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448A - 난반사형 신호봉 - Google Patents

난반사형 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448A
KR20090095448A KR1020080122708A KR20080122708A KR20090095448A KR 20090095448 A KR20090095448 A KR 20090095448A KR 1020080122708 A KR1020080122708 A KR 1020080122708A KR 20080122708 A KR20080122708 A KR 20080122708A KR 20090095448 A KR20090095448 A KR 2009009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housing
rotating body
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754B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ublication of KR2009009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72Traffic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등에서 교통 수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깃발을 부착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킨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반사형 신호봉은 손잡이와, 손잡이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깃발과, 깃발과 인접되는 측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깃발로 조사하는 제 1램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성을 향상시켜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먼 거리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신호봉을 제공한다.
신호봉, 난반사, 깃발

Description

난반사형 신호봉{Signal bar of diffused reflection type}
본 발명은 도로 등에서 교통 수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깃발을 부착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킨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신호봉은 야간이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우천시에 경찰관이 교통을 통제 또는 정리하거나 사고, 공사현장을 안전 유도하거나 주차안내, 차량 고장시의 주의 표시 또는 군 이동 통제 등을 할 때에 사용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종래의 신호봉은 불빛이 투과되는 반투명한 재질의 봉체에는 램프가 삽입된 발광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고, 램프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신호봉의 발광부는 먼곳에서 용이하게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광이 연속 점멸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신호봉에 별도의 경보음 발생장치가 내장된 경우 상기 발광부가 점멸됨과 동시에 경보음이 발생되어 경고신호를 시청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신호봉은 교통 및 안전확보를 위한 신호수단으로서, 각종 산업분야에 서 안전 식별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도로상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도로의 차량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도로의 혼잡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서 차량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로상에서 차량의 고장시 위험신호를 주행하는 차량에게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신호봉은 전등 (light)을 통한 단순 점등으로 그 불빛이 밝지 않고 발광부 면적이 작아 먼거리에서는 식별하기가 어렵고, 특히 주간에는 식별이 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먼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광을 난반사시키는 깃발을 부착한 신호봉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봉에 깃발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신호봉 자체에 분리된 깃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신호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반사형 신호봉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고정되는 깃발과; 상기 깃발과 연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로 광을 조사하는 제 1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램프는 상기 회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램프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깃발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광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 2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2램프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하 우징의 내측면으로 난반사되도록 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깃발은 상기 회전체의 결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반사형 신호봉의 다른 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에 지지되는 깃발과; 상기 깃발과 연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로 광을 조사하는 제 1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바는 양단부가 상기 제 1램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어 폐궤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반사형 신호봉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깃발을 부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먼 거리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신호봉을 제공한다.
또한, 깃발을 탄성바에 지지시켜 설치함으로써 깃발이 하우징에 감기거나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봉에 깃발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신호봉 자체에 분 리된 깃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회전체에 깃발이 결합되는 상태는 나타내는 일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반사형 신호봉(5)은 크게 손잡이(10)와, 손잡이(10)의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결합되는 회전체(35)와, 회전체(35)에 설치되는 깃발(80) 및 제 1램프(40)를 가진다.
손잡이(10)는 대략 봉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가진다. 손잡이(10)의 외측면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지로 감쌀 수 있다. 손잡이(10)의 일단에는 하우징(30)과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손잡이(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으로 이용되는 전지(11)와, 전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제 2램프(45)가 마련된다. 제 2램프(45)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손잡이(10)의 일측에는 제1램프(40) 및 제 2램프(45)를 점멸하기 위한 스위치(13)가 마련된다. 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해 내장된 구동회로 기판(미도시)상의 회로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시켜 제 1램프(40) 및 제 2램프(45)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킨다.
하우징(30)은 손잡이(10)와 나사결합되며, 중공체의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 하우징(30)은 제 2램프(45)에서 발산된 광에 의해 시인성을 갖는다. 제 2램프(45)에 의해 발광되는 하우징(30)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30)의 내측 단부에는 반사부(31)가 형성된다. 반사부(31)는 제 2램프(45)로부터 발산되는 광 중 하우징(30)의 내측 단부로 직진하는 광을 하우징(30)의 내측면으로 다시 난반사시켜 광의 이용효율을 높인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 2램프(45)는 하우징(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램프(45)와 별도로 다수의 램프가 하우징(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35)는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30)의 외측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반호형의 장착홈에 설치된다. 이 경우 회전체(35)의 양단부는 하우징(30)에서 돌출되는 핀(36)에 의해 지지되되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체(35)는 핀(36)을 중심으로 자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회전체(3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의 램프장착부(33)가 형성되며, 램프장착부(33)에는 제 1램프(40)가 각각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제 1램 프(40)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램프장착부(33)는 깃발을 사이로 깃발의 전후방측 회전체에 나란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제 1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깃발(80)의 전후면으로 모두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램프장착부(33)의 입구에는 제 1램프(40)에서 발광된 광이 깃발(80)로 조사될 수 있도록 렌즈(35)가 설치될 수 있다.
깃발(80)은 램프장착부(33)와 인접되게 회전체(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깃발(80)은 천 또는 비닐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깃발(80)의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데, 사각형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깃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등의 도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호나 문자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신호봉(5)은 하우징(30)을 흔들면 깃발(80)이 고정된 회전체(35)가 깃발(80)의 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80)에 장착된 제 1램프(40) 역시 깃발(80)의 운동방향을 따라 광 조사방향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 1램프(40)에서 발산되는 광은 항상 깃발(80)을 조사하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깃발(80)은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 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광반사부재가 구비된다. 광반사부재로서 난반사 효과를 내는 금속분말(85)이 함유된 도료를 이용하여 깃발의 표면에 코 팅처리한다. 이외에도 박판의 수지로 만들어진 깃발(80)의 표면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난반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깃발(80)의 전후면에 조사되면 광반사부재에 의해 광이 난반사되어 주간에도 깃발(80)이 쉽게 눈에 띄어 먼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다.
깃발(80)은 회전체(30)에 고정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5)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깃발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신호봉은 회전체(35)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37)이 형성되고, 깃발(80)의 일가장자리에는 결합홈(37)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81)가 구비된다.
지지대(81)는 역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결합홈(37)은 상기 지지대(81)가 결합되도록 역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결합홈(37)에 지지대(81)를 밀어넣음으로써 간단하게 깃발(80)이 회전체(35)에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0)은 분리된 깃발(80)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우징(30)의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에 보관된 깃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9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회전체에 깃발이 직접 고정되는 형태가 아니라 회전체에 탄성바(90)가 고정되고, 깃발(80)은 탄성바(90)에 지지된다.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바(90)의 일단은 회전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3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하우징(3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탄성바(90)는 하우징(30)의 흔들림에 의해 휨변형을 일으키면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탄성바(90)로는 스프링에 사용되는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바(90)는 일정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탄성바(90)에 깃발을 부착한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천(80a)(80b) 2장을 앞뒤로 겹쳐서 탄성바(90)가 삽입될 자리만을 남겨둔채 박음질하여 형성된 깃발(80)을 탄성바(90)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하우징(30)을 흔드는 경우 깃발(80)이 펄럭이면서 하우징(30)에 감기거나 깃발(8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탄성바(90)가 방지하므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발은 전체적으로 U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깃발(80)을 지지하는 탄성바(90)는 U형으로 절곡하여 양단을 회전체(35)에 고정시킴으로써 탄성바(90)가 폐궤도를 이루게 한다. 탄성바(90)의 양단은 제 1램프(40)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35)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1램프(40)에서 조사된 광은 깃발(80)의 양 내측면에 조사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발(80)의 하부에 보조 깃발(83)이 더 형성되어, 깃발의 역동성을 살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봉은 회전체의 결합홈에 지지대를 결합하여 깃발을 설치한 상태에서 손으로 신호봉의 손잡이를 잡고 흔들게 되면, 깃발의 표면에 부착된 난반사체에 의해 주간 및 먼 거리에서 용이하게 신호봉을 식별할 수 있 다.
그리고 신호봉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깃발을 신호봉으로부터 분리하여 하우징의 수납부에 보관함으로써 분실의 우려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신호봉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의 회전체에 깃발이 결합되는 상태는 나타내는 일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반사형 신호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30: 하우징
31: 반사부 33: 램프장착부
40: 제 1램프 45: 제2램프
80: 깃발 85: 광반사부재

