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08B1 -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 Google Patents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08B1
KR101774908B1 KR1020160183722A KR20160183722A KR101774908B1 KR 101774908 B1 KR101774908 B1 KR 101774908B1 KR 1020160183722 A KR1020160183722 A KR 1020160183722A KR 20160183722 A KR20160183722 A KR 20160183722A KR 101774908 B1 KR101774908 B1 KR 10177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main body
filter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16018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5/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정수필터와 이들을 연결하는 호스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도록 마련된 컴팩트형 본체를 샤워실 내벽에 간단히 부착하고 상수도에 직결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기 용이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샤워실 내벽 일지점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이 장착되는 필터실을 구비하고, 그 필터실을 전면에서 개폐하는 전면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면 내부에서 정수필터들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필터로 안내하는 인입호스와,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수돗물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인출호스와; 상기 본체 케이싱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는 인입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호스를 통해 수도와 직결되어 수돗물이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와, 상단부가 인출용 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샤워헤드와 연결되어 정수된 수돗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입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필터실에 장착되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은 상기 인입호스와 인출호스에 의해 병렬연결되어 다량의 수돗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SELF-REPLACEABLE WATER PURIFICATION SHOWER WITH DIRECT CONNECTION TO THE WATER SUPPLY}
본 발명은 정수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정수필터와 이들을 연결하는 호스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도록 마련된 컴팩트형 본체를 샤워실 내벽에 간단히 부착하고 상수도에 직결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한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 된 관을 통한 압송 및 수질 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이나 납, 아연, 수은 등 각종 중금속 이온도 함유되었는데, 이러한 수돗물을 피부 세척 시에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 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이 마실 음용수를 위해 정수하는 정수기와 달리 연수기는 인체 피부에 민감한 금속성 물질과 목욕시 불쾌감을 내는 석회성분, 기타 경수 성분을 제거하므로 온천욕을 하는 것처럼 부드럽고 깨끗한 물을 재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각 가정에서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47152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샤워기(40)에 직결되는 자동재생 연수기(10)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는 제품 규격에 별다른 제한 없이도 수전구(28)와 샤워기(40) 사이에 단일 배관라인으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생통(24)의 이온교환수지를 정확한 재생시점에 자동으로 재생 처리시킬 수 있으면서 선택한 해당 온도에 도달되는 연수 처리된 냉수 및 온수의 배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제품 기능 및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연수기는 직수라인(30)으로부터 재생통(24) 및 연수통(26a,26b)을 거쳐 샤워기(40)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배관의 설치가 불가피하여 숙련된 전문 인력의 도움을 받아야 하였으며 재생통(24) 및 연수통(26a,26b)을 교체하는 작업 조차도 사용자가 직접 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47152호(2004.06.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정수필터와 이들을 연결하는 호스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도록 마련된 컴팩트형 본체를 샤워실 내벽에 간단히 부착하고 상수도에 직결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한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는, 샤워실 내벽 일지점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이 장착되는 필터실을 구비하고, 그 필터실을 전면에서 개폐하는 전면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면 내부에서 정수필터들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필터로 안내하는 인입호스(H1,H1a,H1b,H1c)와,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수돗물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인출호스(H2,H2a,H2b,H2c)와; 상기 본체 케이싱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는 인입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호스를 통해 수도와 직결되어 수돗물이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와, 상단부가 인출용 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샤워헤드와 연결되어 정수된 수돗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입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필터실에 장착되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은 상기 인입호스(H1,H1a,H1b,H1c)와 인출호스(H2,H2a,H2b,H2c)에 의해 병렬연결되어 다량의 수돗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필터실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필터실을 개폐하는 전면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부착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샤워실 내벽에 설치되는 걸쇠가 인입되도록 한 복수의 인입장공을 구비한 후면커버로 이루어지되, 후면커버의 인입장공을 통해 인입되는 샤워실 벽체의 걸쇠에 의해 걸쳐져서 지지되는 걸이장공을 구비한 보강지지판과,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호스 및 인출호스의 분기된 부위를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지지하는 호스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호스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입출모듈의 유입부에 연결된 후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1합기호스와, 상기 제1합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 입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1분기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호스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입출모듈의 유출부에 연결된 후 상기 본체 케이싱 타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정된 제2합기호스와, 상기 제2합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 출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2분기호스로 이루어지며, 분기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분기호스와 제2분기호스는 상기 호스지지판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모듈의 유입부와 유출부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져 좌우에 나란히 배치되되 브릿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며, 상기 유입부 내부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정수필터를 향해 수돗물을 압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유출부 내부에는 수질 개선을 위한 약액을 수용하고 있으면서 정수필터로부터 정수되어 나오는 수돗물에 미량 유출하여 첨가하는 원통형 약액카트리지가 교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카트리지는 약액으로 비타민 수용액을 수용하는 비타민 단위카트리지와, 약액으로 솔트(salt) 수용액을 수용하는 솔트 단위카트리지, 약액으로 아로마 수용액을 수용하는 아로마 단위카트리지, 약액으로 콜라겐 수용액을 