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29B1 -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7529B1 KR102177529B1 KR1020140165048A KR20140165048A KR102177529B1 KR 102177529 B1 KR102177529 B1 KR 102177529B1 KR 1020140165048 A KR1020140165048 A KR 1020140165048A KR 20140165048 A KR20140165048 A KR 20140165048A KR 102177529 B1 KR102177529 B1 KR 102177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hower head
- cartridge
- inner tube
- cosme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는, 상류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는 유입구(51c) 및 냉수 또는 온수를 하류로 토출하는 토출부(53a)를 포함하는 통수관(通水管; 53)과, 통수관(53)의 외측에 설치됨과 함께,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를 수납하는 통(筒) 형상의 약제 수용부(54)를 구비한다. 통수관(53)에는, 통수관(53) 내에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를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불가능하게 하는 비(非)연통부와, 통수관(53) 내에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를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가능하게 하는 연통부(53c)가 형성된다.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는, 약제 수용부(54) 내에서 비연통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됨과 함께, 많아도 비연통부와 연통부(53c)의 경계선(K)까지 충전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에 샤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8-93188호 공보에 개시되는 샤워 장치에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다. 그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내에는, 유제(油劑), 보습제, 향료, 욕용제(浴用劑) 등의 화장제 성분이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화장제 성분이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내로부터 수중 또는 온수 중에 용출(溶出)된 후, 샤워 헤드로부터 살포된다.
일본국 특개 2008-93188호 공보에 개시되는 카트리지는, 샤워 헤드에 수납되며, 또한 기능성 수용성 물질, 즉, 약제를 수납하는 통(筒) 형상의 약제 수용부와, 그 약제 수용부 내에 삽입되는 통수관(通水管)을 구비한다. 상기 통수관의 상류끝에는, 원수(原水)를 도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의 하류끝에는, 상기 원수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제 수용부의 상류끝에서 하류끝까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스루홀(through hole)이 열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수용부의 상류끝에서 하류끝까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약제 수용부의 내부에 유입된 상기 원수를 카트리지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워 헤드에 설치된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통수관의 토출구로부터의 원수의 토출이 불가능한 상태와, 통수관의 토출구로부터의 원수의 토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수관의 토출구로부터의 원수의 토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가, 상기 스루홀을 통해 약제 수용부 내에 침입한다. 이 경우, 상기 원수는, 약제 수용부의 약제를 용출시킨 후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통수관의 토출구로부터의 원수의 토출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원수는, 약제 수용부 내의 약제를 통과하지 않고, 토출구로부터 카트리지 외부로 토출된다.
그런데, 일본국 특개 2008-93188호 명세서의 카트리지에서는, 약제 수용부에 수납된 약제를 샤워 헤드 내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 수분에 의해 약제가 팽윤되어, 카트리지 내에 있어서의 통수성(通水性)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특개 2008-93188호 공보에 개시되는 카트리지에서는, 통수로가 통수관의 스루홀, 약제 수용부의 약제 충전 공간 및 관통 구멍을 통해 형성되지만, 상기 약제가 팽윤된 경우, 약제 수용부의 약제 충전 공간에 있어서의 통수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수용부에 수납된 약제를 수중 또는 샤워 헤드 내에 장기간 보관한 경우라도, 카트리지 내의 약제 수용부에 있어서의 통수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냉수 또는 온수가 흘려지는 샤워 헤드에 수납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로서, 상류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하류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통수관과, 상기 통수관의 외측에 설치됨과 함께, 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약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수관에는, 상기 통수관 내에 유입된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약제 수용부와의 사이에서 출입 불가능하게 하는 비(非)연통부와, 상기 통수관 내에 유입된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약제 수용부와의 사이에서 출입 가능하게 하는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에는, 상기 통수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비연통부와 상기 연통부 사이에 연장되는 1개의 경계선이 규정되고, 상기 샤워 헤드용 화장제는,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서 상기 비연통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됨과 함께, 많아도 상기 경계선까지 충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 수용부에 수납된 약제를 수중 또는 샤워 헤드 내에 장기간 보관한 경우라도, 카트리지 내에 있어서의 약제 수용부의 통수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샤워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샤워 헤드의 그립부의 종단면도.
