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16B1 -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 Google Patents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16B1
KR102236116B1 KR1020200097756A KR20200097756A KR102236116B1 KR 102236116 B1 KR102236116 B1 KR 102236116B1 KR 1020200097756 A KR1020200097756 A KR 1020200097756A KR 20200097756 A KR20200097756 A KR 20200097756A KR 102236116 B1 KR102236116 B1 KR 10223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sign drawing
server
door
spar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조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희 filed Critical 조창희
Priority to KR102020009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4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with inner rigid member and outer cover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3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flexible
    • E05B53/005Bow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업로드된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의 데이터를, 해당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한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바스트립트 형식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설계 도면이 레이어로서 모바일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SERVER FOR CONVERTING CONSTRUCTION MAP DATA}
실시예들은 내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설계 도면이 로딩 요청에 따라 컨트롤러로 설계 도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인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열람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설계 도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서버와 관련된다.
측량은 건축물 또는 시설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이며,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설계 도면이 실제 현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컨대, 설계 도면에 포함되어 있는 설계점들에 대해, 해당 설계점들의 실제 위치를 측량하여 측량점을 획득하고 측량점과 설계점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설계점과 측량점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설계 도면에 따라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건축이 이루어질 경우 완성된 건축물은 실제 환경에 부합하지 않게 되며 설계자의 의도에서도 벗어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점과 측량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것이 일치되도록 설계 도면을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측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설계 도면뿐만이 아니라, 외부 지도 서비스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지도와 공공 지도를 측량에 있어서 추가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측량 장치를 제어하고 측량 성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와 설계 도면의 연동을 위해, 작성된 설계 도면은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측량 성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열람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설계 도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2582호(등록일 2015년 06월 24일)는 지적측량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지를 토지 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 공부에 등록된 경계를 지표상에 복원할 목적으로 각 필지의 경계 또는 면적을 측량하기 위해 기준점을 설정할 때 획득된 지적측량 데이터를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정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업로드된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의 데이터를, 해당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한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바스트립트 형식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설계 도면이 레이어로서 모바일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 서버에 있어서,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을 획득하는 설계 도면 파일 획득부와; 상기 설계 도면 파일의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를 설계 도면 데이터로서 상기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서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메인도어(1100)는, 항온 항습조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핸들(1110)과; 상기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핸들 커버(112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커버 마감부재(113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쇄정용 레버(1140)와; 상기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쇄정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1200)는, 매인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상기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 패널(122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마감부재(123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버의 몸체 표면에 설치되어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서버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서버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서버 몸체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고장 수리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서버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스위치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버의 일단에는 오염공기 버너부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의 데이터를, 해당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설계 도면이 레이어로서 모바일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수신하고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획득된 설계 도면을 모바일 단말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에 의한 측량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계 도면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설계 도면 파일을 모바일 단말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측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업 또는 내업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측량 장치에 의해 실측된 복수의 측량점들을 모바일 단말의 작업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를 레이어화하여 서로 중첩하여 작업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로부터 서버로 업로드된 설계 도면을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에서 설계 도면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를 폐쇄하고 메인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 및 쇄정용 레버 작동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와 슬라이딩 패널 작동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9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18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개방하고 보조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등 도어로 보조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서버 훼손 감시를 위한 회로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유해공기 제거를 위한 불꽃방전 구성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20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21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수신하고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시된 측량 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측량 장치(120)에 의한 실제 위치에서의 측량에 따른 측량점 정보에 기반하여 측량 데이터(측량 성과물)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측량 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측량 장치(12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측량 장치(120)를 관리하는 컨트롤러일 수 있다. 측량 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하 모바일 단말(100)로 명명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이러한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와 연관된 설계 도면을 로딩하고, 설계 도면에서 설정된 설계점들에 대한 실제 측량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측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측량 데이터는 소위 측량 성과물로서 내업(inside work)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측량 데이터일 수 있다. 내업은 예컨대, 측량 성과물에 대해 각 측량점에 대한 좌표, 영상, 및 설명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부가하는 작업일 수 있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모바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구성을 통해 수행되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또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측량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측량을 수행하고자 하는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로부터의 설계 도면의 로딩 요청에 따라, 서버(110)는 설계 도면에 대한 변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말하자면, 모바일 단말(100)은 설계 도면에 대한 변환 데이터를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설계 도면은 서버(1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것이거나,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것일 수 있다.
