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481B1 -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 Google Patents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481B1
KR102020481B1 KR1020170150629A KR20170150629A KR102020481B1 KR 102020481 B1 KR102020481 B1 KR 102020481B1 KR 1020170150629 A KR1020170150629 A KR 1020170150629A KR 20170150629 A KR20170150629 A KR 20170150629A KR 102020481 B1 KR102020481 B1 KR 10202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flow
capsule
sal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412A (ko
Inventor
박일주
전광식
전영삼
홍석준
Original Assignee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81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22 priority patent/WO2019093843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58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by means of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08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12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61M2205/12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incorporat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10Equipment for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는 염수캡슐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고, 콧구멍을 세정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세정 후 배출된 염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로서, 내부에 염수가 구비되도록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수납부가 형성된 염수탱크,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도록 염수캡슐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도록 구비된 코세척부, 상기 코세척부와 염수탱크의 측면 사이 결합되어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역세정밸브, 상기 염수탱크에서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염수탱크의 하단에 결합된 구동제어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를 세척된 후 저장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의 하단에 결합된 배수탱크부, 상기 염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서 상기 역세정밸브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부, 상기 역세정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염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 세척을 완료하고 배출되어 상기 배수탱크부로 유동되도록 구비된 염수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NASAL IRRIGATION DEVICE FOR SALINE SOLUTION AND BACK FLUSHING VALVE}
본 발명은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는 염수캡슐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고, 콧구멍을 세정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세정 후 배출된 염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반적으로 황사 미세먼지 방지용 기능성 제품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어 환경오염 관련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비강 세정기 시장은 국내외 시장에 이미 많은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강 세정기는, 전용 비강 생리 식염수를 사용함으로써, 코피, 후각저하, 미각저하 등 증상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비염 치료 시 수행되는 비강 세정은,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할 경우 수술을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비강 세정기를 이용하면 약물치료 또는 수술을 하지 않고도 비강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793호(발명의 명칭: 코 세척기,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서는, 내부에 세척액이 담기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 본체로 구성되는 코 세척기 본체; 상기 하부 본체 안에 담긴 세척액을 세척액 호스를 통해서 분사노즐로 분출하도록 상기 코 세척기 본체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세척액 펌프; 및 상기 상부 본체를 덮는 코 세척기 캡;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액 펌프는 상기 상부 본체 안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척액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탄력적으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푸시 로드 외주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상승시 상기 하부 본체 안의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 공간 안으로 흡입하기 위한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실린더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하강시 상기 세척액 공간 안의 세척액을 상기 분사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코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7793호(2013.07.0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는 염수캡슐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고, 콧구멍을 세정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세정 후 배출된 염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는 내부에 염수가 구비되도록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수납부가 형성된 염수탱크,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도록 염수캡슐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도록 구비된 코세척부, 상기 코세척부와 염수탱크의 측면 사이 결합되어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역세정밸브, 상기 염수탱크에서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염수탱크의 하단에 결합된 구동제어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를 세척된 후 저장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의 하단에 결합된 배수탱크부, 상기 염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서 상기 역세정밸브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부, 상기 역세정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염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 세척을 완료하고 배출되어 상기 배수탱크부로 유동되도록 구비된 염수배출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수캡슐부는 내부에 상기 염수캡슐이 장착되도록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결합되는 캡슐바디부, 상기 캡슐바디부의 상면에는 상기 염수캡슐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반원형상의 홈이 구비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염수캡슐 내부의 물질이 상기 염수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염수와 혼합되도록 상기 덮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부와 함께 상기 염수캡슐을 가압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염수추출부 및 상기 캡슐바디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일측의 끝단은 염수캡슐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 절곡되어 