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63A -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 Google Patents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63A
KR20180002263A KR1020160081519A KR20160081519A KR20180002263A KR 20180002263 A KR20180002263 A KR 20180002263A KR 1020160081519 A KR1020160081519 A KR 1020160081519A KR 20160081519 A KR20160081519 A KR 20160081519A KR 20180002263 A KR20180002263 A KR 2018000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ing
combustion
block
fuel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026B1 (ko
Inventor
이태진
박노국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26B1/ko
Priority to PCT/KR2016/006959 priority patent/WO2017003179A2/ko
Publication of KR2018000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2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과 같은 수송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열개질기로, 액상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교번으로 적층 배치하여 반응기를 이루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된 연소열을 직접 개질블럭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낮고,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의 공간 개폐가 용이해 촉매의 충전이 용이하며, 판 상의 열교환판을 이용하여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을 서로 면접시켜 높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므로 열의 공급이 원활하고, 연료의 공급량에 따라 촉매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반응열을 조절할 수 있으며, 촉매연소기로 공급되는 반응물의 양을 조절하여 촉매층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과열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생성도 억제할 수 있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Reactor reforming for liquid hydrocarbon fuel}
본 발명은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과 같은 수송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열개질기로, 액상연료인 디젤을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도록, 복수 개의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교번으로 적층 배치하여 반응기를 이루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된 연소열을 직접 개질블럭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낮고,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의 공간 개폐가 용이해 촉매의 충전이 용이하며, 판 상의 열교환판을 이용해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을 서로 면접시켜, 높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므로 열의 공급이 원활한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신에너지 청정 환경기술로서 가장 상용화 시기가 빠를 것으로 기대되는 소형(수백 W에서 수 kW급 규모)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스택 효율 향상과 더불어 발전 연료인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개질기의 고효율화 및 소형화를 위한 컴팩트 통합형 시스템화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연료 개질기는 천연가스, LPG, 가솔린, 메탄올 등과 같은 연료를 촉매 반응시켜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로 전환해서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장치로, 가정용 연료전지에 적용할 수 있는 고효율 및 소형화를 필요로 하며 고농도의 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연료 개질기는 개질 방식에 따라 부분산화(Partial oxidation, POX), 수증기 개질(Steam reformer, SR), 자열개질(Autothermal reformer, ATR)로 구별 된다.
이때, 부분산화 개질은 발열 반응을 하여 열 공급이 필요 없고 응답특성이 빠르지만 수소 전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고, 수증기 개질 반응은 보통 강한 흡열반응으로 연료의 수소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촉매가 사용되는 반응 조건은 반응온도 700~850℃, 압력은 상압~40기압, 공간속도(GHSV) 3,000~6000hr-1 정도이며, 촉매 구성은 내열성 담체(α-alumina 혹은 calcium aluminate)에 환원된 니켈이 담지(약 10~12%)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표면적이 10m2/g 이하가 된다.
수증기 개질은 수소 전환 효율이 높지만 흡열 반응을 하기 때문에 열을 공급해주어야 하고 응답 특성이 느린 단점이 있다.
자열 개질기는 부분산화 개질과 수증기 개질 방식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가 적게 필요하고 응답 특성이 빠른 장점을 갖고 있고, 수증기 개질은 흡열 반응이고 부분산화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열적으로 평형상태를 유지하면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도 자열개질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20120호(2013.01.0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 내통을 구비하여 본체와 내통 속에 각각 ATR 촉매층이 내장되고, 상기 내통의 하단에는 확산부가 형성된 반응기, 상기 본체의 상단을 마감하며, 그 외부에 전원부와 제1원료주입부가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를 상, 하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의 상단에 결합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적어도 한 줄 이상이 상, 하로 배치되는 반응물 연통과, 상기 튜브의 어느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증류수 도입부와, 상기 증류수 도입부에 연통되어 튜브의 하단까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판과, 상기 튜브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하부에 형성되는 수증기 배출공과, 상기 튜브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는 생성물 배출부로 구성되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를 감싸며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기히터,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분산화촉매층,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서모커플을 포함하는 개질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탄화수소의 개질에 의한 수소의 제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열의 공급이라 할 수 있는데, 개질반응은 높은 흡열반응으로서 천연가스 개질을 위해서는 700 ~ 750℃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고, 디젤연료의 개질의 경우 800℃ 이상의 고온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개질기는 열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개질기와 연소기를 통합형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의 열교환 방식이 적용되고, 특히 연료전지용 소형 개질기는 스택 배가스의 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과 스택 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를 연소하는 방식이 채택되며, 고온의 스택 배가스의 열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직접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나, 스택 배가스의 온도가 800 ~ 850℃ 수준이므로 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개질기의 온도는 800℃ 이상으로 유지하기에 다소 열 전달 효율이 낮을 수 있다.