서버(110)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설계 도면 파일)을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합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 또는 기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설계 도면을 로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로딩된 설계 도면에 포함된 설계점들에 대한 실측된 값을 나타내는 측량점 정보를 측정 장치(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측정 장치(120)는 예컨대, DGPS (Differential GPS) 장치(DGPS 수신기)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설계점들 각각에 대한 측량점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내업을 수행하는 서버로 출력할 수 있다. 내업을 수행하는 서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10)일 수 있다. 또는, 서버(110)가 아닌 다른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화면을 통해 설계점 및/또는 설계점에 대해 실측된 측량점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 화면은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설계점 및/또는 설계점에 대해 실측된 측량점을 추가/변경/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설계점 및/또는 설계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설계 도면 외에, 외부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설계 도면과 연관된 외부 지도와, 설계 도면과 연관된 지역에 해당하는 공공 지도를 로딩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단말(100)은 로딩된 설계 도면의 설계 도면 레이어(130-1), 로딩된 외부 지도의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로딩된 공공 지도의 공공 지도 레이어(130-3)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화면에서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를 중첩하여(겹쳐서)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레이어들(130)이 중접되어 디스플레이된 작업 화면에는 설계점들 및 측량점들이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중첩된 레이어들(130)을 통해, 사용자는 설계 도면과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설계 도면에서 실측된 측량점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에서도 측량점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에서의 측량점들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레이어들(130)을 생성하는 방법과 설계 도면 파일을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합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서버(110)의 보다 자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획득된 설계 도면을 모바일 단말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00) 및 서버(110)의 구체적인 구성들이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모바일 단말(100)은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측량 장치(예컨대, DGPS 장치)(12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측량 장치(120)와 모바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여하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측량 장치(120)와 모바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예컨대, 스마트 폰,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기,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통신부(204), 프로세서(200) 및 표시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4)는 모바일 단말(100)이 서버(110), 측량 장치(120) 및 기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말하자면, 통신부(204)는 서버(110), 측량 장치(120) 및 기타 다른 장치에 대해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칩 및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포트 등과 같은 하드웨어 모듈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driver) 또는 네트워킹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구성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0)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0)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데이터의 처리 등에 필요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core)일 수 있다
표시부(202)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작업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202)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202)는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의 구성들에 대해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서(200)는 구성들(210 내지 2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의 구성들(210 내지 270)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200)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설계 및 건축과 연관된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젝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생성은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로딩부(210)는 생성된 프로젝트와 연관된 설계 도면을 로딩하고, 지도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외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설계 도면과 연관된 외부 지도(예컨대, 다음(DAUM) 지도, 구글(Google) 지도 또는 네이버(NAVER) 지도 등)를 로딩하고, 설계 도면과 연관된 지역에 해당하는 공공 지도를 로딩할 수 있다.
설계점 설정부(220)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설계 도면에 대해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실제 측량을 수행할 복수의 설계점들을 설정할 수 있다. 설계점들은 설계 도면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레이어 생성부(230)는 설계 도면에 포함된 좌표들을 외부 지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함으로써 설계 도면의 설계 도면 레이어(130-1)를 생성하고, 공공 지도에 포함된 좌표들을 외부 지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함으로써 설계 도면에 대응하는 상기 공공 지도의 공공 지도 레이어(130-3)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어 생성부(230)는 외부 지도 역시 레이어화 함으로써 외부 지도 레이어(130-2)를 생성할 수 있다.
측량점 설정부(240)는 측량 장치(120)로부터 복수의 설계점들에 대응하여 실측된 복수의 측량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레이어 표시부(250)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표시부(202)를 통해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 중 적어도 2개를 겹쳐서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 중 어느 하나를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 표시부(250)는 설계점들과 그에 대응하는 측량점들을 작업 화면의 대응하는 위치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측량점들과 설계점들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어 작업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측량 데이터 생성부(260)는 설계점들과 상기 측량점들의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측량 데이터는 측량 성과물로서 내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270)는 생성된 측량 데이터를 내업을 수행하는 내업 수행 서버로 (통신부(20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내업 수행 서버는 서버(110)이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외부 서버일 수 있다.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00)의 설계 도면 로딩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기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100)과 통신하는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것처럼 서버(110)는 내업을 수행하거나 내업의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를 겸할 수 있다.
