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07B1 -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07B1
KR101563207B1 KR1020140086013A KR20140086013A KR101563207B1 KR 101563207 B1 KR101563207 B1 KR 101563207B1 KR 1020140086013 A KR1020140086013 A KR 1020140086013A KR 20140086013 A KR20140086013 A KR 20140086013A KR 101563207 B1 KR101563207 B1 KR 10156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wer bracket
bracket
bush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주)하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인스 filed Critical (주)하인스
Priority to KR102014008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는 여닫이문의 일측 상·하부와 도어가 내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도어와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상부브래킷과; 도어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에 삽입 결합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상기 상부브래킷과 같이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하부브래킷과; 상기 상부브래킷의 일단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브래킷의 일부가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부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브래킷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이 결합되는 하부브래킷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브래킷에 접촉될 때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와, 상기 부싱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래킷은 도어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의 하부브래킷 몸체부와;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의 일단에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르면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가 있어 설치된 장소의 외부 물체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전히 다 닫히지 않으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부싱과 힌지핀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였고, 구조가 간단하여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 발생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도어나 프레임과 도어힌지가 용접 결합이나 볼트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Door Hinge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일측 상·하부와 도어가 내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도어힌지로서, 컵소독기, 건조기 및 위생기기의 도어에 사용하는 것으로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여 설치된 장소 주위의 외부 물체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주위 외부 물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힌지핀과 부싱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인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여닫이문와 미닫이문으로 나누어진다.
식품저장을 위한 냉장고나 컵소독기, 건조기 및 위생기기의 도어는 대부분 여닫이문를 사용하고, 여닫이문은 도어의 상하 모서리 부분에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힌지축(힌지핀)을 피벗으로 하여 0 ~ 180°열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도어힌지가 사용되는 곳은 컵소독기, 건조기 및 위생기기의 도어이므로,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한꺼번에 사람이 모여 번잡하고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어힌지의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어 도어 힌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율이 적어야 한다.
또한, 주위에 다른 기기들의 배치가 많으므로 도어가 완전히 열릴 때는 도어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거나 다른 주위 외부 물체와 간섭될 수 있고,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373309로 게시된 여닫이 도어 경첩은 제 1 굴곡부의 양측에 각각 제 1, 2피벗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암수 형상의 제 1, 2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굴곡부와 상기 제 2 결합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 1 나사공이 형성된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피벗 축에 상기 제 1 브라켓의 제 1 결합구와 회전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보적 암수형상을 갖는 제 3 결합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결합구에 이웃하여 상기 파이프 기둥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굴곡부와 대칭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 2 굴곡부를 갖고, 상기 제 1 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제 2 나사공이 형성된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2 나사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트 및 너트; 및 상기 제 2 피벗 축에 상기 제 1 브라켓의 제 2 결합구와 회전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구와 상보적 암수형상을 갖는 제 4 결합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결합구에 이웃하여 소정의 문짝에 체결될 수 있도록 경첩 체결부가 형성된 제 3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본 발명과는 구조가 상이하고 180도로 완전히 열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정 각도만 열 수 있는 것과는 상이하다.
등록실용신안 20-0468601로 게시된 식품건조기용 도어 힌지 장치는 피건조물이 담긴 채반을 수납하도록 한 건조실의 전면벽면에 상,하길이로 구성되는 고정힌지부재를 구성시켜 힌지축이 삽입되어 축설치되는 고정힌지공과, 상기 고정힌지공에 축설치된 힌지축이 끼워지는 연동힌지공이 뚫린 연동힌지부재를 여닫이문에 구성되며, 미끄럼융기부와 열림유기골이 형성되며, 본체의 힌지부와 피벗 지지되는 여닫이문가 열림위치에서의 정지와 함께, 닫힘위치에서 여닫이문 열림을 견제하고 견제로 여닫이문를 개폐하는 하나 본 발명과는 구조가 상이하고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등록특허 10-0796287로 게시된 김치저장고 도어의 힌지구조는 본체에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로, 상기 도어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그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삽입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힌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과 힌지브라켓의 삽입공 사이에는 소음방지링이 구비되어 회동시 소음을 방지하며; 상기 힌지축은 그 둘레에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힌지축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다각형상의 너트부재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나사산부가 너트부재에 볼트 결합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과는 구조가 상이하고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독기, 건조기 및 위생기기의 도어에 사용하는 것으로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할 수 있고, 힌지핀과 부싱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인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도어힌지는 여닫이문의 일측 상·하부와 도어가 내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도어와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상부브래킷과; 도어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에 삽입 결합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상기 상부브래킷과 같이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하부브래킷과; 상기 상부브래킷의 일단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브래킷의 일부가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부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브래킷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이 결합되는 하부브래킷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브래킷에 접촉될 때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와, 상기 부싱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은 도어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의 하부브래킷 몸체부와;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의 일단에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의 일단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 형상으로 일정 폭으로 튀어 나와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핀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 결합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걸리는 돌기부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은 내부에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가 상기 부싱삽입홀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부부싱몸체와; 내부에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싱몸체 하부에 상기 상부부싱몸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부싱삽입홀의 주위면과 맞닿아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와 하부브래킷 몸체부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부싱몸체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는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폭이 좁은 협부와, 상기 협부에서 일정 곡율 반경으로 폭이 커지며 상기 부싱삽입홀과 돌기부가 형성되는 광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의 말단면이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의 하면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상부브래킷와 하부브래킷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율 반경으로 곡면을 이룬다.