도 3은 샤워 헤드에 내장되는 카트리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b)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는 시험에 사용한 샤워 헤드의 그립부의 종단면도.
도 2는 샤워 헤드의 그립부의 종단면도.
도 3은 샤워 헤드에 내장되는 카트리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b)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는 시험에 사용한 샤워 헤드의 그립부의 종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을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이하, 단순하게 카트리지라 함)에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샤워 헤드(10)는, 샤워 헤드(10)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샤워 호스로부터의 물을 외부로 방출한다. 샤워 헤드(10)는, 헤드부(11)와 그립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샤워 호스, 그립부(12) 및 헤드부(11) 순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물이 흐른다. 각 도면에서, 상류측은 하측이며, 하류측은 상측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헤드(10)에는, 물이 흐르는 제 1 및 제 2 유로(71, 72)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1)와 그립부(12)는 스크류잉(screwing)부(12d)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1)는 그립부(12)의 상단(上端)에 배치되는 전환부(20)와, 동(同) 전환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선단부(17)를 구비한다. 선단부(17)는 다수의 살수 구멍(16)을 갖는다. 그 다수의 살수 구멍(16)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방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부(20)는, 그립부(12) 내의 수로(70)를 그 하류측의 제 1 및 제 2 유로(71, 72) 중 어느 한쪽과 연통시키기 위해서 전환 조작된다. 제 1 및 제 2 유로(71, 72)는 전환부(20)의 하류측, 즉 도면 중의 상측에서 합류되어 있다. 전환부(20)는, 제 1 조작 부재(45) 및 제 2 조작 부재(4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12)의 수로(70)의 내부에는, 상기 카트리지(50)가 교환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립부(12)의 내주면과 카트리지(50)의 외주면 사이의 수로(70)에는 통수 간극(12c)이 형성되어 있다. 통수 간극(12c)은, 제 1 유로(71)의 일부를 구성한다. 헤드부(11)와 그립부(12) 사이의 스크류잉부(12d)에 의한 스크류잉이 해제됨으로써, 수로(70)의 도시(圖示)의 상부가 개방되어 카트리지(50)를 탈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70)의 하측의 바닥부에는, 복수의 상승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승부(12e) 위에 카트리지(50)를 재치(載置)함으로써, 냉수 및 온수가 수로(70) 내에 확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립부(12)의 내주면에는, 카트리지(50)의 외주면에 걸어 맞춤으로써 카트리지(50)를 수로(70)의 중심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리브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 (b)는, 샤워 헤드(10)에 부착되기 전의 카트리지(50)를 나타낸다. 카트리지(50)는, 카트리지 케이스(51), 밸브실(51b), 내부관(53), 덕빌 밸브(duck bill valve; 52) 및 출구 부재(55)를 구비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50)의 출구 부재(55)에 대해서 덮개 부재(61)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카트리지 케이스(51)는 바닥을 갖는 통체(筒體) 형상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바닥벽에는, 복수의 슬릿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밸브실(51b)은,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바닥벽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실(51b)의 내부는, 슬릿부(51a)에 연통되어 있다. 내부관(53)은, 밸브실(51b)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관(53)의 하부는, 밸브실(51b)의 상단에 내부관(53)의 축심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내부관(53) 및 밸브실(51b)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관(53) 및 밸브실(51b)의 내부는 연통되어 있다. 내부관(53)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53a)와, 밸브실(51b) 내를 향해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51c)를 구비한다. 내부관(53) 내는, 제 2 유로(72)의 일부를 구성한다. 개구(51c)는, 유입구의 일례이며, 내부관(53)은 통수관의 일례이다.
