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63Y1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6363Y1 KR200446363Y1 KR2020090009444U KR20090009444U KR200446363Y1 KR 200446363 Y1 KR200446363 Y1 KR 200446363Y1 KR 2020090009444 U KR2020090009444 U KR 2020090009444U KR 20090009444 U KR20090009444 U KR 20090009444U KR 200446363 Y1 KR200446363 Y1 KR 2004463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post
- reinforcing
- pedestal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28—Folding railings for flat roof edge, e.g. to hide the railings from view when not in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의 돌출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구조물(1)의 시공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포스트(11)와 이 포스트(1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바아(12)로 이루어진 철근난간대(10)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에 배근되어 그 일부가 돌출된 철근(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도록 구비된 받침대(32)와 이 받침대(32)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32)와 측판(33)에 의해 수용부(34)가 형성된 본체(31)와; 상기 수용부(34)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31)의 일측 받침대(32)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프레임(42)과, 이 프레임(4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43)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34)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결합되는 단관체형상의 포스트소켓(35)이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11) 또는 상기 포스트소켓(35)은 상기 클램프(43)에 결합되는 철근(2)에 대해 동일한 방향 또는 직교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7)에 의해 상기 본체(31)에 고정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가 제공된다.
철근난간대, 고정구, 포스트소켓, 클램프, 조임판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의 돌출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중에는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설치될 위치에 콘크리트구조물이 절개되어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절개된 공간은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곳이므로 추락방지용 난간대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추락방지용 난간대는 대개 콘크리트구조물 사이의 절개된 공간 주위에 콘크리트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을 이용하여 설치하도록 된 철근난간대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철근난간대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고정구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철근(2)에 결합되도록 철근난간대(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철 근난간대(10)는 상기 철근(2)에 지지되어 포스트(11)를 결합할 수 있는 고정구(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구(20)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소켓(21)과 이 철근소켓(21)에 직교하도록 구비된 포스트소켓(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소켓(21)과 포스트소켓(22)은 상호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20)에 있어서, 상기 철근소켓(21)에는 고정볼트(23)가 구비되어 삽입된 철근(2)에 고정하게 되고, 상기 포스트소켓(22)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또한 상기 철근난간대(10)는 상기 포스트(11)와 이 포스트(11)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바아(12) 결합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난간대(10)가 콘크리트구조물(1)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철근(2)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철근소켓(21)과 포스트소켓(22)은 동일한 방향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고정구(20)는 전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철근소켓(21)에 철근(2)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소켓(22)에 포스트(11)가 끼움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철근난간대(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20)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철근(2)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에 각각 상기 철근소켓(21)과 포스트소켓(22)이 다른 방향으로 결합된 다른 종류의 고정구(20)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고정구(20)는 상기 철근소켓(21)에 의해 하나의 철근에 고정하도록 된 것이어서, 철근난간대(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의 돌출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철근에 클램핑되도록 구비되어 난간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또한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철근의 간격에 관계없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콘크리트구조물(1)의 시공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포스트(11)와 이 포스트(1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바아(12)로 이루어진 철근난간대(10)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에 배근되어 그 일부가 돌출된 철근(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도록 구비된 받침대(32)와 이 받침대(32)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32)와 측판(33)에 의해 수용부(34)가 형성된 본체(31)와;
상기 수용부(34)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31)의 일측 받침대(32)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프레임(42)과, 이 프레임(4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43)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34)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결합되는 단관체형상의 포스트소켓(35)이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11) 또는 상기 포스트소켓(35)은 상기 클램프(43)에 결합되는 철근(2)에 대해 동일한 방향 또는 직교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7)에 의해 상기 본체(3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42)은 외관체(45)와 이 외관체(45)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아부재(46)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에 상기 클램프(43)가 결합되며, 상기 바아부재(46)는 그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외관체(45)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47)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43)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43)는 상기 프레임(42)의 양단에 결합된 메인판(48)와, 이 메인판(48)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조임수단(50)에 의해 체결 가능한 조임판(4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임판(49)에는 그 양단의 길이방향 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판(48)을 향하도록 된 제1 만곡부(51)와 제2 만곡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수단(50)은 상기 조임판(49)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철근난간대(10)의 포스트(11) 또는 이 포스트(11)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포스트소켓(35)이 