서버(110)는 통신부(29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90) 및 프로세서(280)에 대해서는 전술된 통신부(204) 및 프로세서(200)에 관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110)의 프로세서(280)의 구성들에 대해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서(280)는 구성들(282 내지 28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의 구성들(282 내지 286)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설계 도면 파일 획득부(282)는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설계 도면 파일은, 예컨대, dxf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설계 도면 파일의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2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즉,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를 상기 제3 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의 중간 변환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286)는 변환된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를 설계 도면 데이터로서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는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점은 설계 도면의 특징점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점은 설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데이터에 기반하여, 모바일 단말(100)에서는 설계 도면의 레이어(130-1)가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에 대해, 데이터 변환부(284)에 의해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데이터로의 변환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설계 도면 파일의 모든 정보(모든 도면점)를 포함하면서,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와 연동될 수 있는 레이어(130-1)로서의 설계 도면이 모바일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는 전술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은 가상 서버(20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로딩부(210)는,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가상 서버(11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로딩부(210)는, 설계 도면을 로딩할 시에,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가상 서버(206)는 모바일 단말(100) 내에 마련되는 것이지만,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는 외부의 서버로서 식별될 수 있다. 말하자면, 모바일 단말(100)의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모바일 단말(100) 내부 데이터에의 접근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100)이 외부의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에 접근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
가상 서버(206)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20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서버(206)를 모바일 단말(100) 내에 마련해 둠으로써, 모바일 단말(100)이 설계 도면을 로딩함에 있어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반복적으로 접근하더라도, 모바일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가 요구하는 보안 정책을 만족하면서, 서버와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측량 데이터 생성 방법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과, 서버(110)에 의해 설계 도면 파일을 모바일 단말(100)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3 내지 9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2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에 의한 측량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모바일 단말(100)예 의해 수행되는 레이어들(130)을 생성하고,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계(305)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프로젝트 생성부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설계 및 건축과 연관된 프로젝트(측량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생성은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31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생성된 프로젝트와 연관된 설계 도면을 로딩할 수 있다. 설계 도면을 로딩하는 단계는 해당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하여 설게 도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로딩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기 저장되어 있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을 로딩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dxf 형식의 설계 도면에 대응하는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설계 도면을 로딩할 수 있다. 단계(310)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단계(315)에서, 설계점 설정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설계 도면에 대해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실제 측량을 수행할 복수의 설계점들을 설정할 수 있다. 설계점 설정부(220)는 작업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된 설계 도면(예컨대, 설게 도면 레이어(130-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계점을 설계 도면에 대해 지정할 수 있다. 설정된 설계점은 작업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계점은 사용자가 작업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설계 도면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설계점들이 복수인 경우 설계점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점을 연결하는 선은 도면선일 수 있다.
설계점들은 설계 도면에서 기 지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도면점들이 설계점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외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설계 도면과 연관된 외부 지도를 로딩할 수 있다. 외부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외부 지도는 외부 지도는 예컨대, 다음(DAUM) 지도, 구글(Google) 지도 또는 네이버(NAVER) 지도 등일 수 있다.
단계(325)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설계 도면과 연관된 지역에 해당하는 공공 지도를 로딩할 수 있다. 공공 지도는 모바일 단말(10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고, 또는, 공공 지도를 제공하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공공 지도는 지적도, 용도지적도, 용도구역도, 택지개발지구도, 행정구역도, 수자원 관리도, 국가교통정보도 및 개발행위 허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레이어 생성부(230)는 설계 도면에 포함된 좌표들을 외부 지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함으로써 설계 도면의 설계 도면 레이어(130-1)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30)는 단계(310)의 수행에 따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310)에 의한 로딩에 따라 작업 화면에는 설계 도면 레이어(130-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레이어 생성부(230)는 설계 도면이 사용하는 좌표계를 외부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설계 도면에 포함된 모든 도면점들은 외부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의 좌표들로서 변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어 생성부(230)는 설계 도면이 사용하는 여하한 좌표계의 좌표들을 구글 지도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의 좌표들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좌표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설계 도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후술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335)에서, 레이어 생성부(230)는 공공 지도에 포함된 좌표들을 상기 외부 지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함으로써 상기 설계 도면에 대응하는 상기 공공 지도의 공공 지도 레이어(130-3)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35)는 단계(325)의 수행에 따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325)에 의한 로딩에 따라 작업 화면에는 공공 지도 레이어(130-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레이어 생성부(230)는 공공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를 외부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즉, 공공 지도에 포함된 모든 좌표들(특징점들)은 외부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의 좌표들로서 변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어 생성부(230)는 공공 지도가 사용하는 한국측지계2002(ITRF2000) 좌표계의 좌표들을 구글 지도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의 좌표들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 생성부(230)는 외부 지도 역시 레이어화 함으로써 외부 지도 레이어(130-2)를 생성할 수 있다.