상기 염수캡슐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노출되며 타측은 구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접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일측 끝단은 상기 수용부로 수납된 상기 염수캡슐의 하단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와 연결된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염수캡슐의 수용을 구동제어부가 감지하고, 상기 염수캡슐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면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감지부와 연결된 구동제어부가 상기 염수캡슐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염수캡슐부의 하면에 구비된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염수캡슐부를 상기 수납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체결돌기 끝단에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수납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넣는 체결클립이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과 결합되어 돌출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염수가 유동되는 유동관이 형성된 기둥부 및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유지하여 상기 유동관을 통해 유동되는 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타측의 끝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세척부는 사용자의 양쪽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세정밸브는 일측면이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에 결합되어 염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 1 염수유동부,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염수의 유동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코세척부와 결합되어 염수가 공급 및 배출되며,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세척부에 공급되는 염수의 공급 및 배출위치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3 염수유동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부는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1 염수배출홀 및 상기 제 1 염수배출홀과 접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1 염수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염수배출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염수배출홀 측으로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배출홀, 상기 제 1 염수유입홀로부터 염수가 유입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의 외주를 따라 유동되도록 측벽이 형성된 제 1 염수유동홈 및 상기 제 1 염수유동홈의 끝단은 상기 제 1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입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의 중심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염수가 홈을 따라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홈,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 유동홈을 지나 상기 제 1 코세척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1염수유동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염수유동홀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1 코세척부를 지나 사용자의 콧구멍을 세척하며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상기 제 2 코세척부로 배출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염수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의 중심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홈,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홀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코세척부를 지나 사용자의 콧구멍을 세척하며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코세척부로 배출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1염수유동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을 지나 상기 제 2 코세척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2염수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에는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의 외주와 접하며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는 타측면이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의 내주면과 접하여 제 2 염수유동부가 제 1 염수유동부와 제 3 염수유동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제 2 염수유동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는 마주보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염수제어돌기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연통되어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상기 제 3 염수유동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제 1 외주면결합부 및 제 2 외주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염수유동부 및 제 3 염수유동부와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오링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의 내부에는 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센서봉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봉의 일측 끝단은 상기 배수탱크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하면에 노출된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봉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설정된 염수의 수위를 구동제어부가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의 끝단부에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된 세척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세척부재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에 염수를 순환시켜 기기의 내부가 세척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는 염수캡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염수의 염분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콧구멍을 세정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세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세정 후 배출된 염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배출된 염수가 넘치지 않도록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염수캡슐부 및 염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 및 염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부의 저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이 접촉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제어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가 결합된 코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결합된 크레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결합해제된 크레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상단부가 결합해제된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부가 분해된 하단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측면으로 결합된 크레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염수캡슐부 및 염수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 및 염수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부의 저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이 접촉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후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정밸브의 제어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가 결합된 코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염수탱크(11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염수탱크(1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탱크바디(1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코 내부의 세척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염수로 채워진다. 상기 염수는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성분으로 소금기가 있는 물로 구성된다. 상기 염수탱크(110)의 상단에는 일부가 개방된 수납부(112)가 형성되어 후술할 염수캡슐부(120)가 결합된다.