본체(31)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1)에 배근된 철근(2)의 돌출방향(수평 또는 수직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철근난간대(1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는 상호 직교하도록 구비된 받침대(32)와 이 받침대(32)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33)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스트(11) 또는 포스트소켓(35)이 결합되도록 수용부(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31)에 의해 상기 포스트소켓(35)이 가이드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 본체(31)의 받침대(32)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연장된 프레임(42)의 양단에 철근(2)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43)가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본 고안의 고정구(30)가 다수의 철근(2)에 고정 설치됨으로 인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42)은 외관체(45)와 이 외관체(45)에 삽입 가능한 바 아부재(46)로 구비되어 상기 바아부재(46)가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결합수단(47)에 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아부재(46)의 길이 조절에 의해 상기 외관체(45)와 바아부재(46)의 각 일단에 결합된 클램프(43)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콘크리트구조물(1)에 배근된 철근(2)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결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43)는 프레임(42)에 결합되는 메인판(48)과 이 메인판(48)의 일면에 조임수단(50)에 의해 체결 가능한 조임판(49)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클램프(43)에 의해 철근(2)의 일정부분에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임판(49)은 그 양단에 상기 메인판(48)을 향하도록 절곡된 제1 만곡부(51)와 제2 만곡부(5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만곡부(51,52)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철근(2)을 결합하여 설치여건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철근(2)이 클램프(43)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와 분해 사 시도 및 단면도 그리고 다양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30)는 상호 직교하도록 구비된 받침대(32)와 이 받침대(32)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33)으로 이루어진 본체(31)가 구비되고, 이 본체(31)는 상기 받침대(32)와 측판(33)에 의해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31)에는 상기 수용부(34) 내에 포스트(11)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단관체형상의 포스트소켓(35)이 구비되는데, 이 포스트소켓(35)은 그 하단부가 힌지축(36)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31)의 받침대(32) 또는 측판(33)에 고정수단(37)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포스트소켓(35) 대신에 상기 포스트(11)의 하단부가 직접적으로 상기 힌지축(3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가능함은 물론이고, 상기 고정수단(37)은 핀 또는 볼트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한 것이다.
그 일례로 상기 고정수단(37)은 볼트체(37a)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체(37b)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31)에는 상기 볼트체(37a)가 가로질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33)에 상호 대응된 관통공(38)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볼트체(37a)가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체(37b)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받침대(32)의 각 일단에 절개홈(39)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볼트체(37a)와 너트체(37b)에는 평와셔(40)가 더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포스트(11) 또는 포스트소켓(35)에는 상기 관통공(38) 또는 절 개홈(39)에 대응되도록 다른 관통공(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판(33)에 관통공(38)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수단(37)이 포스트(11) 또는 포스트소켓(35)의 외주면에 접촉되거나 직접적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절개홈(39)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포스트(11) 또는 포스트소켓(35)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41)에 상기 고정수단(37)의 볼트체(37a)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37b)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고정구(30)는 상기 포스트(11) 또는 포스트소켓(35)이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어서, 콘크리트구조물(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철근(2) 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철근(2)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철근난간대(10)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도 3은 그 일례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철근(2)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31)에는 상기 받침대(32) 중의 하나에 본체(31)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42)이 결합되고, 이 프레임(42)의 양단에는 철근(2)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클램프(43)가 결합되는데, 이를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42)은 사각파이프 형상의 외관체(45)와 이 외관체(45)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사각형상의 바아부재(46)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외관체(45)와 바아부재(46)의 각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4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체(45)의 일단에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바아부재(46)의 일면을 가압하거나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47)이 구비되고, 이 결합수단(47)은 전술된 고정수단(37)에 유사하게 핀 또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관체(45)를 관통하여 삽입되거나 나사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바아부재(46)는 그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외관체(45)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43)는 그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배근된 철근(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43)는 상기 프레임(42)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메인판(48)과 이 메인판(48)의 일면에 체결 가능한 조임판(49)으로 이루어지고, 이 조임판(49)은 전술된 바와 같은 고정수단(37) 또는 결합수단(47)에 유사한 볼트 형태로 구비되는 조임수단(5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조임판(49)의 상하단에는 대략적으로 상기 철근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절곡된 제1 만곡부(51)와 제2 만곡부(5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프(43)를 도 6과 도 7를 더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임판(49)은 상기 조임수단(50)이 풀린 상태에서 철근(2)의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되고, 이후에 상기 조임수단(50)을 조여서 철근(2)에 고정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조임수단(50)은 상기 조임판(49)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만곡부(51)와 제2 만곡부(52)에 동시에 철근(2)이 삽입되어 결합되거나(도 6) 또는 상기 제1 만곡부(51) 또는 제2 만곡부(52)에 선택적으로 철근(2)이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게 된다(도 5 또는 도 7).
