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935B1 - 농업용 종합관리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종합관리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935B1
KR0140935B1 KR1019950016122A KR19950016122A KR0140935B1 KR 0140935 B1 KR0140935 B1 KR 0140935B1 KR 1019950016122 A KR1019950016122 A KR 1019950016122A KR 19950016122 A KR19950016122 A KR 19950016122A KR 0140935 B1 KR0140935 B1 KR 014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 machine
management device
agricultural management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01A (ko
Inventor
김웅길
Original Assignee
김웅길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길,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웅길
Priority to KR101995001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935B1/ko
Priority to JP8027314A priority patent/JP2750679B2/ja
Priority to IT96TO000038A priority patent/IT1284336B1/it
Priority to CN96100448A priority patent/CN1043290C/zh
Priority to US08/594,094 priority patent/US5765646A/en
Publication of KR97000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종합관리기의 동력취출사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운전석(90) 측방 엔진(1) 일측에 위치하는 감속기(2)의 측방으로 측방출력축(3)을 취출하고 트렌스밋션(10)으로 동력이 들어가는 입력축(11)을 전방으로 연장시켜 전방출력축(12)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양측으로 출력축(13,13')을 가지는 후방의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후방출력축(16)을 하나더 마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고 프레임(15)상에는 탑재작업기를 탑재하여 단독작업 및 2,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농업용 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후미하방에 고정된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취출된 후방출력축(16)과 전방으로 취출된 전방출력축(12)의 위치에는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3점고정이 되도록 한 작업기연결대(31)를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한 3점지지 작업기연결대(31)를 설치함은 물론 작업기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도록 별도의 부착대(51)에 연결판(50)을 설치하여 기존의 소형작업기도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종합관리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이동수단으로 바퀴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 3a 도는 본 발명의 동력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3b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작업기 연결대를 부착하기 위한 일부생략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작업기연결대에 부착판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부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7 도는 작업기연결대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 8 도는 부착판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 9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프레임에 트레일러를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
제 10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프레임에 퇴비살포기를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
제 11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프레임에 방제기를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
제 12 도는 방제기탑재시 캡을 부착키 위하여 연결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생략 사시도.
제 13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프레임에 승강리프트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 14 도는 승강리프트에 별도의 작업대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 15 도는 농업용종합관리기에 장착된 콤프레셔를 이용할 수 있는 작업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 16 도는 유압모터를 이용한 이동수단(바퀴 또는 궤도)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엔진2; 감속기
3; 측방출력축4; 출력축
5,5'; 풀리6; 콤프레셔
7; 유압펌프8; 세척펌프
10; 트랜스밋션11; 입력축
12; 전방출력축14; 기어박스
15; 프레임31; 작업기연결대
33; 안치봉35,35'; 측판
37; 고정연결봉40,40'; 재치대
50; 연결판51; 부착대
52; 지지프레임53; 연결브라켓
57; 안치봉58; 레버