또한, 내부에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도록 염수캡슐(128)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12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염수캡슐부(120)는 상기 염수탱크(110)의 상단에 구비된 수납부(112)에 결합된다. 상기 염수캡슐부(120)는 상기 수납부(112)에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캡슐바디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캡슐바디부(122)의 상단 일측에는 개폐가능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덮개부(121)가 힌지결합되며, 염수의 염분을 조절하는 염수캡슐(128)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캡슐바디부(122)의 상면에 오목한 반원형상의 홈형상으로 수용부(1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21)는 상기 캡슐바디부(122)의 일측의 힌지결합으로 개폐되고, 상기 염수캡슐(128)의 수용을 위해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염수캡슐(128)은 수용부(123)에 수용되고, 개폐부(121)를 닫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121)의 하면에 의해 압착되며, 압착력에 의해서 내부에 구비된 높은 농도의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110)의 내부에 채워진 염수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염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염수캡슐이 수납되는 수납부의 내부에는 상단에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염수추출부(129)가 결합되고, 상기 염수캡슐(128)을 수납부(123)에 수납하고 덮개부(121)를 닫으면 상기 염수캡슐(128)은 상기 덮개부(121)와 상기 염수추출부(129)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21)에 힘을 가하면 상기 염수추출부(129)의 톱니형상에 의해서 상기 염수캡슐(128) 내부에 구비된 물질이 밖으로 나오며 하부로 떨어져 염수탱크(110)의 내부에 채워진 염수와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탱크(110)에 채워진 염수는 염분의 농도가 낮더라도 상기 염수캡슐(128)에 의해서 부족한 염분을 채울 수 있고, 담수로 이루어져 있어도 상기 염수캡슐(128)에 의해서 필요한 만큼의 염분농도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염수탱크(110)에 채워진 염수는 낮은 농도의 염수 또는 담수 모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염수의 염분 농도는 구동제어부(180)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서 염분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염수캡슐(128)에 의해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9%의 염분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112)의 상면에는 체결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캡슐바디부(122)의 하면에 상기 체결돌기(114)와 대응되어 체결홈(12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탱크(110)의 수납부(112)에 상기 염수캡슐부(12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홈(127)에 상기 체결돌기(114)를 삽입시키고, 상기 체결돌기(114)의 끝단에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수납부(112)의 사이에 체결클립(115)을 끼워넣어 상기 염수캡슐부(120)를 상기 수납부(112)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캡슐바디부(122) 및 수용부(123)의 하단을 감싸도록 접촉플레이트(124)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촉플레이트(124)는 상기 캡슐바디부(122) 및 수용부(123)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124)의 일측 끝단은 상기 염수캡슐(128)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123)의 내측으로 삽입 절곡되어 상기 염수캡슐(128)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노출되며, 타측은 후술할 구동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부(113)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캡슐부(120)를 상기 염수탱크(110)의 상단의 수납부(112)에 결합시키면, 상기 캡슐바디부(122)의 하단에 결합된 접촉플레이트(124)는 상기 수납부(112)의 상면에 노출된 감지부(113)의 끝단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감지부(113)는 염수탱크(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된 봉형상으로 상기 염수탱크(110)의 하단에 구비된 구동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촉플레이트(124)는 상기 캡슐바디부(122) 및 수용부(123)의 하면을 감싸며 체결홈(127)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된 제 1 접촉플레이트(125) 및 제 2 접촉플레이트(126)로 구성되고, 상기 염수캡슐(128)이 상기 수용부(123)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염수캡슐(128)의 하단이 상기 수용부(123)의 내부로 절곡되어 노출된 제 1 접촉플레이트(125) 및 제 2 접촉플레이트(126)의 일측 끝단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접촉플레이트(125)와 제 2 접촉플레이트(126)는 이격된 구조로 인해, 염수캡슐(128)이 수용되지 않았을 때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상기 염수캡슐(128)이 수용부(123)에 수용되면 상기 염수캡슐(128)의 하단이 상기 제 1 접촉플레이트(125)와 제 2 접촉플레이트(126)와 가로질러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113)를 통해 구동제어부(180)에서 염수캡슐(128)의 수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염수탱크(110) 측면에는 사용자의 비강을 세척하도록 코세척부(1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세척부(130)는 상기 염수탱크(110)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비강을 세척하도록 상기 염수탱크(1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코세척부(130)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염수가 유동되는 유동관(137)이 형성된 기둥부(133, 135)와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유동관(137)을 통해 유동되는 염수가 비강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지 않도록 타측의 끝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밀폐부(134, 1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세척부(130)는 사용자의 양쪽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 1 코세척부(131) 및 제 2 코세척부(132)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되어 상기 염수탱크(110)로부터 염수가 공급되고 제 1 코세척부(131) 또는 제 2 코세척부(132) 중 하나의 유동관(137)으로 염수가 사용자의 둘 중 하나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으로 진입되며 이러한 염수가 비중격 후방을 통해 유턴하여 유입된 비강의 반대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염수가 유입되지 않은 유동관(137)을 통해서 배출되는 구조이다.