그리고 기본적인 화염연소방식은 온도의 조절이 매우 어렵고 화염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조연제로 사용되는 공기 중, 질소의 산화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생성되어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과 같은 수송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열개질기로, 액상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교번으로 적층 배치하여 반응기를 이루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된 연소열을 직접 개질블럭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낮고,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의 공간 개폐가 용이해 촉매의 충전이 용이하며, 판 상의 열교환판을 이용하여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을 서로 면접시켜 높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므로 열의 공급이 원활하고, 연료의 공급량에 따라 촉매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반응열을 조절할 수 있으며, 촉매연소기로 공급되는 반응물의 양을 조절하여 촉매층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과열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생성도 억제할 수 있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는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주입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촉매연소하여 발열하는 복수 개의 연소블럭과, 상기 연소블럭과 면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소블럭에서 전도된 열을 이용하여,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주입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연료를 개질하는 복수 개의 개질블럭과,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한 열을 개질블럭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판과, 한 쌍으로 최외각에 위치하는 연소블럭 또는 개질블럭과 면접하고, 한 쌍이 서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결합되어, 한 쌍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소블럭, 개질블럭 및 열교환판을 고정하는 외측마감판,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 각각의 연료가스 주입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액상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및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 각각의 연료가스 주입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예열기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블럭 중 어느 하나의 연소블럭을 기준으로 개질블럭 및 연소블럭을 교번하여 면접하게 적층 배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소블럭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과 배면을 개방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간 상측에 배치되고,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분산시키는 한 쌍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루는 복수 개의 촉매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촉매플레이트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표면에는 연소촉매가 코팅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질블럭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간 상측에 배치되고,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분산시키는 한 쌍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루는 복수 개의 개질촉매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질촉매플레이트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표면에는 개질촉매가 코팅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소블럭의 연소가스 주입관에서 기화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노즐은 공기를 유동하는 통로의 종단에 배치하여, 상기 연소블럭 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와 연료가 서로 혼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복수 개의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교번으로 적층 배치하여 반응기를 이루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된 연소열을 직접 개질블럭에 전달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낮고,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의 공간 개폐가 용이해 촉매의 충전이 용이하며, 판 상의 열교환판을 이용하여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을 서로 면접시켜 높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므로 열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를 가진다.
둘째, 연료의 공급량에 따라 촉매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반응열을 조절할 수 있어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입되는 반응물의 양을 조절하여 촉매층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생성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의 사용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블럭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공간속도에 따른 반응기 내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블럭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간속도에 따른 반응기 내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선박과 같은 수송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열개질기로, 액상연료인 디젤을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도록, 복수 개의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을 교번으로 적층 배치하여 반응기를 이루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된 연소열을 직접 개질블럭에 전달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낮은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기인 연소블럭(100) 및 개질기인 개질블럭(200)을 복수 개로 구비하는데, 이때 상기 개질블럭(200)을 n개로 구비하면, 연소블럭(100)은 n+1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 개인 상기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은 복수 개의 연소블럭(100) 중 어느 하나의 연소블럭(100)을 기준으로 하여 개질블럭(200), 연소블럭(100) 순으로 교번 면접하여, 상기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가 샌드위치 형태로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연소블럭(100)과 개질블럭(200)의 적층 수를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반응기의 처리 용량도 증가한다.