도 2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빌 밸브(52)는, 고무 등의 탄성재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밸브실(51b) 내에 배치된다. 덕빌 밸브(52)는, 내부관(53) 내로부터 그 상류의 샤워 호스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덕빌 밸브(52)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바닥벽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부(52b)를 구비한다. 각 탄성부(52b)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양 탄성부(52b) 간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양 탄성부(52b)의 선단은, 서로 이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51)의 상측 단부(端部)에는, 그 상측으로부터 통 형상의 출구 부재(55)가 끼워 맞춰져 있다. 출구 부재(55)의 하측 내부에는 내부관(53)의 상측 단부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출구 부재(55)의 내부 공간과 내부관(53)의 토출구(53a)가 연통되어 있다. 토출구(53a)는, 토출부의 일례이다. 출구 부재(55)의 내부는 제 2 유로(72)의 일부를 구성하고, 출구 부재(55)의 외주면과 그립부(1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은, 제 1 유로(71)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부관(53)에는, 그 둘레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통 구멍(53c)은, 내부관(53)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보다 상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53c)은, 내부관(53)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연통하도록 내부관(53)을 관통하고 있다. 내부관(53)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연통 구멍(53c)을 1열의 연통 구멍(53c)이라 규정하고, 내부관(53)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연통 구멍(53c)을 1행의 연통 구멍(53c)이라 규정한 경우, 본 예에서는, 4열 5행의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종단면도에서는, 4열 중 2열의 연통 구멍(53c)이 나타나 있다. 각 열의 연통 구멍(53c)은 등(等)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열의 연통 구멍(53c)은 부(不)등피치로 배치되어도 되지만, 등피치인 편이 부등피치보다 바람직하다. 각 행의 연통 구멍(53c)도 등피치여도 되고, 부등피치여도 된다.
또한, 내부관(53) 및 밸브실(51b)의 양 외주면과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 사이에는, 약제 수용부(54)가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수용부(54)의 외주 및 내주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형상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약제 수용부(54)의 수납 공간 내에는, 고형(固形)의 수용성 약제(100), 즉, 샤워 헤드용 화장제가 수용 및 충전되어 있다. 도 2,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해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약제(100)의 상단은, 복수의 연통 구멍(53c)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연통 구멍(53c)의 하단 위치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부관(53)은,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측 영역의 비연통부(102)와,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는 상측 영역의 연통부로 구성된다. 도 2, 도 3의 (b)에는, 비연통부(102) 및 연통부 사이에 경계선(K)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초기 상태에서는 수용성 약제(100)는, 이 경계선(K)까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약제(100)의 상단과 출구 부재(55)의 하단 사이에는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101)은, 약제 수용부(54)의 수납 공간에 있어서 약제(100)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100)로서, 예를 들면, 보습 성분을 함유하는 보습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약제(100)는, 내부관(53)의 연통 구멍(53c)을 통해 도입된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용해된다. 보습액은, 냉수 또는 온수에 약제(100)가 용해됨으로써 생성된다. 그리고, 보습액은, 출구 부재(55)를 통해 카트리지(50) 외부로 유출된다.
연통 구멍(53c)은 연통부의 일례이다. 또한, 내부관(53)에서, 연통 구멍(53c)을 갖고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으로서, 또한 수용성 약제(100)가 충전되어 있는 약제 수용부(54)의 수납 공간에 면하는 부위는 비연통부(102)에 상당한다.
도 2,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관(53)의 상단부, 즉 내부관(53)의 하류측 단부와 출구 부재(55)의 내부 사이에는, 망(網) 형상의 스트레이너(strainer; 57)가 배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57)는, 상측을 향해 볼록한 컵 형상을 하고 있다. 스트레이너(57)에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습액이 생성될 때, 고형 상태의 약제(100)로부터 입체(粒體)가 분리되고, 그 입체가 연통 구멍(53c)을 통해 내부관(53) 내에 유입할 우려가 있다. 이 스트레이너(57)는, 이 유입한 입체가 헤드부(11)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
(실시형태의 작용)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50)가 수납된 샤워 헤드(10)의 작용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습액을 함유하지 않는 온수 또는 냉수의 샤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제 2 조작 부재(48)를 밀어넣는다. 이렇게 하면, 수로(70)의 통수 간극(12c) 내를 통과하는 제 1 유로(71)가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개방됨과 함께, 내부관(53) 내를 통과하는 제 2 유로(72)가 폐쇄된다. 그리고, 냉수 또는 온수가, 샤워 호스로부터 통수 간극(12c)을 통해 헤드부(11)의 제 1 유로(71)에 흐르고, 살수 구멍(16)으로부터 방출된다. 이 경우, 내부관(53) 내를 통과하는 제 2 유로(72)가 폐색(閉塞)되어 있기 때문에, 덕빌 밸브(52)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물이 카트리지(50)의 내부관(53)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는다. 덕빌 밸브(52)가 그 양 탄성부(52b)의 탄성력에 의해 폐색된 상태에서, 내부관(53) 내의 수압이 덕빌 밸브(52)의 상류측, 즉 덕빌 밸브(52)의 내부의 수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그 압력차는 덕빌 밸브(52)에 대해서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내부관(53) 내의 보습액이 샤워 헤드(10)의 외부의 샤워 호스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보습액을 함유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샤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제 1 조작 부재(45)의 압압부(45a)를 압압(押壓)한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제 2 유로(72)가 개방된다. 따라서, 냉수 또는 온수는, 통수 간극(12c) 내의 제 1 유로(71)를 흐를 뿐만 아니라, 내부관(53) 내를 통과하는 제 2 유로(72)가 개방됨으로써 도 2의 덕빌 밸브(52)가 개방되기 때문에, 샤워 호스로부터 내부관(53) 내의 제 2 유로(72)로 유입된다.