상기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은 친위생적인 기기에 사용할 수 있게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사용하고, 상기 부싱은 메탈베어링 역할을 할 수 있게 황동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돌기부걸림홈은 상기 돌기부가 걸리기 쉽게 브이 노치 형상이고, 상기 도어가 0 ~ 150°각도 내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노치 깊이와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 도어의 상부와 하부브래킷의 하부브래킷 몬체부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의 프레임결합부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은 용접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르면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가 있어 설치된 장소의 외부 물체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전히 다 닫히지 않으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싱과 힌지핀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였고, 구조가 간단하여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 발생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도어나 프레임과 도어힌지가 용접 결합이나 볼트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150도 열렸을 때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90도 열렸을 때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닫혔을 때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정면 설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측면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상부브래킷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상부브래킷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하부브래킷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하부브래킷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부싱 상세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150도 열렸을 때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90도 열렸을 때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도어가 닫혔을 때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정면 설치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측면 설치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상부브래킷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상부브래킷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하부브래킷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하부브래킷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른 부싱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구성요소의 명칭과 기능은 도어의 상부에 설치될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될 때는 모든 구성 요소가 상하 대칭이므로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하를 바꾸어 생각하여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힌지(A)가 우측에 설치되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열 때나 본 발명의 도어힌지(A)가 좌측에 설치되어 시계 방향으로 열 때나 서로 좌우 대칭으로 생각하여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도어힌지(A)는 여닫이문의 일측 상·하부와 도어(F)가 내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되어 도어(F)와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상부브래킷(1)과;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1)에 삽입 결합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상기 상부브래킷(1)과 같이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하부브래킷(2)과; 상기 상부브래킷(1)의 일단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의 일부가 삽입되어 도어(F)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부싱(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어힌지(A)는 컵소독기, 건조기 및 위생기기의 도어에 사용하는 것이며,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이 없고 구조가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브래킷(1)은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11)와; 상기 프레임결합부(11)의 하부 또는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2)이 결합되는 하부브래킷결합부(1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에 접촉될 때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1221)와, 상기 부싱(3)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12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2)은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와;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에 용접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3)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힌지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 형상으로 일정 폭으로 튀어 나와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핀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 결합부(2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에는 상기 돌기부(1221)가 걸리는 돌기부걸림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3)은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외주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부부싱몸체(31)와;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싱몸체(31) 하부에 상기 상부부싱몸체(3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의 주위면과 맞닿아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와 하부브래킷 몸체부(21)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부싱몸체(3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도 1은 상기 도어(F)가 완전히 열었을 때의 상기 상부브래킷(1)과 하부브래킷(2)의 위치를 보여주며, 상기 돌기부(1221)가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에 걸려 더 이상 상기 하부브래킷(2)이 회전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즉, 상기 도어(F)의 상부에 상기 하부브래킷(2)이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F)가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F)의 열림 각도는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의 위치와 홈의 깊이 및 상기 돌기부(1221)의 형상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도어(F)는 0 ~ 150°각도 내에서 개폐될 수 있으며, 최대 150°까지 열 수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상기 도어(F)가 90°열었을 때의 상기 상부브래킷(1)과 하부브래킷(2)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상기 도어(F)가 완전히 닫혔을 때의 상기 상부브래킷(1)과 하부브래킷(2)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의 도어힌지(A)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부위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돌기부(1221)과 돌기부 걸림홈(212)가 형성되어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가 있고, 상기 부싱(3)과 힌지핀(22)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였다.
도 4는 도어에 본 발명이 도어힌지(A)가 설치된 정면 예시도로서 상기 상부브래킷(1)의 프레임결합부(11)이 상기 상부프레임(B)에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브래킷(2)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가 상기 도어(F)의 상단면에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브래킷(2)의 힌지핀(22)이 상기 부싱(3)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고, 하부 쪽도 상기 도어힌지(A)가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힌지(A)가 도어(F)의 상부와 하부 2개소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어(F)가 일정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핀(22)는 상기 상부프레임(B) 내부로 삽입되어 마찰없이 설치된다.
