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07U -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 Google Patents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07U
KR20180000607U KR2020160004839U KR20160004839U KR20180000607U KR 20180000607 U KR20180000607 U KR 20180000607U KR 2020160004839 U KR2020160004839 U KR 2020160004839U KR 20160004839 U KR20160004839 U KR 20160004839U KR 20180000607 U KR20180000607 U KR 20180000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body
belt
hole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652Y1 (ko
Inventor
천원기
김선일
추원규
이기윤
최영석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2020160004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5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2Arrangement of the tools; Screening of th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기(200)의 일측 기어부(210)에 마련된 장착구(221,222)에 상응하는 복수의 장착공(111,112)을 형성하고,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이 관통하는 축공(113,114)을 형성하여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베이스(110)와; 커버베이스(110)의 전방에서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를 수용하도록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베이스(110)의 외주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커버바디(120)로 이루어지고 커버바디(120)의 양측과 전면을 커버베이스(110)의 양측 및 중심에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관리기 본체에 커버를 견고하게 장착하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BELT COVER FOR SMALL CULTIVATOR}
본 고안은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다목적 농기계인 관리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기어부의 벨트 및 풀리를 수용하여 커버할 수 있는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각종 외부요인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는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기(Cultivator)는 다목적 농기계로써 벼농사(논농사)에 비해 기계화율이 낮고 주로 여성 작업자 비중이 높은 밭농사의 기계화 및 자동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개발된 농기계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비닐하우스나 과수원과 같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사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관리기는 조작이 간편함은 물론 경운로타리, 구굴기, 제초기, 예취기, 피복기 등의 다양한 부속 작업기를 부착하여 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운, 제초, 정지, 파종, 이식, 골파기, 비닐피복 등 수십여 종의 다양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활용도가 높은 농기계이다.
통상적인 관리기의 구성은 예컨대 등록특허 제10 - 0140935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관리기의 운전석 측방 엔진 일측에 위치하는 감속기의 측방으로 측방 출력 축을 취출하고 트랜스미션으로 동력이 들어가는 입력 축을 전방으로 연장시켜 전방 출력 축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양측으로 출력 축을 가지는 후방의 PTO기어박스의 후방으로 후방 출력 축을 하나 더 마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고 프레임 상에는 탑재작업기를 탑재하여 단독작업 및 2,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농업용 종합관리기의 프레임 후미 하방에 고정된 PTO기어박스의 후방으로 취출된 후방 출력 축과 전방으로 취출된 전방 출력 축의 위치에는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3점 고정이 되도록 한 작업기 연결대를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한 3점 지지 작업기 연결대를 설치함은 물론 작업기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도록 별도의 부착대에 연결판을 설치하여 기존의 소형작업기도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승용 관리기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한 형태의 소형 관리기(10)에 관한 기술 역시 다수 공지된 바 있으며, 예컨대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1)과 원동축 및 종동축(12,13)의 풀리(14,15)에 감긴 벨트(16)로 이루어지는 기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등록특허 제 10 - 0140935 호 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1 - 0004099 호 등록특허 제 10 - 1221485 호 공개특허 제 10 - 2014 - 0001769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소형 관리기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원동축 및 벨트에 의해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일측에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소형 관리기는 상기와 같은 기어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거나 혹은 원동축 또는 종동축을 가리는 수준의 덮개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관리기를 부속 작업기와 연동하여 예컨대 경운, 제초, 정지, 파종, 이식, 골파기, 비닐피복 등의 작업에 투입 시 흙이나 모래 등 각종 이물질 및 작물이 기어부의 내부로 유입 또는 간섭되거나 부속 작업기와의 마찰에 의해 부서진 돌의 파편이 기어부에 유입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관리기의 고장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물에도 손상을 입히게 됨은 물론, 특히 기어부로 유입된 각종 이물질이 구동중인 축이나 벨트에 접촉하면서 파편이 비산하여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 관리기의 경우 상기 기어부의 외측에 소정의 덮개를 장착하는 기술이 제공된 바 있으나 대부분 단순 조립 구조에 그치는 수준에 있어 작업 중 각종 장애물에 의한 접촉 및 마찰로 인해 관리기에서 덮개가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볼트와 같은 덮개 조립수단이 오히려 지주목이나 작물을 간섭하여 또 다른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점 역시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관리기(200)의 일측 기어부(210)에 마련된 장착구(221,222)에 상응하는 복수의 장착공(111,112)을 형성하고,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이 관통하는 축공(113,114)을 형성하여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베이스(110)와;
