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54Y1 -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54Y1
KR200485854Y1 KR2020160006564U KR20160006564U KR200485854Y1 KR 200485854 Y1 KR200485854 Y1 KR 200485854Y1 KR 2020160006564 U KR2020160006564 U KR 2020160006564U KR 20160006564 U KR20160006564 U KR 20160006564U KR 200485854 Y1 KR200485854 Y1 KR 200485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finishing plate
bevel gea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11U (ko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이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원 filed Critical 이세원
Publication of KR20170002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convertible for varying the gear-ratio, e.g. for selecting one of several shafts as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8Gearboxes for accommodat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utility vehicles, e.g. tractors or agricultural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계로 전달하기 위한 제1,2입력축의 일측에 예비기어를 장착하여 기어 손상 및 회전력 가감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2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1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농기구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하였고, 또한 제2입력축의 외주면에 키-장치로써 후방베벨기어를 회전가능하고,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트랙터 동력이 중단되면, 농기구로 전달되고 남은 회전력에 의해 제2입력축은 회전하지 않고, 좌,우측베벨기어에 치합된 후방베벨기어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축 및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Spare gear shall be equipped with tools for gearbox}
본 고안은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제1,2입력축의 일측에 예비기어를 장착하여 기어의 회전력 가감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에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작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모종을 위한 작업형태로서 두둑 성형작업 하기 위한 두둑 성형기와 경작지를 깊게 경운하기 위한 로터베이터 등의 농기구에는 자체의 동력이 마련되지 못하여, 트랙터 등의 주동력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운행 및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농기구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기어박스가 구비되고, 이 기어박스에는 트랙터 등의 주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땅을 경운하기 위해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거나 회전속도를 가감하기 위한 기어들이 맞물려 배치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 되는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0778653호, 등록특허 10-0778655호 및 등록특허 10-119858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케이스는 트랙터 등의 주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내부에 기어가 배치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작업중 기어에 손상 및 파손이 발생 되거나 회전속도를 증가 및 감속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동안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제1,2입력축의 일측에 예비기어를 장착하여 기어의 회전력 가감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2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1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농기구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2입력축에 키-장치로써 후방베벨기어를 회전 가능하고 탄력적으로 장착하여, 공회전시 후방베벨기어가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되어 회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축 및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은 농기구 몸체에 장착되고, 전면마감판, 좌측마감판, 우측마감판, 바닥마감판 및 상부마감판으로써 마감되며, 수직차단판으로써 전,후면공간부로 나누어지고, 후면커버에 의해 후면공간부가 차단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면마감판 및 수직차단판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후면공간부에 위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입력축과; 상기 전면마감판 및 수직차단판의 하부 사이를 수평으로 돌출되게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 및 후면공간부에 위치되어 제1입력축 또는 직접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농기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입력축과; 상기 후면공간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1입력축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와; 상기 후면공간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입력축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되어 상부수직평기어에 수직으로 치합된 하부수직평기어와; 상기 전면공간부 내부에 위치되고, 제2입력축 외주면에 키-장치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베벨기어와; 상기 좌측마감판 및 우측마감판에 체결 고정된 마감플랜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동력전달축에 각각 축설되고, 후방베벨기어와 치합되어 농기구로 회전력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좌측베벨기 및 우측베벨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입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장착수단에 의해 기어비가 서로 다르고 분리 가능하게 예비기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계로 전달하기 위한 제1,2입력축의 일측에 예비기어를 장착하여 기어 손상 및 회전력 가감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2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1입력축을 통해 트랙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농기구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하였고, 또한 제2입력축의 외주면에 키-장치로써 후방베벨기어를 회전가능하고,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트랙터 동력이 중단되면, 농기구로 전달되고 남은 회전력에 의해 제2입력축은 회전하지 않고, 좌,우측베벨기어에 치합된 후방베벨기어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축 및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제2입력축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키-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는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농기구 몸체(1)에 장착되고, 전면마감판(21), 좌측마감판(22), 우측마감판(23), 바닥마감판(24) 및 상부마감판(25)으로써 마감되며, 수직차단판(26)으로써 전면공간부(27)와 후면공간부(28)로 나누어지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좌측마감판(22), 우측마감판(23), 바닥마감판(24) 및 상부마감판(25)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후면공간부(28)를 차단하기 위한 후면커버(29)와; 케이스(20)의 전면마감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상부 사이를 수평으로 돌출되게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입력축(30)과; 케이스(20)의 전면마감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하부 사이를 수평으로 돌출되게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되어 제1입력축(30) 또는 직접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농기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입력축(40)과; 후면공간부(28) 영역에 위치되는 제1입력축(30)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32)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33)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35)와; 후면공간부(28) 영역에 위치되는 제2입력축(40)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42)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43)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되어 상부수직평기어(35)에 수직으로 치합된 하부수직평기어(45)와; 전면공간부(27) 내부에 위치되고, 제2입력축(40) 외주면에 키-장치(60)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와; 케이스(20)의 좌측마감판(22) 및 우측마감판(23)에 체결 고정된 마감플랜지(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동력전달축(53)에 각각 축설되고, 후방베벨기어(50)와 치합되어 농기구로 회전력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좌측베벨기(54) 및 우측베벨기어(5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수직평기어(35)와 하부수직평기어(45)는 기어비를 1:1로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기어비를 상호 다르게 구성하여, 즉 상부수직평기어(35)를 하부수직평기어(45) 보다 크게 구성하거나 하부수직평기어(45)를 상부수직평기어(35) 보다 작게 구성하게 됨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감된다.
