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33U - 다기능 신호봉 - Google Patents

다기능 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33U
KR20180001433U KR2020160006454U KR20160006454U KR20180001433U KR 20180001433 U KR20180001433 U KR 20180001433U KR 2020160006454 U KR2020160006454 U KR 2020160006454U KR 20160006454 U KR20160006454 U KR 20160006454U KR 20180001433 U KR20180001433 U KR 201800014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switch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305Y1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Priority to KR2020160006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0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중공에 형성되는 본체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공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파워 LED;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파워 LED 및 상기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신호봉{MULTI FUNCTIONAL SIGNAL STICK}
본 고안은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신호봉, 휴대용 랜턴 및 전자 호루라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이 교통을 통제 또는 정리하거나, 사고, 공사현장을 안전 유도하거나, 주차안내, 차량 고장시의 주의 표시 또는 군 이동 통제 등을 할 때 신호봉이 사용된다.
한편, 상술한 활동들을 수행하는데 있어, 신호봉 이외에도 고휘도 랜턴이나 전자 호루라기 등의 장비가 함께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위하여 신호봉 이외에 랜턴이나 전자 호루라기 등의 장비를 모두 함께 휴대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문헌은 도로 등에서 교통 수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광을 난반사시키는 깃발을 부착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킨 신호봉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448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유도, 교통 수신호 및 방범활동 등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신호봉에 휴대용 랜턴 및 전자 호루라기를 통합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사용과 관리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신호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신호봉 내부에 구비된 발광체, 휴대용 랜턴의 램프 및 전자 호루라기의 구동을 위한 정격 전압이 상이한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배터리로 상술한 세 구성들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신호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중공에 형성되는 본체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공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파워 LED;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파워 LED 및 상기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음각 패턴 및 화살표 형상의 양각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광 확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집광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파워 LED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는 상기 손잡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손잡이에 수용된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레귤레이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파워 LED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레귤레이터;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정격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3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는 자성체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신호봉, 휴대용 랜턴 및 전자 호루라기를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제품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신호봉 내부에 구비된 발광체, 휴대용 랜턴의 램프 및 전자 호루라기의 구동을 위한 정격 전압이 상이하더라도, 하나의 배터리만으로도 각 구성들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구성 중 제어유닛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구성 중 제어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 및 본체(100) 일측과 결합되는 손잡이(2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봉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중공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0)가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발광 다이오드(130)로부터 빛이 발산함으로써 광투과성 재질인 본체(100)의 외부로 빛이 투과된다.
특히, 본체(100) 외부로의 빛의 발산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본체(100)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는 광 확산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주면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된 복수 개의 음각 패턴(11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화살표 형상의 양각 패턴(12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음각 패턴(110) 및 양각 패턴(120)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본체(100)의 내주면 및 본체(100)의 중공에 마련된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30) 사이에 광 확산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확산시트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130) 점등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킨다.
반사시트에 의해서 확산된 빛은 투명 재질인 본체(100)를 투과함으로써 광 확산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파워 LED(300)를 구비한다.
이러한 파워 LED(300)는 휴대용 랜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체(100)의 타측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체(100)의 타측에는 상기 파워 LED(300)의 빛을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집광 렌즈(3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파워 LED(300) 주변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반사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본체(100)에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400)를 구비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400)는 전자 호루라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별도의 메모리(570)를 구비하는 경우, 메모리(570)에 저장된 다양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200)에는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130), 파워 LED(300) 및 음향 출력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티러(6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된다.
나아가 손잡이(200)의 타측에는 자성체(2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 상측 또는 공사 구조물 상측 등에 다기능 신호봉을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200)의 일측 끝단에는 클립(220)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클립(2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기능 신호봉을 허리 등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손잡이(200)의 측면에는 스트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230)가 형성될 수도 있으다.
또한, 손잡이(200)의 일 부분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돌기 및 홈(2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은 발광 다이오드(130), 파워 LED(300) 및 음향 출력부(3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제어유닛은 버튼(510, 520, 530)이 배치되는 손잡이(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발광 다이오드(130)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510), 파워 LED(300)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520) 및 음향 출력부(400)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530)를 포함한다.
세 개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만 온(On) 시킴으로써 세 개의 구성들 중 하나의 구성만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 개의 구성들이 기능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스위치 또는 세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온(On)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130), 파워 LED(300) 및 음향 출력부(400)를 구동시키는 정격 전압이 모두 다를 수 있으며, 하나의 배터리로 상기 3개의 기능 구성들을 동작시키는 경우 기능 구성들 모두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호봉의 제어유닛은 배터리(600)의 전압을 해당 구성들의 정격 전압으로 출력해주는 레큘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은 배터리(600)의 전압을 발광 다이오드(130)의 정격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레귤레이터(540), 배터리(600)의 전압을 파워 LED(300)의 정격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레귤레이터(550) 및 배터리(600)의 전압을 음향 출력부(400)의 정격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3 레귤레이터(56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발광 다이오드(130), 파워 LED(300) 및 음향 출력부(400) 중 어느 두 기능 구성들의 정격 전압이 같거나, 어느 하나의 기능 구성의 정격 전압이 배터리의 정격 전압과 같은 경우 2개의 레귤레이터만 구비하면 되며, 더 나아가 하나의 레귤레이터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결국, 기능 구성들을 하나의 배터리(600)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3개의 기능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배터리만으로도 각 구성들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0: 음각 패턴
120: 양각 패턴
130: 발광 다이오드
200: 손잡이
210: 자성체
220: 클립
230: 고리
300: 파워 LED
310: 집광 렌즈
400: 음향 출력부
510, 520, 530: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제3 스위치
540, 550, 560: 제1 레귤레이터, 제2 레귤레이터, 제3 레귤레이터
570: 메모리
600: 배터리