즉, 제 1 코세척부(131)의 유동관(137)을 통해 염수가 유입되면, 사용자의 일측 비강을 세척한 후 제 2 코세척부(132)의 유동관(137)을 통해 염수가 배출되고, 제 2 코세척부(132)의 유동관(137)을 통해 염수가 유입되면, 사용자의 타측 비강을 세척한 후 제 1 코세척부(131)의 유동관(137)을 통해 염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한편, 염수탱크(110)의 측면과 코세척부(130)의 사이에는 역세정밸브(14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역세정밸브(140)는 상기 염수탱크(110)의 측면과 상기 코세척부(130)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코세척부(130)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역세정밸브(140)는 커버(176)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76)에 형성된 손잡이(177)를 통해 상기 역세정밸브(14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코세척부(131) 또는 제 2 코세척부(132) 중에 선택적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코세척부(130)가 상기 역세정밸브(140)를 통해 염수를 공급받으면 압력에 의해서 타측 코세척부(130)는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고 나온 염수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역세정밸브(140)는 제 1 염수유동부(150), 제 2 염수유동부(160), 제 3 염수유동부(170) 및 커버(17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염수유동부(150)는 상기 염수탱크(110)의 측면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는 일측면이 상기 제 1 염수유동부(150)의 타측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 3 염수유동부(170)는 일측면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타측면과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제 1 코세척부(131) 및 제 2 코세척부(132)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에는 회전돌기(16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76)의 손잡이(177)에 형성된 결합돌기(178)와 결합되어 손잡이(177)를 통해 상기 제 1 염수유동부(150) 및 제 3 염수유동부(17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염수유동부(150)는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배출되도록 제 1 염수배출홀(15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과 외주에 형성된 측벽이 접하도록 형성된 제 1 염수유입홀(15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 및 제 1 염수유입홀(152)을 외주에 형성된 측벽을 공유하고, 제 1 염수배출홀(151)은 염수가 배출되고, 제 1 염수유입홀(152)은 상기 염수탱크(110)로부터 공급된 염수가 유입된다.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는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측으로 염수가 유동되도록 제 2 염수배출홀(161)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은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측으로 돌출된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상기 제 1 염수배출홀(151)의 내주와 맞닿아 밀폐되므로 배출되는 염수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에는 외주를 따라 측벽이 일측 및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의 외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측벽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유동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측벽과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측벽은 일정한 홈을 이루는 제 1 염수유동홈(16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염수유동홈(162)은 상기 제 1 염수유입홀(152)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홈을 따라 유동되고, 상기 제 1 염수유동홈(162)은 끝단은 상기 제 3 염수유동부(170)측으로 유동되도록 제 2 염수유입홀(163)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염수유입홀(152)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1 염수유동홈(162)을 따라 유동되고, 홈의 끝단에 형성된 제 2 염수유입홀(163)을 통해 상기 제 3 염수유동부(170)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3 염수유동부(170)는 일측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로 염수가 홈을 따라 배출되도록 제 2 염수유동홈(17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을 따라 유동된 염수가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의 외주와 접하도록 형성된 제 1 염수유동홀(172) 및 제 2 염수유동홀(17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 또는 제 2 염수유동홀(173)로부터 염수가 배출되면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을 따라 염수가 유동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로 염수가 배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 또는 제 2 염수유동홀(173)로 염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로부터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로 염수가 유입되면 이러한 염수가 제 1 코세척부(131)를 통해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고, 다시 제 2 코세척부(132)로 염수가 배출된다. 그 후 제 2 코세척부(132)를 지나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을 통해 제 2 염수배출홀(161)로 염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로부터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로 염수가 유입되면 이러한 염수가 제 2 코세척부(132)를 통해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고, 다시 제 1 코세척부(131)로 염수가 배출된다. 그 후 제 1 코세척부(131)를 지나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을 통해서 제 2 염수배출홀(161)로 염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위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타측면에는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의 외주와 접하며 대칭으로 배치된 제 1 염수제어돌기(165) 및 제 2 염수제어돌기(166)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 및 제 2 염수제어돌기(166)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의 내주면과 접하여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가 제 1 염수유동부(150)와 제 3 염수유동부(170)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 및 제 2 염수제어돌기(166)의 일측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의 외주와 접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으로부터 배출된 염수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 및 제 2 염수제어돌기(166)는 반달형상으로써, 일측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타측면이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과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 및 제 2 염수유동홀(173)이 접하고 있는 제 1 