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09U -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09U
KR20180003009U KR2020170001798U KR20170001798U KR20180003009U KR 20180003009 U KR20180003009 U KR 20180003009U KR 2020170001798 U KR2020170001798 U KR 2020170001798U KR 20170001798 U KR20170001798 U KR 20170001798U KR 20180003009 U KR20180003009 U KR 20180003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necting rod
guide rail
hinge axis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36Y1 (ko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이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 filed Critical 이헌
Priority to KR2020170001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3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출입구에 두 개의 여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내부도어와 외부도어 중 어느 한쪽 도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과, 다른 한쪽 도어에 설치되는 연결봉, 그리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특히 방음실의 출입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of hinged double door}
본 고안은 하나의 출입구에 두 개의 여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내부도어와 외부도어 중 어느 한쪽 도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과, 다른 한쪽 도어에 설치되는 연결봉, 그리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특히 방음실의 출입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실(soundproof room)은 밖에서 들려오는 외부소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된 공간으로서, 방송 및 교육 분야에서는 음반 녹음실이나 외국어 연습실, 동시 통역실 등에 사용되고, 의료 및 의학 분야에서는 청력검사실, 동물실험용 및 임상시험용 등으로 사용되며, 산업분야에서는 각종 기계부품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시험실이나 품질검사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음실은 내벽을 포함하는 인테리어가 흡음소재로 설치되고, 출입문은 문짝 일측이 힌지(hinge)에 의해서 문틀에 지지되어 있는 여닫이문 구조로 이루어지며, 문짝과 문틀 사이에서는 고무판이나 스펀지와 같은 방음용 틈막이 소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은 방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하나의 출입구에 2개의 여닫이문이 설치된 이중문 구조로 설치되기도 하는데, 종래의 이중 여닫이문은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각각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이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씨코의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340005호(2004년 01월 15일)에는 빌트인(built-in) 형식으로 설치된 가전제품에 있어서, 내부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의 도어와 외부에 위치하는 가구의 도어를 연결하는 이중도어의 연결구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이중도어 연결구조는, 제1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축선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재와,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결합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만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두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른 거리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중도어 연결구조는 상기 안내부재와 결합부재의 마찰로 인해서 두 도어 사이의 연동구조가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방음실 출입문과 같이 규모가 큰 이중문의 연동구조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66844호(2013년 05월 16일)에는,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가 서로 연동됨과 함께 완전하게 개방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동 이중도어의 구조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동구조는 건물 창문에 설치되는 시스템 창호에 적합한 구조로서, 역시 방음실 출입문에 적용하기에는 역시 적합하지 않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0005호(2004년 01월 15일) 등록특허 제10-1266844호(2013년 05월 16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출입구에 두 개의 여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는 이중 여닫이문에 있어서,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함께 열고 닫는 작동이 매우 원활하고 작동소음이 거의 없어서 특히 방음실 출입문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는, 하나의 출입구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부도어와,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도어와 외부도어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상기 힌지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부착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향면 중 다른 한쪽 면에는, 일측단부가 지지판에 의해서 상기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봉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는 내부도어나 외부도어 중 어느 한쪽 도어를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나머지 하나의 도어도 함께 열고 닫을 수 있고, 가이드 레일과 연결봉 및 베어링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서 상기 이중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작동이 원활하며 소음이 거의 없어서 특히 방음실 출입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문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문 연동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도어(10) 및 외부도어(20)와, 상기 내부도어(10)나 외부도어(20)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과, 다른 쪽에 설치되는 연결봉(40), 그리고 상기 연결봉(40)의 선단에 설치되는 베어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는 하나의 출입구, 바람직하기로는 외부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실 출입구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힌지(hinge)에 의해서 상기 출입구의 문틀에 지지되는 이중 여닫이문 구조를 형성한다.
즉, 상기 내부도어(10)는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외부도어(20)는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은 세로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에는 각각 고무판이나 스펀지와 같은 방음용 틈막이 소재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상기 내부도어(10)와 상기 외부도어(2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중 어느 한쪽 면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40)은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의 대향면 중 다른 한쪽 면에 설치되며, 그 일측단부가 지지판(41)에 의해서 상기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봉(40)은 수직으로 배치된 외부도어(20)의 대향면 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참고로 첨부 도 1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내부도어(10)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40)이 외부도어(20) 위에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외부도어(20)위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40)이 내부도어(10)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어링(50)은 상기 연결봉(4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3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레일(3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50)이 이동하는 내부통로(31)와, 상기 연결봉(40)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절개통로(32), 그리고 상기 내부통로(31)와 상기 절개통로(32)를 형성하는 대향절곡부(33)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내부통로(31)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50)은 상기 대향절곡부(3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3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대향절곡부(33) 사이로 상기 절개통로(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40)의 선단에는 상기 베어링(5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내부통로(31)를 따라 이동하는 축봉(51)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축봉(51)은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가 지지되는 힌지축과 평행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50)은 상기 축봉(5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봉(51)의 중앙에는 암나사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40)의 선단에는 상기 암나사부(52)에 삽입되는 수나사부(42)와, 상기 축봉(51)을 상기 연결봉(40)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42) 및 고정너트(43)와, 상기 암나사부(52)의 결합위치에 따라 축봉(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축봉(51)의 길이는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 사이의 간격에 의존하고,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의 열림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내부도어(10)의 제1 힌지축(H1)에 비해 외부도어(20)의 제2 힌지축(H2)이 상기 가이드 레일(30) 및 연결봉(40)으로부터 좀더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내부도어 20; 외부도어
30; 가이드 레일 31; 내부통로
32; 절개통로 33; 대향절곡부
40; 연결봉 41; 지지판
42; 수나사부 43; 고정너트
50; 베어링 51; 축봉
52; 암나사부 H1,H2; 힌지축

