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83U - 연결 고리 - Google Patents

연결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83U
KR20180001883U KR2020160007292U KR20160007292U KR20180001883U KR 20180001883 U KR20180001883 U KR 20180001883U KR 2020160007292 U KR2020160007292 U KR 2020160007292U KR 20160007292 U KR20160007292 U KR 20160007292U KR 20180001883 U KR20180001883 U KR 20180001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ngaged
tube
insertion 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동
Original Assignee
박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동 filed Critical 박승동
Priority to KR2020160007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8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링의 통과홀을 통해 걸고리의 삽입구와 체결구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걸고리와 연결링을 결합시 용접 또는 가압 성형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연결 고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 고리{A CONNECTING LINK}
본 고안은 연결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링의 통과홀을 통해 걸고리의 삽입구와 체결구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걸고리와 연결링을 결합시 용접 또는 가압 성형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연결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등에 형성된 연결 부위에는 가방 끈이나 액세서리 등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 고리는, 가방 끈 등이 연결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에 결합되며 가방 등의 연결 부위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리 형태의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연결 고리는, 걸고리와 연결링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형태가 사용되는데, 이때 걸고리의 일단으로 돌출된 연결축을 연결링의 대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 고리는, 끈이나 액세서리 등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걸고리에 연결된 가방 끈 등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부위의 자유도를 높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 고리는 걸고리의 연결축을 연결링의 결합홀에 끼워 넣은 후, 용접 또는 가압 성형 방식을 통해 연결축의 일단에 걸림 부위를 형성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연결링과 걸고리의 조립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 고리는 연결축에 걸림 부위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용접 또는 가압 성형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았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273880호(2002년 04월 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링의 통과홀을 통해 걸고리의 삽입구와 체결구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걸고리와 연결링을 결합시 용접 또는 가압 성형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링과 걸고리를 결합시 체결구의 파지관과 걸고리의 삽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걸고리의 회전 불능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는, 후단에 끈 부재가 결합되며, 전단에 통과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링과, 작동핀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통과홀의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에 제1단턱이 형성되는 걸고리 및, 상기 통과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고, 전단으로 돌출된 파지관이 상기 통과홀의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의 외부를 파지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파지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단턱과 전후로 걸림 위치되도록 제2단턱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관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관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가 상기 파지관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의 전후 방향 중심 축 선은 상기 삽입구의 전후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관은 상기 통과홀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결합시 상기 통과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관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절개부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파지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단턱을 다수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턱은 상기 파지관과 상기 삽입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통과홀 내에서 외부로 벌어진 후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제1단턱에 걸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관과 상기 통과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격된 간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부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파지관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걸고리와 상기 체결구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진 후 상기 제1단턱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턱의 내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제2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걸고리와 상기 체결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구의 전단 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연결링의 통과홀을 통해 걸고리의 삽입구와 체결구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걸고리와 연결링을 결합시 용접 또는 가압 성형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구와 삽입구의 대응되는 단턱에 경사면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조립시 삽입구의 전단이 파지관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어 삽입구를 걸림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지지돌기에 의해 파지관의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체결구와 삽입구 간의 유격이 형성되지 않아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링과 걸고리를 결합시 체결구의 파지관과 걸고리의 삽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걸고리의 회전 불능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는 연결링(100)과, 걸고리(200) 및, 체결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연결링(100)은 끈 부재(가방 끈 등, 10)의 일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링(100)의 후단에 끈 부재(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100)은 도 1에서처럼 끈 부재(10)의 일단이 벤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100)의 전단에는 후술 될 걸고리(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과홀(1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1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 될 삽입구(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걸고리(200)는, 도 1과 도 2에서처럼 연결 대상물(가방 등, 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고리(200)의 일부분에는 연결 대상물(2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201)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201)의 일측에는 작동핀(21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핀(210)은, 일단이 개방부(201)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단이 회전되면서 개방부(20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핀(210)의 일단과 개방부(201)의 일측에는 회전중심(C)을 형성하기 위한 힌지축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210)의 회전중심(C)에는 비틀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작동핀(210)은 개방 위치로 회동된 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걸고리(200)의 