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02A -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02A
KR20180001902A KR1020160080990A KR20160080990A KR20180001902A KR 20180001902 A KR20180001902 A KR 20180001902A KR 1020160080990 A KR1020160080990 A KR 1020160080990A KR 20160080990 A KR20160080990 A KR 20160080990A KR 20180001902 A KR20180001902 A KR 2018000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ater
housing part
opening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석
정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6008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902A/ko
Publication of KR2018000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수가 유동하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용수에 용해되는 용해성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용출홀이 형성되는 용해성분수용부 및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상기 용출홀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용수의 유동에 의해 저항을 받아 이동하며 상기 용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의 특정성분 제거를 위한 용해성분을 용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만 용출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다양한 액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용수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수도물의 소독처리과정에서 포함되는 잔류염소 성분은 피부노화, 두피건조 등 사용자의 피부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수도물의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용수 내부의 특정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수에 특정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성분을 용해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방법은 용수가 공급되는 경로의 중간에 제거성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배치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용수가 공급되는 경로 내부에서 제거성분이 용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거성분이 빠르게 소진되어 지속시간 및 교체주기가 짧아지게 되어, 제거성분의 충전 또는 교환에 비용 및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수가 공급되는 경우의 중간에서 지속적으로 용출되는 부위에서 제거성분의 농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어, 이후 사용자가 용수를 사용할 때 공급받는 용수는 내부에 포함되는 제거성분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수가 공급되는 동안에만 제거성분을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용수의 유동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및 선택적으로 제거성분을 배출하는 밸브 등의 구성이 필요하게 되어, 그 구성을 제조 및 관리하는데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수의 특정성분 제거를 위한 용해성분을 용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만 용출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용수가 유동하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용수에 용해되는 용해성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용출홀이 형성되는 용해성분수용부 및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상기 용출홀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용수의 유동에 의해 저항을 받아 이동하며 상기 용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용출홀을 덮는 저항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플레이트는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용해성분이 상기 용수 내부의 염소 성분을 제거하는 염소제거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소제거성분은 비타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는 일측에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며, 측부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상기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연통홀에 침전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게 상기 개폐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용수의 특정성분을 제거하는 용해성분을 용수에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용해성분을 용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만 용출시켜, 용해성분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용수에 일정한 농도의 용해성분을 지속적으로 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이 용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이 용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이 용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실시예는 용수의 특정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해성분을 용출시키기는 구성으로, 유로(100), 용해성분수용부(200) 및 개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00)는 용수가 유동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연수기에 공급되는 수도물이 유동하는 파이프의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유로(100)의 구성은 내부에 유동하는 용수의 압력 및 온도 등과 같은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용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구성한다면 그 형태 및 소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용해성분수용부(200)는 용수 내부의 특정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해성문(V)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용수에 용해되는 용해성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용해성분(V)은 용수 내부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도물 내부의 염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염소제거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소제거성분은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해성분(V)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용수 내부의 특정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용수에 섞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용해성분수용부(200)는 수용공간(210)에 구비되는 용해성분(V)이 용수와 접촉하여 용해되고, 유로(100)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에 공급될 수 있도록,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일측에 수용공간(210)과 연통되는 용출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1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용수의 일부가 용출홀(220)을 통해 용해성분수용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용해성분(V)과 접촉하며 용해성분(V)이 용수내부로 공급되고, 용수의 내부로 용해된 용해성분(V)이 용출홀(220)을 통해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외부로 빠져나와 유로(100)를 따라 용수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성분(V)을 통해 용수 내부의 특정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용해성분수용부(200)는 유로(1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용수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유로(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이때 용해성분수용부(200)가 용수의 유동을 차단하지 않도록, 유로(100)의 내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유로(100)의 내부에서 용수가 유동함과 동시에, 용수의 내부에 용해성분(V)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개폐부(300)는 전술한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용출홀(2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용출홀(220)을 폐쇄할 수 있도록 용출홀(220)과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00)는 용수의 유동에 의해 저항을 받도록 형성되어, 평소에는 용출홀(220)에 접하여 용출홀(220)을 폐쇄하고 있다가 용수의 유동저항에 의해 이동하며 용출홀(220)을 오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300)는 고정유닛(310) 및 저항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310)은 전술한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저항플레이트(320)와 결합되어 저항플레이트(320)가 용해성분수용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항플레이트(320)는 전술한 고정유닛(310)에 결합되며, 용해성분수용부(200)에 형성된 용출홀(220)을 덮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플레이트(320)는 일면이 유로(100)의 내부에서 용수가 유동하며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용수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용수의 유동저항을 받은 저항플레이트(320)는 용수의 유동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고정유닛(310)과 결합된 부위는 고정유닛(310)에 의해 용해성분수용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저항플레이트(320)는 용수의 유동방향을 향해 휘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며,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용출홀(22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용해성분수용부(200) 및 개폐부(300)는 유로(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외측부를 통해 용수가 유동하므로, 저항플레이트(320)는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저항플레이트(320)의 외측부가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용수의 유동저항을 보다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의 개폐부(30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탄성소재의 개폐부(300)는 저항플레이트(320)가 용수의 유동저항에 의해 휘어졌다가, 용수의 유동이 멈춘 이후에는 저항플레이트(320)가 다시 본래 형태로 돌아오며 용해성분수용부(200)의 용출홀(220)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용수가 유동하는 동안에만 용출홀(220)이 개방되어 용해성분수용부(200) 내부에 수용된 용해성분(V)이 용출되므로, 용해성분(V)이 유로(100)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성분(V)의 사용량을 절약하여, 용해성분(V)의 사용기간 및 교체주기를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수가 유동하지 않는 동안 용해성분(V)이 지속적으로 용해되어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용수가 유동하는 동안에만 지속적으로 용해성분(V)을 용해시키므로, 일정한 농도의 용해성분(V)을 용출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이 용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용수의 특정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해성분을 용출시키기는 구성으로, 유로(400), 용해성분수용부(500) 및 개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해성분수용부(500) 및 개폐부(600)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1 실시예의 용해성분수용부(200) 및 개폐부(3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로(4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로(100)와 유사하게 용수가 유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유로(400)는 연수기에 공급되는 수도물을 처리하는 필터의 구성으로, 제1 하우징부(410) 및 제2 하우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제2 실시예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측에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412)는 용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아 내부공간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부(420)는 전술한 제1 하우징부(410)의 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측부가 연통되는 연통홀(4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술한 제1 하우징부(410)의 유입구(4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구(4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체 필터장치의 일측에 유입구(412) 및 배출구(426)가 함께 형성되며, 배출구(426)는 유입구(41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유입구(412) 및 배출구(426)의 사이 공간을 통해 용수가 유입되고, 배출구(426) 내측의 공간을 통해 용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412) 및 배출구(426)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용수는, 제1 하우징부(410) 및 제2 하우징부(420)가 이격되어 배치된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하며 제1 하우징부(4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제2 하우징부(420)의 측부에 형성되는 연통홀(422)을 통해 제2 하우징부(4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부(420)는 연통홀(422)에 침전물필터(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를 이용하여 용수 내부의 특정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용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수용부(500)는 전술한 제2 하우징부(4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 하우징부(4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용수의 특정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4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용수는 배출구(426)가 형성된 일측을 향해 유동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용해성분수용부(500)는 개폐부(600)가 배출구(426)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개폐부(600)는 용수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용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만 용해성분수용부(500)의 용출홀(520)을 개방하여 용해성분(V)을 용출시킬 수 있다.
용해성분(V)이 용출되는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는, 간단한 필터의 결합을 통해, 연수기에 공급되는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수 내부의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수가 유동하는 동안에만 용해성분(V)이 용출되므로, 용해성분(V)이 필터장치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성분(V)의 사용량을 절약하여, 용해성분(V)의 사용기간 및 교체주기를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수가 유동하지 않는 동안 용해성분(V)이 지속적으로 용해되어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용수가 유동하는 동안에만 지속적으로 용해성분(V)을 용해시키므로, 일정한 농도의 용해성분(V)을 용출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400 : 유로
410 : 제1 하우징부
412 : 유입구
420 : 제2 하우징부
422 : 연통홀
424 : 침전물필터
426 : 배출구
200, 500 : 용해성분수용부
210, 510 : 수용공간
220, 520 : 용출홀
300, 600 : 개폐부
310, 610 : 고정유닛
320, 620 : 저항플레이트

