.
도 8에 나타내는 제5 조립체(500)는 절결(12)끼리를 끼워맞추어 구성되어 있고, 직육면체를 비스듬히 배치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중단에서는 한 쌍의 나무 블럭(10)의 박육부(15)가 1개의 절결(12)에 끼워넣어져, 안정적인 구조이며 또한 비대칭으로 시선을 끄는 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제6 조립체(600)는 태블릿 단말을 두는 것을 상정한 소형의 가구로서, 우물정자 형상의 구조(601)와, 구조(601)를 비스듬히 지지하는 2개의 나무 블럭(1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603)를 가진다. 구조(601)는 하면(18)끼리를 맞닿게 한 한 쌍의 나무 블럭(10)의 박육부(15)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나무 블럭(10)의 절결(12)에서 끼워넣도록, 합계 8개의 나무 블럭(10)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어, 높은 강성을 가진다. 지지부(603)는 구조(601)의 중앙 구멍부(602)에 삽입통과되어, 지지부(603)를 구성하는 나무 블럭(10)의 절결(12)에 구조(601)를 구성하는 나무 블럭(10)의 동체부(13)가 끼워넣어져 있다. 지지부(603)의 전단부(603a)는 구조(60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나와 있고, 이 전단부(603a)에 태블릿 단말을 둘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7 조립체(700)는 스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중형의 가구이며, 다리부(701)의 절결(12)에 거더(70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나무 블럭(10)의 박육부(15)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어 강성을 높이고, 거더(702)에 4개의 나무 블럭(10)을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어 천판(703)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 블럭(10)은 기둥 형상의 기재의 길이 방향(DL) 양측에 한 쌍의 절결(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절결(12)에 다른 나무 블럭(10)의 단부(11)나 동체부(13)를 끼워넣거나 절결(12)끼리를 끼워맞추거나 하여 복수의 나무 블럭(10)을 연결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므로, 단순한 1종류의 나무 블럭(10)을 사용하여 복잡한 조립체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는 나무 블럭(10)에 색, 모양, 문자 등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무 블럭(10)의 면마다 상이한 색이나 모양 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나무 블럭(10)의 표면에 도장 등의 코팅을 시행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재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나무 블럭(10) 안에 금속 등을 넣어 중량을 무겁게 하거나 또는 나무 블럭(10)을 중공으로 함으로써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소재가 상이한 나무 블럭(10)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브젝트의 하단 부분에는 금속제 혹은 금속을 넣은 무거운 나무 블럭(10)을 사용하고, 상단 부분에는 목재나 중공의 가벼운 나무 블럭(10)을 사용함으로써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나무 블럭(10)은 소재로부터 깎아내어 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다이 캐스트 등 공지의 각종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나무 블럭은 나무 블럭 놀이, 오브젝트의 창작, 가구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나무 블럭
11…단부
12…절결
13…동체부
15…박육부
16…단면
17…상면
18…하면
100, 200, 300, 400, 500, 600, 700…조립체

Claims (4)

  1.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가지는 다른 나무 블럭과 상호 결합 가능한 나무 블럭으로서,
    소정 방향으로 뻗는 기둥 형상의 기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절결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재의 폭 및 두께는 동일하며,
    상기 기재의 폭을 W로 했을 때,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면의 길이는 6W이며,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절결의 일방까지의 거리는 W이며,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 절결의 길이는 W이며, 각 절결의 깊이는 W/2인 나무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결이 설치된 한 쌍의 박육부와, 상기 한 쌍의 박육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와 상기 후육부의 어느 하나를 상기 다른 나무 블럭의 절결에 끼움으로써 상기 다른 나무 블럭과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블럭.
  3.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제 2 항에 기재된 나무 블럭을 가지는 조립체.
  4. 제 3 항에 기재된 조립체의 구조를 가지는 가구.
KR2020187000075U 2016-03-19 2017-02-23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KR2018000320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1602 2016-03-19
JP2016001602U JP3205943U (ja) 2016-03-19 2016-03-19 組木、それを利用した組立体及び家具
PCT/JP2017/006742 WO2017163740A1 (ja) 2016-03-19 2017-02-23 組木、それを利用した組立体及び家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04U true KR20180003204U (ko) 2018-11-12