접목부(174) 및 제 2 접목부(175)를 가로막아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가 상기 제 1 접목부(174)를 가로막으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은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과 제 2 염수유동홈(171)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 2 염수제어돌기(166)가 상기 제 2 접목부(175)를 가로막으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은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과 제 2 염수유동홈(171)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유입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 1 코세척부(131) 또는 제 2 코세척부(132)로 선택적으로 변경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에는 수직으로 회전돌기(16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164)를 조작하여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제 1 염수유동홀(172)과 제 2 염수유동홀(173)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17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 및 제 2 염수제어돌기(166)는 마주보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165)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염수제어돌기(166)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173)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161)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과 연통되어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 1 염수유동부(150)의 타측면과 제 3 염수유동부(170)의 일측면은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제 1 외주면결합부(153) 및 제 2 외주면결합부(176)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외주면결합부(153)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 1 염수유동부(150)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외주면결합부(176)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 3 염수유동부(17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외주면결합부(153) 및 제 2 외주면결합부(176)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외주면결합부(153) 및 제 2 외주면결합부(176)와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외주면결합부(153) 및 제 2 외주면결합부(176)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돌기(164)가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홈(154)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홈(154)은 제 1 외주면결합부(153)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외주면결합부(176)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외주면결합부(153) 및 제 2 외주면결합부(176)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홈(154)은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이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 및 제 2 염수유동홀(173)과 연통가능하게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홈(154)에 의해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16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고, 상기 제어홈(154)의 길이에 의해서 상기 제 2 염수유입홀(163)이 상기 제 1 염수유동홀(172) 및 제 2 염수유동홀(173)과 안정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홈(154)의 길이가 형성된다.
한편, 염수탱크(110)에서 코세척부(130)로 공급되는 염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염수탱크(110)의 하단에 구동제어부(18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제어부(180)는 상기 염수탱크(1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진공펌프(181)를 구동하여 상기 염수탱크(110)의 내부에 채워진 염수를 상기 코세척부(130)로 공급한다. 상기 진공펌프(181)는 상기 염수탱크(110) 및 상기 제 1 염수유입홀(152)과 연통된 염수공급부(116)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81)를 가동하면 염수공급부(116)를 통해 염수탱크(110)에 채워진 염수를 상기 제 1 염수유입홀(152)로 공급시키고, 사용자의 코를 세척한 후 배출된 염수를 제 1 염수배출홀(151)과 연통된 염수배출부(115)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181)의 구동은 상기 구동제어부(180)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182)에 의해서 작동가능하고 사용자가 전원부(182)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8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80)는 상기 염수탱크(110)의 상단에 구비된 염수캡슐부(120)에 염수캡슐(128)의 수용여부를 파악하도록 감지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염수캡술의 수용에 따라 진공펌프(181)를 가동하거나 가동정지를 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제어부(180)의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코세척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83)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터리부(183)는 내부에 배터리(185)가 수납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180)의 일측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183)의 상단은 상기 구동제어부(180)와 결합되고, 측면은 상기 배수탱크부(190)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배터리부(183)는 일측면은 가운데가 볼록하게 돌출되고, 타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의 사이의 공간에 배터리(185)가 수납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80) 및 배수탱크부(190)와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부(183)에 수납되는 배터리(185)는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고, 반복해서 충전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의 수납 시 상기 코세척기(100)의 하면에 구비된 배터리단자(184)에 의해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 배터리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부(18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코를 세척한 후 배출된 염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부(19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수탱크부(19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배출된 염수가 유입되는 배수유입구(191)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입구(191)의 상단에는 상기 염수배출부(115)가 배치되어 배출되는 염수가 배수탱크부(19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탱크부(190)의 내부에는 