이때, 상기 연소블럭(100)과 개질블럭(200) 사이에는 열교환판(300)을 배치하는데, 상기 열교환판(300)은 상기 연소블럭(100)과 개질블럭(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블럭(100)에서 발생한 열을 개질블럭(200)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판(300)의 표면에는 세라믹 소재의 실링재를 도포하여, 상기 상기 열교환판(300)과 밀착되는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을 실링하여 상기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 공간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해, 상기 열교환판(300)과 상기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의 사이 틈을 통한 연료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한 연소블럭(100), 개질블럭(200) 및 열교환판(300)의 고정은 외측마감판(400)로 이루어지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마감판(400)은 한 쌍으로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판(300)을 사이에 두고 교번으로 적층된 상기 연소블럭(100) 및 개질블럭(200)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연소블럭(100) 또는 개질블럭(200)과 면접한 후, 한 쌍이 서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결합하여, 한 쌍의 외측마감판(400) 사이에 연소블럭(100), 개질블럭(200) 및 열교환판(300)을 고정한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연소블럭(1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소블럭(100)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촉매연소하여 발열한다.
이때, 상기 연소블럭(1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프레임(110)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철재로 가로 150mm, 세로 200mm, 두께 20mm인 사각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으로 연료 및 공기가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연료가스 주입관(111)을 연결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연소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관(112)을 연결한다.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 상측에는 한 쌍의 타공판(113)을 상, 하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공간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분산시킨다.
이때, 한 쌍의 타공판(113) 중, 상측에 위치하는 타공판(113)은 하측에 위치하는 타공판(113)보다 타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공판(113)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촉매플레이트(120)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촉매플레이트(120)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는 연소촉매를 코팅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소블럭(100)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 및 공기를 인입하는 연료가스 주입관(111)에는 기화기(130) 및 예열기(140)를 구비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화기(130)는 연료가스 주입관(111)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연료(디젤)를 기화시키면서 200℃까지 예열한 후, 상기 연소블럭(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예열기(140)는 연료가스 주입관(11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400℃로 예열하여 상기 연소블럭(10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연소블럭(100)은 온도가 운전조건에 도달하면, 개질블럭(200)을 작동시켜 정상운전조건으로 유지하고, 때때로 연소블럭(100) 중 연료가스가 인입되는 연료가스 주입관(111) 측만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반응기의 온도가 충분히 고온조건을 유지하는 상태로서 기화된 액상연료가 공기와 반응하여 연소하는 것이 원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반응기로 유입되기 전, 상기 연료가스 주입관(111)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것으로서 연료가스 주입관(111) 내에서 연소하여 발생된 연소열이 연료가스 주입관(111) 측벽으로 열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연소기 내부에서 연소열이 충분히 얻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연료가스 주입관(111) 부분에서 연소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기화된 연료와 예열된 공기가 연소블럭(100) 내에서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연소블럭(100)의 연소가스 주입관(111)은 통로의 종단인 연소블럭(100) 측에 연료노즐(114)를 구비하고, 연소가스 주입관(111)을 통해서는 예열된 공기만을 인입하며, 기화된 연료는 상기 연소가스 주입관(111)에서 통로의 종단에서 분사되어, 상기 연소블럭(100) 내부 공간에서 공기와 연료가 서로 혼합된 후 촉매연소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연료와 공기를 각각 별도의 배관에서 가열하고, 연소블럭(100) 내부의 유입구에서 혼합된 후, 연소블럭(100) 내에서 촉매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해 연소가스 주입관(111)의 과열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연소블럭(100) 내부의 온도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개질블럭(2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질블럭(200)은 상기 연소블럭(100)과 면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소블럭(100)에서 전도된 열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연료를 개질한다.
이때, 상기 개질블럭(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프레임(210)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질블럭(200)의 프레임(210) 역시, 철재로 가로 150mm, 세로 200mm, 두께 20mm인 사각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개질블럭(200)의 프레임(210)의 두께 증가로 개질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210)의 공간으로 연료 및 공기가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연료가스 주입관(211)을 연결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연소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관(212)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공간 상측에는 한 쌍의 타공판(213)을 상, 하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210)의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공간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분산시킨다.