본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A)가 오른쪽에 설치되어 시계 반대방향(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도어를 오픈하는 것을 보여주며 왼쪽에 설치될 때는 좌우 대칭으로 생각해서 이해하면 된다.
도 5는 도어에 본 발명이 도어힌지(A)가 설치된 우측면 예시도로서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하다.
하부에 도시된 것은 하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될 때는 모든 구성 요소가 상하 대칭이므로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하를 바꾸어 생각하여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A)가 오른쪽에 설치되어 시계 반대방향(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도어를 오픈하는 것을 보여주며 왼쪽에 설치될 때는 좌우 대칭으로 생각해서 이해하면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부브래킷(1)은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되어 도어(F)와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11)와; 상기 프레임결합부(11)의 하부 또는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2)이 결합되는 하부브래킷결합부(1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에 접촉될 때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1221)와, 상기 부싱(3)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12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는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폭이 좁은 협부(121)와, 상기 협부(121)에서 일정 곡율 반경으로 폭이 커지는 광부라운드(1223)을 가지며 상기 부싱삽입홀(1222)과 돌기부(1221)가 형성되는 광부(122)로 이루어지어진다.
상기 광부(122)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에 접촉될 때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1221)와, 상기 부싱(3)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122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221)는 상기 돌기부(1221)의 말단면이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하면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브래킷(1)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율 반경으로 곡면(111)을 이루는 것이 미관이 수려하고 모서리에 살이 베이는 등의 다치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브래킷(1)의 프레임결합부(11)와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은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볼트나 피스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어힌지(A)는 컵 소독기 컵 보관기 그릇 소독기와 같은 소독기나 위생기기에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므로 상기 상부브래킷(1)은 친위생적인 기기에 사용할 수 있게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하부브래킷(2)은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1)에 삽입 결합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상기 상부브래킷(1)과 같이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와;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에 용접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3)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힌지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 형상으로 일정 폭으로 튀어 나와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핀 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 결합부(2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에는 상기 돌기부(1221)가 걸리는 돌기부걸림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은 상기 돌기부(1221)가 걸리기 쉽게 브이 노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은 상기 도어가 0 ~ 150°각도 내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노치 깊이와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의 깊이가 깊어지면 즉 홈이 깊어지면 상기 도어(F)가 더 열리고 노치의 깊이가 얇으면 덜 열리게 되며, 위치가 힌지핀(22) 기준으로 아래로 내려가면 더 열리고 위로 올라가면 덜 열리게 된다.
상기 하부브래킷(2)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율 반경으로 곡면(213)을 이루는 것이 미관이 수려하고 모서리에 살이 베이는 등의 다치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어힌지(A)는 컵 소독기 컵 보관기 그릇 소독기와 같은 소독기나 위생기기에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므로 상기 하부브래킷(2)은 친위생적인 기기에 사용할 수 있게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F)의 상부와 하부브래킷(2)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나 피스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부싱(3)은 상기 상부브래킷(1)의 일단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의 일부가 삽입되어 도어(F)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외주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부부싱몸체(31)와;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싱몸체(31) 하부에 상기 상부부싱몸체(3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의 주위면과 맞닿아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와 하부브래킷 몸체부(21)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부싱몸체(3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힌지핀(22)과 부싱(3)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였다.