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센서봉(192)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봉(192)의 일측 끝단은 상기 배수탱크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80)의 하면에 노출된 접점부(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점부(183)는 상기 구동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봉(192)으로부터 염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설정된 높이보다 높아지면 상기 센서봉(192)에서 이를 감지하고 접점부(183)를 통해 상기 구동제어부(180)로 이를 전달하여 상기 진공펌프(181)의 구동을 정지시켜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10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100)는 세정기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세척부재(138)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재(138)는 상기 제 1 코세척부(131)의 끝단과 상기 제 2 코세척부(132)의 끝단을 연결하도록 튜브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부(182)에 의해 진공펌프(181)를 가동하고, 이에 따라 일측의 코세척부(130)로 염수를 유입시키면 상기 세척부재(138)의 내부를 유동하여 타측의 코세척부(130)로 염수를 배출시켜 반복적으로 세정기 내부를 염수가 유동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결합된 크레들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결합해제된 크레들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상단부가 결합해제된 하단부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부가 분해된 하단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세정기가 측면으로 결합된 크레들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100)는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충전 및 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래들(200)은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코세정기(100)가 수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코세정기(100)의 하단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거치홈(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세정기(100)는 상기 크레들(200)에 하단이 수직으로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고, 필요 시 사용자가 상기 코세정기(100)를 간편하게 집어들어 상기 크레들(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들(200)은 상단부(210) 및 하단부(220)가 결합된 구조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레들(200)은 상단부(210) 및 하단부(220)가 결합된 구조로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비어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하단부(220)에 여러물품들을 보관하고 상단부(210)와 결합시켜 내부의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크레들(200)의 내부에 보관가능한 물품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화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염수캡슐(도5 의128, 221)이나 밀폐부(도 1의 130, 222)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염수캡슐(221)은 내부에 염수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충격에 취약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보관함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크래들(200)의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들(200)의 하단에는 상기 코세정기(100)와 접촉되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충전부(23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단부(220)의 하면에는 상기 충전부(23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2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223)에는 충전단자(231) 및 보호회로모듈(232)이 결합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232)의 상면에는 충전단자(231)가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는 전원공급단자(233)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232)은 결합부재(234)에 의해서 상기 결합홈(2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단자(231)는 거치홈(211)을 통해 상기 코세정기(10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세정기(100)의 하면에는 배터리부(183)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단자(184)가 노출되고, 상기 코세정기(100)를 상기 크레들(200)의 거치홈(211)에 끼우면 상기 배터리단자(184)와 상기 결합홈(223)에 노출된 충전단자(231)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부(183)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2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하단부(220)의 측면에는 전원공급단자(233)가 노출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233)는 외부로부터 전원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상기 크레들(200)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홈(211)이 구비된 상단부(210)의 상면에는 안착홈(212)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홈(212)은 상기 코세정기(100)가 정면으로 상기 상단부(2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코세정기(100)의 정면에 형성된 코세척부(130)를 상기 거치홈(211)에 삽입시키고, 상기 안착홈(212)에 상기 코세정기(100)의 정면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납방법은 상기 코세정기(100)와 크레들(2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코세정기(100)의 하면을 상기 거치홈(211)에 끼우는 구조는 상기 코세정기(100)의 최대길이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상기 코세정기(100)를 정면으로 안착시킬 경우 측면의 높이만큼만 공간을 차지하므로, 이동 시 공간을 확보가 용이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인해 간편하게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10: 염수탱크
111: 탱크바디
112: 수납부
113: 감지부
114: 체결돌기
115: 체결클립
120: 염수캡슐부
121: 덮개부
122: 캡슐바디부
123: 수용부
124: 접촉플레이트
125: 제 1 접촉플레이트
126: 제 2 접촉플레이트
127: 체결홈
128, 221: 염수캡슐
129: 염수추출부
130: 코세척부
131: 제 1 코세척부
132: 제 2 코세척부
133, 135: 기둥부
134, 136, 222: 밀폐부
137: 유동관
138: 세척부재
140: 역세정밸브
150: 제 1 염수유동부
151: 제 1 염수배출홀
152: 제 1 염수유입홀
153: 제 1 외주면결합부
154: 제어홈
160: 제 2 염수유동부
161: 제 2 염수배출홀
162: 제 1 염수유동홈
163: 제 2 염수유입홀
164: 회전돌기
165: 제 1 염수제어돌기
166: 제 2 염수제어돌기
170: 제 3 염수유동부
171: 제 2 염수유동홈
172: 제 1 염수유동홀
173: 제 2 염수유동홀
174: 제 1 접목부
175: 제 2 접목부
176: 제 2 외주면결합부
177: 커버
178: 손잡이
179: 결합돌기
180: 구동제어부
181: 진공펌프
182: 전원부
183: 접점부
184: 배터리단자
185: 배터리
190: 배수탱크부
191: 배수유입구
192: 센서봉
200: 크레들
210: 상단부
211: 거치홈