이때, 한 쌍의 타공판(213) 중, 상측에 위치하는 타공판(213)은 하측에 위치하는 타공판(213)보다 타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공판(213)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개질촉매플레이트(220)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210)의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개질촉매플레이트(220)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는 개질촉매를 코팅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촉매플레이트() 및 개질촉매플레이트()는 코팅장치에 의해 메탈폼의 표면에 촉매를 코팅하는데, 상기 코팅장치는 원통형 챔버와 코팅액 중의 용매를 진공증발하여 제거하기 위한 가열히터와 아스피레이터로 구성하고, 개질촉매는 동일한 지지체에 로듐을 담지 하였으며, 귀금속 촉매의 담지량은 대략 0.02 wt%정도이다.
상기한 메탈폼 형태의 촉매는 균일한 기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응물의 유량을 높이더라도 압력강하가 적으므로 촉매층의 단위부피당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이를 공간속도로 나타낼 경우, 약 23000 h-1정도 이다.
또한, 금속 소재가 사용되므로 열전달에도 유리한 부분이 있고, 메탈폼 형태의 촉매플레이트 및 개질촉매플레이트는 반응기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채널형태로 충전되며, 개질연료의 처리량에 따라 충전되는 개질촉매플레이트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10)의 연소기를 이루는 연소블럭은 시동을 위하여, 전기로를 이용한 핫 박스(20)의 초기 온도를 270 ~ 350℃로 가열한다.
이때, 촉매연소의 초기 가열온도에 따라 반응기 내의 온도 상승속도는 달랐는데, 핫 박스의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기 내 온도상승 속도는 빨라진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의 공급량에 따라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달라지고, 공간속도가 8000인 경우에는 연소블럭 내부의 온도가 약 600℃에 수렴하였으며, 공간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 반응기 내부의 온도도 단계적으로 상승하였다.
여기서, 공간속도 23000정도에서 연소블럭 내부의 온도는 약 980℃ 정도로 유지하면, 개질기를 이루는 개질블럭(200)의 온도도 약 750 ~ 800℃까지 상승하였으며, 개질 반응은 시동조건과 운전조건으로 구분하여 S/C 및 O2/C비를 조절하였다.
개질기는 시동조건에서 부분산화반응에 의해서 반응기 내 온도가 약 870℃까지 상승하였고, 운전조건에서도 대략 820 ~ 850℃의 조건으로 유지한다.
이때, 핫 박스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약 750℃ 정도에서 수렴되었으며, 이미 전기로의 가열조건을 넘어선 전기로는 더 이상 가열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운전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운전상태에서 약 700시간 동안 운전을 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전조건이 유지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20: 핫 박스(Hot box)
100: 연소블럭
110, 210: 프레임
111, 211: 연료가스 주입관
112, 212: 배출관
113, 213: 타공판
120: 촉매플레이트
130: 기화기
140: 예열기
200: 개질블럭
220: 개질촉매플레이트
300: 열교환판
400: 외측마감판

Claims (7)

  1.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주입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촉매연소하여 발열하는 복수 개의 연소블럭;
    상기 연소블럭과 면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소블럭에서 전도된 열을 이용하여,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주입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촉매와 접촉시켜 연료를 개질하는 복수 개의 개질블럭;
    상기 연소블럭과 개질블럭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블럭에서 발생한 열을 개질블럭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판;
    한 쌍으로 최외각에 위치하는 연소블럭 또는 개질블럭과 면접하고, 한 쌍이 서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결합되어, 한 쌍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소블럭, 개질블럭 및 열교환판을 고정하는 외측마감판;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 각각의 연료가스 주입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액상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및
    상기 연소블럭 및 개질블럭 각각의 연료가스 주입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예열기를 포함하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소블럭 중 어느 하나의 연소블럭을 기준으로 개질블럭, 연소블럭을 교번하여 면접하게 적층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소블럭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과 배면을 개방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간 상측에 배치되고,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분산시키는 한 쌍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루는 복수 개의 촉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촉매플레이트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표면에는 연소촉매가 코팅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으로 이루어지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질블럭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간 상측에 배치되고, 인입된 연료 및 공기를 분산시키는 한 쌍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연료 및 공기가 통하는 채널을 이루는 복수 개의 개질촉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질촉매플레이트는