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즉, 전술한 단계들(330 및 335)을 통해서는 설계 도면과 공공 지도가 좌표 변환에 의해 외부 지도에 대해 맵 매칭될 수 있다. 이러한 맵 매칭에 따라, 설계 도면, 공공 지도 및 외부 지도가 정적(static) 데이터가 아닌 동적인 데이터로 구성되는 레이어들(130)로서 생성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측량점 설정부(240)는 측량 장치(120)로부터 복수의 설계점들에 대응하여 실측된 복수의 측량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측량점은 설계 도면에서 설정된 설계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실측된 값(위치 정보 값)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측량점에 대한 정보는 측량 장치(120)에 의한 측정에 따라 측량 장치(120)로부터 측량점 설정부(240)로 전송될 수 있고, 측정된 측량점은 작업 화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측량점들이 복수인 경우 측량점들은 서로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계(345)에서, 레이어 표시부(25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표시부(202)를 통해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 중 적어도 2개를 겹쳐서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 중 어느 하나를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는 레이어들(130) 중 비교하고자 하는 레이어들을 선택함으로써 비교하고자 하는 레이어들이 겹쳐서 표시부(20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로딩된 설계 도면이 복수이거나, 로딩된 공공 지도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 설계 도면 레이어(130-1)는 복수이거나 공공 지도 레이어(130-3)는 복수일 수 있다. 레이어 표시부(25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복수의 설계 도면 레이어(130-1)들 및/또는 복수의 공공 지도 레이어(130-3)들 중 선택된 레이어들을 겹쳐서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레이어 표시부(250)는 설정된 설계점들과 실측된 측량점들을 작업 화면의 대응하는 위치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설계점들/측량점들이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레이어 표시부(250)는 새롭게 추가되는 설계점과 새롭게 측정된 측량점들을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단계(350)의 수행 후 단계(315) 및 단계(340)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는 설계 도면 레이어(130-1),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및 공공 지도 레이어(130-3) 중 적어도 2개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된 작업 화면에서 설계점들 및 측량점들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설계점들 및 측량점들에 대한 직관적인 위치 파악과 설계점들 및 측량점들 간의 직관적인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레이어 표시부(250)는 작업 화면 내에서 측량점들과 설계점들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측량점들과 설계점들은 서로 다른 색상, 형태 및/또는 굵기 등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정적(static) 데이터가 아닌 동적인 데이터로 구성되는 레이어들(130)이 작업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각 레이어에 대한 확대 축소 조작과 위치 이동 조작에 대응하여서도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된 설계점과 측량점이 작업 화면 상에 (깨짐 없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측량 데이터 생성부(250)는 설계점들과 측량점들의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측량 데이터는 측량 성과물로서 내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내업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하도록 가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355)에서, 데이터 출력부(270)는 생성된 측량 데이터를 내업을 수행하는 내업 수행 서버로 출력할 수 있다. 내업 수행 서버는 내업을 수행하거나 내업의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전술된 단계들(305 내지 355)에 의한 측량 데이터 생성 방법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을 측량 장치(120)의 컨트롤러로서 사용하여 편리하게 측량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의 연계를 통해 측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3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계 도면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10)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계(41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설계 도면에 대한 로딩 요청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에 기 저장된 설계 도면을 데이터 변환 서버(110)로 업로드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설계 도면은 dxf 형식의 파일일 수 있다.
단계(42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로딩 요청한 설계 도면에 기반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이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 변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서버(110)가 기 저장하고 있던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을 데이터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이 때에는 단계(410)의 업로드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서버(110)에서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의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서버(110)에 의한 설계 도면의 데이터 변환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5, 6 및 9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단계(43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다운로드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의 가상 서버(206)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다운로드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가상 서버(206)에서 숨김 파일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말하자면, 다운로드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dxf 형식의 설계 도면의 데이터만이 단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자바스크립트(js)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데이터 로딩부(210)는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서버(206)로부터의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계 도면 레이어(130-1)가 생성될 수 있다.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440)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00)의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외부 서버에 대한 모바일 단말(100)의 접근으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실제로는 모바일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지만, 모바일 단말(100)은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가 요구하는 보안 정책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재차 설계 도면에 대한 로딩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서버(110)와 모바일 단말(100) 간의 통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말하자면, 가상 서버(206)에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0)은 더 이상 서버(110)로부터의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을 통한 설계 도면 레이어(130-1)의 반복적인 뷰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00)의 통신 데이터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는 외부 지도에 대응하는 좌표 변환에 따라 설계 도면 레이어(130-1)로서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레이어(130-1)(또는 레이어들(130-2 및 130-3))를 포함하는 작업 화면은 모바일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OpenLayer 표준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4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설계 도면 파일을 모바일 단말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서버(110)의 관점에서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를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510)에서, 설계 도면 파일 획득부(282)는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설계 도면 파일은, 예컨대, dxf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설계 도면 파일은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업로드된 것일 수 있다. 