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88U -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288U KR20180001288U KR2020160006234U KR20160006234U KR20180001288U KR 20180001288 U KR20180001288 U KR 20180001288U KR 2020160006234 U KR2020160006234 U KR 2020160006234U KR 20160006234 U KR20160006234 U KR 20160006234U KR 20180001288 U KR20180001288 U KR 2018000128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air
- container
- button portion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는, 개폐를 위한 문이 마련되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되는 자동 배출 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문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용기에 공기압을 전달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이 상기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의 개폐에 따라 내용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장이나 옷장, 냉장고 등과 같은 공간은, 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문은 힌지 구조, 슬라이딩 구조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개폐가 구현되며, 문의 개폐를 돕기 위해 문에는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문이 닫힌 상태에서 신발장 등의 공간은, 비교적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공간 내에 수용된 신발 등의 물건으로부터 냄새가 발생할 수 있고, 냄새는 밀폐된 공간 안을 채우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문을 열게 되면, 공간 내에 채워져 있던 냄새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는 불쾌한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러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문을 열어 공간을 개방시켜 놓을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는 공간 내에 방향제나 탈취제 등의 제품을 두게 된다.
이러한 방향제나 탈취제는, 물질 자체에서 연속적으로 향기가 분출되거나 또는 물질이 일정한 용량만큼 지속적으로 냄새를 흡수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일례로 숯, 디퓨저, 커피콩 등이 방향제나 탈취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제나 탈취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향기의 분출량이나 냄새 흡수 능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므로, 공간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농도가 진한 방향물질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방향물질을 분사하는 스프레이와 같은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 시 문을 열고 공간 내부에 방향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그런데 스프레이와 같은 제품은,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들고 문을 열어 공간 내에 방향물질을 분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방향물질을 분사한 뒤 장시간이 지나도록 재분사를 하지 못하면, 사용자가 문을 열 때 불쾌한 냄새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문의 개폐를 광센서나 전기적인 스위치로 감지하여 방향물질을 자동으로 공간 내에 분사하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제품은, 센서나 전기 스위치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에만 설치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의 개폐에 따라 용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발생하도록 하여, 용기의 내압 상승을 구현해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방향물질이 공간 내부로 자동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자동 배출 장치는, 개폐를 위한 문이 마련되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되는 자동 배출 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문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용기에 공기압을 전달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이 상기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문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기 용기로 연결되는 공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문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버튼부에 의해 움직이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고 일단에 상기 공기관이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관으로 전달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문에 의한 상기 버튼부의 가압 시, 상기 피스톤이 일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공기관을 통해 상기 용기로 상기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버튼부의 돌출 시, 상기 피스톤이 타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실린더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이 타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공기관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문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문에 인접한 일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는, 문을 닫을 때 버튼이 눌리면서 공기압이 용기 내부로 전달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방향물질이 공간 내로 분출되어 공간 내부를 효율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구조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는, 개폐를 위한 문(3)이 마련되는 일정한 공간(2)에 설치되며, 용기(10), 배출 조절부(2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내용물(P)을 수용한다. 내용물(P)은 공간(2)을 이롭게 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며, 일례로 방향물질이나 탈취물질 등일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10)는 내용물(P)을 수용한 상태로 공간(2)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 용기(10)는 문(3) 근처에 마련될 필요가 없다. 이는 용기(10)와 연결되는 배출 조절부(20)가 문(3)에 인접하게 마련된다면, 용기(10)는 배출 조절부(20)와 공기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한 배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용기(10)는, 본체(11), 배출부(12)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내용물(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적어도 공간(2) 내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본체(11)는, 원통, 다각기둥, 다면체 등일 수 있고, 적어도 바닥이 평평하게 마련되어 공간(2) 내 일면에 놓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본체(11)는 공간(2) 내벽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이거나, 공간(2)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고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걸려 있을 수 있는 형태 등일 수 있다.
배출부(12)는, 본체(11)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용물(P)이 배출되는 배출구(121)를 갖는다. 배출부(12)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일 수 있고, 또는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및 내용물(P) 흡입측에 마련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와 배출구(121) 측에 마련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분무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기 또는 공기의 압력을 받아 내용물(P)을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공기관(22)이 수용공간(2)으로 공기압을 주입하면 수용공간(2)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P)이 배출부(12)로 전달되어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예시를 설명하겠으나, 본 고안에서 내용물(P)의 배출이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배출부(12)는, 분무기나 향수, 스프레이 등 각종 분사 제품들에서 사용되는 구조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고안에서 배출부(12)는, 공기압을 활용하는 구조로 한정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이를 위해 이하에서 공기관(2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는, 본체(11) 또는 배출부(12)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부(12)는, 배출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22)은 배출구(121)와 수용공간(2)을 연결하는 배관 형태의 구성이며, 하단이 수용공간(2)에서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공간(2) 내에 공기관(22)을 타고 공기가 전달되면, 수용공간(2)의 내압이 상승하면서 내용물(P)이 배출관(122)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후 배출관(122)의 상단에 마련되는 배출구(121)를 통해 내용물(P)이 배출(분사)될 수 있다.
