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77U -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77U
KR20180000877U KR2020160005485U KR20160005485U KR20180000877U KR 20180000877 U KR20180000877 U KR 20180000877U KR 2020160005485 U KR2020160005485 U KR 2020160005485U KR 20160005485 U KR20160005485 U KR 20160005485U KR 20180000877 U KR20180000877 U KR 20180000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olt
support
shaft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우
남궁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877U/ko
Publication of KR20180000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6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그레이팅으로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가고정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의 밑면에서 상부 측으로 각 볼트 축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그레이팅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각 볼트 축 상에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삽입공을 통과한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면서 그 각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고정되어 볼트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그레이팅으로의 구조물 설치에 따른 설치작업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는 높은 효율성은 물론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Removable grating for temporary fixation devices}
본 고안은 그레이팅에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한 가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레이팅으로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가고정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이라 하면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항만, 해상구조물, 선박 및 각종 플랜트 등에 계단, 보도, 환기통의 집배수 및 횡단용 뚜껑으로 널리 사용하는 건설자재로서 스틸 그레이팅은 그레이팅의 재질을 스틸로 하여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에 주로 쓰인다.
스틸 그레이팅은 인도와 차도의 빗물받이나 지하철 내의 환기목적으로 쓰는 환기구, 전력공급용으로 쓰는 전력구, 통신선로 구성을 위한 통신구 등으로 쓰이는데, 상기 그레이팅이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 설치될 경우 그 구조는 대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나 혹은 베어링 바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가로 바가 형성된 일명 매직 그레이팅 등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그레이팅에 필요로 하는 구조물(200)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레이팅(100)의 상면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110)를 가고정용접으로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금속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고정대상인 구조물(200)의 지주(202)에 형성된 플랜지(204)를 올려놓은 다음 그 플랜지(204) 상부 측에서 볼트를 삽입한 후 그레이팅(100)의 밑면으로 체결편(120)을 덧대면서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 금속 플레이트를 가고정용접에 따른 작업의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과 함께 추가적인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체결편과 함께 그레이팅의 하부 밑면에서 체결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불편함은 물론 특히 너트를 자주 떨어뜨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그레이팅에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98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그레이팅을 결합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착탈식 방식에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50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작업현장의 여건에 맞게 즉석에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레이팅에 탈착될 수 있는 그레이팅용 킥플레이트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719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상에서의 킥플레이트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체결볼트만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레이팅 상에서 킥플레이트에 대한 결합위치의 정확도를 높인 그레이팅과 킥플레이트의 결합구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98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50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7194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어떠한 가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잡고 그레이팅의 하부 밑면에서 체결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너트 또는 볼트를 하부로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해결과제는 그레이팅으로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가고정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해결과제는 가고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수단은 그레이팅의 상부로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그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고정장치로서, 상기 가고정장치는 각 지지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가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그레이팅의 밑면에서 상부 측으로 각 볼트 축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그레이팅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각 볼트 축 상에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삽입공을 통과한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면서 그 각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고정되어 볼트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고정부재는 외경(外俓)이 삽입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볼트 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내경 측에는 그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끼워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은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고정부재는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서 탈착되는 스냅링이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으로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가고정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레이팅으로의 구조물 설치에 따른 설치작업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는 높은 효율성은 물론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고정을 위한 볼트 또는 너트 등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고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4는 종래 그레이팅에 구조물을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장치(1)는 그레이팅(100)의 상부로 필요로 하는 각종 구조물(200)의 지주(202)에 형성된 플랜지(204)를 고정하기 위해 그 그레이팅(10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으로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가고정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가고정장치(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각 지지편(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14)가 삽입된 후 너트(16)에 의해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그레이팅(100)의 밑면에서 상부 측으로 각 볼트 축(14A)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0)와; 상기 그레이팅(100)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각 볼트 축(14A) 상에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각 볼트 축(14A)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22)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20);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20)의 삽입공(22)을 통과한 각 볼트 축(14A)으로 삽입되면서 그 각 볼트 축(14A)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고정되어 볼트(14)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지지편(12)은 그레이팅의 베이링 바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진다.
받침 플레이트(20) 또한 볼트 축이 삽입되는 삽입공 이외에 구조물과 서로 연결 또는 이음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먼저, 그레이팅의 하부 밑면에서 지지부재에 체결된 볼트의 볼트 축을 그레이팅의 상부로 받침 플레이트의 삽입공을 통과하면서 돌출되도록 위치한다.
그런 다음 받침 플레이트의 삽입공으로 돌출된 볼트의 볼트 축에 가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가고정함에 따라 볼트와 함께 지지부재가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고정 된 볼트 축으로 필요로 하는 각종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결합한 후 볼트 축으로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각종 구조물의 가고정용접 없이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지지부재에 체결된 볼트 또한 그레이팅와 받침 플레이트를 통과한 후 가고정부재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이므로,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조물을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해체 또는 철거 시에도 먼저, 구조물의 플랜지로 돌출되어 볼트 축에 체결되는 너트를 풀어 분리한 다음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구조물의 플랜지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볼트 축에 가고정된 가고정부재를 분리함에 따라 그레이팅의 하부 밑면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분리는 물론 받침 플레이트의 분리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그레이팅의 상부로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가고정용접이 요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고정에 의한 착탈 가능한 구조는 물론 볼트나 너트를 떨어뜨리는 조건 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해체 또한 단시간 내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그레이팅에서의 설치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가고정부재(30)는 외경(外俓)이 삽입공(2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볼트 축(14A) 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내경 측에는 그 볼트 축(14A)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끼워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편(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고정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 또는 연성의 금속재질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고정편은 볼트 축의 나사산 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그에 따라 가고정부재가 볼트 축으로 삽입 시에는 탄성 재질일 때 상기 복수의 고정편이 탄성에 의해 나사산을 타고 삽입된 후 탄성에 의해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펼쳐 고정되고, 연성의 금속재질의 경우에는 삽입시 절곡된 후 작업자가 사이 나사산 사이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밀어 넣으므로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가고정부재를 볼트 축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볼트 축의 상부로 밀어올려 분리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절단하여도 무방하다.
그로 인해 볼트 축으로의 가고정부재의 고정 또는 분리가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삽입공(22)은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볼트 축이 삽입된 후에 받침 플레이트를 장방형 형태의 삽입공에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마련한다.
한편, 상기 가고정부재(20)는 볼트 축(14A)의 나사산으로 탈착되는 통상적인 스냅링(도시하지 않음)을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즉, 볼트 축을 가고정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공지된 부품인 스냅 링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가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1 : 가고정장치
10 : 지지부재 12 : 지지편
14 : 볼트 14A : 볼트 축
16 : 너트 20 : 받침 플레이트
22 : 삽입공 30 : 가고정부재
32 : 고정편
100 : 그레이팅
200 : 구조물 202 : 지주
204 : 플랜지