59; 훅크61; 고정판
63; 하부프레임85; 캡연결판
90; 운전석91; 승강리프트
110; 안치개구111; 지지브라켓
115; 커버120; 유압모터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허 94-18212호를 더욱 개선한 농업용종합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한 특허 94-18212호는 양측으로 PTO(POWER TAKE OFF)축을 가지도록 한 기어박스를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후미에 축봉에 고정된 연결간에 지지토록 하고 유니버설조인터로 하여금 기어박스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으며, 기어박스의 후방에 작업기를 부착하여 풀리 또는 체인기어의 보조적인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작업기를 작동시키고, 기어박스의 하단부는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하여 부착된 작업기와 기어박스를 동시에 승,하강을 시키면서 작업을 행하여 왔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기어박스의 후면에 마련되는 접속판과 작업기를 연결하여 볼트로서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서 작업기의 탈부착이 번거로움은 물론 많은 시간을 요하고, 농업용종합관리기의 전장이 길어져 협소한 장소에서의 선회가 곤란하고 기어박스의 측방으로부터 별도의 보조적인 수단에 의하여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므로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 사용하고, 다양한 작업기를 극히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농업용종합관리기의 전,후,양측방에서 동력을 전달 사용할 수 있도록 동력취출축(PTO)을 설치하고 다양한 작업기를 극히 용이하게 탈 부착하여 필요한 작업을 원활히 생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기의 연결 및 탈부착 장치를 설치하여 농업용종합관리기의 전방에서 구굴기, 중경로타리, 복토기, 그레이더, 파종기, 두둑성형기, 쟁기, 토양개량기, 심경로타리, 배토기, 진동배토기, 석회 및 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사이드모아, 혈공기 등을 부착하고 탑재프레임상에는 스피드스프레이장치,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등을 탑재하여 운전석 측방에는 콤프레셔와 세척펌프를 상시 탑재하여 다양한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생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작업기의 전방과 후방 및 탑재프레임에 각각 필요한 작업기를 부착 탑재하여 단일공정작업 및 2,3공정작업을 동시 수행하므로서 매우 효율적이며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영농작업의 생력기계화작업이 가능하며 독특한 방식의 작업기부착 3점연결지지장치는 필요한 각 부속작업기의 착,탈이 극히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작업기를 부착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기 연결장치의 구조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다양한 형태의 모든 작업기 부착이 가능하여 작업기의 호환성을 극대화 하므로서 과수원을 물론 전작, 하우스등 영농작업에 필요한 모든 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기술내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엔진(1)의 일측에 위치하는 감속기(2)의 측방으로 측방출력축(3)을 취출하여 농업용종합관리기의 측방에서 정지상태에서 사용하는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감속기(2)의 전방으로는 출력축(4)을 하나 더 취출하여 다수개의 풀리(5,5')를 축착 콤프레셔(6)와 유압펌프(7) 및 세척탱크(8)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슨밋션(10)으로 동력이 들어가는 입력축(11)은 전방으로 더 연장을 시켜 전방출력축(12)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양측으로는 장착되는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축(13,13')을 가지는 후방의 PTO기어박스(14)는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후미하방에 고정하여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후방출력축(16)을 하나 더 가지도록하여 다방향으로의 작업기 사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상기 전,후,측방의 출력축(12,16,3)의 단부에는 장착되는 작업기에 동력전달이 원활하도록 스플라인(20)을 형성하고, 별도의 고정공(21)을 형성하여 풀리나 체인기어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 3 도 (a)는 본 발명의 동력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입력축(11)을 통하여 엔진(1)의 동력이 입력되는 트랜스밋션(10)의 전방으로 전방출력축(12)을 취출하고 트랜스밋션(10)의 후방으로는 PTO기어박스입력축(130)을 인출하여 후방의 PTO기어박스(14)로 동력을 전달토록 하고;
상기 트랜스밋션(10)에는 주행변속레버(131)와 PTO변속레버(132)를 설치하여 주행변속은 물론 전방출력축(12) 및 PTO기어박스입력축(130)의 회전 속도와 회전방향의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주행변속레버(131)와 PTO변속레버(132)를 트랜스밋션(10)에 설치하지 않고 트랜스밋션(10)과 PTO기어박스(14)에 각각 설치하여 제어토록 하여도 무방하다.
바퀴나 궤도(30)의 이동수단을 가지는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전후측에는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는 작업기연결대(31)를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3점고정이 되도록 마련하였다.