여기에서, 도 6과 같이 상기 철근(2)이 상기 조임판(49)의 상하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판(49)이 메인판(48)에 대해 거의 수평된 위치로 상기 철근(2) 을 가압 밀착하게 되고, 도 5 또는 도 7과 같이 상기 철근(2)이 상기 조임판(49)의 제1 만곡부(51) 또는 제2 만곡부(5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조임판(49)이 상기 철근(2)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판(48)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만곡부(51) 또는 제2 만곡부(52)에 철근(2)이 결합되는 것은 설치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제1 만곡부(5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수단(50)이 결합된 철근(2)의 하부에 위치되어 철근(2)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43)는 상기 제1 만곡부(51) 또는 제2 만곡부(52)에 의해 그 일부면이 용이하게 면접촉된 상태로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형상이 판부재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철근(2)의 길이방향 일측이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비된 것이어서, 철근(2)에 결합될 때에 그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측판(33)은 그 전면 테두리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고안의 고정구(30)를 설치할 때에 작업자가 다치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소켓(35)의 선단부는 상기 수용부(34)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동할 때에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기단부는 둥근형상이거나 상기 받침대(3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받침대(36)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4)
- 콘크리트구조물(1)의 시공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포스트(11)와 이 포스트(1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바아(12)로 이루어진 철근난간대(10)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에 배근되어 그 일부가 돌출된 철근(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철근난간대용 고정구에 있어서;상호 직교하도록 구비된 받침대(32)와 이 받침대(32)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32)와 측판(33)에 의해 수용부(34)가 형성된 본체(31)와;상기 수용부(34)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31)의 일측 받침대(32)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프레임(42)과, 이 프레임(4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43)를 포함하며;상기 수용부(34)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포스트(11)의 단부가 결합되는 단관체형상의 포스트소켓(35)이 상기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11) 또는 상기 포스트소켓(35)은 상기 클램프(43)에 결합되는 철근(2)에 대해 동일한 방향 또는 직교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7)에 의해 상기 본체(3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3)는 상기 프레임(42)의 양단에 결합된 메인판(48)와, 이 메인판(48)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조임수단(50)에 의해 체결 가능한 조임판(4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2)은 외관체(45)와 이 외관체(45)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아부재(46)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에 상기 클램프(43)가 결합되며, 상기 바아부재(46)는 그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외관체(45)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47)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43)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판(49)에는 그 양단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판(48)을 향하도록 된 제1 만곡부(51)와 제2 만곡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수단(50)은 상기 조임판(49)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444U KR200446363Y1 (ko) | 2009-07-21 | 2009-07-21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444U KR200446363Y1 (ko) | 2009-07-21 | 2009-07-21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6363Y1 true KR200446363Y1 (ko) | 2009-10-22 |
Family
ID=4156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9444U KR200446363Y1 (ko) | 2009-07-21 | 2009-07-21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6363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380Y1 (ko) | 2010-10-26 | 2012-11-05 | 김천호 | 철근난간대 결합부재 |