Claims (6)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고정되는 깃발과;
    상기 깃발과 연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로 광을 조사하는 제 1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는 상기 회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램프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깃발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광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 2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2램프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난반사되도록 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깃발은 상기 회전체의 결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5.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에 지지되는 깃발과;
    상기 깃발과 연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로 광을 조사하는 제 1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는 양단부가 상기 제 1램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어 폐궤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형 신호봉.
KR1020080122708A 2008-03-04 2008-12-04 난반사형 신호봉 KR101084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0248 2008-03-04
KR1020080020248 2008-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48A true KR20090095448A (ko) 2009-09-09
KR101084754B1 KR101084754B1 (ko) 2011-11-22

Family

ID=4129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708A KR101084754B1 (ko) 2008-03-04 2008-12-04 난반사형 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9852A (zh) * 2014-11-21 2017-09-26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识别生物特征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KR20180001433U (ko)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다기능 신호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01A (ja) * 1999-05-17 2000-11-30 Dainippon Ink & Chem Inc 停止旗付誘導燈
KR200167636Y1 (ko) * 1999-08-10 2000-02-15 유인철 가이드포스트
KR200385345Y1 (ko) * 2005-03-17 2005-05-27 리드세이프티(주) 신호봉 깃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9852A (zh) * 2014-11-21 2017-09-26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识别生物特征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KR20180001433U (ko)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다기능 신호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754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2474U (ja) 自転車用ライト装置
JP3208109U (ja) Led警告灯携帯ケース
BRPI0706911A2 (pt) unidade ótica tendo funções de iluminação acopladas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JP2010161008A (ja) 車両用灯具の棒状導光体
KR101084754B1 (ko) 난반사형 신호봉
KR200420047Y1 (ko)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KR101537227B1 (ko) 차량용 led 벌브
KR101304728B1 (ko) 다용도 교통안전 표지판
KR200488305Y1 (ko) 다기능 신호봉
KR200487375Y1 (ko) 고 시인성 엘이디 바 조립체
JP3115425U (ja) 自発性輝きトライアングル警告器
KR10173143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JP3113808U (ja) 合図誘導灯
JP3189170U (ja) サイドミラーの導光構造
JP2005035521A (ja) ドアミラー
JP3132675U (ja) 自動車用透明文字盤つき電光後部表示灯
JP2006045986A (ja) 道路用発光警告装置
KR20130052799A (ko) 엘이디 경광등
KR200404764Y1 (ko) 발광 효과를 가진 경고장치
JP3162062U (ja) 自転車用錠
JP3113630U (ja) 補助照明装置付き乗り物
KR200406757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조명장치
KR200348911Y1 (ko) 차량용 나침반
JP3103782B2 (ja) 安全旗付合図誘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