Claims (4)

  1. 하나의 출입구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부도어(10)와,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외부도어(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도어(10)와 외부도어(2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상기 힌지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부착된 가이드 레일(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향면 중 다른 한쪽 면에는, 일측단부가 지지판(41)에 의해서 상기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봉(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40)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0)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5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50)이 이동하는 내부통로(31)와, 상기 연결봉(40)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절개통로(32), 그리고 상기 베어링(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대향절곡부(3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0)의 선단에는 상기 힌지축과 평행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부통로(31)를 따라 이동하는 축봉(5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50)은 상기 축봉(5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51)의 중앙에는 암나사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40)의 선단에는 상기 암나사부(52)에 삽입되는 수나사부(42)와, 상기 축봉(51)을 상기 연결봉(40)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20170001798U 2017-04-11 2017-04-11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048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98U KR200488836Y1 (ko) 2017-04-11 2017-04-11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98U KR200488836Y1 (ko) 2017-04-11 2017-04-11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09U true KR20180003009U (ko) 2018-10-19
KR200488836Y1 KR200488836Y1 (ko) 2019-03-27

Family

ID=6404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98U KR200488836Y1 (ko) 2017-04-11 2017-04-11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910B1 (ko) * 2020-08-05 2020-12-23 조창희 다기능 도로환경 인지 시스템
KR102236117B1 (ko) * 2020-08-05 2021-04-05 조창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102227700B1 (ko) * 2020-08-05 2021-03-17 주식회사 하나엔지니어링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KR102236116B1 (ko) * 2020-08-05 2021-04-02 조창희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KR102236118B1 (ko) * 2020-08-05 2021-04-02 조창희 오행을 이용한 건축물 설계 시스템
KR102236119B1 (ko) * 2020-08-05 2021-04-02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의 관리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005Y1 (ko) 2003-10-13 2004-01-28 주식회사 씨코 이중도어 연결구조
KR101266844B1 (ko) 2011-05-04 2013-05-27 주식회사 일성씨엔씨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3076B (zh) * 2014-07-01 2016-04-06 浙江广成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卫生间、坐便室、淋浴室共用的组合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005Y1 (ko) 2003-10-13 2004-01-28 주식회사 씨코 이중도어 연결구조
KR101266844B1 (ko) 2011-05-04 2013-05-27 주식회사 일성씨엔씨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36Y1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836Y1 (ko)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0762984B1 (ko)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
KR101718659B1 (ko)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JPS62164977A (ja)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KR20048177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WO2020140987A1 (en) A linear hinge for an appliance
WO2019010742A1 (zh) 一种推拉门窗
KR20130046611A (ko) 전동식 폴딩 도어 시스템
KR20130136664A (ko) 폴딩도어용 롤러
KR101671893B1 (ko)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KR101563207B1 (ko)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KR102032341B1 (ko) 기밀 미서기 창호
KR20050094932A (ko) 폴딩도어장치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101985626B1 (ko) 안전문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KR102112274B1 (ko) 여닫이식 도어와 문틀의 결합구조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KR102101494B1 (ko) 접이식 도어
CN105401811A (zh) 一种铰链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