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594A - 방향물질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방향물질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594A
KR20130117594A KR1020120040581A KR20120040581A KR20130117594A KR 20130117594 A KR20130117594 A KR 20130117594A KR 1020120040581 A KR1020120040581 A KR 1020120040581A KR 20120040581 A KR20120040581 A KR 20120040581A KR 20130117594 A KR20130117594 A KR 2013011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main body
supply pip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솔 filed Critical (주)에어솔
Priority to KR102012004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594A/ko
Publication of KR2013011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작동구조에 의해 공기압을 주입하여 방향물질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방향물질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일측에 내장되어 액상의 방향물질이 일부 충전되는 용기(30)와; 상기 용기(30)에 결합되어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사구(31)와; 상기 본체(11)의 타측에 내장되어 가압공기를 생성하도록 된 에어펌프(40)와; 이 에어펌프(40)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30) 내로 연장되되, 단부가 방향물질의 액면 상부에서 가압공기를 공급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용기(30) 내에서 기화된 방향기체를 가압 배출하도록 된 에어공급관(50)과; 상기 에어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향물질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향물질 분사장치{Air freshener spray device}
본 발명은 방향물질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과 작동구조에 의해 공기압을 주입하여 방향물질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방향물질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는 주로 방향물질이 충전되는 용기 내에 가압용 가스를 동시에 주입하여 가스분사방식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분사장치에 사용되는 가압용 가스는 방향물질과 같은 기능성 용액의 입자와 함께 공기 중에 분출되어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것으로, 대개 가압용 가스를 용기 내에 주입할 때에 용해촉진을 위해 솔벤트와 같은 용제를 혼합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두통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용기 내에 충전된 방향물질을 분무시켜 입자를 공기 중에 직접적으로 분출시킴으로 인해 사용기간이 짧은 것이다.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가압용 가스의 사용규제 등에 따라 공기에 의해 방향물질을 가압 분사시키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에 따른 제작 및 유지보수상의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실1998-010714호) 1998. 05. 1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어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고장의 우려가 적어 작동상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기압을 주입하여 방향물질을 분사하도록 구비되어 유해가스 등의 사용을 완전하게 배제한 친환경적인 구조의 방향물질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일측에 내장되어 액상의 방향물질이 일부 충전되는 용기(30)와;
상기 용기(30)에 결합되어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사구(31)와;
상기 본체(11)의 타측에 내장되어 가압공기를 생성하도록 된 에어펌프(40)와;
이 에어펌프(40)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30) 내로 연장되되, 단부가 방향물질의 액면 상부에서 가압공기를 공급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용기(30) 내에서 기화된 방향기체를 가압 배출하도록 된 에어공급관(50)과;
상기 에어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에어공급관(50)에는 단부측에 상기 용기(30) 내에 삽입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부에 에어압에 의해 확장되어 가압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절개부(52)가 형성된 에어노즐(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에어공급관(50)은 일부가 상기 용기(3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감긴 상태에서 상기 용기(3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펌프(40)에 연결된 에어공급관(50)에 의해 방향물질이 충전된 용기(30) 내로 가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관(50)의 단부가 방향물질의 액면 상부에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용기(30) 내에서 기화된 방향기체를 가압 배출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가압용 가스의 사용을 완전하게 배제하여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의 방향물질을 직접적으로 분무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화된 방향기체를 분사함으로 인해 사용기간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공급관(50)의 단부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단부에 확장 가능한 절개부(52)가 형성된 에어노즐(51)이 구비됨으로써, 평상시에 상기 절개부(52)의 벽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용기(30) 내의 방향기체가 에어공급관(5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가압공기가 에어노즐(51)을 통해 배출될 때에 에어압에 의해 에어노즐(51)이 진동 가능함에 따라 용기(30) 내로 가압공기가 분사되는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안정화된 상태의 방향기체에 난류를 형성하는 데에 용이하고, 이에 의해 방향기체와 가압공기와의 신속한 혼합 및 그에 따른 방향기체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공급관(50)의 일부가 용기(3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감긴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에어공급관(50)이 용기(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압력에 따른 요동를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공급관(50)의 일측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압공기의 공급이 가능하여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장치(1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태로 된 본체(11)가 구비되고, 이 본체(11)의 전면에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점검도어(12)가 결합되며, 이 점검도어(12)의 하부에는 장치의 전원을 점멸하거나 작동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에는 상단에 방향물질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31)가 구비되고, 본체(11)의 배면측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의 하단에는 받침대(15)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방향물질이 충전되는 용기(30)가 내장되는데, 이 용기(30)는 상기 그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된 체결밴드(16)에 의해 상기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사구(31)는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17)을 통해 상기 용기(30)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나사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30) 내에는 상기 분사구(31)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부에 방향물질을 충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30)에는 내부의 방향물질을 가압 배출할 수 있도록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관(50)이 연결되는데, 이 에어공급관(50)은 상기 용기(30)의 후방 하부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그 일부가 상기 용기(30)의 전방 상부측 외주면을 따라 감긴 상태로 접촉되는 것으로, 이는 에어공급관(50)의 일측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압공기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공급관(50)이 용기(30)에 접촉 지지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가압가스의 압력에 의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점검도어(12)는 