상기 커버베이스(110)의 전방에서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를 수용하도록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베이스(110)의 외주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커버바디(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베이스(110)에는, 일측에서 'U'자 형으로 절곡되는 고리 형상의 제1결합구(115)와,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각도로 세워진 결합면을 형성하는 제2결합구(116)와, 커버바디(120)의 전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하는 제3결합구(117)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일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제1고정공(12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구(115)가 제1고정공(121)의 내측에서 외부로 걸림 결합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116)와 상호 연통하는 제2고정공(122)을 형성하여 제1고정수단(131)을 체결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3결합구(117)와 상호 연통하는 제3고정공(123)을 형성하여 제2고정수단(132)을 체결함에 따라 커버바디(120)의 양측과 전면을 커버베이스(110)의 양측 및 중심에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관리기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 가능한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밭농사의 다양한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다목적 농기계인 관리기에 있어서 엔진의 동력을 부속 작업기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기어부를 구성하는 원동축 및 종동축과 풀리에 감겨 회전하는 벨트 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커버는 관리기의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각종 외부요인으로부터 기어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작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바디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및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를 관리기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1은 종래의 관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바디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및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를 관리기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1은 종래의 관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는 부속 작업기를 부착하여 경운, 제초, 정지, 파종, 이식, 골파기, 비닐피복 등 수십여 종의 다양한 작업에 활용되고 있는 소형 관리기(200)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기어부(210)의 벨트(215)와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를 수용하는 커버(100)를 구성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각종 외부요인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의 이점을 가지는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관리기(200)에 장착되는 커버베이스(110)와 커버베이스(110)에 고정되는 커버바디(120)로 구성한다.
상기 커버베이스(11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기(200)의 일측 기어부(210)에 마련된 장착구(221,222)에 상응하는 복수의 장착공(111,112)을 형성하고,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이 관통하는 축공(113,114)을 형성하여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의 후방에 장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베이스(110)의 형상을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에 벨트(215)가 감겨 구동하는 기어부(2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판상형으로 구성하고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의 내측에 마련된 장착구를 이용해 기어부(210)의 후방에 장착한다.
상기 복수의 장착공(111,112)은, 일측 장착공(111)은 일측 축공(113)에서 후방으로 'ㄷ'자 형으로 돌출시켜 관리기(200)의 일측 장착구(221)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결합하고, 타측 장착공(112)은 소정의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하여 타측 장착구(222)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장착공(111,112)을 커버베이스(110)의 양측 4개소에 형성하였으나 그 수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축공(113,114)은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를 회전시키는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이 관통하여 개재되는 통공이다. 즉, 상기 커버베이스(110)는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에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가 결합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축공(113,114)을 통해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을 관통시키도록 기어부(210)의 후방에 장착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장착공(111,112) 및 축공(113,114)의 위치 또는 그 형상은 관리기(200)의 기어부(210)의 구조와 연계하여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바디(12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베이스(110)의 전방에서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를 수용하도록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베이스(110)의 외주를 감싸면서 고정된다.
