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642A -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642A
KR20090043642A KR1020070109288A KR20070109288A KR20090043642A KR 20090043642 A KR20090043642 A KR 20090043642A KR 1020070109288 A KR1020070109288 A KR 1020070109288A KR 20070109288 A KR20070109288 A KR 20070109288A KR 20090043642 A KR20090043642 A KR 2009004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manager
attached
yok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이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구 filed Critical 이은구
Priority to KR102007010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642A/ko
Publication of KR2009004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6Lateral adjustment of their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주로 밭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작업인 물주기, 모종이식, 농약살포 등의 작업에 이용되는 농기계인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 관리기에서 관리기의 높이를 높이는 수단으로, 종래의 관리기의 후방연결부에 바퀴상승을 위한 요크를 부착하여, 요크에 바퀴를 부착하고, 기존의 바퀴축과 요크의 바퀴축 사이에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리고 새로 개발된 다목적 트레일러는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적재함의 바닥을 없애는 대신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적재함의 내부에는 여러 층의 착탈가능한 적재판을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후미에는 작업용 의자를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양쪽 바퀴 부위에 농약 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특수하게 설계된 약통을 장착하고, 적재함의 상부에는 농약 또는 물을 살포할 수 있는 분무기를 구비하고, 그리고 트레일러의 후방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분무공을 가진 분무봉을 구비하였다.
또한 관리기에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로 관리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하지 않고도 관리기가 가동이 되도록 하였다.
본원발명의 관리기는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높일 수 있고, 트레일러의 구조 가 바닥판 대신 지붕이 있는 구조이므로, 작물이 일정 키로 자랄 때까지 경작지에 작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진입할 수 있어서, 농약살포, 물주기, 모종이식, 수확 등의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는 차폭의 조정이 가능하여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가진 이랑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관리기는 내연기관 엔진 대신 모터로 구동할 수 있어서, 동력이 적게 소요되는 장시간의 작업을 할 때는 엔진을 가동하는 대신 모터를 이용하여 관리기를 구동함으로써 정숙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관리기, 트레일러, 농업, 밭 작물, 소음, 트레일러 폭 조정, 관리기 높이 조정

Description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Multipurpose Cultivator and Multipurpose Trailer Used for That}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주로 밭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작업인 물주기, 모종이식, 농약살포 등의 작업에 이용되는 농기계인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농기계 중에서 관리기란 주로 밭작물에 사용되는 농기계로서, 밭을 갈고, 고르고, 이랑을 만들고, 비닐을 씌우고, 농약을 뿌리는 등의 여러 가지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관리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조작이 간편하여 부녀자나 노약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내부, 과수원의 과수나무 아래 등과 같이 작업 공간이 좁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서 농가에서 많이 사용된다.
관리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다목적 관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탑재된 본체(1), 본체의 상단에 부착된 조향장치(2),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3), 본체의 가장 전방에 부착되는 보조바퀴(4), 본체의 앞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력축(5), 그리고 본체의 뒷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후방연결부(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바퀴(4)는 관리기 자체만을 이동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착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트레일러 등의 여타 장치를 부착하여 보조바퀴가 필요하지 않을 때는 사용하지 않고, 관리기의 기종에 따라 보조바퀴(4)가 바퀴(3)보다 뒤쪽에 부착되기도 한다.
관리기는 통상의 작업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바퀴를 사용하나, 연약지반에서 사용하는 경우 등의 필요에 따라 강철제 원형 림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형태의 바퀴로 교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밭의 이랑, 논둑 등의 좁은 곳으로 다니기 위하여 바퀴(3)가 하나인 외발 관리기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 경우 보조바퀴(4)를 일정 폭으로 좌우에 2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이랑의 폭 등에 따라, 바퀴 축을 길게 하여두고 두 바퀴(3) 사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관리기도 개발되어 있다.