배출부(12)에서 본체(11)와 인접한 일측에는 실링부재(12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23)는 공기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실링부재(123)에는 배출관(122)과 공기관(22)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실링부재(123)는 배출관(122) 및 공기관(22)의 둘레를 실링할 수 있다.
배출 조절부(20)는, 문(3)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의해 가압되어 용기(10)에 공기압을 전달한다. 이하에서 배출 조절부(20)는 문(3)이 닫힐 때 문(3)에 의해 가압되어 공기압을 전달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배출 조절부(20)는 반대로 문(3)이 열릴 때 문(3)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 또는 문(3)이 열리거나 닫힐 때 모두 문(3)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배출 조절부(20)는, 문(3)에 의해 가압되어 용기(10)에 공기압을 전달함으로써, 배출부(12)가 본체(11)의 수용공간(2) 내에 수용된 내용물(P)을 공간(2)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기압의 전달은, 배출 조절부(20)의 공기관(2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조절부(20)는, 버튼부(21), 공기관(22), 탄성부재(23), 피스톤(24), 실린더(25)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1)는, 문(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버튼부(21)는 문(3)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문(3)이 닫힐 때 문(3)에 의해 눌려서 피스톤(24)을 밀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21)는 문(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일단이 가압되도록 문(3)에 인접한 일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버튼부(21)의 일면은 문(3)이 회전하는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버튼부(21)의 타단은 피스톤(2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21)가 문(3)에 의해 눌리면, 버튼부(21)에 연결되는 피스톤(24)은 실린더(25) 내부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실린더(25) 내에는 피스톤(24)을 밀어내는 탄성부재(23)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버튼부(21)는 문(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탄성부재(23)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공기관(22)은, 버튼부(21)로부터 본체(11)의 수용공간(2)으로 연결된다. 버튼부(21)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3)에 의해 가압되면, 피스톤(24)이 실린더(25) 내에서 내측 방향(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25) 내부 공간(2)을 압축하게 되고, 실린더(25)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공기관(22)을 따라 수용공간(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공기관(22)은 실린더(25) 내부의 공간(2)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수용공간(2)에 공기가 유입되면, 수용공간(2)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내용물(P)이 배출부(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배출부(12)에 의한 내용물(P)의 배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관(122)과 배출구(12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버튼부(21)에 작용했던 문(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3)에 의해 피스톤(24)이 밀리면서 버튼부(21)가 돌출 상태로 되돌아갈 경우, 실린더(25) 내부의 공간(2)이 팽창하면서 공기관(22)을 통해 수용공간(2) 내부의 공기가 역류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 조절부(20)에는 역류방지밸브(26)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및/또는 용기(10)에는 가압판(13)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판(13)은 본체(11)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의 유입에 의해 수용공간(2)의 부피를 축소시킨다.
가압판(13)을 둘 경우 공기관(22)에 의해 본체(11)로 전달되는 공기는, 본체(11)의 내부에서 내용물(P)이 수용된 수용공간(2)이 아닌 다른 공간(2)으로 전달될 수 있고, 내용물(P) 대신 가압판(13)을 밀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가압판(13)이 도면을 기준으로 하강하게 되면, 수용공간(2)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수용공간(2)의 내압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2) 내에 저장된 내용물(P)은 배출관(122)을 따라 올라가면서 배출구(121)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가압판(13)은 둘레가 본체(11)의 내부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수용공간(2)을 본체(11) 내부의 다른 공간(2)과 격리시키면서 공기관(2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서 공기가 용기(10)에서 배출 조절부(20)로 역류되는 것이 (용기(10)나 배출 조절부(20) 자체의 구조 변경 또는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는 공기의 역류를 막을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부가함에 의해) 해소된다면, 가압판(13)은 생략될 수 있다.