즉, 프레임(15)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하에 개구(32,32')를 엇갈리게 형성하여 안치봉(33)과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에 의하여 결림이 되도록 하고 작업기와 연결되는 부위는 상하측으로 돌출부(34,34')를 가지는 측판(35,35')을 마련하여;
상하측의 돌출부(34,34')에는 횡봉(36,36')을 가로질러 설치하여 상측의 횡봉(36)에는 상하로 회동이 자유로운 고정연결봉(37)을, 하측의 횡봉(36')에는 작업기의 지지봉과 브라켓을 안치하고 고정핀등으로 고정할 수 있는 안치개구(38)와 고정공(39)을 선단에 형성한 재치대(40,40')를 고정하여 양측판(35,35')에 고정된 승강실린더(41,41')의 로드와 고정하여 작업기연결대(31)에 안치고정된 작업기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결판을 가지는 소형의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판(50)을 가지는 부착대(51)를 작업기연결대(31)에 부착하여 사용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 부착대(51)는 원호형상의 지지프레임(52)상단에는 연결브라켓(53)를 고정하여 전측에는 작업기연결대(31)의 고정연결봉(37)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공(54)를 형성하고, 후측에는 작업기의 상단부의 걸고리를 끼움할 수 있는 끼움공(55)을 형성하였으며;
지지프레임(52)의 양단에는 양측으로 선단에 작업기의 브라켓과 연결하기 위한 핀공(56)을 형성하고 작업기연결대(31)의 안치개구(38)에 안치되는 안치봉(57)을 가지며 선측(작업기부착위치)에는 작업기의연결이 용이하도록 레버(58)에 의하여 작동하는 훅크(59)를 가지는 안치홈(60)을 형성한 고정판(61)을 부착하였다.
상기 고정판(61)의 내측으로는 작업기의 연결판과 동일하게 고정공(62,62')을 다수 가지는 연결판(50)을 부착한 하부프레임(63)을 고정하여 구성하였다.
또, 부착대(51)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프레임(63)에 고정판(61)을 부착치 않고 안치개구(110)를 상부에 가지는 지지브라켓(111)을 일정간격 유지시켜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도록 하였으며,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상에는 트레일러(70)나 퇴비살포기(75), 방제기(80)등의 탑재작업기를 탑재하여 작업기연결대(31)에 부착된 작업기와의 병행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속기(2)의 전방으로는 취출되는 출력축(4)에 축착된 풀리(5,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토양개량기(92)나 전정가위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콤프레셔(6)와 유압으로 작업기를 승하강 시키기위한 실린더등의 작동을 위한 유압펌프(7) 및 작업후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청소를 위한 세척탱크(8)는 농업용종합관리기의 프레임(15)전방에 엔진(1)이 장착된 운전석(90)에 함께 장착을 한다.
먼저, 콤프레셔(6)는 엔진(1)의 전측에 장착하고 유압펌프(7)는 운전석(90)의 하방에 장착하며 세척탱크(8)는 운전석(90)에 위치한 콤프레셔(6)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장착하여 사용토록 하고, 운전석(90)의 전면을 씌우고 있는 커버(115)에는 방제기(80)를 탑재하여 방제작업을 행할 경우 농약의 피해로부터 벗어나게끔 캡(CAP)을 부착하기에 용이하도록 캡연결판(85)를 고정하였다.
그리고,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내측에는 실린더(93)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리프트(91)을 장착하여 이의 상단부에 트레일러(70)나 별도의 작업대(95)를 탑재하여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등이 용이토록 하고;
농업용종합관리기(100)를 이동시키는 바퀴나 궤도(30)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을 트렌스밋션(10)을 이용치 않고 운전석(90)의 하방에 장착된 유압펌프(7)와 연결시킨 유압모터(120)를 바퀴나 궤도(30)에 바로 연결을 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변속레버(140) 또한 필요에 따라 핸들(141)로 교환을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00)는 작업기, (250)은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작업기를 장착하여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후방에 마련된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필요한 작업기를 장착하여 작업을 행하고자하는 작업기를 장착하여 작업을 행하면 되고, 트레일러(70), 퇴비살포기(75) 및 방제기와 같은 별도의 탑재작업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상에 탑재하여 작업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방에는 행하여지는 제초작업, 비료살포, 구굴 및 축사의 분뇨청소를 위한 그레이드 작업과 같은 경우에는 제초기, 비료살포기, 구굴기, 그레이드등과 같은 작업기를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방에 마련된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연결을 하여 농업용종합관리기(100)를 작업방향으로 진행을 시키면 되는 것이다.