Family

ID=5674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7000075U KR20180003204U (ko) 2016-03-19 2017-02-23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59578A1 (ko)
EP (1) EP3431160B1 (ko)
JP (1) JP3205943U (ko)
KR (1) KR20180003204U (ko)
CN (1) CN209405686U (ko)
DE (1) DE212017000089U1 (ko)
WO (1) WO2017163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830B2 (ja) * 2017-10-24 2019-08-21 渡 堀越 格子子を用いた格子群体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作されたオブジェ
US11511210B2 (en) * 2018-06-24 2022-11-29 Daniel Gat Cubic element for construction toys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CN109224476A (zh) * 2018-10-18 2019-01-18 武汉个个科技有限公司 连接装置及连接件
WO2021181168A1 (fr) * 2020-03-11 2021-09-16 Burdet Christopher Siège à cadre modulaire
FR3119992A1 (fr) * 2021-02-25 2022-08-26 Nicolas Bôle Jeu de construction à pièces emboitab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9598A (en) * 1935-10-31 1936-11-03 Halsam Products Company Toy building construction
GB890764A (en) * 1960-02-22 1962-03-07 Marler Haley Studios Ltd Improvements in display stands having detachable and interfitting parts
US4039132A (en) * 1976-01-05 1977-08-02 Fournier Peter R Plant support structure
IL53519A (en) * 1977-12-02 1979-10-31 Sofer N C Toy building sets and elements therefor
JPH022068U (ko) * 1988-06-16 1990-01-09
JP2006068188A (ja) * 2004-09-01 2006-03-16 Toshiaki Ozawa 組立材、組立材セット及び骨組み構造体
JP3172064U (ja) 2011-09-20 2011-12-01 有限会社山下製作所 組木,それを利用した組立体及び家具
WO2013078630A1 (zh) * 2011-11-30 2013-06-06 大沣实业有限公司 一种益智积木构造
JP3181308U (ja) * 2012-11-16 2013-01-31 学 福岡 積木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59578A1 (en) 2019-02-28
DE212017000089U1 (de) 2018-12-03
JP3205943U (ja) 2016-08-25
EP3431160A1 (en) 2019-01-23
EP3431160B1 (en) 2021-05-26
WO2017163740A1 (ja) 2017-09-28
CN209405686U (zh) 2019-09-20
EP3431160A4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204U (ko) 나무 블럭, 그것을 이용한 조립체 및 가구
US6523317B1 (en) Wall block with interlock
US7731192B1 (en) Balancing puzzle
US20130019541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Parts for Creating a Small Structure
KR102100824B1 (ko) 다용도 빌딩 블럭 및 그 사용 방법
WO2020215099A1 (en) Dowel with directional expanding portion and wall system including directional dowel
ES2574330B1 (es) Sistema y método constructivo prefabricado con nudos estructurales tridimensionales
US6059630A (en) Log based assembly set
US7290377B2 (en) Block connector
JP2017125514A (ja) 組み立て構造体
KR200198228Y1 (ko) 조립식 입체 판블록
US20090130947A1 (en) Toy building set
AU2016427229A1 (en) Building block and methods
JP2010095914A (ja) 壁面用ブロック
GB2471670A (en) Interlocking toy building blocks
CN210610442U (zh) 一种稳定的多层花架
JP2016193585A (ja) 木組みのみで、部材作成・組み立て・分解が簡単にできる机・テーブル・ベット・作業台・椅子などを構築する方法
US10378223B2 (en) Interlocking form assembly
JP2023069563A (ja) 棒状部材連結構造、この棒状部材連結構造を用いた構造物及びこの構造物を有する建築物
JPH1181522A (ja) 構築用ブロック
US10443226B2 (en) Anchor for securing a post to deck elements, and a deck assembly therewith
CN106555794A (zh) 一种结构单元、空间单元及其多跨空间结构
JP3128241U (ja) 組立式構造体
JP5633757B2 (ja) 壁面用ブロック
JP6128382B2 (ja) 耐力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