내부관(53) 내에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는, 내부관(53)의 연통 구멍(53c)을 통해, 약제 수용부(54)에 유입된다. 약제 수용부(54)에 흘려진 물은, 약제 수용부(54)의 약제의 상단을 용해하고, 그 용해한 성분을 함유하는 보습액을 생성한다. 그리고, 그 보습액은 연통 구멍(53c)으로부터 내부관(53) 내로 유출되며, 스트레이너(57)를 통해, 출구 부재(55) 내의 제 2 유로(72)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유로(72) 내의 보습액은, 전환부(20)의 하류측에서 통수 간극(12c)으로부터 제 1 유로(71) 내를 흘러온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함으로써 희석된 보습액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희석된 보습액은, 살수 구멍(16)으로부터 샤워 헤드(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수용성 약제(100)는, 그 상단부터 용해된다. 이 때문에, 공간(101)에 노출되는 약제(100)의 면은, 서서히 하측으로 이동한다. 수용성 약제(100)의 용해가 진행된 경우, 연통 구멍(53c)을 통해 약제 수용부(54)에 들어간 냉수 또는 온수가 공간(101) 내에서 난류(亂流)로 되거나, 작아진 약제(100)가 약제 수용부(54) 내의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부상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밸브실(51b)의 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수용성 약제(100)의 용해가 진행된 경우여도, 약제(100)는 적절하게 용해되고, 그 용해에 의해 생성된 보습액은 연통 구멍(53c)으로부터 내부관(53) 내로 유출된다.
이상과 같이, 유저는, 제 1 및 제 2 조작 부재(45, 48)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보습액을 함유하지 않는 냉수 또는 온수의 통상의 샤워 및 보습액을 함유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샤워 중 어느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절한 농도의 보습액이 얻어지도록, 내부관(53)의 내경 및 연통 구멍(53c)의 개구 사이즈, 수 또는 배치 위치 등이 설정된다. 이렇게 하면, 약제 수용부(54) 내에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약제(100)가 조금씩 깎여서 적절하게 용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관(53)의 직경은, 그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51)의 일부를 구성하는 약제 수용부(54)의 외측의 직경은, 상기 축심 방향 전체에서,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수용부(54)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과 내부관(53)의 비연통부(102) 사이의 약제(100)의 충전 공간에 있어서의 단면적이, 내부관(53)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되는 영역에서는, 약제(100)가 용해되었다고 해도, 냉수 또는 온수가 약제(100)의 상면(上面)에 접촉하는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물의 온도 및 유수 속도의 일정 조건하에서는, 단위 시간당 약제(100)의 용해량으로 산출되는 용해율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약제(100)를 냉수 또는 온수에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 호스로부터 샤워 헤드(10)로의 냉수 또는 온수의 유입이 정지된 후에, 냉수 또는 온수는, 내부관(53) 내 및 공간(101) 내에 머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공간(101) 내의 냉수 또는 온수는, 수용성 약제(100)의 상단면에만 접촉한다. 이 때문에, 수용성 약제(100)의 상단면만이 팽윤된다. 따라서, 약제(100)를 카트리지(50)에 수납한 상태에서, 카트리지(50)를 샤워 헤드 내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라도, 카트리지(50) 내에 있어서의 약제(10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나중에 이 카트리지(50)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50)에 수용되는 약제로서 보습제를 사용했다. 카트리지(50)에 수용되는 약제(100)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향수, 슬리밍제, 미백 작용을 갖는 화장수, 제한제(制汗劑) 등의 다른 화장용 첨가제, 여드름, 아토피, 피부병 대책용 약제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형의 약제를 사용했지만, 약제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젤 형상 또는 입자 형상의 약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부관(53)에는 복수의 연통 구멍(53c)이 열방향 및행방향에서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통 구멍(53c)을 열방향 또는 행방향에서 부등피치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연통 구멍(53c)의 수를 단수(單數)로 해도 된다. 연통 구멍(53c)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둥근 구멍, 사각 구멍 또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부관(53)의 중앙부보다 상측의 영역에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부관(53)의 중앙부로부터 하단에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수용부(54)는 내부관(53) 및 밸브실(51b)의 양 외주면과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었지만, 약제 수용부(54)는 내부관(53)만의 외주면과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에 의해 구획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1) 본 실시형태의 카트리지(50)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약제 수용부(54)와, 약제 수용부(54) 내를 관통해서 배치된 내부관(53)(통수관)을 구비한다. 