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92U -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92U
KR20180002492U KR2020170000682U KR20170000682U KR20180002492U KR 20180002492 U KR20180002492 U KR 20180002492U KR 2020170000682 U KR2020170000682 U KR 2020170000682U KR 20170000682 U KR20170000682 U KR 20170000682U KR 20180002492 U KR20180002492 U KR 20180002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oving
surface portion
hot water
pip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2020170000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92U/ko
Publication of KR20180002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부의 하면부가 패드에 면 접촉된 상태로 커팅부 주변의 패드를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어, 패드가 임의로 이동되거나 들뜨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커팅부가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할 때, 배관홈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의 측면부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므로, 측면부와 패드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넓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패드에 배관홈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잔해물이 넓게 형성된 이격공간부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FORMING APPARATUS GROOVE ON HOT WATER MAT}
본 고안은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하고, 패드에 배관홈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매트는 난방장치가 없는 실내 바닥을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환절기 등에 보조 난방기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발열선을 내장시키고 발열선에서 전열되는 열기에 의해 매트를 가열시켜서, 상기 매트에 앉거나 누워있는 사람이 따뜻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온수관은 바닥패드의 상측에 지그재그 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온수관을 바닥패드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618호를 참조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바닥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고, 이 배관홈에 온수관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온수매트의 바닥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온수매트의 바닥패드(5)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바닥패드(5)를 상부프레스(20)와 하부프레스(10)의 사이에 삽입한 후, 상기 상부프레스(20)를 가열한 상태로 상기 바닥패드(5)를 가압한다. 이때, 상부프레스(20)의 하부면에는 지그재그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돌조(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돌조(22)는 가열된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상부프레스(20)가 바닥패드(5)를 가압하게 되면, 바닥패드(5)의 상면에는 상부프레스(20)의 가압돌조(22)와 대응되는 형상의 배관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바닥패드(5)에 형성된 배관홈에 온수관을 지그재그상으로 매설한다.
그런데 상부프레스(20)가 바닥패드(5)를 가압하여 배관홈을 형성하는 방법은 별도 크기의 상부프레스(20) 및 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미도시)를 구비해야 하므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부프레스(20)가 바닥패드(5)를 균일하게 가압하지 않아, 배관홈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618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77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하고, 패드에 배관홈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드에 배관홈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잔해물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수매트의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면 접촉되되 상기 패드와 마주보는 하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패드 방향으로 노출되는 커팅부;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기 설정된 상기 배관홈의 패턴을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사각뿔대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서 상기 패드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4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부는 그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면부의 중앙은 상기 상면부의 중앙과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이격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패드의 상부를 좌, 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레일의 단부에 장착되는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운반부가 상기 이동레일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레일에 장착된 상기 이동부가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는 가압부의 하면부가 패드에 면 접촉된 상태로 커팅부 주변의 패드를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어, 패드가 임의로 이동되거나 들뜨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커팅부가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할 때, 배관홈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가압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의 측면부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므로, 측면부와 패드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넓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패드에 배관홈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잔해물이 넓게 형성된 이격공간부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온수매트의 바닥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이동수단과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이동수단에 장착된 가압부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가압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가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측면부와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200: 도 3 도시)는 온수매트의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매트는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매트부재(100)와, 상기 매트부재(10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공급장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매트부재(100)는 패드(102), 온수관(104), 내부시트(106) 및 외부커버(108)를 포함한다. 패드(102), 내부시트(106) 및 외부커버(108)는 사용자가 실내의 바닥이나 침대 위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패드(102)는 쿠션 기능, 단열 기능 등을 위하여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온수관(104)은 패드(102)의 상면에 대략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열에 잘 견디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를 따라 온수 등의 유체가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패드(102)의 상면에 온수관(104)이 매설되도록 배관홈(102a)이 형성된다. 또한, 온수관(104)은 경우에 따라 복수 개가 패드(102)의 상면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시트(106)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며 패드(102)의 상면에 부착되어 온수관(104)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외부커버(108)는 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디자인적인 미려함 등을 위하여 글씨, 그림, 색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이동수단과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200)는 온수매트의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수단(210), 이동부(220), 가압부(230: 도 4 도시) 및 커팅부(240: 도 6 도시)를 포함한다.
이동수단(210)은 후술하는 이동부(220)가 기 설정된 배관홈(102a)의 패턴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운반부(214)와, 이동레일(212)을 포함하며, 테이블(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판형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그 상면에 패드(102)가 안착된다. 운반부(214)는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되며 패드(102)의 전, 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동레일(212)은 운반부(214)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패드(102)의 상부를 좌, 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레일(212)은 운반부(214)를 따라 패드(102)의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수단(210)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리찍는 방식이 아니므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된다.