후단에는 통과홀(110)의 전방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축 형상의 삽입구(21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10)는, 도 4에서처럼 통과홀(110) 내에서 후술 될 파지관(310)의 삽입홈(311)과 대응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210)의 외주면은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구(210)의 외경은 통과홀(110)의 내경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210)의 외주면에는 후술 될 파지관(310)의 제2단턱(312)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제1단턱(21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211)은, 삽입구(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210)의 후방은 상기 제1단턱(211)을 기준으로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구(210)의 외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경사면(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212)은 삽입구(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고리(200)와 후술 될 체결구(30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2단턱(312)들이 제1경사면(212)과 접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외부로 벌어진 후, 제1단턱(211)의 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경사면(212)은, 삽입구(210)를 삽입홈(311)의 전방을 통해 삽입하는 경우, 상기 삽입구(210)의 전단이 후술 될 파지관(310)의 전단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체결구(300)는, 통과홀(110)의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삽입구(210)의 전단에 대응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구(300)는 통과홀(11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300)는 일정 강도와 탄성력을 갖는 수지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구(300)의 전단에는 더 작은 직경의 파지관(31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지관(310)은 전술한 통과홀(110)과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관(310)의 전면에는 전술한 삽입구(21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1)은, 파지관(310)의 측방을 방향을 따라 원주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311)의 전후 방향 중심 축 선은 전술한 삽입구(210)의 전후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311)의 후방에는 파지관(310)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311)에 삽입된 삽입구(210)가 파지관(31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315)가 형성된다.
상기 폐쇄부(315)는, 연결링(100)과 걸고리(200)를 결합시 걸고리(200)의 삽입구(210)가 체결구(30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폐쇄부(315)는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 걸고리(200)의 회전 불능 형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입홈(311)의 내주면에는 전술한 제1단턱(211)과 전후로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제2단턱(31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단턱(312)은, 삽입홈(3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턱(312)은 파지관(310)의 전단에 인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311)의 후방은 상기 제2단턱(312)을 기준으로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단턱(312)을 기준으로 삽입홈(311)의 후방에 제1단턱(211)이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지관(310)의 전단에는 절개부(313)가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3)는 파지관(310)의 전단으로 개방된다.
상기 절개부(313)는, 도 1에서처럼 파지관(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313)에 의해 제2단턱(312)이 다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313)들에 의해 분할된 파지관(310)의 전단이 외부로 벌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통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통과홀(110)의 내주면에는 파지관(310)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20)는, 제2단턱(312)과 간격을 형성하도록 통과홀(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돌기(120)는 통과홀(110)의 내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120)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통과홀(110)의 내경은 도 3과 4에서처럼 파지관(310)의 외경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간격부(G)를 형성한다.
상기 간격부(G)는, 통과홀(110)의 내부에서 파지관(310)과 삽입구(210)를 결합시키는 경우, 도 4에서처럼 상기 파지관(310)의 전단이 외부로 벌어질 수 있도록 간격을 형성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과홀(110)의 내부에서 파지관(310)과 삽입구(210)를 결합시키는 경우, 파지관(310)의 전단에 위치된 제2단턱(312)이 통과홀(110)의 간격부(G) 내에서 외부로 벌어진 후 제1단턱(211)의 후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제2단턱(312)이 제1단턱(211)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제2단턱(312)이 제1단턱(211)의 외부를 일정 힘으로 가압하므로, 삽입구(210)와 파지관(310)이 통과홀(110) 내에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파지관(310)과 삽입구(210)는 통과홀(110) 내에서 양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걸고리(200)와 체결구(300)는 연결링(100)의 통과홀(110) 내에서 양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고리(200)와 체결구(300)가 함께 회전되므로, 연결링(100)에 연결된 끈 부재(10)가 양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끈 부재(10)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단턱(312)의 내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삽입홈(311)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제2경사면(314)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경사면(314)은 삽입홈(3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314)은, 삽입홈(311)을 통해 삽입구(210)를 삽입시키는 경우, 파지관(310)의 전단 또는 제2단턱(312)에 삽입구(210)가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통과홀(110)의 전방을 통해 삽입구(210)를 밀어 넣는 후, 통과홀(110)의 후방을 통해 체결구(300)를 밀어 넣는 동작 만으로도 연결링(100)과 걸고리(2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10)와 파지관(31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제2단턱(312)이 제1경사면(2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외부로 벌어진다.
이후, 상기 제2단턱(312)들은 제1경사면(212)의 후방에 형성된 제1단턱(211)에 걸림 위치되므로, 삽입구(210)와 파지관(310)은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단턱(312)의 내주면에 제2경사면(314)을 형성시킨 경우는, 삽입구(210)의 제1경사면(212)과 제2경사면(314)이 서로 대응되게 밀착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연결링(100)의 통과홀(110)을 통해 걸고리(200)의 삽입구(210)와 체결구(300)를 암수로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걸고리(200)와 연결링(100)을 결합시 용접 또는 가압 성형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구(300)와 삽입구(210)의 대응되는 제1, 2단턱(211)(312)에 제1, 2경사면(212)(314)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조립시 삽입구(210)의 전단이 파지관(3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어 삽입구(210)를 걸림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돌기(120)에 의해 파지관(310)의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체결구(300)와 삽입구(210) 간의 유격이 형성되지 않아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연결링(100)과 걸고리(200)를 결합시 체결구(300)의 파지관(310)과 걸고리(200)의 삽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311)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걸고리(200)의 회전 불능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고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끈 부재 20: 연결 대상물
100: 연결링 110: 통과홀
120: 지지돌기 200: 걸고리
201: 개방부 210: 삽입구
211: 제1단턱 212: 제1경사면
220: 작동핀 300: 체결구
310: 파지관 311: 삽입홈
312: 제2단턱 313: 절개부
314: 제2경사면 315: 폐쇄부
C: 회전중심 G: 간격부