내부관(53)은, 상류끝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는 개구(51c)(유입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관(53)(통수관)의 하류끝에는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를 토출하는 토출구(53a)(토출부)를 갖는다. 또한, 내부관(53)(통수관)의 상류측, 즉 내부관(53)에 있어서의 약제 수용부(54)의 수납 공간에 면하는 영역에는, 내부관(53) 내에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가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불가능하게 하는 비연통부(102)가 형성된다. 또, 내부관(53)(통수관)의 하류측, 즉, 내부관(53)에 있어서의 공간(101)에 면하는 영역에는, 내부관(53)(통수관) 내의 냉수 또는 온수가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53c)(연통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샤워 헤드용 화장제가, 비연통부(102)와 연통 구멍(53c)(연통부)의 경계선(K)까지 충전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약제(100)를 카트리지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샤워 헤드 내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라도, 카트리지 내에 있어서의 약제(10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50)의 내부관(53)에는, 복수의 연통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복수의 연통 구멍(53c)에 의해, 효율적으로 내부관(53)으로부터 공간(101)으로 또는 공간(101)으로부터 내부관(53)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카트리지(50)에서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과 내부관(53)(통수관)의 비연통부(102)의 외주면 사이의 샤워 헤드용 화장제의 충전 공간에 있어서의 단면적이 내부관(53)(통수관)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결과, 충전 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되는 영역에서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의 용해의 진행 정도에 상관없이, 샤워 헤드용 화장제가 냉수 또는 온수에 접촉하는 면적은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물의 온도 및 유수 속도의 일정 조건하에서는 단위 시간당 약제(100)의 용해량으로부터 산출되는 용해율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냉수 또는 온수에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5에 대해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5를 비교하기 위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트리지의 구성과 달리, 내부관(53)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복수의 연통 구멍(53c)이 소정 피치, 즉, 등피치로 배열된 카트리지(50)가 나타나 있다. 도 4의 카트리지(50)에서, 연통 구멍(53c)의 수 및 연통 구멍(53c)의 배열 영역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도 4의 형태 사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의 카트리지(50)에서, 연통 구멍(53c)의 수는 1열당 16개임과 함께, 열수는 4열이다. 도 4에서는, 4열 중 2열의 연통 구멍(53c)이 나타나 있다. 이 카트리지에서, 다른 수의 연통 구멍(53c)이 막힘으로써 비교예 1~5 및 실시예 1, 2가 구성된다. 막힌 연통 구멍(53c)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내부관(53)의 연통부 및 비연통부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비교예 1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하단측의 1개째에서 9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2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6개째에서 9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3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6개째에서 12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4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9개째에서 16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5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9개째에서 14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6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1개째에서 16개째까지의 모든 연통 구멍(53c)이 막혀 있지 않은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교예 1~6에서는, 수용성 약제(100)(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약제 수용부(54)에서, 공간(101)이 생기지 않도록 극간 없이 충전했다.