로타리, 복토기, 파쇄기와 같이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후방에서 행하여지는 작업은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후방에 마련된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연결을 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1차시비를 하고난 후 2차로 로터리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의 2공정작업이나 1차구굴을 하고 2차 퇴비를 살포한 후 복토를 하여야하는 등의 3공정작업의 경우에도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후측과 프레임(15)상에 퇴비살포기(75)와 같은 탑재작업기를 탑재하여 2공정 및 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농업용종합관리기(100) 전방의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는 시비기를 연결하고 후방의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는 복토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방에서 시비작업을 행하면 후방에서는 시비가 완료된 위치에서 뒤이어 로터리 작업을 행하게 되고;
전방에는 구굴기를 연결하여 구굴을 행하면 프레임(15)상에는 퇴비살포기(75)를 탑재하여 구굴된 위치에 퇴비를 살포하고나면 후방에서 곧바로 복토작업이 행하여 지므로서 한 작업이 끝난후에 다른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바로 2공정, 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작업은 대형의 작업기일 경우에는 작업기연결대(31)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작업기연결대(31)에 부착된 부착대(51)와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연결판을 가지는 소형의 작업기일 경우에는 부착대(51)에 고정된 연결판(50)과 밀착시켜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작업기연결시에는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형성된 안치개구(38)와 안치홈(60)에 작업기의 횡봉을 상방에서 안치한 후 고정핀등으로 결속을 하므로서 보다 쉽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또한 쉽게 해지가 되는 것이다.
부착대(51)에는 양측에 마련된 고정판(61)에 형성된 안치홈(60)에 안치된 작업기등의 횡봉이 안치될 경우에는 일단에 훅크(59)를 가지는 레버(58)를 작동시켜 안치홈(60)에 안치된 작업기의 횡봉을 단속하므로서 쉽게 이탈이 되지않게되며, 해지코자 할 경우에는 레버(58)를 단속의 반대로 작동을 시키면 해지가 이루어지므로 작업기를 이탈하기가 한결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연결된 작업기로의 동력전달은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후미하방에 고정된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취출된 후방출력축(16) 및 전방으로 취출된 전방출력축(12)과 유니버설조인터로 직접연결하여 사용을 하므로서, 작업기연결대(31)의 측판(35,35')에 고정된 승강실린더(41,41')가 재치대(40,40')를 일정각 승하강을 시키더라도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연결된 작업기로의 동력전달에는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않고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농업용종합관리기(100)가 정지된 상태에서의 양수작업이나 탑재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사용할 경우에는 엔진(1)의 일측에 위치하는 감속기(2)의 측방으로 취출된 측방출력축(3)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장착된 양수기나, 기타 방제기, 퇴비살포기와 같은 탑재작업기를 구동시켜 양수작업이나 방제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내측에 마련되는 승강리프트(91)에는 트레일러(70)나 별도의 작업대(95)를 탑재 또는 장착을 하여 실린더(93)를 신장시켜 승강리프트(91)를 상승시키면, 과수원등지의 높은 곳의 전정작업이나, 창고등지에서 상,하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토양개량기(92)와 같이 에어공급이 필요한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운전석(90)에 위치하는 엔진(1)의 전측에 장착된 콤프레셔(6)와 호스등으로 연결을 하여 유용하게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운전석(90)의 하방에 장착된 유압펌프(7)의 경우에는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41,41')와 승강리프트(91)를 작동시키는 실린더(93)등을 작동시키는데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이동수단이 바퀴나 궤도(30)를 회전시키는 스프로켓에 직접장착된 유압모터(120)와 연결하여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이동을 위한 동력원으로 사용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상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탑재작업기중 방제작업을 위하여 탑재되는 방제기(80)를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석(90)을 씌우고 있는 커버(115)에 부착고정된 캡연결판(85)과 별도로 마련되는 캡을 연결하여 방제작업시 발생하는 농약의 피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후에 마련되는 작업기연결대(31)나 부착대(51)에 각종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하고난 후나,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상에 방제기(80)등과 같이 탑재작업기를 탑재한 후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운전석(90)의 콤프레셔(6)의 측방에 장착된 세척탱크(8)를 가동시켜 분무호스와 연결을 하여 흙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어있는 작업기나 탑재작업기 및 농업용종합관리기를 깨끗하게 세정(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전,후방 및 측방의 별도의 출력축을 더 취출하므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단독 또는 병행하여 2,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배가를 가져오고, 작업기의 연결과 해지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많은 발명이다.