말하자면, 설계 도면 파일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설계 도면 파일은 (이전에 설계자에 의해 업로드된 것으로서) 서버(110) 또는 기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데이터 변환부(284)는 설계 도면 파일의 다른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변환부(284)는 설계 도면 파일의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2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에서의 열람에 적합한 제3 데이터로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2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술된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3 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의 중간 변환 데이터일 수 있다.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은 '개선된 GEOJSON 형식'을 나타낼 수 있다. GEOJSON 형식으로 dxf 형식의 설계 도면 데이터를 변환할 경우 설계 도면 데이터의 모든 도면점들(특징점들)이 적절하게 변환될 수 없고, 결과적인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설계 도면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실시예에서는 GEOJSON가 아닌 GEOJSON에 기반한 형식으로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을 변환함으로써,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데이터로 설계 도면 파일을 변환할 수 있다.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은 GEOJSON을 자바스크립트 오브젝트와 merge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는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제3 데이터로서의 변환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단계(540)에서, 데이터 제공부(286)는 변환된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를 설계 도면 데이터(변환 데이터)로서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데이터는 설계 도면이 포함하는 모든 도면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제3 데이터에 기반하여, 모바일 단말(100)에서는 설계 도면의 레이어(130-1)가 웹 브라우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된 제3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의 가상 서버 내에 숨김 파일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제3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을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0)에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 가상 서버(206)가 마련됨으로써 서버는, 모바일 단말(100)이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함에 있어서, 제3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과 최초로 한 번만 통신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재차 설계 도면의 로딩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서버(110)와 모바일 단말(100) 간의 통신 없이,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제3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단말(100)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설계 도면의 로딩 및 설계 도면 레이어(130-1)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550)에서, 데이터 제공부(286)는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되는 설계 도면 변환 데이터에 해당하는) 설계 도면이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다른 모바일 단말에 의해 이전에 열람된 것인 경우, 다른 모바일 단말과 연관된 환경 설정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설정 정보(286)는 제3 데이터와 함께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거나, 제3 데이터에 포함되어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수신된 환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계 도면의 로딩과 연관된 모바일 단말(100)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설정 정보는 다른 모바일 단말에 의해 설정된 설계 도면과 연관된 좌표계 설정, 설계 도면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설정, 설계 도면에 설정된 설계점 정보 및 설계 도면에 설정된 실측 측정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제3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고,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DXF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된 태그(및 Attribute)를 다른 형식의 태그(및 Attribute)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DXF 형식의 제1 데이터에 대한 파싱 결과를 제1 메타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메타데이터는 제1 데이터가 포함하는 전체 데이터와 연관된 태그(및 Attribute)에 대한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타데이터는 제1 데이터 중 GEOJSON 표준을 준거하여 표현될 수 있는 데이터의 GEOJSON 표준을 준거하여 변환된 데이터와, GEOJSON 표준에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예컨대, 한글 텍스트 데이터 등)에 관한 추가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1 데이터 중 GEOJSON 표준에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상기 추가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타데이터는 OpenLayer 표준을 준거하기 위한 제2 메타데이터로서 변환될 수 있다. 제2 메타데이터는 제1 메타데이터 중 OpenLayer 표준을 준거하여 표현될 수 있는 데이터의 OpenLayer 표준을 준거하여 변환된 데이터와, OpenLayer 표준을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에 관한 추가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1 메타데이터 중 OpenLayer 표준에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해, 해당 데이터를 OpenLayer 표준을 준거할 수 있도록 변환한 데이터로서 상기 추가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타데이터는 자바스크립트 표준을 준거하기 위한 제3 메타데이터로서 변환될 수 있다. 제3 메타데이터는 제2 메타데이터 중 자바스크립트 표준을 준거하여 표현될 수 있는 데이터의 자바스크립트 표준을 준거하여 변환된 데이터와, 자바스크립트 표준을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에 관한 추가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제2 메타데이터 중 자바스크립트 표준에 준거하여 표현될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해, 해당 데이터를 자바스크립트 표준을 준거할 수 있도록 변환한 데이터로서 상기 추가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84)는 상기 제3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제1 내지 제3 메타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5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측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업 또는 내업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는, 전술된 서버(110)가 내업 또는 내업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동작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610)에서,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측량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설계 도면에 대해 설정된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실제 측량을 수행할 위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설계점들에 대한 정보 및 모바일 단말(1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측량 장치(120)에 의해 복수의 설계점들에 대응하여 실측된 복수의 측량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측량 데이터는 내업 또는 내업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하게 가공된 데이터로서 측량 성과물일 수 있다.