관리기는 동력축(5)에 분무기용 동력펌프, 회전쟁기, 이랑형성기, 모종이식기, 잡초제거용 예초기 등의 작업 도구를 직접 또는 V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하고, 본체(1) 후방의 후방연결부(6)에는 운반용 트레일러 또는 쟁기 등의 작업도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예전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있지 않은 관리기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관리기에는 시동을 위한 배터리(7)가 구비되어 출시되고 있기도 하다.
관리기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나, 높이가 낮아 작물이 일단 자라고 난 이후에는 작업이 아주 제한된다. 특히 농약 살포작업은 작물이 어느 정도 자라고 난 이후에 실시되는데, 관리기가 밭으로 진입할 수 없으므로 관리기를 밭의 외부에 세워두고 긴 호스를 이용하여 농약살포작업을 하는데, 호스를 이동하는데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호스가 작물을 상하게 하는 경우도 많아 특히 문제가 된다.
그리고 관리기는 동력원으로 소형 가솔린엔진 등의 내연기관을 사용하는데, 소음이 아주 심하여, 장시간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에게 소음성 난청을 유발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관리기로 비교적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으나, 높이가 낮아 이랑을 만든 후 또는 작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자란 후에는 사용이 아주 제한된다. 그리고 동력원으로 내연기관을 사용하므로 소음이 아주 심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관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리기의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고 바퀴 폭도 조절 할 필요가 있으며, 작물이 성장하고 난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트레일러가 필요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주 동력원인 내연기관 대신 배터리를 사용하여 정숙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다목적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 관리기에서 관리기의 높이를 높이는 수단으로, 종래의 관리기의 모델에 따라 관리기 엔진 프레임 본체 후방에 트레일러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 트레일러 연결부위에 또는 트레일러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엔진 프레임 본체에 바퀴 높이 상승을 위한 요크를 결합시킬 부위를 볼트 등이 결합 가능하도록 천공하여 별도로 제작한 부위(이하 '후방연결부'이라 칭함.) 에 바퀴 높이 상승을 위한 요크를 부착하고, 상기 요크에 바퀴를 부착하여 기존의 바퀴축과 요크의 바퀴축 사이에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리고 새로 개발된 다목적 트레일러는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적재함의 적재면을 바닥이 아닌 상부에 형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적재함의 내부에는 여러 층의 착탈 가능한 적재판을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후미에는 탈착용 작업용 의자를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상면 또는 양쪽 바퀴 부위에 농약 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약통을 장착하고, 적재함의 상부에는 농약 또는 물을 살포할 수 있는 분사기를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후방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분무공을 가진 분무봉을 구비하고, 그리고 분사기의 호스를 안내하는 호스도르레를 구비하였다.
또한 관리기에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로 관리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하지 않고도 관리기가 가동이 되도록 하였다.
본원발명의 관리기는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높일 수 있고 앞바퀴 폭을 줄이고, 트레일러의 구조가 바닥판 대신 지붕이 있는 구조이므로, 밭에 이랑이 형성된 이후거나 작물이 일정 키 이상으로 자랄 때까지 경작지에 작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진입할 수 있어서, 농약살포, 물주기, 모종이식, 수확 등의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는 폭의 조정이 가능하여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가진 이랑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관리기는 내연기관 엔진 대신 모터로 구동할 수 있어서, 빠른 속도를 요하지 않거나 큰 동력을 요하지 않으면서 장시간의 작업을 해야 할 때에는 엔진을 가동하는 대신 모터를 이용하여 관리기를 구동함으로써 정숙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하나인 다목적 관리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관리기를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이고, 동력원으로 배터리(7)로 구동되는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관리기(100)는 통상의 관리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관리기 엔진 프레임에 바퀴부착을 위한 요크(110)을 부착하여, 바퀴(3)를 이 요크(110)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관리기의 높이를 높이고, 이와 같이 요크(110)에 부착된 바퀴를 구동하기 위하여 엔진동력전달장치(120)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내연기관인 엔진 대신에 배터리(7)로 구동되는 전기구동장치(130)를 추가로 구비하였다.
