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32A - 표시등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32A
KR20180001532A KR1020170172918A KR20170172918A KR20180001532A KR 20180001532 A KR20180001532 A KR 20180001532A KR 1020170172918 A KR1020170172918 A KR 1020170172918A KR 20170172918 A KR20170172918 A KR 20170172918A KR 20180001532 A KR20180001532 A KR 2018000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light
main body
display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현준섭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빌트조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트조명(주) filed Critical 빌트조명(주)
Priority to KR102017017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32A/ko
Publication of KR2018000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아파트, 오피스텔, 숙박시설 등의 각종 건물에서 아랫쪽 계단과 윗쪽 계단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계단참에 접하는 벽면이나 건물내 방의 출입구 외측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층수(層數) 또는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에 의하여 표시등본체의 전면으로 밝고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숫자나 문자가 표시등본체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확대되어 투사되도록 하여 이용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Visibility )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표시등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표시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뒷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하부면에는 건물의 층수(層數) 또는 방의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된 표시부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표시등본체와; 상기 표시등본체의 개구된 뒷부분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안쪽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광되는 엘이디(LE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안쪽면 중간부위에는 컨버터(Converter)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등본체의 하부 내측에서 뒷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회로기판상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이 아랫쪽으로 반사된 후 표시등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표시등 장치{Indicating lamp}
본 발명은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숙박시설 등의 각종 건물에서 아랫쪽 계단과 윗쪽 계단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계단참에 접하는 벽면이나 건물내 방의 출입구 외측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층수(層數) 또는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에 의하여 표시등본체의 전면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숫자나 문자가 v표표시등본체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확대되어 투사되도록 하여 이용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Visibility )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표시등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숙박시설 등의 각종 건물에는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층이나 방의 호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층수(層數) 또는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표시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층수나 방의 홋수를 나타내는 종래의 표시장치는 목판이나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에 건물의 층수나 홋수를 양각(陽刻)하거나 음각(陰刻)하여 벽면에 부착하거나 걸어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을 통하여 목판이나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에 문자나 숫자 등을 조각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불량한 것은 물론, 작업속도가 떨어져 생산성에 한계가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표시장치에는 별도의 조명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인성이 떨어져 어두운 실내에서는 층수와 홋수를 확인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층수나 홋수를 나타내는 표시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천장이나 벽면에 별도의 조명등을 설치하고,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표시장치를 비추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바, 이 경우 별도의 조명등이 천장이나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이 불량해지고, 안전성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0253호(명칭: 건물 식별 표시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 부착대상이 되는 건물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숫자 또는 문자형상의 표시 사인과 표시 사인의 인식 방향으로 표시 사인과 면하는 건물의 벽면과 이격되도록 표시 사인을 건물의 일부위에 부착시키는 부착장치를 구비한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표시 사인이 표시 사인과 면하는 건물의 벽면에 대해 접하지 않고 떠 있게 되어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건물의 동번호 식별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야간에는 가까이 가지 않고는 표시 사인의 식별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0253호, "건물 식별 표시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파트, 오피스텔, 숙박시설 등의 각종 건물에서 아랫쪽 계단과 윗쪽 계단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계단참에 접하는 벽면이나 건물내 방의 출입구 외측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층수(層數) 또는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에 의하여 표시등본체의 전면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숫자나 문자가 표시등본체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확대되어 투사되도록 하여 이용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Visibility )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표시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표시등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표시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뒷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하부면에는 건물의 층수(層數) 또는 방의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된 표시부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표시등본체와; 상기 표시등본체의 개구된 뒷부분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안쪽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광되는 엘이디(LE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안쪽면 중간부위에는 컨버터(Converter)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등본체의 하부 내측에서 뒷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회로기판상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이 아랫쪽으로 반사되어 표시등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이 표시등본체의 상방 또는 측방의 가장자리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투과슬릿(Slit)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의 뒷부분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에 받침편이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에는 자석이 끼워져 결합되어 표시등본체에 대한 회로기판의 결합이 자력에 의하여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표시등본체의 전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조사되면서 표시부를 구성하는 숫자나 문자가 선명하게 외부로 비춰지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시인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표시등본체의 상부면이나 측면에 형성된 광투과슬릿(50)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면서 표시등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벽면이 밝게 비춰짐에 따라 장식효과가 크게 향상되며, 상기 표시등본체의 뒷부분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된 받침편상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이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표시등본체의 뒷부분에 간단하고도 안정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수리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표시등본체의 상부면에 광투과슬릿이 형성된 본 발명의 표시등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표시등본체의 측면에 광투과슬릿이 형성된 본 발명의 표시등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 장치(10)에서는 뒷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函體)형상의 표시등본체(20)가 마련되는데, 상기 표시등본체(20)의 전면과 하부면에는 건물의 층수(層數) 또는 방의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된 표시부(21)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개구된 뒷부분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별도의 회로기판(30)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30)의 안쪽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광되는 엘이디(LED: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의 안쪽면 일측에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시켜 엘이디(31)에 인가하는 컨버터(Converter:32))가 설치된다.
또, 상기 표시등본체(20)의 하부 내측에는 별도의 반사경(40)이 뒷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반사경(40)은 회로기판(30)상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을 아랫쪽으로 반사시켜 표시등본체(20)의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21)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30)상의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이 표시등본체(20)의 상방 또는 측방의 가장자리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투과슬릿(Slit:50)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뒷부분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에 는 받침편(22)이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22)에는 자석(60)이 끼워져 결합되어 표시등본체(20)에 대한 회로기판(30)의 결합이 자력에 의하여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 장치(10)를 방의 외측 벽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회로기판(30)상에 설치된 엘이디(31)가 점등되는데, 상기 회로기판(30)의 안쪽면 윗부분에 장착된 엘이디(31)로 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는 표시등본체(20)의 전면에 형성된 표시부(21)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됨에 따라 표시등본체(20)의 전면에는 층수나 홋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밝게 표시된다.
또, 상기 회로기판(30)의 안쪽면 아랫부분에 장착된 엘이디(31)로 부터 발생된 빛은 반사경(40)에 의하여 다수회 반사된 후 표시등본체(20)의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21)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됨에 따라 표시등본체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벽면에는 층수나 홋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확대된 상태로 투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3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표시등본체(20)의 전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21)를 통하여 조사되면서 표시부(21)를 구성하는 숫자나 문자가 선명하게 외부로 비춰지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는 표시등본체(20)의 상부면이나 측면에 형성된 광투과슬릿(50)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면서 표시등본체(20)의 측방 또는 상방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벽면이 밝게 비춰짐에 따라 장식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뒷부분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된 받침편(22)상에 자석(60)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이 자석(60)의 자력에 의하여 표시등본체(20)의 뒷부분에 간단하고도 안정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수리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0 : 표시등 장치
20 : 표시등본체 21 : 표시부
22 : 받침편 30 : 회로기판
31 : 엘이디 32 : 컨버터
40 : 반사경 50 : 광투과슬릿
60 : 자석.