    페크랄로(FeCrAl)이 또는 니크랄로(NiCrAl)이 중 어느 하나의 합금소재로 표면에는 개질촉매가 코팅된 완전 개방형 다공성 금속 구조체인 메탈폼으로 이루어지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블럭의 연소가스 주입관에서 기화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노즐은
    공기를 유동하는 통로의 종단에 배치하여, 상기 연소블럭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와 연료가 서로 혼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KR1020160081519A 2015-06-29 2016-06-29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KR10187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19A KR101870026B1 (ko) 2016-06-29 2016-06-29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PCT/KR2016/006959 WO2017003179A2 (ko) 2015-06-29 2016-06-29 코팅장치 및 그 코팅장치로 촉매를 코팅한 플레이트를 이용한 개질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19A KR101870026B1 (ko) 2016-06-29 2016-06-29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63A true KR20180002263A (ko) 2018-01-08
KR101870026B1 KR101870026B1 (ko) 2018-06-21

Family

ID=6100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19A KR101870026B1 (ko) 2015-06-29 2016-06-29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4070A (zh) * 2019-10-09 2019-12-27 重庆大学 具有多孔泡沫载体结构的扩散式气液固三相微反应器
KR20200010949A (ko) * 2018-07-23 2020-01-3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모듈형 개질 반응 장치
KR20210083152A (ko) * 2019-12-26 2021-07-06 (주)신넥앤테크 판형 구조의 연료 개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119A (ja) *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改質装置
KR100667281B1 (ko) * 2005-07-19 2007-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말의 표면코팅을 위한 코팅 장치
KR20070012476A (ko) * 2005-03-22 2007-01-25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연료 개질 장치
KR101172528B1 (ko) * 2010-04-30 2012-08-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119A (ja) *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改質装置
KR20070012476A (ko) * 2005-03-22 2007-01-25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연료 개질 장치
KR100667281B1 (ko) * 2005-07-19 2007-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말의 표면코팅을 위한 코팅 장치
KR101172528B1 (ko) * 2010-04-30 2012-08-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생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949A (ko) * 2018-07-23 2020-01-3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모듈형 개질 반응 장치
CN110614070A (zh) * 2019-10-09 2019-12-27 重庆大学 具有多孔泡沫载体结构的扩散式气液固三相微反应器
KR20210083152A (ko) * 2019-12-26 2021-07-06 (주)신넥앤테크 판형 구조의 연료 개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026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804B1 (ko)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기동 방법
CN100446324C (zh) 燃料电池系统的重整器
AU2014346711B2 (en) Liquid fuel reformer including a vaporizer and method of reforming liquid reformable fuel
JP5820873B2 (ja) 高温燃料電池を有するシステム
JP6283269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6204605B2 (ja) 液体及びガス状の燃料両用の改質器及び改質方法
JP5292667B2 (ja) 蒸発ガスの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WO2005001003A2 (en) Simplified three-stage fuel processor
JP2008524817A (ja) 燃料電池改質器
JP2017105695A (ja) 水素生成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90258259A1 (en) Catalytic heat exchangers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1870026B1 (ko) 액체탄화수소 연료 개질용 반응기
JP6477889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JP6280431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4614515B2 (ja) 燃料電池用の改質装置
KR101422316B1 (ko) 개질기 및 간접 내부 개질 형 고온 형 연료전지.
WO2015198186A1 (en) An autothermal reformer reactor and a feeding system thereof
KR100599382B1 (ko) 균일가열을 위한 미세유로 가열기
WO2005077820A1 (ja) 燃料改質装置
JP2008247697A (ja) 改質装置
JP2019099443A (ja) 水素生成装置
JP5244488B2 (ja) 燃料電池用改質器
JP2005216615A (ja) 燃料処理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7320321B2 (ja) ガス相発熱反応開始用点火器付き多管状化学反応器
JP2009067645A (ja) 水素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