농업용 관리기는 그 제작회사, 엔진 출력, 모델 등에 따라 그 구조 등이 다양하다. 이런 관리기에 부착되는 요크(110)는 모델별로 엔진 프레임에 맞는 여러가지 형상의 철 또는 비철금속 구조물로서, 몸체(111), 관리기연결부(112), 트레일러연결부(113), 그리고 바퀴축연결부(114)를 구비하고 있고, 몸체의 강성을 보완해 줄 보강봉(115)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1)는 철제 또는 비철금속제로 제작할 수 있다. 몸체는 철판, 철봉 또는 철파이프를 용접하여 제작거나 철판을 프레스 가공후 용접하여 제작하고, 바퀴(3)를 장착했을 때 관리기 엔진 프레임의 구조나 형상 등에 따라 바퀴가 본래 장착되어 있던 위치에서 수직 또는 사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관리기 모델별 엔진 프레임 본체(1)의 형상에 따라 모델 별로 엔진 프레임에 맞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작한다.
관리기연결부(112)는 도 2의 (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1)의 상단 전방에 수직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되어 요크(110)를 관리기의 후미에 있는 후방연결부(6) 또는 엔진 프레임 본체(1)에 직접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금속 판에 고정구멍을 가공하여 제작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요크(110)를 트일러 연결부(6)에 고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간편하다. 관리기 연결부가 관리기의 몸체(1)의 후미 중앙에는 이 관리기연결부(112)가 부착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된 평면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의 (a) 또는 (b)에 도시한 후방연결부에 결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봉(115)를 더 넓고 크게 제작하여 보강봉 역할을 하면서 관리기연결부(112)로 기능하도록 실시 할 수도 있다.
트레일러연결부(113)는 몸체(111)의 후방에 수직으로 부착되는데, 통상의 경운기 후미에 부착되어 있는 후방연결부(6)와 동일한 "ㄷ"자 형상의 브래킷으로서, 트레일러의 연결봉 선단의 핀구멍과 핀(113-1)으로 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판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바퀴축연결부(1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1)의 하단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바퀴(3)의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축구멍을 가공하고, 축구멍에 베어링을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거나, 기성품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는 볼베어링 유닛을 끼워맞춤으로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만약 몸체(111)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요크의 몸체(111)와 관리기의 몸체(1)를 연결하는 보강봉(115)을 설치한다.
엔진동력전달장치(120)는 관리기 자체의 바퀴축으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상기 요크(110)에 새로이 부착된 바퀴(3)의 축으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관리기 자체의 바퀴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Sprocket, 121), 요크(110)에 부착된 바퀴(3)의 축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122), 그리고 구동스프로켓과 종동스프로켓 간에 연결되는 전동체인(123)으로 구성된다. 구동스프로켓(121)과 종동스프로켓(122)의 크기를 각각 달리하여 관리기의 운행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으나, 관리기의 운행속도를 본래의 관리기의 운행속도와 같게 하려면 구동스프로켓(121)과 종동스프로켓(122)의 크기를 같게 하면 된다.
엔진동력전달장치(120)는 상기와 같이 체인동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확실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바람직하나, V-벨트 전동장치 등 여타 전동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의 관리기는 관리기의 바퀴(3)가 두 개인 두발식인 것이 보통이지만, 관리기의 바퀴(3)가 한 개인 외발식 기종도 출시되고 있다. 두발식 관리기의 경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의 폭은 가능한 한 좁게 하며, 각각의 바퀴를 모두에 전술한 바의 동력전달장치(120)를 구비하고 있다. 추가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기 모델에 따라 폭을 줄이기 위해 바퀴를 관리기 안쪽으로 붙일 수 있고, 폭을 더 좁히기 위해서는 외발식의 1개의 바퀴로 운용할 수도 있다. 외발식의 경우는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전기구동장치(130)는 관리기를 아주 저속으로 운행하면서 작업을 하는 경우와 같이 큰 동력이 소요되지 않는 작업을 할 때, 소음이 심한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하는 대신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관리기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이 전기구동장치는 전기모터(131),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32), 요크에 부착된 바퀴축에 부착되는 종동풀리(133), 요크의 몸체(111)에 부착되는 아이들러(134), 그리고 구동풀리, 종동풀리 그리고 아이들러를 감고 돌아가는 V-벨트(135)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구동장치(130)을 사용할 때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원격조정장치(136)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트레일러에서 작업을 하면서 관리기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다.