즉, 상기 커버바디(12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바디(120)의 내주면은 커버베이스(110)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바디(120)의 전면에는 기어부(21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열기를 방출하도록 소정의 통풍구(미부호)를 형성하며 아울러 커버바디(120)를 커버베이스(110)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손잡이(미부호)를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커버바디(120)의 전면은 커버베이스(110)에 고정되는 후방 단면에 비해 면적을 좁게 형성하고 외주면이 전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만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첨예하게 돌출되는 부위의 형성을 최소화하여 관리기(200)를 이용한 작업 중 작업자 및 작물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바디(120)와 커버베이스(110)의 결합구조를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커버베이스(110)에는 일측에서 'U'자 형으로 절곡되는 고리 형상의 제1결합구(115)와,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각도로 세워진 결합면을 형성하는 제2결합구(116)와, 커버바디(120)의 전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하는 제3결합구(11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바디(120)의 일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제1고정공(12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구(115)가 제1고정공(121)의 내측에서 외부로 걸림 결합한다.
상기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116)와 상호 연통하는 제2고정공(122)을 형성하여 제1고정수단(131)을 체결한다.
상기 커버바디(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3결합구(117)와 상호 연통하는 제3고정공(123)을 형성하여 제2고정수단(132)을 체결한다.
상기 제1결합구(115)와 제1고정공(121)은 커버베이스(110)에 커버바디(12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결합하거나 가장 최후에 분리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1결합구(115)와 제1고정공(121)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체결하지 않고서도 상고 걸림 고정방식으로 간편하게 커버베이스(110)에 대한 커버바디(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1고정수단(131) 및 제2고정수단(132)의 체결 과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구(116)는 커버바디(120)의 경사진 타측 외주면 상에 형성된 제2고정공(122)에 상응하도록 구비되어 제1고정수단(131)의 체결을 통해 커버베이스(110)에 커버바디(120)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구(116)는 커버베이스(110)의 평면으로부터 커버바디(120)의 타측 면과 동일한 각도에서 세워지는 면을 구비하고 제2결합구(116)와 제2고정공(122)에는 제1고정수단(131)과 나합구조를 형성하는 소정의 나사홀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3결합구(117)는 커버베이스(110)의 평면에서 커버바디(12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하여 제3고정공(123)이 형성된 면에 당접하도록 구비된다. 제3결합구(117)와 제3고정공(123)에는 제2고정수단(132)과 나합구조를 형성하는 소정의 나사홀이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수단(132)은 도 5의 단면도 및 도 6의 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바디(120)의 전면에서 제3고정공(123)의 주변 일정 반경을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는 고정수단수용부(124)에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수단수용부(124)의 폭 및 깊이는 제3고정공(123)에 제2고정수단(132)이 체결된 상태에서 헤드가 커버바디(120)의 외부로 최소한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수준이면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커버바디(120)와 커버베이스(110)의 결합구조를 통해 커버바디(120)의 양측과 전면을 커버베이스(110)의 양측 및 중심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를 제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는 밭농사에 필요한 각종 작업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관리기(200)에 있어서 엔진의 동력을 부속 작업기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기어부(210)를 구성하는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과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에 감겨 회전하는 벨트(215) 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커버(100)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관리기(10)에서 기어부(17)의 벨트(16) 및 풀리(14,15)가 관리기(10)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인해 작업 중 각종 모래나 돌, 또는 작물이 유입, 간섭되어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파편의 비산으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위험을 현저히 저감할 뿐만 아니라 작물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베이스(110)와 커버바디(120)로 이루어져 관리기의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 가능한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작업 중 커버가 이탈될 가능성 역시 현저히 저감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관리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100: 커버 110: 커버베이스
111,112: 장착공 113,114: 축공
115: 제1결합구 116: 제2결합구
117: 제3결합구 120: 커버바디
121: 제1고정공 122: 제2고정공
123: 제3고정공 124: 고정수단수용부
131: 제1고정수단 132: 제2고정수단
200: 관리기 210: 기어부
211: 원동축 212: 종동축
213,214: 원동 및 종동풀리 215: 벨트