하단부가 힌지축(18)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것으로, 상단에 한 쌍의 체결공(19)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1)에 대응된 결합돌기(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되는 가압공기는 후술되는 에어펌프(40)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를 도 3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30)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에어펌프(40)가 내장되는데, 이 에어펌프(40)는 상기 전원공급부(15)에 의한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하부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버튼(13)이 결합되는 컨트롤러(60)에 의해 작동 제어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펌프(40)는 완충재(42)가 내장된 별도의 케이스(41)에 의해 커버되어 충격에 의한 손상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작버튼(13)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해 에어펌프(40)의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에어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관(50)을 통해 상기 용기(30) 내로 가압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용기(30) 내에는 액상의 방향물질이 일부만 충전되어 상부의 빈공간에 방향액체가 기화된 방향기체가 공존하게 되며, 상기 에어공급관(50)은 그 단부가 상기 방향물질의 액면 상부에 가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작동에 따르면, 상기 에어공급관(50)에 의해 용기(30) 내부로 주입되는 가압공기는 방향액체의 액면을 요동시킴과 동시에 내부의 방향기체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또한 상기 용기(3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방향기체를 상기 분사구(31)를 통해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통상의 가스분사식 장치와 같이 순간적인 가압력으로 방향물질은 분무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에어펌프(40)의 작동을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버튼(13)은 선택적으로 분사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에어공급관(50)은 단부에 상기 용기(30) 내에 삽입되어 가압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된 에어노즐(51)이 구비되는데, 이 에어노즐(51)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쐐기형상으로 구비되어 선단에 절개부(52)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에어노즐(51)에 따르면, 상기 에어펌프(40)에 의해 가압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절개부(52)가 확장되어 가압공기가 배출되고, 에어압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절개부(52)의 벽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용기(30) 내의 방향기체가 상기 에어공급관(5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압공기 배출시에 에어노즐(51) 자체에 진동이 발생되어 가압공기의 분사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용기(30) 내부의 방향기체에 난류를 형성하여 향제의 활성화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본체(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21)과 이 격벽(21)의 상면에 추가 결합되는 패드(22)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격벽(21)은 본체(11) 자체의 강성을 보조함과 동시에 상기 패드(22)가 안착되도록 구비된 것이고, 상기 패드(22)는 상기 용기(30) 내에 방향물질을 충전할 때에 방향물질이 떨어져 상기 에어펌프(4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부호는 상기 용기(3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32)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기 체결밴드(16)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체결밴드(16)의 양단은 본체(11)에 형성된 브라켓(23) 상에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일측에 내장되어 액상의 방향물질이 일부 충전되는 용기(30)와;
    상기 용기(30)에 결합되어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사구(31)와;
    상기 본체(11)의 타측에 내장되어 가압공기를 생성하도록 된 에어펌프(40)와;
    이 에어펌프(40)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30) 내로 연장되되, 단부가 방향물질의 액면 상부에서 가압공기를 공급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용기(30) 내에서 기화된 방향기체를 가압 배출하도록 된 에어공급관(50)과;
    상기 에어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50)에는 단부측에 상기 용기(30) 내에 삽입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부에 에어압에 의해 확장되어 가압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절개부(52)가 형성된 에어노즐(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50)은 일부가 상기 용기(3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감긴 상태에서 상기 용기(3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물질 분사장치.
KR1020120040581A 2012-04-18 2012-04-18 방향물질 분사장치 KR20130117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81A KR20130117594A (ko) 2012-04-18 2012-04-18 방향물질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81A KR20130117594A (ko) 2012-04-18 2012-04-18 방향물질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594A true KR20130117594A (ko) 2013-10-28

Family

ID=4963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81A KR20130117594A (ko) 2012-04-18 2012-04-18 방향물질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5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8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동 배출 장치
KR20210016772A (ko) *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KR20210121964A (ko) 2020-03-31 2021-10-08 유태수 스마트 다기능 방향제 확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8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동 배출 장치
KR20210016772A (ko) *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KR20210121964A (ko) 2020-03-31 2021-10-08 유태수 스마트 다기능 방향제 확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32B1 (ko)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KR100485836B1 (ko) 액체 분무 장치
JP6250199B2 (ja) エアブラシ
CN108625097A (zh) 洗衣机和用于供给包括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CN108625090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2009287565A (ja) 空気ピストンおよびドーム型発泡ポンプ
JP2014515668A (ja) 液体泡沫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詰め替えユニット及びそのような詰め替えユニットを有する泡沫ディスペンサ
CN108625105A (zh) 洗衣机、微泡沫发生器和供给包含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KR20130117594A (ko) 방향물질 분사장치
CN108625102A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沫发生器
KR101434910B1 (ko) 향기분사장치
JP5941665B2 (ja) ノズル
KR200452941Y1 (ko) 비누방울 총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1321907B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KR20130133396A (ko) 기능성물질 분사장치
JP2007319729A (ja) 吸引式噴射器
JP5852397B2 (ja) 加煙試験器
KR100630814B1 (ko) 천연향기의 분사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6882813B1 (ja) 洗浄用泡沫吹付け機
JP6991555B2 (ja) ディスペンサ装置
KR100878601B1 (ko) 두발세정용 폼 분사장치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CN108625104A (zh) 洗衣机、微泡沫发生器和供给包含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JP7228926B1 (ja) 蓄圧式洗浄液吹付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