아이들러(134)는 V-벨트에 장력을 가할 수도 있고, 장력을 제거할 수도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설치된다. 관리기의 엔진을 가동하여 엔진 동력을 이용할 때는 아이들러(134)를 V-벨트에 장력이 걸리지 않는 위치(도 3에서 왼쪽 위치)에 두어 엔진동력이 전기모터(13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전기모터의 동력을 이용할 때는 아이들러(134)를 V-벨트에 장력이 걸리는 위치(도 3에서 오른쪽 위치)에 두어 전기모터의 동력이 바퀴축에 전달되게 한다. 전기모터(131)의 동력을 이용하여 관리기를 운행할 때는 관리기의 변속기(8)를 중립으로 두어 전기모터의 동력이 엔진으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본원 발명인 다목적 관리기는 물주기 또는 농약살포작업에 특히 유용하므로, 이를 위하여 종래의 관리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력펌프(140)를 몸체(1)에 탑재하고, 동력축(5)과 V-벨트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도 있고, 관리기 본체나 요크에 프레임을 부착하여 동력펌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관리기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사용할 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인 관리기용 다목적 트레일러(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본체(210), 연결봉(220), 트레일러본체에 장착되는 물통(230), 트레일러본체의 후미에 연결되는 작업좌석(240), 트레일러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 그리고 트레일러본체의 후방에 장착되는 분무봉(260) 등이 구비된다.
트레일러본체(2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측면의 형상과 같은 금속판 혹은 금속 프레임으로 된 양 측면(이하 '측면판(211, 212)'이라고 칭함.)과 지붕(213)이 있는 구조로서, 골조프레임에 철판을 부착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트레일러본체(210)의 양 측면판(211, 212)의 하단 중앙에는 바퀴(214)가 부착되어 있다. 트레일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트레일러의 본체의 좌우측면에 물통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211, 212)에는 물통(230)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215)을 부착할 수 있다. 트레일러본체(210)의 전방 상단의 프레임에는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연결봉(220)이 부착된다. 트레일러본체(210) 구조물에서 모서리 연결부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에는 보강부재(218)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보강을 할 수 있다.
트레일러본체(210)의 내부의 측면판(211, 212)에는 작업판홈(216)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어 있어서, 작업판(217)을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작업판을 작업판홈(216)에 끼워넣었다 빼냈다 하는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이 작업판(217)은 주로 모종이식작업에서 모종판을 다수 올려두는 데 사용되고, 작물이 자란 후에는 최하단 작업판(217)부터 제거하여 트레일러가 작물을 상하지 않게 한다.
통상적인 밭 작물의 경우, 작목의 종류에 따라 이랑의 간격이 달라지므로, 트레일러(200)의 폭을 조정할 수 있어야 다양한 작목에 관리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일러(200)의 폭을 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프레임(213-1)을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파이프 또는 맞물림 가능한 절곡된 금속 자재로 하고, 양 측면판(211, 212)의 상부에 수평으로 부착된 측면판프레임(211-1)을 상기 지붕프레임(213-1)의 내부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는 신축봉(213-10) 구조로 하여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일러의 구조 강도를 위해 도 5와 같은 지붕프레임과 신축봉의 결합 구성을 다중으로 할 수 있다. 지붕프레임(213-1)에는 하나의 핀구멍(213-2)를 가공하고, 측면판프레임(211-1)에는 다수 개의 핀구멍(211-2)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하여, 신축봉의 길이를 조정한 후에는 상기 핀 구멍에 핀(211-3) 또는 볼트 등을 꽂아 고정한다.
트레일러(200)의 폭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신축봉(213-10)을 다수 개를 사용하고, 이들 신축봉의 지붕프레임(213-1)에 브래킷(213-11)을 부착하고, 이 브래킷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양단에는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된 구동봉(213-12)을 결합한다. 양 측면판(211, 212)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구동봉(213-12)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가진 조정봉(213-13)이 부착된다.