이동부(220)는 이동레일(212)을 따라 패드(102)의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레일(212)이 운반부(214)를 따라 패드(102)의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이동레일(212)에 장착된 이동부(220)가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이동부(220)는 이동수단(210)에 가이드된 상태로 패드(102)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이동부(220)는 패드(102)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기 설정된 배관홈(102a)의 패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압부(230)는 이동부(220)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부(220)를 따라 이동되면서 패드(102)를 가압하고, 커팅부(240)는 가압부(230)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부(220)를 따라 이동되면서 패드(102)에 배관홈(102a) 패턴을 직접 형성하는 것으로, 이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이동수단에 장착된 가압부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가압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압부(230)는 커팅부(240: 도 6 도시)가 패드(102)에 배관홈(102a) 패턴을 형성할 때, 커팅부(240)의 주변을 눌러 주어, 패드(102)의 임의 이동 또는 들뜸 등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패드(102)는 일반적으로 가공이 용이한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패드(102)는 재질의 특성상 커팅부(240)가 배관홈(102a)을 형성하는 가공 과정에서 배관홈(102a) 주변이 부풀어 일어나거나, 들뜨기도 한다. 또한 커팅부(2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패드(102)가 임의로 이동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패드(102)의 커팅부(240) 주변을 견고하게 눌러주어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압부(230)의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사각뿔의 하단을 잘라낸 사각뿔대로 형성되어, 이동부(220)에 결합되는 상면부(232), 상기 상면부(232)에서 상기 패드(102)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면부(234) 및 상기 상면부(232)와 상기 하면부(234)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4개의 측면부(236)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면부(234)에 커팅부(240)가 노출되도록 관통홀(234a)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면부(234)는 패드(102)와 면 접촉된 상태로 패드(102)를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면부(232) 및 하면부(234)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측면부(236)는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면부(234)는 상면부(232)보다 작도록 형성되되, 하면부(234)의 중앙은 상면부(232)의 중앙과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측면부(236)는 그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부(234)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가압부(230)는 상면부(232)에서 하면부(234)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그 구조상 상면부(232)에서 하면부(234)로 가하는 압력은 하면부(234)로 강하게 몰리게 된다. 따라서 하면부(234)가 패드(102)를 눌러줄 때, 하면부(234)는 패드(102)에 면 접촉된 상태로 강한 힘으로 패드(102)를 누를 수 있게 되어, 패드(102)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팅부(240)에 의하여 패드(102)에 배관홈(102a)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패드(102)의 임의 이동 또는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배관홈(102a)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측면부(236)는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측면부(236)와 패드(102) 사이에는 넓은 공간 즉, 이격공간부(S2: 도 8 도시)가 구비된다. 이격공간부(S2)는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팅부(240)는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부(23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커팅부(240)는 가압부(2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회전지지부(242)와, 회전지지부(242)의 하단에서 관통홀(234a)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팅날(244)을 포함한다. 회전지지부(242)는 가압부(230)의 상면부(232)에 장착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커팅날(244)의 단부는 관통홀(234a)을 통하여 패드(102) 방향으로 노출되어, 커팅날(244)의 단부는 가압부(2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커팅날(244)의 단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지지부(242)가 회전되면 커팅날(244)이 패드(102)의 상면을 파내면서 배관홈(102a)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가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드(102)의 상면에 가압부(230)가 위치된다. 여기서, 가압부(230)의 하면부(234)는 패드(102)의 상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패드(102)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커팅부(240)의 커팅날(244)은 관통홀(234a)을 통하여 가압부(230)의 외부로 돌출되어 패드(102)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수단(210)이 이동부(220)를 기설정된 배관홈(102a) 패턴을 따라 이동시키면 커팅날(244)이 패드(102)의 상면에서 배관홈(102a) 패턴을 따라 이동되면서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230)의 하면부(234)는 패드(102)에 면 접촉되어 있으며 강한 힘으로 패드(102)를 누르게 되어, 패드(102)가 임의로 이동되거나 들뜨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커팅부(240)가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할 때, 패드(102)의 임의 이동, 들뜸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배관홈(102a)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수단(210)과 이동부(220)를 이용하여 가압부(2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의 측면부와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부(230)의 측면부(2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230)의 측면부(236)와 패드(102) 사이에는 이격공간부(S2)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팅날(244)이 패드(102)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패드(102)에 배관홈(102a)을 형성하게 되면, 커팅날(244)과 패드(102) 사이에는 마찰열이 발생한다. 