상기 키-장치(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축(40)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키-삽입홈(61)(62)과; 키-삽입홈(61)(62) 내부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안착부(64a)와, 수평안착부(64a) 사이에 만곡지게 일체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만곡연결부(64b)로 이루어진 탄성누름편(64)과; 탄성누름편(64)의 만곡연결부(64b) 상부에 밀착되도록 일측 하부가 단차지게 하부단차홈(66a)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면(66b)이 형성되어, 키-삽입홈(61)(6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키-홀더(66)와; 후방베벨기어(50)의 축결합공(50a)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2입력축(40)에 삽입된 키-홀더(66)의 걸림면(66b)이 탄력적으로 걸려 역회전이 방지도록 축결합공(50a)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평걸림홈(68)(69)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후면공간부(28) 영역에 위치되는 제1,2입력축(30)(40)의 일측 외주면에 장착수단(80)에 의해 기어비가 서로 다른 예비기어(70)(7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2입력축(30)(40)에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35)와 하부수직평기어(45)를 분리 후 교체하여 회전속도를 가감하게 된다.
상기 장착수단(80)은 예비기어(70)(71)의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된 스플라인공(82)과; 스플라인공(82)에 외주면이 축설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오일유동홈(84a)이 형성되며, 제1,2입력축(30)(4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부싱(8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예비기어(70)(71)의 스플라인공(82) 내주면에, 부싱(84)의 외주면을 축설한 다음, 오일유동홈(84a)에 오일이 주입된 부싱(84) 내주면을, 제1,2입력축(30)(40)의 외주면에 축설하면, 제1,2입력축(30)(40)은 부싱(84)의 오일유동홈(84a)에 유입된 오일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예비기어(70)(71)와 부싱(84)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예비기어(70)(71)는 평기어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그 기어비는 상부가 크면, 하부가 작게 되고, 상부가 작으면, 하부가 크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트랙터(미도시)의 후방 영역에 로터베이터 등의 농기구(미도시)를 연결한 다음, 트랙터를 전방으로 운행하면 후방 영역의 로터베이터 등의 농기구가 토양을 경운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를 운행하게 되면,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이, 농기구 몸체(1)에 장착된 케이스(20)의 후면차단판(21) 및 수직차단판(24) 상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된 제1입력축(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입력축(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후면공간부(28)의 제1입력축(30)에 수직으로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수직평기어(35)에 치합된 하부수직평기어(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면차단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하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되며, 하부수직평기어(45)가 축설된 제2출력축(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전면공간부(27) 내부에 위치되고, 제2출력축(40)에 키-장치(60)로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방베벨기어(50)에 치합되고 케이스(20)의 좌측마감판(22) 및 우측마감판(23)에 체결 고정된 마감플랜지(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동력전달축(53)에 각각 축설되는 좌측베벨기어(54)는 후방베벨기어(5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우측베벨기어(55)는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농기구(미도시)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구 몸체(1)에 장착된 케이스(20)의 후면차단판(21) 및 수직차단판(24) 하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된 제2입력축(40)에 연결하여 전달하게 되면, 전면차단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하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되며, 하부수직평기어(45)가 축설된 제2출력축(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출력축(40)에 키-장치(60)로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방베벨기어(50)에 치합되고 케이스(20)의 좌측마감판(22) 및 우측마감판(23)에 체결 고정된 마감플랜지(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동력전달축(53)에 