Claims (8)

  1. 후단에 끈 부재가 결합되며, 전단에 통과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링과, 작동핀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통과홀의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에 제1단턱이 형성되는 걸고리 및, 상기 통과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고, 전단으로 돌출된 파지관이 상기 통과홀의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의 외부를 파지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파지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단턱과 전후로 걸림 위치되도록 제2단턱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관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관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가 상기 파지관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관은,
    상기 통과홀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결합시 상기 통과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파지관의 측방을 따라 원주를 형성하며, 전후 방향의 중심 축 선이 상기 삽입구의 전후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지관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절개부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파지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단턱을 다수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단턱은,
    상기 파지관과 상기 삽입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통과홀 내에서 외부로 벌어진 후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제1단턱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지관과 상기 통과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격된 간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부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파지관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걸고리와 상기 체결구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진 후 상기 제1단턱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단턱의 내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제2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걸고리와 상기 체결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구의 전단 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단턱이 외부로 벌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KR2020160007292U 2016-12-15 2016-12-15 연결 고리 KR20180001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2U KR20180001883U (ko) 2016-12-15 2016-12-15 연결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2U KR20180001883U (ko) 2016-12-15 2016-12-15 연결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83U true KR20180001883U (ko) 2018-06-25

Family

ID=6274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92U KR20180001883U (ko) 2016-12-15 2016-12-15 연결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88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430B1 (ko) 연결 고리
US7387150B2 (en) Shade roller capable of bearing heavy load
US5451082A (en) Lock fastener
KR890000076Y1 (ko) 끈 조임구
JP2008111463A (ja) 連結具
JP3544288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連結具
JP6764883B2 (ja) バックル
KR20180001883U (ko) 연결 고리
KR101883456B1 (ko) 악세사리용 연결장치
FR2760177A1 (fr) Dispositif de blocage de cordon
KR101792603B1 (ko) 연결 고리
JPH0616626Y2 (ja) 洗濯ばさみ
KR101799697B1 (ko) 링 귀걸이 및 링 귀걸이 조립방법
JPH09164007A (ja) 紐止め具
JP7153927B2 (ja) フック具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CN214630418U (zh) 一种装饰扣
JP4473984B2 (ja) 紐端末カバー
KR100436094B1 (ko) 헬멧 턱끈용 버클
JP4224830B2 (ja) 合成樹脂製フック
JP2001149695A (ja) 挟持具
JP4159687B2 (ja) ホース巻取機
JP2829579B2 (ja) 脚部材
KR101550827B1 (ko) 가방용 연결고리장치
JP2021003517A (ja) 連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