Claims (9)

  1.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중공에 형성되는 본체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에 있어서,
    상기 중공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파워 LED;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파워 LED 및 상기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음각 패턴 및 화살표 형상의 양각 패턴이 형성되는 다기능 신호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광 확산시트;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집광 렌즈;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다기능 신호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파워 LED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는 상기 손잡이부에 배치되는 다기능 신호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손잡이에 수용된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레귤레이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파워 LED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레귤레이터;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3 레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신호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는 자성체가 삽입되는 다기능 신호봉.
KR2020160006454U 2016-11-04 2016-11-04 다기능 신호봉 KR200488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4U KR200488305Y1 (ko) 2016-11-04 2016-11-04 다기능 신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4U KR200488305Y1 (ko) 2016-11-04 2016-11-04 다기능 신호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3U true KR20180001433U (ko) 2018-05-14
KR200488305Y1 KR200488305Y1 (ko) 2019-01-14

Family

ID=6216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54U KR200488305Y1 (ko) 2016-11-04 2016-11-04 다기능 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760B1 (ko) * 2021-12-07 2023-12-28 서울특별시 차량 출입 차단기의 개방을 위한 경광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702A (ja) * 1994-02-17 1995-08-29 Souji Kobayashi 合図灯兼用懐中電灯及び合図灯
KR200409301Y1 (ko) * 2005-07-25 2006-02-24 이상걸 교통 신호봉
KR200420047Y1 (ko) * 2006-04-14 2006-06-28 김정모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KR20090095448A (ko) 2008-03-04 2009-09-09 김동규 난반사형 신호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702A (ja) * 1994-02-17 1995-08-29 Souji Kobayashi 合図灯兼用懐中電灯及び合図灯
KR200409301Y1 (ko) * 2005-07-25 2006-02-24 이상걸 교통 신호봉
KR200420047Y1 (ko) * 2006-04-14 2006-06-28 김정모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KR20090095448A (ko) 2008-03-04 2009-09-09 김동규 난반사형 신호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05Y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301Y1 (ko) 교통 신호봉
KR102588792B1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JP3152474U (ja) 自転車用ライト装置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JP2017506792A (ja) 光源からオフセットされた発光要素を備える、特に自動車の照明部材のための照明システム
JP2006218259A (ja) 照明杖
KR200488305Y1 (ko) 다기능 신호봉
US20240142081A1 (en) Illumination devices
KR101618860B1 (ko) 경보용 엘이디 램프
KR101468543B1 (ko) 응원도구
JP2006134345A (ja) 交通信号棒(Trafficlightstick)
JP2016123201A (ja) パイロン用バー、パイロン用送電ユニットおよびパイロン用バー点灯システム
KR101274281B1 (ko) 엘이디 경광등
JP4755850B2 (ja) 携帯型led照明灯装置
KR101031659B1 (ko) 다기능 신호봉
JP3002131U (ja) 携帯用電灯
KR20050078137A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JP2014235999A (ja) 携帯型指示装置
KR101730526B1 (ko) 휴대용 경광봉
KR200405151Y1 (ko) 교통 신호봉
CN203588464U (zh) 交通指挥棒
JP3122129U (ja) 合図灯
JP5302146B2 (ja) 道路用発光標示体
JP2007226689A (ja) 避難場所表示装置
JP3096983U (ja) 誘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