Claims (3)

  1. 뒷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函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하부면에는 건물의 층수(層數) 또는 방의 홋수(號數)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된 표시부(21)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표시등본체(20)와;
    상기 표시등본체(20)의 개구된 뒷부분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안쪽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광되는 엘이디(LED: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안쪽면 중간부위에는 컨버터(Converter:32)가 설치된 회로기판(30)과;
    상기 표시등본체(20)의 하부 내측에서 뒷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30)상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이 아랫쪽으로 반사된 후 표시등본체(20)의 하부면에 형성된 표시부(21)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경(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30)상의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이 표시등본체(20)의 상방 또는 측방의 가장자리 벽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투과슬릿(Slit: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본체(20)의 뒷부분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에는 받침편(22)이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22)상에는 자석(60)이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표시등본체(20)에 대한 회로기판(30)의 결합이 자력에 의하여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등 장치.
KR1020170172918A 2017-12-15 2017-12-15 표시등 장치 KR2018000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18A KR20180001532A (ko) 2017-12-15 2017-12-15 표시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18A KR20180001532A (ko) 2017-12-15 2017-12-15 표시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32A true KR20180001532A (ko) 2018-01-04

Family

ID=6099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18A KR20180001532A (ko) 2017-12-15 2017-12-15 표시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4B1 (ko) * 2019-09-02 2020-06-05 김계성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4B1 (ko) * 2019-09-02 2020-06-05 김계성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6537B2 (ja) 表示灯
RU253744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крытия пол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систему освещения
JP2004516512A (ja) 家庭用電気器具
JP201721481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板材およびインテリジェント板材を用いた家具、建物、構造物並びにスマート家具システム
KR20180001532A (ko) 표시등 장치
KR102569497B1 (ko)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KR101265524B1 (ko)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광고장치
JP5000404B2 (ja) 照明付き表札
KR20090004594U (ko) 발광 문양을 가지는 상자 구조물
KR20060124390A (ko) 테이블
KR200345324Y1 (ko) 바닥형 조명장치
JP2009229757A (ja) オープン型ledチャンネル文字
KR200266108Y1 (ko) 유/무인 표시장치
KR102050953B1 (ko) 불빛 또는 태양빛을 이용하는 인테리어 물품
KR20110004629U (ko) 거울 겸용 간접조명장치
KR200494579Y1 (ko) 커버 교체형 엘이디 명패
JP3115856U (ja) 階段
KR102303451B1 (ko)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369599Y1 (ko) 조명부를 갖는 패
KR20080040370A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을 갖는 종교상징물
KR200481876Y1 (ko) 사이드 프레임용 투광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등기구
KR20100070536A (ko) 현판
KR20230133629A (ko) 옥외 광고용 간판
KR200473121Y1 (ko)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210155919A (ko) 부식에 높은 저항성을 갖는 황동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