212: 안착홈
220: 하단부
223: 결합홈
230: 충전부
231: 충전단자
232: 보호회로모듈
233: 전원공급단자
234: 결합부재

Claims (16)

  1. 내부에 염수가 구비되도록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수납부가 형성된 염수탱크;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염수의 염분농도를 조절하도록 염수캡슐이 장착되는 염수캡슐부;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코를 세척하도록 구비된 코세척부;
    상기 코세척부와 염수탱크의 측면 사이 결합되어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역세정밸브;
    상기 염수탱크에서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되는 염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염수탱크의 하단에 결합된 구동제어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코세척부로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를 세척된 후 저장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의 하단에 결합된 배수탱크부;
    상기 염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서 상기 역세정밸브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부;
    상기 역세정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염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염수가 사용자의 코 세척을 완료하고 배출되어 상기 배수탱크부로 유동되도록 구비된 염수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캡슐부는,
    내부에 상기 염수캡슐이 장착되도록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결합되는 캡슐바디부;
    상기 캡슐바디부의 상면에는 상기 염수캡슐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반원형상의 홈이 구비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염수캡슐 내부의 물질이 상기 염수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염수와 혼합되도록 상기 덮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부와 함께 상기 염수캡슐을 가압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염수추출부; 및
    상기 캡슐바디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일측의 끝단은 염수캡슐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 절곡되어 상기 염수캡슐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노출되며, 타측은 구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접촉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일측 끝단은 상기 수용부로 수납된 상기 염수캡슐의 하단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와 연결된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염수캡슐의 수용을 구동제어부가 감지하고, 상기 염수캡슐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면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감지부와 연결된 구동제어부가 상기 염수캡슐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염수캡슐부의 하면에 구비된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염수캡슐부를 상기 수납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체결돌기 끝단에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수납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넣는 체결클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과 결합되어 돌출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염수가 유동되는 유동관이 형성된 기둥부; 및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유지하여 상기 유동관을 통해 유동되는 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타측의 끝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세척부는 사용자의 양쪽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정밸브는;
    일측면이 상기 염수탱크의 측면에 결합되어 염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 1 염수유동부;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염수의 유동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코세척부와 결합되어 염수가 공급 및 배출되며,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세척부에 공급되는 염수의 공급 및 배출위치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3 염수유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부는,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1 염수배출홀; 및
    상기 제 1 염수배출홀과 접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1 염수유입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측면의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염수배출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염수배출홀 측으로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배출홀;
    상기 제 1 염수유입홀로부터 염수가 유입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의 외주를 따라 유동되도록 측벽이 형성된 제 1 염수유동홈; 및
    상기 제 1 염수유동홈의 끝단은 상기 제 1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입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의 중심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염수가 홈을 따라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홈;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 유동홈을 지나 상기 제 1 코세척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1염수유동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염수유동홀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1 코세척부를 지나 사용자의 콧구멍을 세척하고,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상기 제 2 코세척부로 배출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2염수유동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염수유동부는,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의 중심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 2 염수유동홈;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홀을 통해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코세척부를 지나 사용자의 콧구멍을 세척하고,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코세척부로 배출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 1염수유동홀; 및