구동봉(213-12)의 외부에는 기어(213-14)가 고정되어 있고, 이 기어에는 구동봉(213-12)을 회전시키는 피니언(213-15)이 물린다. 피니언(213-15)의 축(213-16)은 회전할 수 있도록 신축봉의 지붕프레임(213-1)과 하나의 측면판(212)에 베어링으로 고정되고, 피니언(213-15)의 축(213-16)의 끝단에는 핸들(213-17)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13-17)을 돌리면 피니언(213-15)가 회전하고, 이 피니언과 기어(213-14)로 물려있는 구동봉(213-12)이 회전을 한다. 구동봉의 양단에는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 산을 가진 조정봉(213-13)이 결합해 있으므로, 구동봉(213-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정봉(213-13)이 동시에 구동봉(213-12) 속으로 들어가거나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핸들(213-17)을 돌리는 조작만으로 트레일러(200)의 폭이 간단히 조정된다.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자동차 등을 들어올릴 때 사 용하는 자키의 형상과 원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폭 조절을 위한 구동 스크루(213-21), 이 스크루의 일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스크루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루기어(213-26)와 물리는 피니언기어(213-27)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213-17),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4개의 링크(213-22), 트레일러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링커를 결합하면서 스크루(213-21)와 결합되는 스크루연결부(213-25) 그리고 상기 링크를 측면판(211, 212) 또는 측면판프레임(211-1)에 연결하는 측면판연결부(213-24)로 구성된 링크구조체(213-20)를 구비하여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핸들을 회전하면 피니언기어와 구동기어가 작동하여 스크루를 회전시킨다.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4개의 링크가 이루는 마름모가 변형을 하게 되고, 이 변형에 따라 측면판 또는 측면판프레임의 간격이 조정되어 트레일러의 폭이 조정된다.
트레일러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하려면 바퀴와 지면의 마찰력으로 조정이 어려울 수가 있다. 이 경우 트레일러 바퀴를 롤러가 구비되어 있어서 서로 미끄러지는 두 판 위에 올려두고 조정을 하면 작은 힘으로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레일러의 폭을 조정하면, 그에 따라 작업판(217)의 폭도 조정되어야 하는데, 작업판(217)을 철판 등 금속판으로 두 개의 판으로 나누어 제작하고, 각의 판의 두 변을 "ㄷ"자로 절곡하여 두판이 서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여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연결봉(220)은 파이프(221)의 일단에는 트레일러본체(210)에 볼트 등으로 부 착할 수 있는 브래킷(222)이 부착되고, 타단에는 관리기(100)의 후미에 직접 또는 관리기에 부착된 요크(110)의 후미에 연결할 수 있는 핀연결부(223)가 부착된다. 핀연결부(223)는 원기둥에 핀구멍을 가공한 형태이면 되지만 안전을 위하여 핀연결부(223)의 하단에 안전판(224)을 부착하는 것이 좋다. 관리기(100)가 트레일러(200)와 너무 큰 각도로 회전할 경우 위험한데, 이때 안전판(224)의 전방부가 연결 브래킷에 닿아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수 없게 한다. 좀 더 자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판이 반달형이거나 부채꼴 형상으로 실시하여 굴절각을 안정각 이상으로 확보한다.
연결봉(220)의 상부에는 통상의 관리기용 트레일러와 같이, 운전석(225)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패달(226)을 부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약에 부식되지 않는 종류의 합성 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고, 상부에는 물 또는 농약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마개(231)가 있는 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동력펌프(140)로 연결되어 물 또는 농약을 취출할 수 있는 취출관(232)이 구비되어 있다. 취출관(232)의 말단에는 필터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동력펌프(140) 및 분사기(250)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물통(230)은 농사일에 통상 사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통의 형상으로 하여 트레일러 위에 장착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230)의 하단 측면부로서 트레일러의 바퀴(214)와 접하는 부위에는 바퀴홈(233)을 형성하여 트레일러의 양 측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퀴홈(233)을 형성하면 물통 을 트레일러본체(210)의 양측면 하단까지 내려서 장착할 수 있고, 이 경우 트레일러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게 되어 안전하다.