또한, 커팅날(244)은 패드(102)의 접촉면을 깎아내면서 배관홈(102a)을 형성하므로, 커팅날(244) 주변에는 패드(102)의 깎아진 잔해물이 대량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마찰열 및 잔해물은 배관홈(102a)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가공 과정에서 신속하게 배출해주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측면부(236)가 만곡형이 아니라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압부(230)의 측면부(236)와 패드(102) 사이에는 이격공간부(S2)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격공간부(S2)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드(102)에 배관홈(102a)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잔해물은 이격공간부(S2)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즉, 만곡형 측면부(r)는 본 발명의 평평한 측면부(236)에 비하여 패드(10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만곡형 측면부(r)와 패드(102) 사이에는 이격공간부(S1)가 좁게 형성된다. 이는, 마찰열 및 잔해물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공간이 부족하여, 커팅날(244) 주변에 마찰열 및 잔해물이 쌓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면부(236)는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므로, 측면부(236)와 패드(102) 사이에는 이격공간부(S2)가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패드(102)에 배관홈(102a)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잔해물이 넓게 형성된 이격공간부(S2)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매트부재
102: 패드 102a: 배관홈
104: 온수관 106: 내부시트
108: 외부커버
200: 제조 장치 210: 이동수단
212: 이동레일 214: 운반부
220: 이동부 230: 가압부
232: 상면부 234: 하면부
234a: 관통홀 236: 측면부
240: 커팅부 242: 회전지지부
244: 커팅날

Claims (6)

  1. 온수매트의 패드에 배관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면 접촉되되 상기 패드와 마주보는 하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패드 방향으로 노출되는 커팅부;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기 설정된 상기 배관홈의 패턴을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사각뿔대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서 상기 패드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4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부는 그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중앙은 상기 상면부의 중앙과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이격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패드의 상부를 좌, 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레일의 단부에 장착되는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운반부가 상기 이동레일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레일에 장착된 상기 이동부가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KR2020170000682U 2017-02-09 2017-02-09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KR201800024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82U KR20180002492U (ko) 2017-02-09 2017-02-09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82U KR20180002492U (ko) 2017-02-09 2017-02-09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92U true KR20180002492U (ko) 2018-08-20

Family

ID=6340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682U KR20180002492U (ko) 2017-02-09 2017-02-09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92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18Y1 (ko) 2005-06-28 2005-09-13 주식회사 세리원내츄럴파워 건강매트용 바닥패드의 온수관 형성구조
KR20070038778A (ko) 2005-10-06 2007-04-11 임상빈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18Y1 (ko) 2005-06-28 2005-09-13 주식회사 세리원내츄럴파워 건강매트용 바닥패드의 온수관 형성구조
KR20070038778A (ko) 2005-10-06 2007-04-11 임상빈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845B1 (en) Apparatus for in-situ optical endpointing on web-format planarizing machines in mechanical or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microelectronic-device substrat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070197147A1 (en) Polishing system with spiral-grooved subpad
KR101373282B1 (ko) 침구용 매트의 외피 자동재단 장치
KR20180002492U (ko) 온수매트의 배관홈 제조 장치
JP2022501209A (ja) 付加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493849Y1 (ko) 세라믹 온수 매트
US6561249B2 (en) Press device for coating workpieces, especially pieces of furniture, on multiple sides
KR101906852B1 (ko) 발포소재 성형장치 및 이의 성형방법
JP2004306577A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のための方法とその装置
CN103801752B (zh) 一种管道切割机械
KR102035345B1 (ko) 온열기능을 갖는 씨엔씨의 진공베드
KR20170017528A (ko) 에지밴딩기용 스크레이핑장치
CN109205216B (zh) 一种电脑针车自动化生产线
KR101581590B1 (ko) 데크 플레이트 상면 가공장치
KR101193290B1 (ko) 자동 절단기
KR20230089223A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55457B1 (ko) 엠보보드 제조장치
US3471897A (en) Roll embossing machine for plastic needled carpet
JP2006181697A (ja) 平面研磨装置及び平面研磨方法
KR200310075Y1 (ko) 소재절단장치
US1443327A (en) Clicking-machine block
JP4859032B2 (ja) 建材畳床縫着装置
KR200450982Y1 (ko) 발포성 수지의 박판과 lld필름의 합지장치
US5709023A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ive cutting surface of a cutting machine
KR102568198B1 (ko) 섬유적층체의 모서리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