단계(620)에서, 서버(110)는 측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업 또는 내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6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측량 장치에 의해 실측된 복수의 측량점들을 모바일 단말의 작업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작업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작업 화면에서는 레이어화 된 외부 지도(즉, 외부 지도 레이어(130-2)) 만이 디스플레이되었고, 다른 레이어들은 중첩되지 않았다. 도시된 710은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지도의 외부 지도 레이어(130-2) 상에 측정점들(7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측정점들은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를 레이어화하여 서로 중첩하여 작업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는 측량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레이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 지도의 위성 지도, 스트리트뷰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외부 지도 레이어(130-2)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지적도 및 용도 지적도 등과 같은 공공 지도 레이어(130-3)와 설계 도면 레이어(130-1)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와 같이, 외부 지도 레이어(130-2)는 하나만 선택될 수 있고, 공공 지도 레이어(130-3)와 설계 도면 레이어(130-1)는 복수개가 선택될 수 있다. 어떠한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선택함에 따라, 도시된 (b) 및 (c)와 같이 레이어들이 중첩되어 작업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된 작업 화면은 동적 데이터 기반의 레이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바, 이동, 확대 및 축소 등의 조작에 있어서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측정점(또는 설계점) 또한 별개의 레이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말하자면, 레이어 생성부(230)는 측정점(또는 설계점)들을 레이어들(130)과는 별개의 레이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측정점(또는 설계점)이 작업 화면에서 디스플레되거나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7 및 8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로부터 서버로 업로드된 설계 도면을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에서 설계 도면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 관점에서의 데이터 변환 및 변환된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해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00)는 전술된 모바일 단말(100)에 대응한다.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설계 도면 로딩의 요청이 있으면(910), 클라이언트(100)에 저장되어 있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제1 데이터)은 서버(110)로 업로드될 수 있다(920). 서버(110)는 수신된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을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930). 제2 데이터는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제3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940). 서버(110)는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제3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950). 클라이언트(100)는 수신된 자바스크립트 형식의 제3 데이터를 가상 서버(206)에 저장할 수 있다(960). 이후, 설계 도면 로딩 요청이 있거나(970), 설계 도면 레이어(130-1)에 대한 뷰잉 요청이 있는 경우(980)에는 가상 서버(206)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통해 설계 도면 레이어(130-1)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계 도면의 뷰잉 요청이나 로딩 요청이 있더라도, 서버(110)와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100)의 데이터 통신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은 도 9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설계 도면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공공 지도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들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오이드와 타원체는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지오이드는 측지학에서 정립한 각종 작업의 기준이 되는 지구에 대한 수학적 모델일 수 있다. 타원체는 지오이드와 가장 유사한 지구의 기하학적 형상을 편평한 회전타원체로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타원체는 1) 지구 타원체와 2) 준거타원체로 분류될 수 있다. 1) 지구타원체는, 측지학에서는 지오이드와 가장 유사한 지구의 기하학적 형상을 편평한 회전타원체를 나타낼 있다. 지구타원체는 장반경과 편평률로 정의될 수 있다. 2) 준거타원체는, 부정형한 지구를 하나의 타원체로 오차없이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나라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오이드면에 적합한 지구타원체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는 지구타원체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82092793-pat00001
데이텀(Datum, 측지계)이란, 타원체가 정해지게 되면 해당 지역에 가장 적합한 타원체의 위치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세계측지계란 국제표준타원체를 사용하여 타원체의 중심을 지구의 질량중심과 동일하게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아래는 지구 중심 데이텀과 국지데이텀의 일례를 나타낸다.
*
Figure 112020082092793-pat00002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자표계는 한국측지계2002(ITRF2000), 한국측지계2002(KGD2002) 및 "세계측지계"에 기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세계측지계는 WGS계, ITRF계, PZ계 등이 있을 수 있다.
[투영도법]
타원체는 삼차원 좌표나 경위도 좌표 등으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타원체 상에서의 3차원 좌표(곡면)가 되므로 2차원(평면) 지도 상의 좌표와는 상이하다. 타원체 상의 3차원 좌표를 평면으로 나타내기 위해 투영이라는 과정이 요구된다. 투영 과정에는 지도 체계가 더 세분될 수 있다. 예컨대, Bessel 좌표계를 사용하는 경우 주로 TM 도법으로 투영하며, WGS84 좌표계를 사용하는 경우 주로 UTM 도법을 사용하여 투영을 수행한다. 대한민국에서는 TM 도법과 UTM 도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1) TM(Transverse Meractor) - 횡단원통등각투영법
2) UTM 좌표계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1) TM(Transverse Meractor): 대한민국의 경우 평면직각 좌표계인 TM(Transverse Meractor) 좌표계를 국가기본도의 기본체계로서 사용하고 있음.
대한민국의 경우 국가기본도의 경우 GRS80 타원체를 기본타원체로 적용하고 있고, 좌표의 수평 기준원점은 경도 방향의 위치에 따라 125도, 127도, 129도, 131도 경도선을 기준으로 서부, 중부, 동부, 동해원점의 4가지를 혼용하고 있다.
2) UTM 좌표계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UTM 좌표계는 횡단 Mercator 투영법을 사용하는 좌표계 중의 하나로서 전 세계를 경도 6도 간격의 영역으로 나누고, 이들 각각의 영역에 대해 별도의 원점과 축을 지정하여 좌표를 Meter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UTM Zone 번호는 서경 180도를 기준으로 경도 6도 간격씩 동쪽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UTM 좌표계에서 기준 원점의 위치는 각 UTM Zone의 중심경도선과 적도가 만나는 위치이며, 이 점을 기준으로 경도 방향을 X축, 위도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52번째 Zone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기준 원점인 경도 129도, 위도 0도를 UTM 좌표계의 원점으로 사용한다.
아래는 대한민국에서의 직각좌표 기준을 나타낸다.
Figure 112020082092793-pat00003
아래는 설계 도면, 외부 지도 및 공공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82092793-pat00004
중부원점(GRS80)-falseY:50000: 다음지도에서 사용중인 좌표계
EPSG:5181+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설계 도면은 상기 예시들 중 어느 하나의 좌표계를 사용하여 작성된 것일 수 있고, 외부 지도가 사용하는 좌표계로의 좌표 변환이 수행됨으로써 외부 지도와 함께 레이어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는 항온 항습을 위해서 출입문의 구조를 이중화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설치하여 항온 항습 기능을 유지한다. 그리고,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이중도어를 모두 개방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한개의 도어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사각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도어(1100)는 도어핸들(1110)과, 도어핸들 커버(1120)와, 커버 마감부재(1130)와, 쇄정용 레버(1140)와,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쇄정용 볼트(1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핸들(1110)은 도어의 오른쪽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핸들 커버(1120)는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마감부재(1130)는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쇄정용 레버(1140)는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한다.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는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킨다.