탈착식 작업좌석(2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243)가 있는 좌석(241)을 트레일러의 후미에 연결봉(242)으로 연결하여 트레일러가 견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작업좌석(240)은 특히 모종이식 작업과 같이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할 때 유용한데, 작업자가 이 작업좌석(240)에 앉아 트레일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트레일러본체(210)의 작업판(217)에 적재되어 있는 모종판에서 모종을 하나하나 분리하여 이식할 때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통상적인 동력분무기는 물 또는 농약 등을 분사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가하는 펌프와 분사장치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펌프는 동력펌프(140)(농기계 생산, 판매하는 업계나, 농촌에서는 이 동력펌프만을 '동력분무기'라고 칭하기도 함.)을 선택하였으며, 분사장치로는 분사기(250) 또는 분무봉(26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동력 부무기는 물, 농약 등을 분사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가하는 동력펌프(140)와 분사장치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사장치로 분사기(250)와 분무봉(26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트레일러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251)가 감겨 있는 릴통(252)과 분무노즐(253)이 장착된 분무대(254)로 구성된다. 분무기의 호스(251)는 동력펌프(140)에 연결되어 있다. 물주기 또는 농약 살포 작업을 할 때, 물 또는 농약을 물통(230)에 채우고 동력펌프를 작동시키면 물통 속의 물 또는 농약이 분무노즐(253)으로 분사되어 나온다. 이때 작업자는 트레일러의 상단 또는 작업좌석(240)에 앉아 릴통(252)에 감긴 호스를 적당한 길이로 풀어 분무대(254)를 잡고 필요한 부위에 물 또는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분무봉(2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관(261)에 다수 개의 분무노즐(262)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형상이며, 회전할 수 있는 고정장치(263)로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방 또는 기타 적정 위치에 장착된다. 이 분무봉(260)은 동력펌프(140)에 호스로 연결되어 있고, 물 또는 농약을 살포할 때는 분무봉을 수평으로 눕혀 한꺼번에 넓은 부위에 살포할 수 있게 하고, 이동중에는 분리하거나, 수직 또는 종축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분사기(250)과 분무봉(260)은 트레일러본체(210)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 호스를 통하여 동력펌프(140)에서 토출되는 물 또는 농약을 분사기 또는 분무봉으로 선택적으로 보내는 전환밸브(264)가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인 관리기가 트레일러를 장착하고, 작물이 자라고 있는 밭에서 주행하면서 작업을 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트레일러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를 걸치기 위한 호스도르레(270)도 설치할 수 있다. 호스도르레(270)은 도르레(271), 드르레고정봉(272) 그리고 고정봉소켓(27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상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고정봉소켓(273)과 그 소켓 안으로 삽입 고정되는 도르레고정봉(272)으로 되는데, 도르레고정봉은 고정봉소켓 안에서 회전 가능하여 물이나 농약 등의 분무시 호 스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작업 능률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농업, 특히 밭 작물의 경작에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농기계이다.
도 1은 통상의 농업용 관리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높이 조절용 요크가 부착된 관리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바퀴가 부착된 요크의 전, 후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트레일러 전체적 형상과 실시례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레일러의 안전판과 트레일러의 폭 조정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트레일러의 폭 조정 장치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
도 7은 트레일러의 측면에 부착되는 물통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인 요크가 부착된 관리기의 운용 개념도이다.
*주요 구성품에 대한 설명*
100 : 관리기, 110 : 요크, 120 : 엔진동력전달장치, 130 : 전기구동장치,
200 : 트레일러, 210 : 트레일러본체, 220 : 연결봉, 230 : 물통,
240 : 작업좌석, 250 : 릴통, 260 : 분무봉, 270 : 호스도르레.