탄성부재(23)는, 버튼부(21)가 문(3)을 향해 돌출되도록 버튼부(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3)는 버튼부(21)의 타단에 연결된 피스톤(24)을 실린더(25) 내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구성일 수 있으며,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23)는 실린더(25)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다만 실린더(25)에서 공기관(22)으로 연결되는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23)가 스프링일 경우, 탄성부재(23)는 상기 구멍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구멍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23)는 스프링임을 예로 들었지만, 이외에도 별도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유압부재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23)의 구조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탄성부재(23)는, 문(3)이 닫힐 때 버튼부(21)가 문(3)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다소 방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어서, 문(3)의 폐쇄 동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24)은, 버튼부(21)에 의해 실린더(25) 내에서 움직인다. 피스톤(24)은 버튼부(21)의 타단에 마련되며, 실린더(25) 내부의 공간(2)에서 내측방향(일방향) 또는 외측방향(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문(3)에 의한 버튼부(21)의 가압 시, 피스톤(24)이 일방향으로 움직이면 공기관(22)을 통해 본체(11)의 수용공간(2)으로 실린더(25) 내부의 공기가 전달될 수 있고, 이 경우 수용공간(2) 내의 내용물(P)은 배출부(12)를 통해 공간(2) 내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문(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23)에 의한 버튼부(21)의 돌출 시, 피스톤(24)이 타방향으로 움직이면 실린더(25)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조절부(20)에는 외부로부터 실린더(25)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구의 위치는 버튼부(21), 실린더(25) 및/또는 공기관(22)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흡입구는, 버튼부(21)에 마련될 수 있는데, 도면 상에서 버튼부(21)의 일면과 인접한 측면에 흡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는 문(3)에 의해 버튼부(21)가 가압되면 실린더(25)에 의해 가려지고, 문(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문(3)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면, 외부로 노출되었던 흡입구는 실린더(25)에 의해 가려지며, 이후 피스톤(24)이 일방향으로 더 움직이면서 실린더(25) 내부의 공기가 공기관(22)을 통해 본체(11)로 전달된다. 반대로 문(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버튼부(21)가 돌출되면서 흡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실린더(25) 내부가 팽창하면서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실린더(2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실린더(25) 내부로 본체(11) 내의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방지밸브(26)가 마련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으며, 역류방지밸브(26)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실린더(25)는, 피스톤(24)을 수용하고 일단에 공기관(22)이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관(22)으로 전달한다. 실린더(25) 내에는 피스톤(24)을 타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부재(2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25) 내부 공간(2)은 피스톤(24)에 의해 격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린더(25) 내에서 피스톤(24)은 도면 기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피스톤(24)의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25) 내부 공간(2)의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고, 실린더(25) 내압 상승 시에는 내용물(P)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반대로 실린더(25) 내압 하강 시에는 버튼부(21)의 돌출이 이루어진다. 내용물(P)의 배출은 문(3)이 닫히는 상황에 해당할 수 있으며, 버튼부(21)의 돌출은 문(3)이 열리는 상황에 해당할 수 있다.
실린더(25) 내로 피스톤(24)과 함께 버튼부(21)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버튼부(21)와 실린더(25)의 틈새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린더(25)에는 실링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는 실린더(25) 내에 이중사출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마련되는 고무 등일 수 있으며, 버튼부(21)가 문에 의해 가압될 때 버튼부(21)와 실린더(25)의 틈새를 막아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실링부는, 실린더(25)의 내부에서 버튼부(21)로부터 멀어질수록 실린더(25)의 내벽에서 더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버튼부(21)가 눌리면 눌릴수록 실링부에 의한 밀폐가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25)는 공간(2)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25)는 버튼부(21)가 공간(2)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린더(25)는 문(3)이 닫히더라도 문(3)에 의해 가압되지 않지만, 버튼부(21)는 실린더(25)와 달리 적어도 일부가 공간(2)을 벗어나도록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문(3)이 닫힐 때 문(3)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공간(2)에 문(3)이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을 경우, 실린더(25)는 힌지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실린더(25) 및 공기관(22)이 공간(2) 내에서 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동시에, 문(3)에 의해 버튼부(21)에 가해지는 토크를 줄여 탄성부재(23)가 문(3)이 닫힐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충분히 억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역류방지밸브(26)는, 피스톤(24)이 타방향으로 움직일 때 용기(10)로부터 공기관(22)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례로 역류방지밸브(26)는, 본체(11)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출 조절부(20)의 실린더(25)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26)는 공기관(22)에서 본체(11)에 위치하는 일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가 실린더(25)에서 공기관(22)을 통해 본체(11)로 전달될 때 공기에 의해 밀려서 개방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음압에 의해 닫혀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역류방지밸브(26)의 구조나 작동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역류방지밸브(2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문(3)에 의해 버튼부(21)가 눌려서 실린더(25) 내부의 공기가 용기(10)로 전달되면, 자동으로 용기(10) 내의 내용물(P)이 배출부(12)를 통해 공간(2) 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방향물질 등을 공간(2) 내에 효율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자동 배출 장치