담은 콜라겐 단위카트리지가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카트리지들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내부 수용된 약액이 미량 유출되도록 약액 유출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카트리지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약액들이 동시에 유출되어 수돗물에 복합적으로 첨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카트리지 중 비타민 단위카트리지와, 솔트 단위카트리지에는 약액 유출공이 형성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흐름을 불규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약액의 유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모듈의 유출부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워헤드의 손잡이 내부에는 비타민과 아로마 향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액을 수돗물에 유출하여 첨가하는 약액필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는 복수의 정수필터와 이들을 연결하는 호스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도록 마련된 소형의 컴팩트형 본체를 샤워실 내벽에 간단히 부착하고 상수도에 직결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전면커버를 열어서 필터실 내에 장착된 정수필터들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본체 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본체 케이싱의 필터실에 장착된 필터의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의 후면 개방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인입호스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개방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인출호스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개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약액 카트리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샤워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는 컴팩트하게 구성된 본체(100)를 샤워실 또는 욕실 내벽에 간단히 걸쳐 지지한 상태로 수도와 직결하여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는 일반 수돗물을 피부 건강과 심신에 좋은 샤워수로 변화시켜주며 전용의 샤워헤드(150)를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일반 샤워헤드를 사용하여 간단히 샤워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 샤워기는 본체(100)가 샤워실 또는 욕실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 사용자가 전면 커버만을 벗겨내는 방법으로 정수필터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도 매우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본체 케이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본체 케이싱의 필터실에 장착된 필터의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의 후면 개방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인입호스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개방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인출호스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개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약액 카트리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서 샤워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는 본체(100)를 이루고 있는 케이싱(110),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 입출모듈(120)과, 구동모터(130)와, 샤워헤드(150)를 포함하여 매우 컴팩트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술된 것처럼 배관설비와 같이 난해한 설치작업 없이 본체(100)를 간단히 벽체에 걸고 규격화된 호스를 연결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정수필터(F1)로 병렬로 연결하는 내부 구성에 의해 정수필터(F1)를 경유하는 물의 양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필터(F1)의 사용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샤워기에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샤워실 또는 욕실 내벽 일지점에 장착되며, 정수필터(F1)들과 상기 정수필터(F1)로 연결되는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11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실(111)이 형성된 본체부(111)와, 상기 본체부(1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필터실(111)을 개폐하는 전면커버(110c)와, 상기 본체부(111)의 후면에 부착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샤워실 내벽에 설치되는 걸쇠가 인입되도록 한 복수의 인입장공(112)을 구비한 후면커버(11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에 더해 후면커버(110b)의 인입장공(112)을 통해 인입되는 샤워실 벽체의 걸쇠에 의해 걸쳐져서 지지되는 걸이장공(116a)을 구비한 보강지지판(116)과, 상기 본체부(111)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의 분기된 부위를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지지하는 호스지지판(11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1)에 형성된 필터실(111)에는 정수필터(F1)를 간단히 빌트인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114)를 구비하고 있고, 정수필터(F1)와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 간 연결을 위한 개구부(111a)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지지판(116)은 본체(100) 전체의 중량을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스지지판(115)은 본체(100)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후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의 분기된 부위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안착부위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호스(H1,H1a,H1b,H1c)와 인출호스(H2,H2a,H2b,H2c)는 전술된 것처럼 상기 케이싱(110)의 후면 내부에서 정수필터(F1)들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필터(F1)로 안내하고, 정수필터(F1)에서 정수된 수돗물은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인입호스(H1,H1a,H1b,H1c)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서 입출모듈(120)의 유입부(121)에 연결된 후 상기 케이싱(110) 일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1합기호스(H1)와, 상기 제1합기호스(H1)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F1) 입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1분기호스(H1a,H1b,H1c)로 이루어진다. 도면상 상기 제1분기호스(H1a,H1b,H1c)는 3개로 분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착되는 필터의 개수에 따라 분기되는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되는 필터가 4개이면 4개로 분할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출호스(H2,H2a,H2b,H2c)는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서 상기 입출모듈(120)의 유출부(124)에 연결된 후 상기 케이싱(110) 타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정된 제2합기호스(H2)와, 상기 제2합기호스(H2)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F1) 출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2분기호스(H2a,H2b,H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분기호스(H2a,H2b,H2c)의 경우에도 도면상 3개로 분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착되는 필터의 개수에 따라 분기되는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것은 상기 필터들이 인입호스(H1,H1a,H1b,H1c) 및 인출호스(H2,H2a,H2b,H2c)들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지 않고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병렬연결 구성에 의해 대용량의 정수필터(F1)를 장착하지 않아도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수돗물을 정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기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분기호스(H1a,H1b,H1c)와 제2분기호스(H2a,H2b,H2c)는 상기 호스지지판(115)의 안착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후 폭을 최소화였다.