실시예 1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1개째에서 13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즉, 내부관(53)의 하단으로부터 각 열의 13개째의 연통 구멍(53c)을 넘어 14개째의 연통 구멍(53c)의 하부 가장자리까지가, 내부관(53)의 비연통부로서 구성되며, 하단측의 14개째에서 16개째의 연통 구멍(53c)이 내부관(53)의 연통부로서 구성된다. 즉, 경계선(K)은 14개째의 각 연통 구멍(53c)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약제 수용부(54)에서, 내부관(53)의 하단으로부터 14개째의 연통 구멍(53c)의 하부 가장자리까지를 수용성 약제(100)(샤워 헤드용 화장제)로 충전한다. 이에 따라, 수용성 약제(100)의 상방에 수용성 약제(100)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공간(101)이 형성된다.
실시예 2에서는, 각 열의 연통 구멍(53c)에서 내부관(53)의 하단측의 1개째에서 11개째까지의 연통 구멍(53c)이 막힌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즉, 내부관(53)의 하단으로부터 각 열의 11개째의 연통 구멍(53c)을 넘어, 12개째의 연통 구멍(53c)의 하부 가장자리까지가 내부관(53)의 비연통부로서 구성되며, 하단측의 12개째에서 16개째의 연통 구멍(53c)이 내부관(53)의 연통부로서 구성된다. 즉, 경계선(K)은 12개째의 각 연통 구멍(53c)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약제 수용부(54)에서, 내부관(53)의 하단에서 12개째의 연통 구멍(53c)의 하단까지 수용성 약제(100)(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충전한다. 이에 따라, 수용성 약제(100)의 상방에 수용성 약제(100)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공간(101)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부관(53)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각 열에서 16개 모든 연통 구멍(53c)을 도시하고 있다.
<샤워 헤드용 화장제>
하기의 a~d로 구분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6의 약제 수용부(54)에 충전했다.
(a)
PEG/PPG-150/35 코폴리머 92.15질량%
*PEG: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PPG: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150/35: 공중합비
(b1) 하기 3개의 성분 합계 1.7질량%
1,2-옥탄디올(보습제), 에틸헥실글리세린(소취제, 제한제), 파라옥시벤조산메틸(방부제)
(b2) 하기 3개의 성분 합계 1.5질량%
아미노산, 콜라겐, 물
(c)
PVA(폴리비닐알코올) 3.65질량%
(d)
향료 1.0질량%
<시험 방법>
(1. 제 1 ~ 29 일에서의 처리)
본원 발명자들은, 29일간에 걸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5를 이용해서 실험을 행했다. 상세하게는, 본원 발명자는, 제 1 주~제 4 주(제 1 ~ 28 일째)에서는, 1 주일 중 6 일간, 후술하는 제 1 처리를 행하고, 제 15 일째, 제 22 일째에서는 후술하는 제 2 처리를 행했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는, 제 29 일째에서, 제 1 및 제 2 처리 양쪽을 행했다.
우선, 제 1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 제 29 일째 중 특정일에, 도 2에 나타내는 제 2 조작 부재(48)를 밀어 넣는 조작을 행한 상태에서, 5분간, 40℃의 온수를 9L/min만 카트리지(50)를 수납하는 샤워 헤드(10)에 통과시켜, 보습액을 함유하지 않는 온수의 샤워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 1 처리가 완료된다. 제 1 처리의 완료 후, 카트리지(50)의 바깥쪽의 통수 간극(12c)은 온수로 채워져 있지만, 카트리지(50)의 내부관(53) 내는 통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특정일에서, 제 1 처리 후에는, 샤워 헤드(10)로부터 카트리지(50)를 취출하여, 카트리지(50)의 외관 촬영을 행하고, 물을 채운 유리병에 카트리지(50)를 투입하고, 그것을 실온에서 보관한다. 한편, 1주일 중, 제 1 처리를 행하지 않은 나머지 1일에 대해서는, 그 카트리지(50)가 물을 채운 유리병에 투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예를 들면, 제 1 일째에 제 1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일째에서는, 물을 채운 유리병에 카트리지(50)를 투입하고, 그것을 실온에서 보관한다.
다음으로, 제 2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처리가 행해지는 제 15 일째, 제 22 일째, 제 29 일째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조작 부재(45)의 압압부(45a)를 압압해서, 5분간, 40℃의 온수를 6L/min만 카트리지(50)를 수납하는 샤워 헤드(10)에 통과시켜, 보습액을 함유하는 온수의 샤워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 2 처리가 완료된다.