Claims (12)

  1. 관리기 엔진이 탑재된 엔진 프레임 본체(1), 본체의 상단에 부착된 조향장치(2),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3), 본체의 앞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력축(5), 본체의 뒷부분에 부착되는 후방연결부(6), 그리고 배터리(7)로 구성된 통상의 관리기에 있어서,
    모델 별로 엔진 프레임에 맞는 여러가지 형상의 철 또는 비철금속 구조물인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상단 전방에 부착되어 몸체(111)를 통상의 관리기의 엔진 프레임 본체(1)의 후미의 후방연결부(6)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관리기연결부(112), 상기 몸체(111)의 상단 후방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트레일러를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트레일러연결부(113),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단 끝단에 형성된 바퀴축연결부(114)를 구비하고 있는 요크(110);
    상기 통상의 관리기 자체의 바퀴축으로 전달된 엔진 동력을 상기 요크(110)에 새로이 부착된 바퀴(3)의 축으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통상의 관리기 바퀴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121), 요크(110)에 부착된 바퀴(3)의 축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122),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종동스프로켓 간에 연결되는 전동체인(123)으로 구성되는 엔진동력전달장치(120);
    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통상의 관리기의 높이를 높인 관리기(100).
  2. 제1항의 관리기에 있어서,
    통상의 관리기의 엔진 프레임 본체(1) 또는 상기 요크(110)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7)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으로서 관리기의 엔진 프레임 본체(1) 또는 상기 요크(110)에 장착되는 전기모터(131), 상기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32), 상기 요크(110)에 부착된 바퀴축에 부착되는 종동풀리(133), 상기 요크의 몸체(111)에 부착되어 V-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아이들러(134), 그리고 구동풀리, 종동풀리 그리고 아이들러를 감고 돌아가는 V-벨트(135)로 구성되는 전기구동장치(130)를 추가로 구비하여,
    소음이 심한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하는 대신, 배터리(7)의 전원을 동력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110)는 요크의 몸체(111)와 관리기의 몸체(1)를 연결하는 보강봉(115)을 추가로 구비하여, 요크의 강성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100).
  4. 상기 트레일러본체(210)의 양 측면판(211, 212)의 하단에 각각 부착되는 바퀴(214);
    트레일러본체(210)의 전방 상단의 프레임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연결봉(220);
    그리고 양 측면판(211, 212)과 지붕(213)이 있는 구조로서 골조프레임이나 철판으로 제작하는 트레일러본체(210);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본체(210)의 내부의 측면판(211, 212)에는 작업판홈(216)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업판홈(216)에 끼워넣었다 빼냈다 하는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1이상 다수 개의 작업판(21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붕프레임(213-1)을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파이프로 하거나 맞물림 형태의 절곡자재로 하고, 양 측면판(211, 212)의 상단에 수평으로 부착된 측면판프레임(211-1)을 상기 지붕프레임(213-1)의 내부로 왕복할 수 있는 신축봉(213-10) 구조로 하고, 상기 신축봉(213-10)의 길이를 조정한 후에는 핀(211-3)을 꽂아 신축봉의 길이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트레일러의 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트레일러본체(210)의 지붕의 전방과 후방에, 지붕프레임(213-1)을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파이프이고 측면판프레임(211-1)이 지붕프레임(213-1)의 내부로 들 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는 신축봉(213-10)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프레임(213-1)에 브래킷(213-11)을 부착하고, 이 브래킷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외부에는 기어(213-14)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된 구동봉(213-12)이 결합되고;
    양 측면판(211, 212)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구동봉(213-12)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가진 조정봉(213-13)이 부착되고;
    그리고 신축봉의 지붕프레임(213-1)과 하나의 측면판(212)에 베어링으로 고정되고, 일단에는 상기 구동봉(213-12)의 기어(213-14)와 물리는 피니언(213-15)이 부착되고, 타단에는 핸들(213-17)이 부착되어 있는 피니언축(213-16)이 구비되어;
    핸들(213-17)을 돌리는 조작으로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폭 조절을 위한 구동 스크루(213-21),
    상기 스크루의 일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스크루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루기어(213-26)와 물리는 피니언기어(213-27)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링크(213-22),
    트레일러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링커를 결합하면서 스크루(213-21)과 결합되는 스크루연결부(213-25),
    그리고 상기 링크를 측면판(211, 212) 또는 측면판프레임(211-1)에 연결하는 측면판연결부(213-24)로 구성된;
    링크구조체(213-20)가 구비되어 상기 링크 구조체의 핸들(213-17)을 돌리는 조작으로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용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본체(210)의 장착되는 물통(230),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미에 연결되어 트레일러에 의하여 견인되는 작업좌석(240), 트레일러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 그리고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무봉(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용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본체(210)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물통(230),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미에 연결되어 트레일러에 의하여 견인되는 작업좌석(240), 트레일러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 그리고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무봉(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용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본체(210)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물통(230),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미에 연결되어 트레일러에 의하여 견인되는 작업좌석(240), 트레일러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 그리고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무봉(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용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본체(210)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물통(230),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미에 연결되어 트레일러에 의하여 견인되는 작업좌석(240), 트레일러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분사기(250), 그리고 트레일러본체(2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무봉(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트레일러(200).