Claims (20)

  1.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운전석(90) 측방 엔진(1) 일측에 위치하는 감속기(2)의 측방으로 측방출력축(3)을 취출하고 트랜스밋션(10)으로 동력이 들어가는 입력축(11)을 전방으로 연장시켜 전방출력축(12)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양측으로 출력축(13,13')을 가지는 후방의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후방출력축(16)을 하나 더 마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고 프레임(15)상에는 탑재작업기를 탑재하여 단독작업 및 2,3공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출력축(12)은 입력축(11)을 통하여 엔진(1)의 동력이 입력되는 트랜스밋션(10)의 전방으로 취출하고 트랜스밋션(10)의 후방으로는 PTO기어박스입력축(130)을 인출하여 후방의 PTO기어박스(14)로 동력을 전달토록 하고;
    트랜스밋션(10)에는 주행변속레버(131)와 PTO변속레버(132)를 트랜스밋션(10)에 설치하여 전방출력축(12) 및 PTO기어박스입력축(130)의 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후미하방에 고정된 PTO기어박스(14)의 후방으로 취출된 후방출력축(16)과 전방으로 취출된 전방출력축(12)의 위치에는 작업기의 연결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3점고정이 되도록 한 작업기연결대(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이동수단은 궤도 혹은 바퀴(30)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방의 출력축(3,12,16)의 단부에는 장착되는 작업기에 동력전달이 원활하도록 스플라인(20)을 형성하고, 별도의 고정공(21)을 형성하여 풀리나 체인기어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출력축(12,16)과 작업기간의 동력전달은 유니버설조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0)의 측방 엔진(1)의 전측에는 콤프레셔(6)를 장착하여 에어공급이 필요한 토양개량기(92)와 같은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0)의 하방에는 유압펌프(7)를 장착하여 각 실린더(41,41',93)을 작동시키는 동력원과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이동수단인 바퀴나 궤도(30)에 직접 장착된 유압모터(120)을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0)에 장착된 콤프레셔(6)의 측방에는 세척탱크(8)를 장착하여 작업종료후의 작업기나 농업용종합관리기(100)를 세정(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0)을 씌우고 있는 커버(115)에는 방제기(80)를 탑재하여 사용할 때 농약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캡을 씌울 수 있도록 캡연결판(85)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프레임(15) 내측에는 실린더(93)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리프트(91)를 마련하여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나 상하차작업이 원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종합관리기(100)의 조작수단이 조작레버(130)와 핸들(1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변속레버(131)와 PTO변속레버(132)를 트랜스밋션(10)에 설치하지 않고 트랜스밋션(10)과 PTO기어박스(14)에 각각 설치하여 제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는 프레임(15)과의 연결부위는 상하에 개구(32,32')를 엇갈리게 형성하여 안치봉(33)과 고정볼트 혹은 고정핀에 의하여 걸림이 되도록 하고, 작업기와의 연결부위는 상하측으로 돌출부(34,34')를 가지도록 한 측판(35,35')을 마련하여;
    돌출부(34,34')에는 횡봉(36,36')을 설치하여 상측의 횡봉(36)에는 상하회동이 자유로운 고정연결봉(37)을, 하측의 횡봉(36')에는 재치대(40,40')를 고정하여 양측판(35,35')에 고정된 승강실린더(41,41')의 로드와 고정하여 작업기연결대(31)에 안치고정된 작업기를 일정폭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에는 연결판을 가지는 소형의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판(50)을 가지는 부착대(51)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의 재치대(40,40') 선단에는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는 안치개구(38)와 고정공(3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에 부착되는 부착대(51)는 원호형상으로 된 지지프레임(52)의 상단에 연결브라켓(53)을 고정하여 전측에는 작업기연결대(31)의 고정연결봉(37)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공(54)를 형성하고, 후측에는 작업기의 상단부를 끼움할 수 있는 끼움공(55)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52)의 양단에는 양측으로 선단에 작업기의 브라켓과 연결하기 위한 핀공(56)를 형성하고 작업기연결대(31)의 안치개구(38)에 안치되는 안치봉(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의 선측(작업기부착위치)에는 작업기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레버(58)에 의하여 작동하는 훅크(59)를 가지는 안치홈(60)을 형성한 고정판(61)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대(31)에 부착되는 부착대(51)의 하부프레임(63)에 안치개구(110)를 상부에 가지는 지지브라켓(111)을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고정하여 연결판(50)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51)의 고정판(61) 내측으로는 고정공(39)을 다수 가지는 연결판(50)을 부착한 하부프레임(63)을 고정하여 작업기의 연결판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종합관리기.