2: 공간
3: 문 P: 내용물
10: 용기 11: 본체
12: 배출부 121: 배출구
122: 배출관 123: 실링부재
13: 가압판 20: 배출 조절부
21: 버튼부 22: 공기관
23: 탄성부재 24: 피스톤
25: 실린더 26: 역류방지밸브
3: 문 P: 내용물
10: 용기 11: 본체
12: 배출부 121: 배출구
122: 배출관 123: 실링부재
13: 가압판 20: 배출 조절부
21: 버튼부 22: 공기관
23: 탄성부재 24: 피스톤
25: 실린더 26: 역류방지밸브
Claims (9)
- 개폐를 위한 문이 마련되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되는 자동 배출 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문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용기에 공기압을 전달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이 상기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문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로부터 상기 용기로 연결되는 공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문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버튼부에 의해 움직이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고 일단에 상기 공기관이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관으로 전달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문에 의한 상기 버튼부의 가압 시, 상기 피스톤이 일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공기관을 통해 상기 용기로 상기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버튼부의 돌출 시, 상기 피스톤이 타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실린더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이 타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공기관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문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문에 인접한 일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234U KR200493910Y1 (ko) | 2016-10-26 | 2016-10-26 | 자동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234U KR200493910Y1 (ko) | 2016-10-26 | 2016-10-26 | 자동 배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288U true KR20180001288U (ko) | 2018-05-04 |
KR200493910Y1 KR200493910Y1 (ko) | 2021-06-28 |
Family
ID=6216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234U KR200493910Y1 (ko) | 2016-10-26 | 2016-10-26 | 자동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910Y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61277A (ko) * | 1996-02-15 | 1997-09-12 | 향기발생장치 | |
KR19990026172U (ko) * | 1997-12-19 | 1999-07-15 | 홍종만 | 자동차 도어의 방향제 분무 장치 |
KR200383758Y1 (ko) * | 2004-12-30 | 2005-05-09 | 이재경 | 공기를 이용한 액상물질 분사장치 |
KR20060003978A (ko) * | 2004-07-06 | 2006-01-12 | (주)훈테크 | 방향제 자동분사기 |
KR20090018413A (ko) * | 2007-08-17 | 2009-02-20 | 정규선 |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
KR20130117594A (ko) * | 2012-04-18 | 2013-10-28 | (주)에어솔 | 방향물질 분사장치 |
-
2016
- 2016-10-26 KR KR2020160006234U patent/KR20049391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61277A (ko) * | 1996-02-15 | 1997-09-12 | 향기발생장치 | |
KR19990026172U (ko) * | 1997-12-19 | 1999-07-15 | 홍종만 | 자동차 도어의 방향제 분무 장치 |
KR20060003978A (ko) * | 2004-07-06 | 2006-01-12 | (주)훈테크 | 방향제 자동분사기 |
KR200383758Y1 (ko) * | 2004-12-30 | 2005-05-09 | 이재경 | 공기를 이용한 액상물질 분사장치 |
KR20090018413A (ko) * | 2007-08-17 | 2009-02-20 | 정규선 |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
KR20130117594A (ko) * | 2012-04-18 | 2013-10-28 | (주)에어솔 | 방향물질 분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3910Y1 (ko) | 2021-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5191B1 (ko) |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 |
US20100243677A1 (en) | Cosmetic case for eye cream having airless pump | |
EP0888823B1 (fr) |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liquide ou pâteux comportant des moyens de pompage ameliorés | |
US8714408B2 (en) | Self-cleaning tip | |
KR200478584Y1 (ko) |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 |
BR112016000147B1 (pt) | Dispositivo distribuidor para distribuir uma composição de fluido ou em pó | |
JP2003200088A (ja) | 二液小出しパッケージ | |
CN103930219A (zh) | 具有喷雾器功能的计量式和主动式喷射器装置(“flairosol ii”) | |
KR200482091Y1 (ko) |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 |
KR20140050074A (ko) | 휴대용 리필 크림 디스펜서 | |
FR2693174A1 (fr) |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istributeur et doseur de produit. | |
KR20090005978U (ko) |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 |
KR20200007370A (ko) | 배출판에 스펀지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된 배출판을 갖는 콤팩트 용기 | |
KR200418954Y1 (ko) | 화장품배출펌프의 노즐 구조 | |
KR20180001288U (ko) | 자동 배출 장치 | |
KR101551191B1 (ko) | 약제 디스펜서 | |
KR100632143B1 (ko) | 트리거식 분무장치 | |
KR20100079234A (ko) | 긴밀한 개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
KR200423196Y1 (ko) | 액제 디스펜서 | |
KR20120060043A (ko) |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 |
KR200362339Y1 (ko) | 화장품 용기 | |
JP4265018B2 (ja) |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 |
KR102295553B1 (ko) | 유체 디스펜서 | |
KR200395149Y1 (ko) | 탈취 기능을 가진 발판 | |
KR20170142087A (ko) | 산패하기 쉬운 기름류의 분사를 위한 스프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