상기 입출모듈(120)은 컴팩트한 소형의 크기로 구성되는 본체(10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된 독특한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입출모듈(120)은 상기 케이싱(110)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는 제1합기호스(H1)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호스를 통해 수도와 직결되어 수돗물이 상기 케이싱(11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유입부(121)와, 상단부가 제2합기호스(H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샤워헤드와 연결되어 정수된 수돗물을 유출시키는 원통형의 유출부(124)와, 이들 유입부(121)와 유출부(124)를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는 브릿지부(1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출모듈(120)의 유입부(121) 내부에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정수필터(F1)를 향해 수돗물을 압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루(123)가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돗물 자체 수압이 약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스크루(123)를 회전시키면서 정수필터(F1)로 향하는 수돗물의 수압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크루(123)는 상기 유입부(121) 내경에 비해 좁은 폭을 갖는 것을 구비하며, 수돗물 자체 수압이 강하여 불필요한 경우에는 도 5a 도시된 제1캡(121a)을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유입부(121)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입출모듈(120)의 유출부(124) 내부에는 수질 개선을 위한 약액을 수용하고 있으면서 정수필터(F1)로부터 정수된 수돗물에 유출하여 첨가시키는 교체식의 약액카트리지(14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약액카트리지(140)는 상기 유출부(124) 몸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와 하단부에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돌기(142a)와 끼움홈(142b)을 구비한 복수의 단위카트리지(140a,140b,140C,140d)가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단위카트리지(140a,140b,140C,140d) 각각의 외주면에는 수용된 약액이 흘러나오는 약액 유출공(141a)이 형성되어 여러 종류의 약액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유출하여 수돗물에 복합적으로 첨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이 단위카트리지(140a,140b,140C,140d)들이 조합되어 약액카트리지(40)를 이루는 구성에 의하면 빌트인 방식에 의하면 첨가하려는 약액의 종류가 여러 가지 이거나 특정 약액의 유출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비타민 수용액을 수용하는 비타민 단위카트리지(140a), 솔트 수용액을 수용하는 솔트(salt) 단위카트리지(140b), 아로마 수용액을 수용하는 아로마 단위카트리지(140c), 콜라겐 수용액을 수용하는 콜라겐 단위카트리지(140d)가 조합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위카트리지 중 비타민 단위카트리지(140a), 솔트 단위카트리지(140b)에는 약액 유출공(141a)이 형성된 외주면에 나선(143)이 형성되어 정수된 수돗물에 대하여 유속과 방향에 불규칙적인 변화를 주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나선(143)이 형성되지 않은 아로마 단위카트리지(140c), 콜라겐 단위카트리지(140d) 비해 내부에 수용된 약액의 유출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유출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자 하는 특정 약액의 경우 나선(143) 형성된 단위카트리지에 수용하는 방법으로 유출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샤워헤드(150)는 상기 입출모듈(120)의 유출부(124)에 연결되어 정수된 수돗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샤워헤드(150)의 손잡이(152) 내부에는 비타민과 아로마 향을 성분으로 하는 약액을 수용하고 있는 약액필터(153)가 장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케이싱 110a : 본체부
110b : 후면커버 110c : 전면커버
111 : 필터실 112 : 인입장공
115 : 호스지지판 116 : 보강지지판
116a : 걸이장공 120 : 입출모듈
121 : 유입부 122 : 연결관
123 : 스크루 124 : 유출부
130 : 구동모터 140 : 약액카트리지
150 : 샤워 헤드 151 : 분사공
152 : 손잡이 153 : 약액필터

Claims (10)

  1. 샤워실 내벽 일지점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이 장착되는 필터실을 구비하고, 그 필터실을 전면에서 개폐하는 전면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면 내부에서 정수필터들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필터로 안내하는 인입호스와,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수돗물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인출호스와; 상기 본체 케이싱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는 인입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호스를 통해 수도와 직결되어 수돗물이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와, 상단부가 인출용 호스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샤워헤드와 연결되어 정수된 수돗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입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필터실에 장착되는 복수의 정수필터들은 상기 인입호스와 인출호스에 의해 병렬연결되어 다량의 수돗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필터실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필터실을 개폐하는 전면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부착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샤워실 내벽에 설치되는 걸쇠가 인입되도록 한 복수의 인입장공을 구비한 후면커버로 이루어지되, 후면커버의 인입장공을 통해 인입되는 샤워실 벽체의 걸쇠에 의해 걸쳐져서 지지되는 걸이장공을 구비한 보강지지판과,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호스 및 인출호스의 