상기 쇄정용 볼트(1160)는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도어(1200)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슬라이딩 패널(1220)과, 패널 마감부재(1230)와, 슬라이딩 돌기구(1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용 레일(1210)은 보조도어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패널(1220)은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패널 마감부재(1230)는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구(1240)는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는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10)에 장착된 쇄정용 볼트(1160)가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용 레일(1210)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메인도어(1100)에 장착된 도어핸들 커버(1120)와 보조도어(1200)에 장착된 가이드용 레일(1210)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메인도어(1100)가 열릴때 보조도어(1200)가 메인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열리게 되고, 메인도어(1100)가 닫힐때 보조도어(1200)가 메인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20)는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핸들 커버(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쇄정용 볼트(116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메인도어(1100)의 닫히는 동작을 살펴보면 메인도어(1100)를 닫게 되면 경첩이 작동하여 문틀(1300)을 중심으로 메인도어(1100)가 일정각도 닫히게되고, 보조도어(1200)가 동시에 경첩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메인도어(1100)의 닫힘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닫히게 된다.
이때,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20)는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핸들 커버(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쇄정용 볼트(116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는 연결상태를 지속시키게 되므로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열고 닫는 행위만으로 보조도어(120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동작이 보다 편리하다.
즉,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열면 자동으로 보조도어(1200)가 열리고,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닫으면 자동으로 보조도어(1200)가 닫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보조도어(1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온도보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조도어(1200)를 이용하는 경우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를 별도로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에 장착된 쇄정용 레버(113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쇄정용 레버(1140)에 연결된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에 연결된 쇄정용 볼트(1160)가 작동하게 되어 보조도어(120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10)로부터 메인도어(1100)가 분리된다.
즉, 쇄정용 레버(1140)를 작동시키면 쇄정용 볼트(1160)가 도어핸들 커버(1120)의 중심축으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 레일(121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메인도어(1100)를 움직이게 되면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 레일(1210) 중앙은 공간부(1211)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딩 패널(122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슬라이딩 패널(1220)의 상하에 설치된 슬라이딩 돌기구(124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이동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1220)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 레일(12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1211)를 완전하게 메꾸게 되며, 이에 따라 보조도어(1200)를 투명창으로 사용할 경우 보조도어(1200) 전체가 완전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는 도체(2)를 서버 몸체에 부착시키며, 서버 몸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훼손될 경우 램프 또는 스피커로 경보를 출력토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도체에 전류를 공급(VCC, GND)하고, 상기 도체(2)가 설치된 부분이 훼손으로 인하여 균열이 조금 더 심화되면, 도체(2)가 단락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이를 감지수단(1)에서 파악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을 살펴보면,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알람출력수단(3), 및 전류구동제어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은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의 전류통로에 연결되고 갈라짐이 발생하면 도체(2)가 단락되어 전류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전압(VCC)을 풀다운되는 것을 방지하여 훼손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알람출력수단(3)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서버의 균열에 따른 훼손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과,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은 트랜지스터소자이고, 제 2 전자접촉수단(6)은 릴레이소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로구성에 따라 다른 전자접촉소자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전반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설치된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서버의 균열에 따른 훼손으로 인하여 감지수단인 도체(2)가 단락되면, 제 1 노드(Nd1)의 전위는 전원전압(VCC)의 전위로 상승되고 상승된 전위로 인하여 제 1 전자접촉수단(21)의 입력단에는 고전압이 형성되어 전자접촉수단이 턴-온된다.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턴-온됨에 따라 형성된 전류통로로 인하여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의 전류통로도 도통되고,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강한 자계가 형성되고 상기 자계로 인해 출력단의 전저접촉수단이 스위칭된다.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출력단의 도통으로 인하여 알람출력수단(3)은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작업자는 서버 균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설치된 부위의 균열이 더 이상 심화되지 않을 때는 도체(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원전압(VCC)은 감지수단인 도체(2)를 통하여 접지전압(GND)으로 모두 풀다운되므로 제 1 및 제 2 전자접촉수단(5, 6)은 턴-오프되고, 경보신호(3)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서버 주변에 오염공기가 존재하면 서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오염공기를 태워 없애서 서버 주변이 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즉, 서버 일측에 오염공기 버너부를 부가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제거하되, 불꽃방전에 의해서 불꽃 점화시킴으로서 유해물질을 태워 없애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오염공기 버너부(2000)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을 더 장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는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끝단은 전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킬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작동되며, 이에 따라 초기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고, 이후 불꽃방전이 외부의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동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작동하여 불꽃방전을 재점화시켜 불꽃방전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온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전극이 점화되면서 전기를 점화시키게 된다. 방전 전극에 의해서 점화되면 방전 전극에 제공되는 전원이 오프되어 더이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불꽃방전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다시 방전 전극을 점화시켜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게 되어 불꽃방전에 의한 불꽃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201은 전원 공급부이고, 2210은 전원 공급 조절부이며, 2220은 전원공급 라인이다. 이때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을 위한 전기가 공급되어 불꽃방전 불꽃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결합되어 있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가동시키면 동시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기계적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은, 피니언 기어(2222a)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인장 스프링(2222d)으로 구성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는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인장 스프링(2222d)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랙기어(2222e)가 움직이면서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을 계속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크게 하기 위해 전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계속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에 터치된 상태이므로 인장 스프링이 늘어나서 더이상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이지 않토록 한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단지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반대로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줄이도록 동작시키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인장 스프링(2222d)이 작동하게 되므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완전히 돌리게 되면 그때서야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를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는 직류 전원부(2101)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발진 승압회로부(2103)와,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고압 승압회로부(2107)와,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방전 전극(2114)과,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 전원부(2101)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는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된다.