각 예에 대해서, 제 1 ~ 4 주에서 행한 제 1 처리 및 제 15 일째, 제 22 일째, 제 29 일째에서 행한 제 2 처리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카트리지(50) 내부의 내부관(53)이 제 22 일째에서 막혀, 제 2 처리에 의한 통수가 불가능해졌다.
비교예 2, 5 및 6에서는, 카트리지(50) 내부의 내부관(53)이 제 15 일째에서 막혀, 제 2 처리에 의한 카트리지(50) 내부를 통한 통수가 불가능해졌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는, 카트리지(50) 내부의 내부관(53)이 제 22 일째에서 막혀, 제 2 처리에 의한 카트리지(50) 내부를 통한 통수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 1, 2에서는, 마지막 날인 제 29 일째까지, 제 2 처리에 의한 카트리지(50) 내부를 통한 통수가 가능했다.
실시예 1에서는, 마지막 날인 제 29 일째까지, 제 2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보습액(샤워 헤드용 화장제)에 의한 보습감이 충분히 얻어졌다. 실시예 2에서는, 마지막 날인 제 29 일째까지, 실시예 1에 비해 보다 높은 보습액에 의한 보습감이 얻어졌다.
10…샤워 헤드, 12…그립부, 50…카트리지, 51…카트리지 케이스, 51c…개구(유입구), 53…내부관(통수관), 53a…토출구(토출부), 53c…연통 구멍(연통부), 54…약제 수용부, 100…수용성 약제
Claims (5)
-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냉수 또는 온수가 흘려지는 샤워 헤드(10)에 수납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로서,
상류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는 유입구(51c) 및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하류로 토출하는 토출부(53a)를 포함하는 통수관(通水管; 53)과,
상기 통수관(53)의 외측에 설치됨과 함께,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를 수납하는 통(筒) 형상의 약제 수용부(54)를 구비하고,
상기 통수관(53)에는, 상기 통수관(53) 내에 유입된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불가능하게 하는 비(非)연통부와, 상기 통수관(53) 내에 유입된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약제 수용부(54)와의 사이에서 출입 가능하게 하는 연통부(53c)가 형성되고,
상기 통수관(53)에는, 상기 통수관(5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비연통부와 상기 연통부(53c) 사이에 연장되는 1개의 경계선(K)이 규정되며,
상기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는, 상기 약제 수용부(54) 내에서 상기 비연통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됨과 함께, 많아도 상기 경계선(K)까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53c)가, 단수 또는 복수의 연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53)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카트리지 케이스(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54)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면 및 상기 통수관(53)의 외주면 사이의 수납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부(54)의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통수관(53)의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선분을 따라 절단한 단면적은 상기 통수관(53)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부(54) 내에는, 고형(固形)의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가 수용되고,
상기 약제 수용부(54) 내에서 상기 샤워 헤드용 화장제(100)의 하류측에는 공간(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5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248362A JP6207990B2 (ja) | 2013-11-29 | 2013-11-29 | シャワーヘッド用化粧剤カートリッジ |
JPJP-P-2013-248362 | 2013-11-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971A KR20150062971A (ko) | 2015-06-08 |
KR102177529B1 true KR102177529B1 (ko) | 2020-11-11 |
Family
ID=5330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5048A KR102177529B1 (ko) | 2013-11-29 | 2014-11-25 |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207990B2 (ko) |
KR (1) | KR102177529B1 (ko) |
CN (1) | CN104665672B (ko) |
HK (1) | HK1210928A1 (ko) |
TW (1) | TWI56408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71753B2 (ja) * | 2017-02-16 | 2021-05-12 |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 水処理カートリッジ及びシャワーヘッド |
CN111511259A (zh) * | 2017-06-29 | 2020-08-07 | 沈炯旻 | 淋浴设备 |
KR102053416B1 (ko) * | 2018-11-29 | 2019-12-06 |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 화장수 공급장치 |
CN109317326A (zh) * | 2018-12-13 | 2019-02-12 | 东莞市倍益清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储存盒及花洒 |
