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45A - 급수전 - Google Patents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45A
KR20180099345A KR1020170026676A KR20170026676A KR20180099345A KR 20180099345 A KR20180099345 A KR 20180099345A KR 1020170026676 A KR1020170026676 A KR 1020170026676A KR 20170026676 A KR20170026676 A KR 20170026676A KR 20180099345 A KR20180099345 A KR 20180099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inner cover
water outlet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345A/ko
Publication of KR2018009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전에서 출수부 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들어오기 위한 입수부와 그 물이 외부로 나가기 위한 출수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커버 및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전 {WATER TAP}
본 발명은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전에서 출수부 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1930호에는 정수기용 급수전이 개시되어 있다.
요컨대 급수전의 한쪽 단부는 정수기의 본체에 연결되고 그 반대쪽 단부는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물이 급수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급수전의 내부가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세균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그러면 급수전을 따라 흐르는 물, 즉 사용자가 음용할 물도 함께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급수전의 외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급수전의 외부도 각종 세균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급수전의 외관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그 오염이 내부로 점차 확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급수전을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되는데, 통상적으로 급수전이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사용자가 급수전의 내부까지 세척하기는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오염된 부위에 무관하게 급수전 전체를 교체해야 되기 때문에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121930 Y1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내부와 외부의 청결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급수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들어오기 위한 입수부와 그 물이 외부로 나가기 위한 출수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커버 및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에 더 가까운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측 커버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턱은 상기 출수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고리 형상의 내경이 상기 입수부 측으로부터 상기 출수부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턱과 상기 내측 커버는 서로 접하는 지점의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에 더 가까운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측 커버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으로부터 더 먼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측 커버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출수부와 상기 내측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출수부와 상기 외측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내측 커버를 통해 출수부의 내부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측 커버를 통해 출수부의 외부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수부의 내부와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가 오염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에서 바디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에서 바디(1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급수전(100)은 바디(110), 내측 커버(120) 및 외측 커버(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관 형상의 한쪽 단부(110a)(이하 "입수부"라 함)는 예컨대 정수기나 냉온수기 등과 같은 취수 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그 반대쪽 단부(110b)(이하 "출수부"라 함)는 외부로 개구된다. 따라서 취수 장치의 물은 입수부(110a)를 통해 바디(110)의 내부로 들어와 출수부(1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바디(110)는 물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출수부(110b)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전체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내측 커버(120)는 바디(110)의 출수부(110b)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 커버(120)도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경이 출수부(110b)의 내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120)는 출수부(110b)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내측 커버(120)가 출수부(110b)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110b)는 내측 커버(12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끝단 부분의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내측 커버(120)는 출수부(110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출수부(110a)는 외부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세균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더욱이 출수부(110a)의 내부가 오염될 경우, 통상적으로 출수부(110b)가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사용자가 출수부(110b)의 내부를 세척하거나 청결하게 유지하기에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120)가 출수부(110b)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면, 출수부(110b)의 내부가 내측 커버(120)에 의해 가려져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출수부(110b)의 내부가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내측 커버(120)가 오염될 경우에도, 내측 커버(120)는 출수부(110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기존의 내측 커버(120)를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새로운 내측 커버(120)로 교체하기만 함으로써 출수부(110b)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외측 커버(130)는 바디(110)의 출수부(110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외측 커버(130)도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경이 출수부(110b)의 외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130)는 출수부(110b)의 외측에 결합된다. 특히 외측 커버(130)는 출수부(110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출수부(110b)의 외주면과 외측 커버(130)의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출수부(110b)의 외부가 외측 커버(130)에 의해 가려져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출수부(110b)의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130)가 오염될 경우에도 단순히 기존의 외측 커버(130)를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새로운 외측 커버(130)로 교체하기만 함으로써 출수부(110b)의 외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디(110), 내측 커버(120) 및 외측 커버(130)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바디(110)의 내주면에는 출수부(110b)의 끝단으로부터 특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수부(110b)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제1 걸림 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내측 커버(120)가 출수부(110b)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때 그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120) 중 입수부(110a) 측에 더 가까운 끝단(이하 편의상 이를 "일단"이라 하고, 그 반대측 끝단을 "타단"이라 함)이 제1 걸림 턱(111)에 접할 때까지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내측 커버(12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내측 커버(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 턱(121)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제2 걸림 턱(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커버(120)의 상기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커버(120)는 제2 걸림 턱(121)이 출수부(110b)의 끝단에 접할 때까지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12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 턱(111)은 출수부(110b)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 고리 형상의 내경은 입수부(110a) 측으로부터 출수부(110b) 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 제1 걸림 턱(111)과 내측 커버(120)가 함께 만나게 되는 지점에서는 그 내경이 서로 동일해질 수 있다.