각각 축설되는 좌측베벨기어(54)는 후방베벨기어(50)와 동일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우측베벨기어(55)는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농기구(미도시)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제2입력축(40) 외주면에 키-장치(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제2입력축(4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입력축(40)에 키-장치(60)로써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가 회전하게 되고, 후방베벨기어(50)에 좌측베벨기어(54) 및 우측베벨기어(55)가 치합되어, 농기구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후, 트랙터의 동력이 중단되면 농기구로 전달된 회전력이 남아 있어, 이 회전력에 의해 제2입력축(40)은 회전하지 않고, 제2입력축(40)에 키-장치(60)로써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좌측베벨기어(54) 및 우측베벨기어(55)에 치합된 후방베벨기어(50)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2입력축(40)의 키-삽입홈(61)(62)에 수평안착부(64a)로써 안착된 탄성누름편(64)의 만곡연결부(64b) 상부에 하부단차홈(66a)으로 안착된 키-홀더(66) 상부의 걸림면(66b)이, 후방베벨기어(50)의 축결합공(50a) 내주면에 형성된 수평걸림홈(68)(69)에 걸려진 상태에서 후방베벨기어(50)가 제2입력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좌측베벨기어(54) 및 우측베벨기어(55)가 회전하게 따라 동력이 전달된다.(도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트랙터의 회전력으로써 농기구의 운행중 기어에 손상이 발생 되거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 현장에서 케이스(20)의 후면으로부터 후면커버(29)의 체결력을 해제하여 분리한 다음, 제1,2입력축(30)(40)의 일측 외주면에 장착수단(80)에 의해 장착된 예비기어(70)(71)를 분리하고, 제1,2입력축(30)(40)에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35)와 하부수직평기어(45) 중 하나를 분리 후, 하나의 예비기어를 제1,2입력축(30)(40) 상에 교체하여 회전속도를 가감하게 된다.
즉, 예비기어(70)(71)의 스플라인공(82)에 장착된 부싱(84)을 제1,2입력축(30)(40)으로부터 분리하고, 예비기어의 스플라인공(82)으로부터 부싱(84)을 분리한 다음, 하나의 예비기어의 스플라인공(82)을 제1,2입력축(30)(40)의 스플라인돌기(32)(42)에 선택적으로 축설하여 교체하게 된다.(도 6참조)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부가 및 변경이 가능 하고, 이러한 수정, 부가 및 변경은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농기구 몸체 20 : 케이스
21 : 전면마감판 22 : 좌측마감판
23 : 우측마감판 24 : 바닥마감판
25 : 상부마감판 26 : 수직차단판
27,28 : 전,후면공간부 29 : 후면커버
30,40 : 제1,2입력축 32,42 : 스플라인돌기
33,43 : 스플라인공 35 : 상부수직평기어
45 : 하부수직평기어 50 : 후방베벨기어
50a : 축결합공 51 : 마감플랜지
53 : 동력전달축 54,55 : 좌,우측베벨기어
60 : 키-장치 61,62 : 키-삽입홈
64 : 탄성누름편 64a : 수평안착부
64b : 만곡연결부 66 : 키-홀더
66a : 하부단차홈 66b : 걸림면
68,69 : 수평걸림홈 70,71 : 예비기어
80 : 장착수단 82 : 스플라인공
84 : 부싱 84a : 오일유동홈

Claims (3)

  1. 농기구 몸체(1)에 장착되고, 전면마감판(21), 좌측마감판(22), 우측마감판(23), 바닥마감판(24) 및 상부마감판(25)으로써 마감되며, 수직차단판(26)으로써 전,후면공간부(27)(28)로 나누어지고, 후면커버(29)에 의해 후면공간부(28)가 차단되는 케이스(20)와; 전면마감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후면공간부(27)(28)에 위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입력축(30)과; 전면마감판(21) 및 수직차단판(26)의 하부 사이를 수평으로 돌출되게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면공간부(27) 및 후면공간부(28)에 위치되어 제1입력축(30) 또는 직접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농기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입력축(40)과; 후면공간부(28) 영역에 위치되는 제1입력축(30)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32)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33)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된 상부수직평기어(35)와; 후면공간부(28) 영역에 위치되는 제2입력축(40)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42)에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스플라인공(43)으로써 수직으로 축설되어 상부수직평기어(35)에 수직으로 치합된 하부수직평기어(45)와; 전면공간부(27) 내부에 위치되고, 제2입력축(40) 외주면에 키-장치(60)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베벨기어(50)와; 좌측마감판(22) 및 우측마감판(23)에 체결 고정된 마감플랜지(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동력전달축(53)에 각각 축설되고, 후방베벨기어(50)와 치합되어 농기구로 회전력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좌측베벨기(54) 및 우측베벨기어(55)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입력축(30)(40)의 일측 외주면에 장착수단(80)에 의해 기어비가 서로 다르고 분리 가능하게 예비기어(70)(71)가 장착되는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키-장치(60)는