Claims (4)

  1. 그레이팅의 상부로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그 그레이팅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고정장치로서,
    상기 가고정장치는 각 지지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가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그레이팅의 밑면에서 상부 측으로 각 볼트 축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그레이팅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각 볼트 축 상에 구조물의 지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삽입공을 통과한 각 볼트 축으로 삽입되면서 그 각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고정되어 볼트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재는 외경(外俓)이 삽입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볼트 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내경 측에는 그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로 끼워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재는 볼트 축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서 탈착되는 스냅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KR2020160005485U 2016-09-21 2016-09-21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KR201800008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85U KR20180000877U (ko) 2016-09-21 2016-09-21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85U KR20180000877U (ko) 2016-09-21 2016-09-21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77U true KR20180000877U (ko) 2018-03-29

Family

ID=6180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85U KR20180000877U (ko) 2016-09-21 2016-09-21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87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8547A (zh) * 2022-08-19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邮轮通道孔用的格栅盖及邮轮
KR20230000259U (ko) 2021-07-26 2023-02-02 에스지산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KR20230030783A (ko) * 2021-08-26 2023-03-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그레이팅 거치용 포터블 밸브 구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7Y1 (ko) 2001-12-27 2002-04-13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착탈식 도로표시판
KR20130002505U (ko) 2011-10-18 2013-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킥플레이트
KR20130007194U (ko) 2012-06-07 2013-1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과 킥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20140140253A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위의 설비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7Y1 (ko) 2001-12-27 2002-04-13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착탈식 도로표시판
KR20130002505U (ko) 2011-10-18 2013-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킥플레이트
KR20130007194U (ko) 2012-06-07 2013-1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과 킥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20140140253A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위의 설비 설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59U (ko) 2021-07-26 2023-02-02 에스지산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KR20230030783A (ko) * 2021-08-26 2023-03-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그레이팅 거치용 포터블 밸브 구동기
CN115158547A (zh) * 2022-08-19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邮轮通道孔用的格栅盖及邮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0246B2 (en) Stud-to-stud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or communication device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20180000877U (ko) 그레이팅용 착탈식 가고정장치
US10367445B2 (en) Carrier structure for solar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carrier structure
US20060237263A1 (en) Safety rail for roofing; method of use and of manufacture
KR200446363Y1 (ko)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KR101286982B1 (ko) 차선분리대
KR20090012642U (ko) 개량 배관지지가대
JP4730598B2 (ja) 屋外床
JP4470211B2 (ja) 太陽電池アレイ用架台及び架台へのボックス取付け方法
KR20140003343U (ko) 핸드레일의 조명장치 고정브라켓
JP2014148876A (ja) 管柱補強構造
WO2004015219A1 (en) Post and rail assembly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JP3190038U (ja) パラペットスタンション
KR20130007194U (ko) 그레이팅과 킥플레이트의 결합구조
CN205090983U (zh) 用于支撑显示面板总成的支撑板
JP201401574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装置と固定方法
CN208518236U (zh) 一种简易临时楼梯扶手
JP2008163600A (ja) パネル脱着容易なフェンス
AU751694B2 (en) Safety rail
JP2002038858A (ja) システムステンレス製梯子
US20210199272A1 (en) Hanging Support Bracket
JP2010138570A (ja) ロードコーン
FR2844814B1 (fr) Dispositif de liaison d'une grille sur un caniveau et outil de demontage correspond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