KR200463386Y1 (ko) | 2010-10-26 | 2012-11-05 | 김천호 | 철근난간대 결속재 |
KR200469397Y1 (ko) | 2012-04-17 | 2013-10-08 | 박문규 | 콘크리트 구조물용 난간대 어셈블리 |
KR101429688B1 (ko) * | 2012-11-14 | 2014-08-18 | 남준식 |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
US20220154471A1 (en) * | 2020-11-18 | 2022-05-19 | Rex Industrial, LLC | Modular Guardrail System |
CN116290859A (zh) * | 2023-01-05 | 2023-06-23 | 重庆大学 | 一种基于中心塔结构的装配式建筑设备及其施工方法 |
KR200497116Y1 (ko) * | 2022-06-30 | 2023-08-02 | (주) 유림산업 |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5513A (ko) * | 2002-08-13 | 2004-02-19 | 한국산업안전공단 | 안전난간 및 안전대걸이 지주의 고정설비 |
KR200426056Y1 (ko) * | 2006-06-08 | 2006-09-19 | 주식회사 엠코 |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
KR20090008683U (ko) * | 2008-02-25 | 2009-08-28 | 유은상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
2009
- 2009-07-21 KR KR2020090009444U patent/KR2004463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5513A (ko) * | 2002-08-13 | 2004-02-19 | 한국산업안전공단 | 안전난간 및 안전대걸이 지주의 고정설비 |
KR200426056Y1 (ko) * | 2006-06-08 | 2006-09-19 | 주식회사 엠코 |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
KR20090008683U (ko) * | 2008-02-25 | 2009-08-28 | 유은상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380Y1 (ko) | 2010-10-26 | 2012-11-05 | 김천호 | 철근난간대 결합부재 |
KR200463386Y1 (ko) | 2010-10-26 | 2012-11-05 | 김천호 | 철근난간대 결속재 |
KR200469397Y1 (ko) | 2012-04-17 | 2013-10-08 | 박문규 | 콘크리트 구조물용 난간대 어셈블리 |
KR101429688B1 (ko) * | 2012-11-14 | 2014-08-18 | 남준식 |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
US20220154471A1 (en) * | 2020-11-18 | 2022-05-19 | Rex Industrial, LLC | Modular Guardrail System |
US11920354B2 (en) * | 2020-11-18 | 2024-03-05 | Rex Industrial, LLC | Modular guardrail system |
KR200497116Y1 (ko) * | 2022-06-30 | 2023-08-02 | (주) 유림산업 |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
CN116290859A (zh) * | 2023-01-05 | 2023-06-23 | 重庆大学 | 一种基于中心塔结构的装配式建筑设备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6363Y1 (ko)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
US20100025151A1 (en) |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 |
KR100895381B1 (ko) | 폼 안전 난간대 | |
US5918843A (en) | Scaffold bracket | |
KR101805361B1 (ko) |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 |
KR101387296B1 (ko) |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 |
KR200426209Y1 (ko) |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 |
KR20120140340A (ko) | 비계장치 | |
WO1994028268A1 (en) | Anchoring device for use on a roof | |
US4462573A (en) | Support post for temporary guard-rail chains | |
KR200205940Y1 (ko) |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 |
KR101429688B1 (ko) |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 |
KR200448068Y1 (ko) |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 |
EP1160395B1 (en) | Assembly of guard rails | |
KR20020036198A (ko) |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 |
KR100757321B1 (ko) | 천정거푸집용 멍에 받침대 | |
KR20160003751U (ko) | 생명선 설치용 지주 | |
KR200447408Y1 (ko) |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 |
KR102289940B1 (ko)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
KR20090057825A (ko) |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 |
KR101596939B1 (ko) |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 |
JP5812554B1 (ja) |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 |
KR102217613B1 (ko) | 데크 난간대 | |
KR100462355B1 (ko) |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 |
CN214615558U (zh) | 一种快装式临边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