    상기 제2입력축(40)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키-삽입홈(61)(62)과;
    상기 키-삽입홈(61)(62) 내부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안착부(64a)와, 수평안착부(64a) 사이에 만곡지게 일체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만곡연결부(64b)로 이루어진 탄성누름편(64)과;
    상기 탄성누름편(64)의 만곡연결부(64b) 상부에 밀착되도록 일측 하부가 단차지게 하부단차홈(66a)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면(66b)이 형성되며, 키-삽입홈(61)(6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키-홀더(66)와;
    상기 후방베벨기어(50)의 축결합공(50a)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2입력축(40)에 삽입된 키-홀더(66)의 걸림면(66b)이, 탄력적으로 걸려 역회전이 방지도록 축결합공(50a)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평걸림홈(68)(6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80)은
    상기 예비기어(70)(71)의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된 스플라인공(82)과;
    상기 스플라인공(82)에 외주면이 축설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오일유동홈(84a)이 형성되며, 제1,2입력축(30)(4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부싱(8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KR2020160006564U 2015-12-30 2016-11-10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KR2004858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8642 2015-12-30
KR2020150008642 201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11U KR20170002511U (ko) 2017-07-10
KR200485854Y1 true KR200485854Y1 (ko) 2018-03-06

Family

ID=5931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64U KR200485854Y1 (ko) 2015-12-30 2016-11-10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5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46B1 (ko) 2012-11-27 2014-02-13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부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057B1 (ko) 2014-02-07 2014-05-15 문중현 기어교환장치가 구비된 로터베이터
KR101461087B1 (ko) * 2014-04-02 2014-11-13 안병도 3방향 역회전 기어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8585B2 (ja) * 1998-06-08 2002-09-24 松山株式会社 ミッション装置及び農作業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46B1 (ko) 2012-11-27 2014-02-13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부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057B1 (ko) 2014-02-07 2014-05-15 문중현 기어교환장치가 구비된 로터베이터
KR101461087B1 (ko) * 2014-04-02 2014-11-13 안병도 3방향 역회전 기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11U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185B1 (ko) 복토기
KR200485854Y1 (ko) 예비기어가 장착된 농기구용 기어박스
KR102118317B1 (ko) 좌우로 이동하는 로터베이터
JP4817171B2 (ja) 播き機
JP2011188836A (ja) 管理機
KR20180120821A (ko) 정역회전이 가능한 배토기의 기어박스
CN204272605U (zh) 一种适合于坡地作业的自动调节式旋耕机
KR200486652Y1 (ko)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JP2012000049A (ja) 管理機
CN214384984U (zh) 一种行间除草施肥装置
CN213784061U (zh) 一种旋转切割式犁铧深松合耕整地机
CN203675568U (zh) 一种微耕机传动箱
CN106068695A (zh) 一种前后输入式旋耕、反转埋茬两用旋耕机
KR200369850Y1 (ko) 제초기의 구동장치
JP3892596B2 (ja) 縦軸ロータリ式耕耘機
KR101663996B1 (ko) 속도 조절이 가능한 농기구용 기어박스
CN211059293U (zh) 一种旋耕机齿轮箱
KR101234774B1 (ko) 양측으로 구동되는 로터베이터
JP2016146761A (ja) 農作業機
CN205793972U (zh) 一种前后输入式旋耕、反转埋茬两用旋耕机
KR101521760B1 (ko) 농기계용 로터리
KR20190046167A (ko) 구동축의 정회전과 역회전 제어가 가능한 동력전달장치 및 그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기
JP6646951B2 (ja) 農作業機
CN211931289U (zh) 一种便于与主驱动机连接的开沟装置
CN212086933U (zh) 一种防止土壤飞溅的开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