    상기 제 2 염수유동홈과 외주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을 지나 상기 제 2 코세척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 2염수유동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타측면에는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의 외주와 접하며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는 타측면이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의 내주면과 접하여 제 2 염수유동부가 제 1 염수유동부와 제 3 염수유동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제 2 염수유동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 및 제 2 염수제어돌기는 마주보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염수제어돌기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염수제어돌기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측의 격벽을 밀폐시키면 상기 제 2 염수유입홀은 상기 제 2 염수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염수배출홀은 상기 제 1 염수유동홀과 연통되어 염수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염수유동부의 타측면과 상기 제 3 염수유동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제 1 외주면결합부 및 제 2 외주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염수유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염수유동부 및 제 3 염수유동부와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의 내부에는 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센서봉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봉의 일측 끝단은 상기 배수탱크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하면에 노출된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봉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설정된 염수의 수위를 구동제어부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의 끝단부에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된 세척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세척부재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1 코세척부 및 제 2 코세척부에 염수를 순환시켜 기기의 내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KR1020170150629A 2017-11-13 2017-11-13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KR10202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29A KR102020481B1 (ko) 2017-11-13 2017-11-13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PCT/KR2018/013722 WO2019093843A1 (ko) 2017-11-13 2018-11-12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29A KR102020481B1 (ko) 2017-11-13 2017-11-13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12A KR20190054412A (ko) 2019-05-22
KR102020481B1 true KR102020481B1 (ko) 2019-11-08

Family

ID=6643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29A KR102020481B1 (ko) 2017-11-13 2017-11-13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0481B1 (ko)
WO (1) WO20190938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83A (ko) 2019-12-16 2021-06-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코 및 귀 세척용 주사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3273A (zh) * 2022-10-08 2024-04-16 深圳市威尔达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洗鼻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507A1 (en) 2007-03-06 2008-09-11 Rhin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sal Irrigation
KR101204507B1 (ko) 2009-08-25 2012-11-26 정은임 비강세척기
KR101790739B1 (ko) 2016-05-13 2017-10-27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코 세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70B1 (ko) * 2008-06-17 2010-08-19 고광민 비강 세척기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강 세척기
AU2012284195C1 (en) * 2011-07-18 2017-06-22 Rhinosystems Inc. Nas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with faux collapsible cartridge element
KR200467793Y1 (ko) 2011-10-05 2013-07-05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타 코 세척기
KR101816984B1 (ko) * 2016-01-18 2018-01-09 (의료)길의료재단 식염수 제조부를 포함한 비강세척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507A1 (en) 2007-03-06 2008-09-11 Rhin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sal Irrigation
KR101204507B1 (ko) 2009-08-25 2012-11-26 정은임 비강세척기
KR101790739B1 (ko) 2016-05-13 2017-10-27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코 세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83A (ko) 2019-12-16 2021-06-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코 및 귀 세척용 주사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12A (ko) 2019-05-22
WO2019093843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1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통
KR101757740B1 (ko) 세제함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20481B1 (ko)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KR101256136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CN101988256B (zh) 带有液体蓄存器的衣服处理设备
CN101748578A (zh) 洗衣机系统和洗涤方法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KR20170135237A (ko) 의류처리장치
ES2913074T3 (es) Lavadora
WO2019091251A1 (zh) 洗涤用品容纳盒和清洗装置
CN109750456A (zh) 衣物处理剂投放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23050839A1 (zh) 处理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101621533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KR101528463B1 (ko) 휴대용 안경 세척기
CN109312519A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KR20210026229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1636075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8981B1 (ko) 세제가 내장된 샤워기 헤드
KR101544760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218893865U (zh) 衣物处理设备的洗涤剂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KR101808983B1 (ko) 신발 세척기구
EP3842389B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coagulant dosing system
CN113136673B (zh) 清洁装置
CN220369950U (zh) 水箱及基站
CN216972917U (zh) 一种带有推弹式的替换装容器的处理剂投放装置及洗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