Claims (9)

  1. 용수가 유동하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용수에 용해되는 용해성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용출홀이 형성되는 용해성분수용부; 및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상기 용출홀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용수의 유동에 의해 저항을 받아 이동하며 상기 용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용출홀을 덮는 저항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플레이트는,
    상기 용해성분수용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필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필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용해성분이 상기 용수 내부의 염소 성분을 제거하는 염소제거성분을 포함하는 필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제거성분은,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일측에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며, 측부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유입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상기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연통홀에 침전물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성분수용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게 상기 개폐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필터장치.
KR1020160080990A 2016-06-28 2016-06-28 필터장치 KR20180001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90A KR20180001902A (ko) 2016-06-28 2016-06-28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90A KR20180001902A (ko) 2016-06-28 2016-06-28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02A true KR20180001902A (ko) 2018-01-05

Family

ID=6100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990A KR20180001902A (ko) 2016-06-28 2016-06-28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9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516B1 (ko) * 2018-11-09 2019-10-21 (주)엠큐더블유 비타민을 공급하는 워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516B1 (ko) * 2018-11-09 2019-10-21 (주)엠큐더블유 비타민을 공급하는 워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45772A1 (en) Detergent dispenser
KR102177529B1 (ko)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ES2699583T3 (es) Máquina de preparación de bebidas y procedimiento para hacer funcionar una máquina de preparación de bebidas
WO2020016851A2 (en) Device for distributing polyphosphat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a heating system
KR20180001902A (ko) 필터장치
MX2009008672A (es) Dispositivo para tratar agua particularmente un dispositivo de filtracion, y cartucho.
CN109701968B (zh) 电子座便器的除垢装置、系统、及除垢方法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KR102626636B1 (ko) 비데용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0922592B1 (ko)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KR102020481B1 (ko)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CN215410336U (zh) 阻垢除垢模块、阻垢除垢淋浴设备及阻垢除垢淋浴龙头
KR101852064B1 (ko) 정수필터장치
JP2016182264A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KR101774908B1 (ko)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JP3928465B2 (ja) 給湯装置
CN110878579B (zh) 电子座便器的除垢装置、系统、及除垢方法
CN216890332U (zh) 阻垢除垢出水装置
CN210170990U (zh) 一种改进型过滤器
CN216337007U (zh) 管道功能性模块
KR20230116298A (ko)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KR100928237B1 (ko) 액체물질의 소모량을 조절하는 필터
JP4832993B2 (ja) 洗浄便座用ホース
KR20130076176A (ko) 용출조절장치
CN208551581U (zh) 缓释结构和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