KR1020070109288A 2007-10-30 2007-10-30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KR20090043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88A KR20090043642A (ko) 2007-10-30 2007-10-30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88A KR20090043642A (ko) 2007-10-30 2007-10-30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42A true KR20090043642A (ko) 2009-05-07

Family

ID=4085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288A KR20090043642A (ko) 2007-10-30 2007-10-30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6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452B1 (ko) 2014-09-05 2016-01-11 강동길 농사 관리기용 농경기구
CN108382814A (zh) * 2018-04-25 2018-08-10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导料装置以及生产线
CN108408372A (zh) * 2018-04-25 2018-08-17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生产辅助设备以及生产线
CN112292949A (zh) * 2020-11-13 2021-02-02 杨科 一种农业耕播机械的地面随形机架
KR20220064499A (ko) * 2020-11-12 2022-05-19 김경준 휠간 폭 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452B1 (ko) 2014-09-05 2016-01-11 강동길 농사 관리기용 농경기구
CN108382814A (zh) * 2018-04-25 2018-08-10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导料装置以及生产线
CN108408372A (zh) * 2018-04-25 2018-08-17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生产辅助设备以及生产线
KR20220064499A (ko) * 2020-11-12 2022-05-19 김경준 휠간 폭 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CN112292949A (zh) * 2020-11-13 2021-02-02 杨科 一种农业耕播机械的地面随形机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6616A1 (en) Mower for attachment to an agricultural vehicle
JP3386685B2 (ja) トラクタ牽引式移植機
KR20090043642A (ko)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JP2018183079A (ja) 防除作業車
US4493272A (en) Agricultural planter with sled frame, vacuum dispensing and ground drive
JP6821123B2 (ja) 防除作業車
CN205179721U (zh) 一种金银花施肥机
CN108496610B (zh) 一种玫瑰剪枝施药一体机
US5762146A (en) Nursery plant digger
CN109362263A (zh) 一种农用翻土装置
KR102465257B1 (ko) 분사 높이와 방향이 조절되는 조향이동방제장치
JP2016146761A (ja) 農作業機
CN212985628U (zh) 一种农业机械灌溉用水泵
CN217790301U (zh) 一种便于移动的插秧机
CN101537851B (zh) 四轮、手扶二用拖拉机
KR102105923B1 (ko) 비닐하우스용 농기계 자동 견인장치
US4059941A (en) Trailer hitch for a tobacco harvester
KR0140935B1 (ko) 농업용 종합관리기
CN217771070U (zh) 一种山地苹果用浇水施肥装置
CN214852750U (zh) 轮动辣椒移栽机
CN202068855U (zh) 一种自动行走的农用多脚轮喷药车
CN2327153Y (zh) 多用途小型手扶耕作机
KR100433264B1 (ko) 파종기
CN2287364Y (zh) 两轮农用摩托车
CN2619465Y (zh) 手扶农田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