CN109394044B (zh) * | 2018-12-13 | 2024-06-04 | 东莞市倍益清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储存盒及花洒 |
CN110152900B (zh) * | 2019-05-25 | 2020-05-08 | 厦门洁朗卫浴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带芯花洒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93188A (ja) | 2006-10-12 | 2008-04-24 | Mrc Home Products Kk | シャワー用カートリッジ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53627Y (zh) * | 1995-11-07 | 1997-05-07 | 万爱宏 | 多功能浴头 |
JP3703559B2 (ja) * | 1996-03-19 | 2005-10-05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浄水シャワー |
JPH105632A (ja) * | 1996-06-27 | 1998-01-13 | Mitsubishi Rayon Co Ltd | 浄水シャワー |
JP2000350669A (ja) * | 1999-06-10 | 2000-12-19 | Takayasu Okubo | 混入溶液除放機能付き給水器 |
JP2001323528A (ja) * | 2000-05-15 | 2001-11-22 | Kotobuki Tsusho:Kk |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
JP4982916B2 (ja) * | 2000-10-05 | 2012-07-25 | 東レ株式会社 | 浄水シャワー |
EP1518607A1 (en) * | 2003-09-23 | 2005-03-30 | Takayasu Okubo | Feed device for adding a chemical substance to tap water |
CN201006511Y (zh) * | 2006-12-12 | 2008-01-16 | 吉事多卫浴有限公司 | 一种淋浴花洒 |
CN101332449A (zh) * | 2007-06-29 | 2008-12-31 | 上海市民办双翼学校 | 一种淋浴头 |
-
2013
- 2013-11-29 JP JP2013248362A patent/JP6207990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11-24 TW TW103140586A patent/TWI564081B/zh active
- 2014-11-25 KR KR1020140165048A patent/KR1021775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1-26 CN CN201410705367.3A patent/CN104665672B/zh active Active
-
2015
- 2015-12-02 HK HK15111844.8A patent/HK1210928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93188A (ja) | 2006-10-12 | 2008-04-24 | Mrc Home Products Kk | シャワー用カートリッ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64081B (zh) | 2017-01-01 |
TW201524608A (zh) | 2015-07-01 |
KR20150062971A (ko) | 2015-06-08 |
HK1210928A1 (en) | 2016-05-13 |
CN104665672A (zh) | 2015-06-03 |
JP6207990B2 (ja) | 2017-10-04 |
JP2015104547A (ja) | 2015-06-08 |
CN104665672B (zh) | 2017-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7529B1 (ko) | 샤워 헤드용 화장제 카트리지 | |
ES2554127T3 (es) | Recipientes y métodos para aislar líquidos antes de suministrarlos | |
JP2009501050A (ja) | シャワー装置 | |
KR101573252B1 (ko) | 이미용기구 | |
KR101765026B1 (ko) |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 |
US20140371690A1 (en) | Dispensing systems | |
US20120097714A1 (en) | Liquid dosing apparatus | |
ITMI20011083A1 (it) | Dispositivo per l'igiene dentale | |
WO2015186921A1 (ko) |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 |
WO2014141543A1 (ja) | シャワー用化粧剤及び化粧剤カートリッジ | |
US10112747B2 (en) |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s | |
KR20170050129A (ko) |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 |
ATE399090T1 (de) | Tintenstrahlausstosser | |
JP2008143587A (ja) | 薬液容器の中栓 | |
JP2000317350A (ja) | 薬剤吐出装置 | |
KR100690025B1 (ko) | 염모제 혼합분출이 가능한 헤어브러시 | |
US10220360B1 (en) | Liquid mixing apparatus | |
CN209499551U (zh) | 一种缓释机构和浴缸 | |
CN109431347A (zh) | 一种缓释机构和浴缸 | |
KR102322665B1 (ko) | 충진 장치, 화장품 용기, 화장품 충진 세트 그리고 화장품 충진 방법 | |
WO2020218156A1 (ja) | 泡吐出ディスペンサー及び泡吐出容器 | |
FR3036942A1 (fr) | Dispositif de douche avec emballage amovible stockant et diffusant un produit de soin pour produire de l'eau savonneuse ou de la mousse | |
JP4548570B2 (ja) | 薬液吐出容器 | |
KR200372479Y1 (ko) | 샤워기용 약제키트 | |
KR200437427Y1 (ko) | 정량 토출을 위한 기능성 약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