KR1019950016122A 1995-03-24 1995-06-13 농업용 종합관리기 KR014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122A KR0140935B1 (ko) 1995-06-13 1995-06-13 농업용 종합관리기
JP8027314A JP2750679B2 (ja) 1995-03-24 1996-01-22 果樹園用総合管理機
IT96TO000038A IT1284336B1 (it) 1995-03-24 1996-01-24 Macchina multi-uso per frutticoltura
CN96100448A CN1043290C (zh) 1995-03-24 1996-01-25 果园联合工作机
US08/594,094 US5765646A (en) 1995-03-24 1996-01-31 Combined control machine for an orch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122A KR0140935B1 (ko) 1995-06-13 1995-06-13 농업용 종합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01A KR970000001A (ko) 1997-01-21
KR0140935B1 true KR0140935B1 (ko) 1998-06-01

Family

ID=1941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122A KR0140935B1 (ko) 1995-03-24 1995-06-13 농업용 종합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47B1 (ko) * 2013-05-31 2014-01-16 이숙자 퇴비살포차
KR20180000607U (ko) 2016-08-22 2018-03-06 주식회사 아세아텍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47B1 (ko) * 2013-05-31 2014-01-16 이숙자 퇴비살포차
KR101343946B1 (ko) * 2013-05-31 2014-01-16 이숙자 퇴비살포기
KR20180000607U (ko) 2016-08-22 2018-03-06 주식회사 아세아텍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01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679A (en) Lawnmower powered implement
US5765646A (en) Combined control machine for an orchard
KR0140935B1 (ko) 농업용 종합관리기
KR20090043642A (ko)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KR101343947B1 (ko) 퇴비살포차
KR100206105B1 (ko) 이동식 방제기
CN213044460U (zh) 一种带前置机具的履带自走式风送打药车
JP2003061427A (ja) 耕耘装置の施用装置
JP2002101729A (ja) 多目的の乗用型茶園作業車
CN1774969A (zh) 多功能拖拉机
KR0123408Y1 (ko) 전작 및 수도작 작업겸용이 가능한 승용작업기
JPS6344131Y2 (ko)
KR100217797B1 (ko) 다기능 트랙터
EP0453038A1 (en) A tractor
JP2600726Y2 (ja) 乗用農機の伝動装置
KR102080884B1 (ko) 승하차 발판을 이용한 액상비료 살포 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CN2426266Y (zh) 独轮手扶式多功能微型旋耕机
KR200339594Y1 (ko) 생력형 방제용 호스 보조 견인장치
CN2327153Y (zh) 多用途小型手扶耕作机
CN2567944Y (zh) 一种小型多功能农用作业机
KR970009035B1 (ko) 다용도 작업차
JP2565116Y2 (ja) 散布機
US4553900A (en) Apparatus for removing sprinkler pipe from a field
JP2575692Y2 (ja) 追肥装置用作業機
KR970002399Y1 (ko) 농약살포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