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2103)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는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2107)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는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전극(2114)은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는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불꽃방전에 따른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2101)이 연결되어 발진 승압 회로부(2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승압 회로부(2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2106)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2121)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방전 전극 스위칭부, 2108)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2110)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2111)을 통과하면서 방전 전극 스위칭부(2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고압 ㅅ트랜승압 회로부(2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2차 코일에 고압 전압이 유기되며, 이 유기된 고압 전압은 방전 간격제(2113a, 2113b) 사이에 2차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 전극(2114) 사이에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 불꽃 방전은 방전 전극(21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부에 점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간부에 점화가 되면 불꽃에 의해 방전 전극 양단에 열전자에 의해서 유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압은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211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2120)를 통해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방전 전극 사이의 불꽃 방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외부 바람등의 영향으로 불꽃방전 작용이 멈추게 되면 방전 전극(2114)의 양단에는 열전자에 의해서 흐르전 전류의 흐름이 없어지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2120)를 통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2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2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에 보냄으로서 다시 불꽃방전을 시작하게 된다.

Claims (6)

  1.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 서버에 있어서,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dxf 형식의 설계 도면 파일을 획득하는 설계 도면 파일 획득부와;
    상기 설계 도면 파일의 dxf 형식의 제1 데이터를 GEOJSON에 기반한 형식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자바스크립트(js) 형식의 제3 데이터를 설계 도면 데이터로서 상기 설계 도면의 로딩을 요청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서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130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메인도어(1100)는,
    항온 항습조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핸들(1110)과;
    상기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핸들 커버(112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커버 마감부재(113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쇄정용 레버(1140)와;
    상기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쇄정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보조도어(1200)는,
    매인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상기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 패널(122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마감부재(123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서버의 몸체 표면에 설치되어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서버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서버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서버 몸체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고장 수리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서버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일단에는 오염공기 버너부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KR1020200097756A 2020-08-05 2020-08-05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KR102236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6A KR102236116B1 (ko) 2020-08-05 2020-08-05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6A KR102236116B1 (ko) 2020-08-05 2020-08-05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16B1 true KR102236116B1 (ko) 2021-04-02

Family

ID=7546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56A KR102236116B1 (ko) 2020-08-05 2020-08-05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497A (ja) * 1997-10-07 2001-10-23 リテ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リーラジカルを使用して燃料の燃焼からの排気ガス中の汚染物質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488836Y1 (ko) * 2017-04-11 2019-03-27 이헌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959290B1 (ko) * 2018-11-12 2019-07-04 주식회사 디지털커브 설계 도면 데이터를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열람 가능한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497A (ja) * 1997-10-07 2001-10-23 リテ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リーラジカルを使用して燃料の燃焼からの排気ガス中の汚染物質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488836Y1 (ko) * 2017-04-11 2019-03-27 이헌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959290B1 (ko) * 2018-11-12 2019-07-04 주식회사 디지털커브 설계 도면 데이터를 측량 컨트롤러로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열람 가능한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5958B2 (en) Intelligent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1937096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3차원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CN102682571B (zh) 信息处理装置、报警方法和程序
US9171011B1 (en) Building search by contents
CN108960049B (zh) 长输油气管道的高后果区的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34723B1 (ko) 지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CN105516311A (zh) 一种电子地图全景图获取方法及系统
CN102770843A (zh) 在未包括在终端装置视野中的对象上提供信息的方法、终端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7438853A (zh) 在上载之前区域描述文件的隐私过滤
MX2009001948A (es) Interfase de usuario de timbre panoramico.
CN109556612A (zh) 一种导航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Vert et al. Relevant aspects for the integration of linked data in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for tourism
CN105956056B (zh) 一种基于增强实景的数字城市管理方法和系统
US10515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oundary mapping
CN103164420A (zh) 地质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236116B1 (ko) 설계 도면 데이터 제공서버
KR102236119B1 (ko) 도로 설계 도면의 관리서버
CN103390099A (zh) 一种基于移动操作系统平台与Mobile GIS 的服务系统和方法
Kim et al. Data management framework of drone-based 3D model reconstruction of disaster site
KR101928456B1 (ko)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Beeharee et al. Exploiting real world knowledge in ubiquitous applications
KR101591285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질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질조사방법
KR20210060888A (ko) 제어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4329B2 (en) Data augmentation for location-based searching
Fang et al. A data model for organizing relative semantics as images to support pedestrian navigation compu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