221,222: 장착구

Claims (2)

  1. 관리기(200)의 일측 기어부(210)에 마련된 장착구(221,222)에 상응하는 복수의 장착공(111,112)을 형성하고, 원동축(211) 및 종동축(212)이 관통하는 축공(113,114)을 형성하여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베이스(110)와;
    상기 커버베이스(110)의 전방에서 원동 및 종동 풀리(213,214)와 벨트(215)를 수용하도록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베이스(110)의 외주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커버바디(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베이스(110)에는, 일측에서 'U'자 형으로 절곡되는 고리 형상의 제1결합구(115)와,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각도로 세워진 결합면을 형성하는 제2결합구(116)와, 커버바디(120)의 전면의 내측에 당접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하는 제3결합구(117)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일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제1고정공(12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구(115)가 제1고정공(121)의 내측에서 외부로 걸림 결합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타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116)와 상호 연통하는 제2고정공(122)을 형성하여 제1고정수단(131)을 체결하고;
    상기 커버바디(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3결합구(117)와 상호 연통하는 제3고정공(123)을 형성하여 제2고정수단(132)을 체결함에 따라 커버바디(120)의 양측과 전면을 커버베이스(110)의 양측 및 중심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132)은, 커버바디(120)의 전면에서 제3고정공(123)의 주변 일정 반경을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는 고정수단수용부(124)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KR2020160004839U 2016-08-22 2016-08-22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KR200486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39U KR200486652Y1 (ko) 2016-08-22 2016-08-22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39U KR200486652Y1 (ko) 2016-08-22 2016-08-22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07U true KR20180000607U (ko) 2018-03-06
KR200486652Y1 KR200486652Y1 (ko) 2018-06-21

Family

ID=6164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39U KR200486652Y1 (ko) 2016-08-22 2016-08-22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65B1 (ko) 2018-10-15 2019-12-02 (주)대명크라샤 벨트 콘베이어의 체인커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35B1 (ko) 1995-06-13 1998-06-01 김웅길 농업용 종합관리기
JP4262182B2 (ja) * 2004-09-28 2009-05-13 三菱農機株式会社 歩行型農作業機
KR20110004099U (ko) 2009-10-19 2011-04-27 박우민 현관 밖 신문/우유 청결 보관 방법 및 장치
KR101221485B1 (ko) 2010-06-16 2013-01-14 장영윤 농업용 관리기
KR20140001769A (ko) 2012-06-28 2014-01-07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압력센서를 가진 글로 플러그
JP2016083975A (ja) * 2014-10-23 2016-05-19 ヤンマー株式会社 管理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35B1 (ko) 1995-06-13 1998-06-01 김웅길 농업용 종합관리기
JP4262182B2 (ja) * 2004-09-28 2009-05-13 三菱農機株式会社 歩行型農作業機
KR20110004099U (ko) 2009-10-19 2011-04-27 박우민 현관 밖 신문/우유 청결 보관 방법 및 장치
KR101221485B1 (ko) 2010-06-16 2013-01-14 장영윤 농업용 관리기
KR20140001769A (ko) 2012-06-28 2014-01-07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압력센서를 가진 글로 플러그
JP2016083975A (ja) * 2014-10-23 2016-05-19 ヤンマー株式会社 管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52Y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6967B1 (en) Quick-coupling for mower blades
KR200486652Y1 (ko)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JP3737674B2 (ja) 刈払機用刈刃安全カバー
KR1008091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KR101965617B1 (ko)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KR20170017429A (ko)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CN206611792U (zh) 割草机
JP6067385B2 (ja) スパイラルロータの車軸取付構造
US5441116A (en) Multiple purpose agricultural power tool
JPH10234216A (ja) 草刈用カッター
KR101160767B1 (ko)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회전식 제초기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KR101734658B1 (ko) 예초기
KR200176250Y1 (ko) 경운기를 이용한 마늘 수확장치
KR200252754Y1 (ko)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JPS6129239Y2 (ko)
KR200485854Y1 (ko)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JPH0324420Y2 (ko)
KR101245271B1 (ko) 작물뿌리 절단기
KR200429904Y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US20210161068A1 (en) Finger-bar-type mower
JP4138273B2 (ja) トラクタのロータリ耕耘装置
KR20200132612A (ko) 작업기 연결용 제2출력부를 구비한 관리기용 체인기어박스
KR20190058155A (ko)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