분기된 부위를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지지하는 호스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호스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입출모듈의 유입부에 연결된 후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1합기호스와, 상기 제1합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 입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1분기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호스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입출모듈의 유출부에 연결된 후 상기 본체 케이싱 타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정된 제2합기호스와, 상기 제2합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정수필터 출구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분기된 형태의 제2분기호스로 이루어지며, 분기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분기호스와 제2분기호스는 상기 호스지지판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입출모듈의 유입부와 유출부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져 좌우에 나란히 배치되되 브릿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며, 상기 유출부 내부에는 수질 개선을 위한 약액을 수용하고 있으면서 정수필터로부터 정수되어 나오는 수돗물에 미량 유출하여 첨가하는 원통형 약액카트리지가 교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카트리지는 복수의 단위카트리지가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카트리지들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내부 수용된 약액이 미량 유출되도록 약액 유출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카트리지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약액들이 동시에 유출되어 수돗물에 복합적으로 첨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카트리지는 약액으로 비타민 수용액을 수용하는 비타민 단위카트리지와, 약액으로 솔트(salt) 수용액을 수용하는 솔트 단위카트리지, 약액으로 아로마 수용액을 수용하는 아로마 단위카트리지, 약액으로 콜라겐 수용액을 담은 콜라겐 단위카트리지가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카트리지 중 비타민 단위카트리지와, 솔트 단위카트리지에는 약액 유출공이 형성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흐름을 불규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약액의 유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모듈의 유출부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워헤드의 손잡이 내부에는 비타민과 아로마 향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액을 수돗물에 유출하여 첨가하는 약액필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KR1020160183722A 2016-12-30 2016-12-30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KR10177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22A KR101774908B1 (ko) 2016-12-30 2016-12-30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22A KR101774908B1 (ko) 2016-12-30 2016-12-30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08B1 true KR101774908B1 (ko) 2017-09-05

Family

ID=5992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722A KR101774908B1 (ko) 2016-12-30 2016-12-30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49B1 (ko) * 2019-09-03 2020-07-21 주식회사 위가메이드 싱크대 수전용 언더싱크 정수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95A (ja) * 1999-10-21 2001-07-10 Kao Corp シャワー用具
JP2008138380A (ja) * 2006-11-30 2008-06-19 Kvk Corp カバー水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95A (ja) * 1999-10-21 2001-07-10 Kao Corp シャワー用具
JP2008138380A (ja) * 2006-11-30 2008-06-19 Kvk Corp カバー水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49B1 (ko) * 2019-09-03 2020-07-21 주식회사 위가메이드 싱크대 수전용 언더싱크 정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WO2019228398A1 (zh) 水处理机及其机体
KR101774908B1 (ko)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KR102135849B1 (ko) 싱크대 수전용 언더싱크 정수시스템
CN210764688U (zh) 水处理机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CN215756572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逆流控制阀
IT201900007668A1 (it) Dispositivo mini addolcitore per lavabiancheria
KR102414748B1 (ko) 필터 교체 관리 효율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킨 수전금구
CN214233086U (zh) 用于龙头净水器的过滤装置
KR100319240B1 (ko) 염소 제거기능 및 역세척 기능과 원수압 차단기능을 가진 연수기
JP2002011463A (ja) 浄水器
JP4063611B2 (ja) 浄水機能付水道用コンセント
KR20100035390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CN217056440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
CN110594450A (zh) 一种无压水龙头及自动皂液器装置
CN215127803U (zh) 一种带滤水装置的淋浴屏
KR100396904B1 (ko) 연수기
CN213433319U (zh) 龙头净水器
KR101739090B1 (ko) 휴대용 연수 모듈
CN217464903U (zh) 一种热水器进水装置
KR20180099345A (ko) 급수전
JPH10174967A (ja) 水道水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1217606B1 (ko) 2중 필터링 일체형 정수장치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