입수부(110a)를 통해 들어온 물은 제1 걸림 턱(111)에 의해 둘러싸인 가운데의 공간을 지나 출수부(110b)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처럼 제1 걸림 턱(1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면, 그 물이 보다 일정한 흐름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의 외주면에는 출수부(110b)의 끝단으로부터 입수부(110a) 측으로 특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수부(110b)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 제3 걸림 턱(11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외측 커버(130)가 나사산을 통해 출수부(110a)에 결합될 때 그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외측 커버(130)가 제3 걸림 턱(112)에 접할 때까지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외측 커버(130)의 결합 위치를 적절하게 한정할 수 있다.
이때 외측 커버(130)의 내주면에는 내측 커버(120)가 출수부(110b)로부터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한 제4 걸림 턱(13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4 걸림 턱(131)은 내측 커버(120)의 상기 타단을 떠받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 커버(120)의 제3 걸림 턱(112)을 떠받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제4 걸림 턱(131)이 내측 커버(120)의 제3 걸림 턱(112)을 떠받치도록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출수부(110b)의 내주면과 내측 커버(1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등과 같은, 다시 말해 내측 커버(120)를 출수부(110b) 상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더라도 제4 걸림 턱(131)을 통해 내측 커버(120)를 고정할 수 있다. 별도의 가공이 이루어질수록 그 가공된 부분에 물때가 끼거나 기타 이물질이 점착되고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이처럼 출수부(110b)의 내주면과 내측 커버(120)의 외주면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기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수부(110b)와 내측 커버(120) 사이에, 그리고 출수부(110b)와 외측 커버(130) 사이에는 오링(O)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출수부(110b)와 내측 커버(120) 사이의 틈으로, 그리고 출수부(110b)와 외측 커버(130) 사이의 틈으로 물이 의도치 않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들어오기 위한 입수부와 그 물이 외부로 나가기 위한 출수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커버 및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급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에 더 가까운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측 커버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급수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은 상기 출수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고리 형상의 내경이 상기 입수부 측으로부터 상기 출수부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급수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과 상기 내측 커버는 서로 접하는 지점의 내경이 동일한 급수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에 더 가까운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측 커버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급수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급수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커버 중 상기 입수부 측으로부터 더 먼 끝단에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내측 커버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되는 급수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출수부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릴 수 있는 급수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출수부와 상기 내측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급수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출수부와 상기 외측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급수전.
KR1020170026676A 2017-02-28 2017-02-28 급수전 KR20180099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6A KR20180099345A (ko) 2017-02-28 2017-02-28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6A KR20180099345A (ko) 2017-02-28 2017-02-28 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45A true KR20180099345A (ko) 2018-09-05

Family

ID=6359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76A KR20180099345A (ko) 2017-02-28 2017-02-28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71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71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9064A1 (en) Pool pump with multiple outlets
KR101843317B1 (ko) 샤워헤드 연결용 꼬임 방지기구
TR201815741T4 (tr) Sihhi̇ ek.
KR20180099345A (ko) 급수전
JP2007016454A (ja) 水栓スタンドの浸入水排出構造及び水栓スタンドの水切部材
JP4932794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
JP5302930B2 (ja) 浄水器専用水栓
CN107857404B (zh) 一种水处理装置
JP5310025B2 (ja) 壁付水栓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JP6432215B2 (ja) 水栓装置
CN211395837U (zh) 一种龙头壳体安装结构
JP2007154961A (ja) 二重ホース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処理装置
KR20160118101A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CA2917249A1 (en)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a water powered apparatus to a faucet
KR20160118714A (ko) 두피 관리용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CN109424062A (zh) 一种可杀菌式深层过滤型下水道地漏
JP2020020146A (ja) 水栓用の逆止弁内蔵給水管
JP7263059B2 (ja) 吐水装置
JP2007117563A (ja) 洗面化粧台
CN208668545U (zh) 水槽下水器头子及下水器件
CN213132246U (zh) 一种方便拆卸的外置过滤器
JP2018123627A (ja) 温水洗浄便座用浄水器
KR20170067379A (ko) 수전용 정수기
JP2008095443A (ja) 湯水混合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