상기 부싱(3)은 메탈베어링 역할을 할 수 있게 황동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에 따르면 일정 각도까지만 열 수가 있어 설치된 장소의 외부 물체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전히 다 닫히지 않으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부싱(3)과 힌지핀(22)을 사용하여 작동의 원활성과 내구성을 높였고, 구조가 간단하여 빈번한 사용에도 고장 발생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도어나 프레임과 도어힌지가 용접 결합이나 볼트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B : 상부프레임 C : 하부프레임
D : 내부프레임 E : 측면프레임
F : 도어
A : 도어힌지
1 : 상부브래킷 11 : 프레임결합부
111 : 곡면 12 : 하부브래킷결합부
121 : 협부 122 : 광부
1221 : 돌기부 1222 : 부싱삽입홀
1223 : 광부라운드
2 : 하부브래킷 21 : 하부브래킷 몸체부
211 : 힌지핀결합부 212 : 돌기부걸림홈
213 : 곡면 22 : 힌지핀
3 : 부싱
31 : 상부부싱몸체 311 : 중공
32 : 하부부싱몸체

Claims (2)

  1. 여닫이문의 일측 상·하부와 도어(F)가 내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도어힌지(A)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A)는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되어 도어(F)와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상부브래킷(1)과;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1)에 삽입 결합되며, 일정 각도까지만 열리도록 상기 상부브래킷(1)과 같이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하부브래킷(2)과;
    상기 상부브래킷(1)의 일단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의 일부가 삽입되어 도어(F)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 부싱(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브래킷(1)은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11)와;
    상기 프레임결합부(11)의 하부 또는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2)이 결합되는 하부브래킷결합부(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브래킷(2)에 접촉될 때 도어(F)의 최대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1221)와, 상기 부싱(3)이 삽입되는 부싱삽입홀(122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래킷(2)은 도어(F)의 일측 모서리 상부나 하부에 결합되며, 직사각 형상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와;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에 용접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3)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힌지핀(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일단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 형상으로 일정 폭으로 튀어 나와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핀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 결합부(2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에는 상기 돌기부(1221)가 걸리는 돌기부걸림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3)은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외주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부부싱몸체(31)와;
    내부에 상기 힌지핀(22)이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싱몸체(31)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부싱삽입홀(1222)의 주위면과 맞닿아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와 하부브래킷 몸체부(21)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부싱몸체(3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결합부(12)는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폭이 좁은 협부(121)와, 상기 협부(121)에서 일정 곡율 반경으로 폭이 커지며 상기 부싱삽입홀(1222)과 돌기부(1221)가 형성되는 광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1221)는 상기 돌기부(1221)의 말단면이 상기 하부브래킷 몸체부(21)의 하면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상부브래킷(1)와 하부브래킷(2)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율 반경으로 곡면(111, 213)을 이루며,
    상기 상부브래킷(1)과 하부브래킷(2)은 친위생적인 기기에 사용할 수 있게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사용하고,
    상기 부싱(3)은 메탈베어링 역할을 할 수 있게 황동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은 상기 돌기부(1221)가 걸리기 쉽게 브이 노치 형상이고,
    상기 돌기부걸림홈(212)은 상기 도어가 0 ~ 150°각도 내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노치 깊이와 위치가 정해지며,
    상기 도어(F)의 상부와 하부브래킷(2)의 하부브래킷 몸체부(21)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래킷(1)의 프레임결합부(11)와 상부프레임(B) 또는 하부프레임(C)은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22)은 상부프레임(B) 내부로 삽입되어 마찰없이 설치되는 구조인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2. 삭제
KR1020140086013A 2014-07-09 2014-07-09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KR10156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13A KR101563207B1 (ko) 2014-07-09 2014-07-09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13A KR101563207B1 (ko) 2014-07-09 2014-07-09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207B1 true KR101563207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013A KR101563207B1 (ko) 2014-07-09 2014-07-09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5107A (zh) * 2017-08-30 2018-01-12 美通重工有限公司 一种内置式铰链
KR102027466B1 (ko) * 2019-05-22 2019-10-01 주식회사 제니시스 사물함 도어용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함
KR102551804B1 (ko) * 2022-12-09 2023-07-05 주식회사 유진기업 스팀 컨벡션 오븐의 도어부 어태치먼트장치
KR102584237B1 (ko) 2023-04-10 2023-10-05 주식회사 성우스타게이트 도어를 위한 힌지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09B1 (ko) * 2008-02-29 2009-05-08 추일호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09B1 (ko) * 2008-02-29 2009-05-08 추일호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5107A (zh) * 2017-08-30 2018-01-12 美通重工有限公司 一种内置式铰链
KR102027466B1 (ko) * 2019-05-22 2019-10-01 주식회사 제니시스 사물함 도어용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함
KR102551804B1 (ko) * 2022-12-09 2023-07-05 주식회사 유진기업 스팀 컨벡션 오븐의 도어부 어태치먼트장치
KR102584237B1 (ko) 2023-04-10 2023-10-05 주식회사 성우스타게이트 도어를 위한 힌지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207B1 (ko)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도어힌지
US8510913B2 (en) Door hinge for a refrigerator
KR101090187B1 (ko) 경첩용 안전커버
RU2416062C2 (ru) Дверь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101298230B1 (ko)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CN113272609B (zh) 用于器具的线性铰链
WO2006120105A3 (de) Scharnier zum schwenkverschieben einer zur seite hin zu öffnenden tür
AU2011354119B9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KR200488836Y1 (ko)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EP3370022A3 (en) Insulated transport cabinets for food and the like
KR20190118233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JP2012012899A (ja) ドア吊元側指挟み防止装置
KR200404275Y1 (ko) 배달물 투입구
KR100954093B1 (ko) 경첩의 안전커버
JP2014075404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扉保持部材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JP2002325641A (ja) 厨房機器用の操作パネル
KR101008045B1 (ko)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KR20038928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EP4239119A3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KR20130066298A (ko) 경첩용 안전커버
KR101392233B1 (ko)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KR102206075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101077163B1 (ko) 다기능성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